WO2011136576A2 -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 Google Patents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6576A2
WO2011136576A2 PCT/KR2011/003138 KR2011003138W WO2011136576A2 WO 2011136576 A2 WO2011136576 A2 WO 2011136576A2 KR 2011003138 W KR2011003138 W KR 2011003138W WO 2011136576 A2 WO2011136576 A2 WO 201113657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diator
ground plane
coupling member
coupl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1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36576A3 (ko
Inventor
김진명
정창원
염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텍
Priority to US13/643,987 priority Critical patent/US9196957B2/en
Priority to CN201180020734.0A priority patent/CN102934283B/zh
Publication of WO201113657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576A2/ko
Publication of WO201113657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57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t-in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for preven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 the proposed technique is a MIMO antenna technology according to such a necessity.
  • MIMO antenna technology uses spatial multiplexing to transmit data at higher speeds without increasing the bandwidth of the system by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ifferent data using multiple antennas to the transmitter or receiver.
  • the MIMO antenna has an array antenna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radiators, and since a plurality of radiators are used, interference between radiators may occur. Such interference may distort the radiation pattern or caus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radiators.
  • an isolation element such as a separate structure or a structure that spaces the distance between radiators is used.
  • the isolation method studied up to now can secure the desired isolation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antennas is sufficiently secured even if a separate isolation element is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MO antenna capable of ensuring good isolation characteristics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multiple antennas is set relatively close.
  • the dielectric structure A ground plane provided in the first layer of the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with a first feed point and radiating a first RF signal and coupled with the ground plane; A second radiat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a second feed point and radiating a second RF signal and coupled to the ground plane; And a connection line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radiator and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second radiator to connect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to provide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isolation.
  • the first RF signal and the second RF signal are the same frequency signal.
  •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may be set to ⁇ / 4 of the use frequencies of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 the antenna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layer of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overlapping the ground plane.
  • the first end of the coupling member is adjacent to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radiator and the ground plane and the second end of the coupling member is adjacent to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econd radiator and the ground plane.
  • the coupling member has a size capable of emitting radiation frequencies of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 the dielectric structure A ground plane provided in the first layer of the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with a first feed point and radiating a first RF signal and coupled with the ground plane; A second radiat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a second feed point and radiating a second RF signal and coupled to the ground plane;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layer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coupling member overlapping the ground plane.
  •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ultiple antennas can be improved, an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ple antennas is set relatively close, there is an advantage of ensuring good isolation characteristic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ottom plan view of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top plan view of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top plan view of the MIMO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bottom plan view of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IMO antenna for improving isolation includes a first radiator 100, a second radiator 102, a first feed point 104, and a second feed point.
  • 106 connection line 108, dielectric structure 200, ground plane 202, and coupling member 204.
  •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serves as a body to which the ground plane 202 and the coupling member 204 are coupled.
  • a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be used,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kinds of dielectric structures may be used.
  • PCB printed circuit board
  • the ground plane 202 is formed under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intains an electrically grounded state.
  • the first radiator 100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first feed point 104 and emits a first RF signal.
  • 1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adiator 100 extends in the same plane as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 the first radiator 10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 the first radiator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104 and also electrically coupled to the ground plane 202. That is, the first radiator 100 has a feeding structure of a 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 antenna that is connected with the feeding point 104 and the ground plane 202.
  • 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
  • the inner conductor of the coaxial cabl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eed point 104 and the outer core of the coaxial cable may be coupled to the ground plane 202.
  •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100 shown in Figure 1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have a variety of forms as long as it satisfies the electrical length for the resonance of the RF signal.
  • the second radiator 102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second feed point 106 and emits a second RF signal.
  • 1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radiator 102 extends in the same plane as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 the second radiator 10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 the second radiator 102 also has a PIFA feeding structure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oint 106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ground plane 202.
  • the shape of the second radiator 102 shown in FIG. 1 is also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have various forms as long as it satisfies the electrical length for resonance of the RF signal.
  • the shape of the second radiator 10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radiator, but the shape of the second radiator need not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radiator.
  • th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MO antenna, the first RF signal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100 and the second RF signal radiated from the second radiator 102 are different signals fed independently, and the frequency of the two signals is same.
  •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two radiators.
  • Such interference acts as a major factor in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MIMO antenna.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occurring between two adjacent radiators through the connecting line 108 and the coupling member 204.
  • connection line 108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radiator 100 and the second radiator 102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radiator 100 and the second radiator 102.
  • the connecting line 108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 / 4 of the use frequencies of the first radiator 100 and the second radiator 102.
  • the connecting line 108 has a length of ⁇ / 4 of the operating frequency so that the path from the first radiator to the second radiator and the path from the second radiator to the first radiator appear to be electromagnetically blocke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adiators can be suppressed.
  • connection line 108 having a length of ⁇ / 4 has an advantage in that interference between radiators can be suppress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even when both radiators are rela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 the coupling member 204 provided on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acts as another component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between two radiators. 1 to 3, the ground plane 202 is shown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and the coupling member 204 is located on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but is coupled with the ground plane 202.
  • the ring member 204 need only be located at different layers,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may be changed as necessary.
  • the ground is commonly shared by the ground of the terminal, and inter-radiator interference may occur through the shared ground plane 202, and the coupling member 204 may be formed by the ground plane 202. Suppresses inter-radiator interference.
  • the coupling member 204 is positioned at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ground plane 202 up and down, and a first end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member 204 is a coupling portion of the ground plane 202 of the first radiator 100. And a second one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member 204 is adjacent to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econd radiator 102 and the ground plane 202.
  • the size of the coupling member 204 is the first radiator and
  • Coupling member 204 causes a coupling between ground plane 202 and coupling member 204 to form a coupling, such coupling being ground plane 202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and second radiators.
  •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both radiators is suppressed by canceling the surface current of the surface.
  • the coupling member 204 may be interpreted as an inductance component in the circuit, and the space between the coupling member 204 and the ground plane 202 may be interpreted as a capacitance component.
  • the space where the coupling member 204 and the ground plane 202 overlap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bandstop filter in which the inductor a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surface at a particular frequency due to the addition of the coupling member 204.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current.
  • FIG. 1 shows another dielectric structure 250 to which the dielectric structure 200 and the radiators 100 and 102 are coupled, the dielectric structure 250 may not be provided as necessary.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에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와 결합되어 적어도 두 개의 스파이럴 아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셀;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사체를 포함한다. 개시된 안테나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중 안테나간 거리가 비교적 가깝게 설정되어도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키는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신뢰성 있는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제한된 대역폭과 전력을 이용하는 무선 채널을 통해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려면 용량의 증가가 필수적이다. 최근에 들어 용량을 개선시키는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 환경은 페이딩, 음영 효과, 전파 감쇠 및 간섭 등에 의해 수신 신호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무선 채널 특성을 극복하거나 그 성질을 이용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제안된 기술이 MIMO 안테나 기술이다.
MIMO 안테나 기술은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의 대역폭을 더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공간적인 멀티플렉싱 기법을 사용한다.
MIMO 안테나는 복수의 방사체를 사용하는 배열 안테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개의 방사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방사체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은 방사 패턴을 왜곡시키거나 방사체간의 상호 결합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MIMO 안테나에서 방사체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물과 같은 아이솔레이션 엘리먼트를 사용하거나 방사체간의 간격을 멀리 이격시키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아이솔레이션 방법은 별도의 아이솔레이션 엘리먼트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두 안테나간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원하는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말기의 소형화는 계속적인 요구사항이기 때문에 복수 안테나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단말기의 소형화에도 반하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복수 안테나간의 아이솔레이션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중 안테나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MIMO 안테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간 거리가 비교적 가깝게 설정되어도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MIMO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1 레이어에 구비되는 접지면; 제1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1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1 방사체; 제2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2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의 소정 지점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소정 지점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RF 신호 및 상기 제2 RF 신호는 동일 주파수 신호이다.
상기 연결 라인의 길이는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사용 주파수의 λ/4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2 레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면과 상하로 오버랩되는 커플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접지면의 결합 부분과 인접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2 단은 상기 제2 방사체 및 상기 접지면의 결합 부분에 인접한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방사 주파수를 방사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1 레이어에 구비되는 접지면; 제1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1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1 방사체; 제2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2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2 레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면과 상하로 오버랩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안테나에 의하면, 다중 안테나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중 안테나간 거리가 비교적 가깝게 설정되어도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상부 평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사시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는 제1 방사체(100), 제2 방사체(102), 제1 급전점(104), 제2 급전점(106), 연결 라인(108), 유전체 구조물(200), 접지면(202) 및 커플링 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구조물(200)은 접지면(202) 및 커플링 부재(204)가 결합되는 몸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일례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유전체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접지면(202)은 유전체 구조물(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기적으로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방사체(100)는 제1 급전점(104)을 통해 신호를 급전 받으며 제1 RF 신호를 방사한다. 도 1에는 제1 방사체(100)가 유전체 구조물(200)과 동일 평면에서 연장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방사체(100)는 유전체 구조물(200)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방사체(100)는 제1 급전점(104)과 연결되는 동시에 접지면(202)과도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즉, 제1 방사체(100)는 급전점(104) 및 접지면(202)과 함께 연결되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안테나의 급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 방사체(100)의 급전 선로로 동축 케이블이 이용될 때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제1 급전점(104)에 결합될 수 있고 동축 케이블의 외심은 접지면(20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1 방사체(10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RF 신호의 공진을 위한 전기적 길이를 만족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제2 방사체(102)는 제2 급전점(106)을 통해 신호를 급전 받으며 제2 RF 신호를 방사한다. 도 1에는 제2 방사체(102)가 유전체 구조물(200)과 동일 평면에서 연장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2 방사체(102)는 유전체 구조물(200)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방사체(102) 역시 제2 급전점(106)과 연결되는 동시에 접지면(202)과도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PIFA 급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2 방사체(102)의 형태 역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RF 신호의 공진을 위한 전기적 길이를 만족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1에는 제2 방사체(102)의 형태가 제1 방사체가 동일하나 제2 방사체의 형태가 제1 방사체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MIMO 안테나로서, 제1 방사체(100)에서 방사하는 제1 RF 신호 및 제2 방사체(102)에서 방사하는 제2 RF 신호는 독립적으로 급전되는 상이한 신호이며, 두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한 신호를 방사하는 두 개의 방사체가 인접해 있을 경우 두 개의 방사체에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간섭은 MIMO 안테나의 성능 열화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 라인(108) 및 커플링 부재(204)를 통해 인접한 두 개의 방사체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연결 라인(108)은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의 소정 지점에 결합되어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 라인(108)은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의 사용 주파수의 λ/4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연결 라인(108)은 사용 주파수의 λ/4 길이를 가짐으로써 제1 방사체에서 제2 방사체로의 경로 및 제2 방사체에서 제1 방사체로의 경로는 전자기적으로 차단된 것으로 보이게 되며, 이를 통해 양 방사체 사이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λ/4 길이의 연결 라인(108)을 통한 간섭 억제는 양 방사체가 비교적 인접해 있는 상태에서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방사체간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유전체 구조물(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플링 부재(204)는 두 개의 방사체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요소로 동작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접지면(202)이 유전체 구조물(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커플링 부재(204)가 유전체 구조물(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접지면(202)과 커플링 부재(204)는 서로 다른 레이어에만 위치하면 되고 상부와 하부의 위치관계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MIMO 안테나에서 접지는 단말기의 접지를 공유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때 공유하는 접지면(202)을 통해 방사체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커플링 부재(204)는 이와 같은 접지면(202)에 의한 방사체간 간섭을 억제한다.
커플링 부재(204)는 접지면(202)과 상하로 오버랩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커플링 부재(204)의 양단 중 제 1단은 제1 방사체(100)의 접지면(202)의 결합 부분에 인접하고 커플링 부재(204)의 양단 중 제2단은 제2 방사체(102)와 접지면(202)의 결합 부분에 인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204)의 사이즈는 제1 방사체 및
제2방사체의 방사 주파수를 방사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 부재(204)로 인해 접지면(202)과 커플링 부재(204) 사이에는 커플링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커플링은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사용 주파수에 상응하는 접지면(202) 표면의 표면 전류를 상쇄시킴으로써 양 방사체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한다.
이때, 커플링 부재(204)는 회로에서 인덕턴스 성분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커플링 부재(204)와 접지면(202)의 이격 공간은 캐패시턴스 성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204)와 접지면(202)이 오버랩되는 공간은 인덕터 및 캐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일종의 밴드 스탑 필터로 해석될 수 있으며, 커플링 부재(204)의 추가로 인해 특정 주파수에서 표면 전류의 차단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도 1에는 유전체 구조물(200) 및 방사체들(100, 102)이 결합되는 또 다른 유전체 구조물(25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 유전체 구조물(250)은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1 레이어에 구비되는 접지면;
    제1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1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1 방사체;
    제2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2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의 소정 지점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소정 지점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F 신호 및 상기 제2 RF 신호는 동일 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의 길이는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사용 주파수의 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2 레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면과 상하로 오버랩되는 커플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접지면의 결합 부분과 인접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2 단은 상기 제2 방사체 및 상기 접지면의 결합 부분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방사 주파수를 방사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7.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1 레이어에 구비되는 접지면;
    제1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1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1 방사체;
    제2 급전점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제2 R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제2 레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면과 상하로 오버랩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접지면의 결합 부분과 인접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2 단은 상기 제2 방사체 및 상기 접지면의 결합 부분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방사 주파수를 방사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의 소정 지점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소정 지점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F 신호 및 상기 제2 RF 신호는 동일 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의 길이는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사용 주파수의 λ/4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PCT/KR2011/003138 2010-04-28 2011-04-28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WO2011136576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43,987 US9196957B2 (en) 2010-04-28 2011-04-28 MIMO antenna for improved isolation
CN201180020734.0A CN102934283B (zh) 2010-04-28 2011-04-28 为提高隔离性的多入多出天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611 2010-04-28
KR1020100039611A KR101102650B1 (ko) 2010-04-28 2010-04-28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576A2 true WO2011136576A2 (ko) 2011-11-03
WO2011136576A3 WO2011136576A3 (ko) 2012-01-05

Family

ID=4486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138 WO2011136576A2 (ko) 2010-04-28 2011-04-28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96957B2 (ko)
KR (1) KR101102650B1 (ko)
CN (1) CN102934283B (ko)
WO (1) WO20111365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4658A (ko) * 2012-05-31 2013-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체 분리형 안테나 장치
US9774079B2 (en) * 2014-04-08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ly-coupled isolator assembly
CN104157987A (zh) * 2014-06-13 2014-11-19 电子科技大学 一种小型化mimo超宽带天线
WO2016138650A1 (en) * 2015-03-04 2016-09-09 Huawei Technologies Co.,Lt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antenna structures and communication device
TWI587579B (zh) * 2015-03-05 2017-06-11 智易科技股份有限公司 多輸入多輸出天線
CN106033833A (zh) * 2015-03-13 2016-10-19 智易科技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天线
KR101743920B1 (ko) * 2015-12-31 2017-06-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의 두꺼운 금속면 상의 표면전류와 자기장을 억제하여 탑재용 다중 안테나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키는 메타물질 기반 장치
US10270162B2 (en) 2016-09-23 2019-04-23 Laird Technologies, Inc. Omnidirectional antennas, antenna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omnidirectional antennas
CN106252882A (zh) * 2016-09-29 2016-12-21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耦合寄生低剖面高隔离度mimo天线
JP6874368B2 (ja) * 2016-12-28 2021-05-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TWI617086B (zh) * 2017-03-02 2018-03-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裝置
CN108736148B (zh) * 2017-04-17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装置与电子设备
CN107919526B (zh) * 2017-10-13 2020-09-18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TW201919283A (zh) 2017-11-09 2019-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行動裝置
US20190319346A1 (en) * 2018-04-13 2019-10-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ircuit board antenna structures and systems
US10957985B2 (en) * 2018-09-28 2021-03-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antenna module isolation structures
KR102529052B1 (ko) * 2019-06-12 2023-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CN110518339A (zh) * 2019-08-23 2019-11-29 信维创科通信技术(北京)有限公司 低频天线结构及移动设备
CN111555019B (zh) * 2020-05-20 2022-07-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062A (ko) * 2005-04-27 2006-11-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주파수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090038724A (ko) * 2007-10-16 2009-04-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무선 랜 안테나
KR20090039103A (ko) * 2007-10-17 200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안테나 장치
KR20100030522A (ko) * 2008-09-10 2010-03-18 (주)에이스안테나 전자기적 커플링을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8675A1 (fr) * 2005-07-13 2007-01-19 Thomson Licensing Sas Soc Par Systeme d'antenne a diversite d'ordre 2 et carte pour appareil de communication sans fil munie d'un tel systeme
US7423597B2 (en) * 2006-02-09 2008-09-09 Marvell World Trade Ltd. Dual band WLAN antenna
CN101281995B (zh) 2007-04-06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输入输出天线
CN101316008B (zh) * 2008-06-13 2012-06-27 哈尔滨工业大学 具有高隔离低相关特性的mimo移动终端多天线
TWI420743B (zh) * 2009-11-13 2013-12-21 Ralink Technology Corp 用於電子裝置之雙頻印刷電路天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062A (ko) * 2005-04-27 2006-11-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주파수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090038724A (ko) * 2007-10-16 2009-04-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무선 랜 안테나
KR20090039103A (ko) * 2007-10-17 200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안테나 장치
KR20100030522A (ko) * 2008-09-10 2010-03-18 (주)에이스안테나 전자기적 커플링을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4283A (zh) 2013-02-13
KR101102650B1 (ko) 2012-01-04
US9196957B2 (en) 2015-11-24
WO2011136576A3 (ko) 2012-01-05
CN102934283B (zh) 2015-03-18
US20130135168A1 (en) 2013-05-30
KR20110120090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576A2 (ko) 아이솔레이션 향상을 위한 mimo 안테나
RU2399125C1 (ru) Много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элемент развязки
JP6050967B2 (ja) フェーズドアレイの広帯域連結リングアンテナ素子
KR100980774B1 (ko) 아이솔레이션 에이드를 구비한 내장형 mimo 안테나
WO2010030128A2 (ko) 전자기적 커플링을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WO2001013461A1 (en) Diversity antenna system for lan communication system
WO2013094976A1 (ko)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KR19980063815A (ko) 안테나 상호 결합 중화기
US7812768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WO2010038929A1 (ko) 다층 안테나
CN107925430B (zh) 带内全双工互补天线
CN105375108A (zh) 具有mimo天线的移动终端
US20080218420A1 (en) Antenna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416137B2 (en) Low-profile wide-bandwidth radio frequency antenna
CN113826281A (zh) 双频双极化天线
CN114497998B (zh) 一种天线系统及摄像设备
WO2012108682A2 (ko) 특정주파수대역의 격리도를 개선한 미모/다이버시티 안테나
KR20220128277A (ko) Uwb 안테나장치
CN112153833A (zh) 壳体组件、天线装置及电子设备
WO2002065581A1 (en) A layered micro strip patch antenna
WO2013105777A1 (ko) 다중대역 안테나 성능개선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고주파 전송선로
US10381733B2 (en) Multi-band patch antenna module
CN114520414B (zh) 天线装置
CN213753053U (zh) V2x有源车载天线
US10243269B2 (e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20734.0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752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9124/CHENP/2012

Country of ref document: I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643987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752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