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본체(110), 신발끈(120), 손잡이(130), 고정후크(140), 조임수단(150) 및, 스토퍼(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s a shoe body 110, shoelace 120, handle 130, fixed hook 140, fastening means 150 and , The stopper 160 is configured.
상기 신발본체(110)는 일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 내측을 마감하는 설포(112, Tongue)가 배치된다.The shoe body 110 has an opening 1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tongue 112 (Tonge) closing the inside of the opening 111 is disposed.
상기 신발끈(120)은 상기 개구부(111) 양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111)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하여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고, 다시 개구부(111)의 하단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111)의 상단부 타측을 연결하며, 개구부(111)의 정면에서 X자 형태로 반복하여 교차된다.The shoelace 120 is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in a zigzag form, one end is repeated in a zigzag form from one side upper end of the opening 111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again the opening 111 The oth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111 is connected in a zigzag form at the lower end of the), and is repeatedly crossed in the X shape at the front of the opening 111.
상기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신발끈(120)을 측방향으로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개구부(111)의 양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각각 연결된다.The handle 130 is connected to the shoelaces 120 that cross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shoelaces 120 laterally.
상기 고정후크(140)는 신발본체(110)의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30)를 이용해 잡아당긴 신발끈(120)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The fixing hook 1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shoe body 110 to fix the shoelace 120 pulled using the handle 130,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adjust the fixed position do.
상기 조임수단(150)은 상기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통공(152)이 형성되어 설포(112)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151)과, 상기 측벽(151)의 상단부 통공(152)을 경유하여 측벽(151) 사이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53)와, 상기 측벽(151)의 하단부 통공(152)을 경유하여 측벽(151) 사이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154a)와, 상기 제2연결부재(154a)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153)를 관통하여 상기 설포(112)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견인줄(154)과, 상기 설포(112) 상단부로 노출되는 견인줄(154)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부(154b)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151)이 발목 부분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정강이 앞 부분에 해당하는 설포(112)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The fastening means 150 is a pair of side walls 151 whic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ongue 112, respectively, through holes 152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hoelace 120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 A first connecting member 153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between the side walls 151 via the upper end hole 152 of the side wall 151, and a lower end hole of the side wall 151. A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between the side walls 151 via the 152,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4a. Traction cord 154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53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and the gripper 154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ction cord 154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do.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wall 151 is to be install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tongue 112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hin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ankle.
상기와 같이 개구부(111)를 X자 형태로 연결하는 상기 신발끈(120)은 손잡이(130)를 이용해 신발끈(120)을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어느 일 영역에서 한 쌍의 측벽(151)에 형성된 통공(152)을 경유하여 손잡이(130)에 연결되고, 다시 한 쌍의 측벽(151)에 형성된 통공(152)을 경유하여 개구부(111) 측으로 연결된다. The shoelace 120 connecting the opening 111 in the X-shape as described above is a pair of side walls in any one region so that the shoelace 120 can be easily pulled laterally using the handle 130. It is connected to the handle 130 via the through hole 152 formed in the 151, and is further connected to the opening 111 side via the through hole 152 formed in the pair of side walls 151.
이때, 상기 손잡이(130)는 개구부(111)의 하부영역보다 신발끈(120)의 조임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개구부(111)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130)와 고정후크(140)는 부츠와 같이 신발본체(110)의 발목 부분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 발목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handle 13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opening 111, the tightening length of the shoelace 120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lower region of the opening 111.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130 and the fixed hook 14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kle portion when the ankle portion of the shoe body 110 is formed long, such as boots.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설포(1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설포(112)의 상단부로 노출된 견인줄(154)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의 사이 간격이 좁고 타측은 넓게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판면(161) 내측에 경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쐐기(162)가 형성되어 견인줄(154)을 간격이 좁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되고, 간격이 넓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해제되는 것이 적용된다.The stopper 16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to selectively fix the tow line 154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val between one side is narrow and the other side is wide. Wedges 162 protruding in an oblique direction are formed inside a pair of plate surfaces 161 disposed to be formed to be fixed when the traction line 154 is moved in a narrow direction, and released when the gap is moved in a wide direction. That applie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스토퍼(160)가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견인줄(154)을 일측의 스토퍼(160)에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견인줄(160)의 방향을 전환하여 대향측 스토퍼(160)에 역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통해 이중으로 고정함으로써 견인줄(154)이 임의로 고정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tow line 154 is fixed to the stopper 160 on one side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160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to face to both sides, the direction of the tow line 160 is switched to face the opposite stopper. Double fixation through fixing in reverse to 160 prevents the tow line 154 from being randomly released.
또한, 사용자가 설포(112)의 상단부로 노출된 견인줄(154)이 거치적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견인줄(154)의 노출된 부분을 스토퍼(160)의 외측에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스토퍼(160)의 전면에 권취안내판(16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stopper 160 to allow the user to wrap the exposed portion of the tow line 154 to the outside of the stopper 160 to prevent the tow line 154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to hang. The winding guide plate 163 is formed.
특히, 상기와 같은 권취안내판(163)과 설포의 사이간격은 상기 조임수단(150)의 파지부(154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ing guide plate 163 and the tongu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so that the holding portion 154b of the tightening means 150 can be inserted.
첨부도면 중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도들이다.3 to 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unctional diagrams showing the action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신발을 신거나 벗기 용이하도록 개구부(111)가 양측으로 벌어져 신발끈(120)이 모두 풀린 상태의 정면도로서, 상기 개구부(111)의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120)은 일단부가 개구부(11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조임수단(150)의 측벽(151)에 형성된 통공(152)들을 경유하여 개구부(111)의 타측에 연결되고, 다시 한 쌍의 측벽(151)에 형성된 통공(152)들을 경유하여 개구부(111)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며, 하단부에서 대향측으로 연결된 신발끈(120)은 다시 상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111)의 양측을 연결하게 된다.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s 120 which are opened to both sides to easily wear or remove shoes, and thus the shoelaces 120 are all unrolled. One end of the shoelaces 120 connecting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is an opening.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111 via the through holes 152 formed in the side wall 151 of the tightening means 150 in the state fixed to one side of the 111, and a pair of side walls 151 Repeat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111 via the through-holes 152 formed in the connection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the shoelace 120 connected from the lower end to the opposite side is moved to the upper end side again in an zigzag opening Both sides of the 111 will be connected.
상기와 같이 개구부(111)를 X자 형태로 연결하는 신발끈(120)은 손잡이(130)를 이용해 신발끈(120)을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벽(151)에 형성된 통공(152)을 경유하여 손잡이(130)에 연결되고, 다시 한 쌍의 측벽(151)에 형성된 인접한 통공(152)을 경유하여 개구부(111)로 연결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 양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한다. Shoelace 120 connecting the opening 111 in the X-shape as described above is a pair of side walls 151 so that the shoelace 120 can be easily pulled laterally using the handle 130. It is connected to the handle 130 via the formed through hole 152, and connected to the opening 111 via the adjacent through hole 152 formed in the pair of side walls 151, and then the opening 111 as described above. Connect both sides in zigzag form.
한편, 상기 측벽(151)의 상단부 통공(152)을 경유하여 교차하는 한 쌍의 신발끈(120)에는 제1연결부재(153)가 설치되고, 상기 측벽(151)의 하단부 통공(152)을 경유하여 교차하는 한 쌍의 신발끈(120)에는 제2연결부재(154a)가 설치된다.Meanwhile, a pair of shoelaces 120 intersecting via the upper end hole 152 of the side wall 151 ar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member 153, and the lower end hole 152 of the side wall 151 is provide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is installed on the pair of shoelaces 120 that cross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54a)에 하단부가 연결된 견인줄(154)은 상기 제1연결부재(153)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포(112)의 상단부 측으로 노출된다.In addition, the tow line 154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4a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expos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tongue 112.
이때, 상기 설포(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토퍼(160)에 의해 설포(112)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견인줄(154)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160)의 전면에 형성된 권취안내판(163)에 의해 노출된 견인줄(154)이 감기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견인줄(154)의 상단부에 형성된 파지부(154b)가 상기 권취안내판(163)과 설포(112)의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면서 견인줄(154)이 거치적거리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pull line 154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is selectively fixed by the stopper 16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and the winding guide plate 16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160. At the same time that the tow line 154 exposed by the coil is wound, the grip part 154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ow line 154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 guide plate 163 and the tongue 112 and the tow line 154 is Hanging is prevented.
도 4는 손잡이(130)를 양측으로 잡아당겨 신발끈(120)을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측벽(151)의 양측에 위치하는 손잡이(130)를 측방향을 향해 각각 잡아당겨 손잡이(130)에 연결된 신발끈(120)이 손잡이(130)를 따라 측방향으로 인출되면, 손잡이(130)가 연결된 위치의 신발끈(120)을 중심으로 상, 하부의 신발끈(120)이 잡아 당겨지면서 개구부(111)가 조여진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 lace 120 is tightened by pulling the handle 130 to both sides,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s 1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ide wall 151 are pulled toward the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When the shoelace 120 connected to the handle 130 is pulled out laterally along the handle 130, the shoelaces 120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oelace 120 are connected to the handle 130. The opening 111 is tightened while being pulled out.
이어서, 손잡이(130)를 이용해 잡아당긴 신발끈(120)은 신발본체(110)의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후크(140)에 걸어 위치고정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정후크(140)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발끈(120)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적절한 고정후크(14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2 참조)Subsequently, the shoelaces 120 pulled using the handle 130 are fixed to the fixed hooks 140 formed on both rear sides of the shoe body 110, respectively.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hook 140 is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ossible to fix to the appropriate fixing hook 14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hoelace 120 is pulled (see Fig. 2).
도 5는 조임수단(150)의 견인줄(154)을 잡아당겨 하부영역의 신발끈(120)을 조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설포(112)의 상단부 측으로 노출된 견인줄(154)을 잡아당기면, 측벽(151)의 하단부 양측에서 통공(152)을 경유하여 교차된 신발끈(120)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154a)가 견인줄(154)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154a)에 연결된 신발끈(120)이 잡아당겨지므로 측벽(151)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개구부(111) 양측이 조여진다.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hoelace 120 of the lower region is tightened by pulling the tow line 154 of the tightening means 150, and when the tow line 154 expos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tongue 112 is pulled, the side wall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ed via the through hole 152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151 moves upward with the tow line 154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Since the connected shoelace 120 is pulled,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are tightened.
이때, 신발끈(120)의 X자 형태로 교차된 부위가 견인줄(154)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것이므로, 견인줄(154)이 당겨지는 길이에 대해 약 4배만큼의 길이로 신발끈(120)이 당겨진다.At this time,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shoelace 120 in the X-shape is pulled by the tow line 154, the shoelace 120 is about four times the length of the length to which the tow line 154 is pulled Is pulled.
한편, 상기와 같이 견인줄(154)이 잡아 당겨지는 것에 의해 측벽(151)의 하단부에서 신발끈(120)을 잡아당겨 개구부(111)를 조이는 과정에서, 견인줄(154)의 하단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154a)가 측벽(151)의 상단부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되면, 측벽(151)의 상단부에서도 신발끈(120)을 잡아당기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e opening 111 by pulling the shoelace 120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by pulling the tow line 154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tow line 154 When the member 154a interferes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3 installed on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the shoelace 120 is also pu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도 6은 조임수단(150)의 견인줄(154)을 추가로 잡아당겨 상부영역의 신발끈(120)을 조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견인줄(154)이 잡아 당겨지는 과정에서 견인줄(154)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154a)가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된다.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 line 154 of the tightening means 150 is further tightened to tighten the shoelace 120 in the upper region, and the pull line 154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pull line 154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 interferes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따라서 견인줄(154)이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1연결부재(153)가 제2연결부재(154a)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연결부재(153)를 관통하는 측벽(151)의 상단부에 위치한 신발끈(120)이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겨지므로, 측벽(151)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개구부(111) 양측이 조여진다.Accordingly, the shoe locate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penetra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whi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moves upward wit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by pulling the tow line 154. Since the string 120 is pulled upward,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are tightened.
즉, 하나의 견인줄(154)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측벽(151)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신발끈(120)이 동시에 조여진다.That is, by pulling the one traction line 154, the shoelace 120 of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is tighten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개구부(111)의 개구시 상부영역이 하부영역에 비해 많이 벌어지고, 신발착용시 상부영역에서의 조임 길이가 하부영역에서의 조임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연결부재(153)에 제2연결부재(154a)가 간섭되는 위치는 개구부(111)의 하부영역을 충분히 조인 상태로부터 상부영역의 조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견인줄(154)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154a)가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되어 제1연결부재(153)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신발끈(120)의 조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견인줄(154)상에 상기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되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since the upper region is wider than the lower region when the opening 111 is opened, and the tightening length in the upper reg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tightening length in the lower region when the shoe is wor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3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interferes is preferably set to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tightening distance of the upper region from a sufficiently tightened lower region of the opening 111.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ow line 154 has been described as interfering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to mov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but the shoelace 120 It may be possible to additionally install a separate fixing member that interferes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on the traction line 154 to adjust the tightening distance of.)
특히, 손잡이(130)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조여진 개구부(111)의 상부영역은 신발끈(120)의 조임 길이에 여유가 크지 않은 반면, 하부영역에 대해서는 신발끈(120)의 조임 길이에 여유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견인줄(154)을 잡아당겨 개구부(111)의 하부영역의 신발끈(120)을 충분히 조이고, 이어서 상부영역의 신발끈(120)을 조이는 것에 의해 개구부(111)의 전 영역을 비교적 균등한 압력으로 조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upper region of the opening 111 tightened by pulling the handle 130 does not have a large margin in the tightening length of the shoelace 120, while the lower region has a margin in the tightening length of the shoelace 120.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pulling the traction cord 154 to sufficiently tighten the shoelace 120 of the lower region of the opening 111, and then tighten the entire region of the opening 111 by tightening the shoelace 120 of the upper region. It can be tightened with relatively even pressure.
또한, 사용자가 견인줄(154)을 잡아당기는 길이에 대해 약 4배의 길이만큼 신발끈(120)이 조여지므로, 견인줄(154)의 노출길이가 짧아져 뒤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하나의 견인줄(154)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신발끈(120)이 동시에 조여지므로 사용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hoelace 120 is tightened by about four times the length to which the user pulls the tow line 154, the exposure length of the tow line 154 is shortened to facilitate the post-treatment, as well as one tow line By pulling 154, the upper and lower shoelaces 120 are tightened at the same time, thus providing an easy-to-use advantag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스토퍼(160)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들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줄(154)을 잡아당겨 신발끈(120)을 충분히 조인 상태에서,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ction of the stopper 160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ulling the pull string 154 to fully tighten the shoelace 120 In the state,
도 7에서와 같이 설포의 상단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스토퍼중 일측의 스토퍼에 견인줄을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견인줄의 방향을 전환시켜 대향측의 스토퍼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견인줄을 이중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7, the tow line is fix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ow line in a state where the tow line is fixed to the stopper on one side of the pair of stoppers disposed on both sides such that the top end of the tongue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ossible to fix the double.
즉, 상기와 같은 스토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 쌍의 판면(161) 사이 간격이 좁게 형성된 방향으로 견인줄(154)을 이동시키면 한 쌍의 판면(161) 내측에 돌출형성된 쐐기(162)에 견인줄(154)이 끼여 위치고정된다. That is, looking specifically at the stopp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w line 154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plate surfaces 161 is formed narrowly, the pull line (w) to the wedges 162 protruding inside the pair of plate surfaces 161. 154) is pinched and fixed.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쐐기(162)는 판면(161)의 사이 간격이 좁게 형성된 방향을 향해 하향경사 배치된다. 따라서, 하측으로부터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견인줄(154)은 경사배치된 쐐기(162)에 의해 고정방향을 향해 이동하면서 위치고정되므로 임의로 고정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wedge 162 is inclined downward toward a direction in which a gap between the plate surfaces 161 is formed to be narrow. Therefore, the traction cord 154 to which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lower side is fixed while moving toward the fixed direction by the inclinedly arranged wedge 162, thereby being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한편, 견인줄(154)이 조임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60)에 고정되면, 견인줄(154)이 잡아당겨진 길이만큼 연장된 상태에서 설포(112)의 상단부 측으로 노출되어 거치적거리는데, 이러한 견인줄(154)을 각각 스토퍼(160)의 외측을 감싸도록 수회 감으면 스토퍼(160)의 전면에 형성된 권취안내판(163)에 의해 임의로 권취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Meanwhile, when the tow line 154 is fixed to the stopper 160 while being pull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the tow line 154 is expos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tongue 112 in a state in which the tow line 154 is extended by the length to be pulled, and such a tow line Winding the 154 several times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stopper 160, respectively, prevents the take-up release by the winding guide plate 16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160.
한편, 견인줄(154)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판면(161)의 사이 간격이 넓게 형성된 방향으로 견인줄(154)을 이동시켜 쐐기(16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견인줄(154)이 스토퍼(160)로부터 고정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tow line 154, the tow line 154 stops 160 by moving the tow line 15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plate surface 161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wedge 162. ).
아울러, 견인줄(154)을 스토퍼(160)의 외측으로 수회 감은 다음, 견인줄(154)의 상단부에 형성된 파지부(154b)를 설포(112)와 권취안내판(163)의 사이공간으로 삽입하면, 견인줄(154) 및 파지부(154b)가 임의로 권취해제되거나 거치적거리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after winding the tow line 154 several times to the outside of the stopper 160, and inserts the grip portion 154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ow line 154 into the space between the tongue 112 and the winding guide plate 163, the tow line 154 and gripping portion 154b ar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unwound or cramp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조임수단(150)의 통공(152)을 최소화함으로써 신발끈(120)을 쉽게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is to make it easy to tighten the shoelace 120 by minimizing the through-hole 152 of the tightening means 150.
이러한 조임수단(150)의 측벽(151)은 정강이부분에 해당하는 설포(112)의 상단부로부터 발등 부분에 해당하는 설포(112)의 하단부에 이르도록 형성되고, 신발끈(120)에 가해지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측벽(15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만 통공(152)이 형성된다. The side wall 151 of the tightening means 150 is formed to reach the lower end of the tongue 112 corresponding to the instep from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corresponding to the shin portion,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shoelace 120 The through hole 152 is formed only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so as to be easily drawn by minimizing the gap.
또한, 상기 조임수단(150)의 견인줄(154)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제1연결부재(153)의 하단부에 간섭되도록 상기 견인줄(154)상에 고정부재(154c)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154c is formed on the tow line 154 so as to interfere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3 while the tow line 154 of the tightening means 150 is pulled.
또한, 상기 측벽(151)의 대략 중앙하부가 발목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된 위치의 양측 측벽(151) 사이에 견인줄이 당겨지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롤러(155)가 형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In addition, a substantially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is ben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kle, the roller 155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pulled by the pull line between the side wall 151 of the bent position is I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formed.
한편, 상기 손잡이(130)는 개구부(111)의 상단부 영역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각각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130 is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in the X-shape in the upper region of the opening 111,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조임수단(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Except for the fastening means 150 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component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도면 중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도들이다.11 to 1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unctional diagrams showing the action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개구부(111)가 양측으로 벌어져 신발끈(120)이 모두 풀린 상태의 정면도로서, 신발끈(120)을 양측으로 잡아당길수 있도록 신발끈(120)의 다수의 교차부위 중 개구부(111)의 상부영역에 위치한 신발끈(120)의 교차부에 손잡이(130)가 각각 연결된다. 11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s 111 are open to both sides and the shoelaces 120 are all released, and the openings 111 of the plurality of intersections of the shoelaces 120 can be pulled to both sides. Handle 130 is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shoelace 120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또한, 상기 설포(112)의 전면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벽(151)에 형성된 상단부의 통공(152)으로는 개구부(111)의 상부영역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이 통과하고, 하단부의 통공(152)으로는 개구부(111)의 하부영역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이 통과한다.In addition,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in the upper region of the opening 111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152 of the upper end formed in the side wall 151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ongue 112,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in the lower region of the opening 111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52.
그리고 상기 상부영역의 통공(152) 사이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는 제1연결부재(153)가 연결되고, 상기 하부영역의 통공(152)사이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는 제2연결부재(154a)가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3 is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between the through holes 152 of the upper region, and the secon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between the through holes 152 of the lower region. The connecting member 154a is connected.
또한, 제2연결부재(154a)에 일단부가 연결된 견인줄(154)은 타단부가 상기 측벽(151) 사이에 위치하는 롤러(155)와 상기 제1연결부재(153)를 경유하여 설포(112)의 상단부로 노출된 다음 스토퍼(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된다.In addition, the pull line 15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has a tongue 112 through the roller 155 having the other end positioned between the side wall 151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It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and then selectively fixed by the stopper 160.
도 12는 손잡이(130)를 양측으로 잡아당겨 신발끈(120)을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X자 형태로 교차되는 신발끈(120)에 각각 연결된 손잡이(130)를 측방향을 향해 잡아당기면, 손잡이(130)에 연결된 신발끈(120)이 손잡이(130)를 따라 측방향으로 인출되면서 개구부(111)가 조여진다. 이어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130)에 의해 잡아당겨진 신발끈(120)을 신발본체(110)의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후크(140)에 걸어 고정한다.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oelaces 120 are tightened by pulling the handle 130 to both sides, and when the handles 13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oelaces 120 intersected in the X shape are pulled toward the lateral direction, The shoelace 120 connected to the handle 130 is drawn out laterally along the handle 130 and the opening 111 is tightened. Subsequently, as mention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hoelace 120 pulled by the handle 130 is fixed to the fixing hooks 140 formed on both rear sides of the shoe body 110, respectively.
도 13은 조임수단(150)의 견인줄(154)을 잡아당겨 하부영역의 신발끈(120)을 조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설포(112)의 상단부 측으로 노출된 견인줄(154)을 잡아당기면, 견인줄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154a)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154a)에 연결된 신발끈(120)이 잡아당기므로 측벽(151)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개구부(111) 양측이 조여진다. FIG. 1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ull line 154 of the tightening means 150 is tightened and the shoelace 120 of the lower region is pulled, and when the pull line 154 expos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tongue 112 is pulled out, a pull line Since the shoelace 12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is pulled whil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is pulled up,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are pulled out. This is tightened.
한편, 상기와 같이 견인줄(154)을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개구부(111)의 하단부 양측을 조이는 과정에서, 견인줄(154)에 형성된 고정부재(154c)가 측벽(151)의 상단부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되면, 개구부(111)의 상부 양측도 조여진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111 by pulling the tow line 154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mber 154c formed on the tow line 154 is located at the top end of the side wall 151. If it interferes with 153, the upper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is also tightened.
도 14는 조임수단(150)의 견인줄(154)을 추가로 잡아당겨 상부영역의 신발끈(120)을 조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견인줄(154)을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견인줄(154)에 형성된 고정부재(154c)가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되면, 제1연결부재(153)가 견인줄(154)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연결부재(153)를 관통하는 측벽(151)의 상단부에 위치한 신발끈(120)을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기므로, 측벽(151)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개구부(111) 양측이 조여진다.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ll line 154 of the tightening means 150 is further tightened to tighten the shoelace 120 of the upper region, and a pull line 154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pull line 154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member 154c form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interferes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moves upward along with the tow line 154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Since the shoelace 12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is pulled upward,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are tightened.
즉, 하나의 견인줄(154)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측벽(151)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신발끈(120)이 동시에 조여진다.That is, by pulling the one traction line 154, the shoelace 120 of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is tightened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153)에 간섭되는 고정부재(154c)의 위치는 개구부(111)의 하부영역을 충분히 조인 상태로부터 상부영역의 조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154c that interferes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53 may be set to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tightening distance of the upper region from a sufficiently tightened lower region of the opening 111.
첨부도면 중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1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측벽(151)의 하단부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154a)에 하단부가 연결된 견인줄(154)은 측벽의 상단부에서 교차하는 신발끈(120)에 연결된 제1연결부재(153)를 관통하여 설포(112)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견인줄(154)의 중앙부분은 측벽(151)의 절곡된 부분에 설치된 롤러(155)에 지지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153)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고정부재(154c)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ow line 154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54a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is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It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and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w line 154 is supported by the roller 155 install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the first The fixing member 154c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member 15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상기 견인줄(154)의 상단부에 형성된 파지부(154b)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견인줄(154)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154a)가 롤러(155)를 향해 잡아당겨지므로, 측벽(151)의 하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들뜨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when the grip portion 154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ow line 154 is pulled upwar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54a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ow line 154 is pulled toward the roller 155.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is prevented from being lifted upward.
또한, 상기 롤러(155)는 양측 측벽(15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견인줄(154)에 가해지는 저항이 최소화되어 쉽게 잡아당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oller 155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side walls 151 so that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traction line 154 is minimized so that it can be easily pulled out.
한편, 상기와 같은 견인줄(154)은 설포(11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160)에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으로서, 스토퍼(160)의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w line 154 as described above is selectively fixed to the stopper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tongue 112,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16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Omi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1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신발끈 지지롤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6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shoelace support roller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견인줄(154)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신발끈(120)과 측벽(151)의 접촉부위에 공회전하는 신발끈 지지롤러(156)를 설치함으로써 신발끈(120)의 견인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Shoelac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is a shoe that is idling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shoelace 120 and the side wall 151 pulled upward by the traction rope 154 By installing the string support roller 156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generated during the traction process of the shoelace 120.
이러한 제3실시예의 조임수단(150)은 설포(11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151)의 하단부에 신발끈 지지롤러(156)가 형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차이를 가진다. 상기 신발끈 지지롤러(156)가 형성되는 측벽(151)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tightening means 150 of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at the shoelace support rollers 156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15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ongue 112. Hav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side wall 151 on which the shoelace support roller 156 is formed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의 조임수단(150)은 측벽(151)의 중앙부와 상단부 영역에는 신발끈(120)과 교차하는 지점에 신발끈(120)이 통과하는 통공(152)이 형성되고, 측벽(151)의 하단부 영역에는 신발끈(120)과 교차하는 지점에 신발끈(120)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끈 지지롤러(15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신발끈 지지롤러(156)는 측벽(151)의 하단부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신발끈(120)을 지지하기 위해 측벽(151)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Fastening means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upper end region of the side wall 151 through-hole 152 through which the shoelace 120 passes at the point crossing the shoelace 120, the side wall 151 The shoelace support roller 156 for supporting the shoelace 120 at the point where the shoelace 120 intersects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hoelace 120, and the shoelace support roller 156 has a side wall 151. In order to support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in the X-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i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상기와 같이 측벽(151)의 하단부에서 X자 형태로 교차되는 신발끈(120)에는 견인줄(154)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153)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8과 같이 견인줄(154)의 타단부로부터 견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153)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발끈(120)의 교차지점을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ace member 153 fixed to one end of the tow line 154 is connected to the shoelace 120 intersecting in the X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as shown in FIG. When the traction force is a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ow line 154,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53 is moved upward and pulls the intersection of the shoelace 120 in the upward direction.
이때, 교차지점과 연결되는 신발끈(120)들이 각각 측벽(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신발끈 지지롤러(156)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신발끈(120)이 잡아당겨지는 과정에서 측벽(151)과의 마찰이 최소화 되므로 신발끈(120)을 조이는 과정에서 많은 힘이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hoelaces 120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points are supported by the shoelace support rollers 156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walls 151, respectively, the side wall 151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shoelaces 120. Since friction with is minimized, much force is not required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e shoelace 120.
한편, 상기 측벽(151)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신발끈 지지롤러(156) 중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롤러(156)는 내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롤러(156)는 외측을 향해 배치된다. 따라서 하부의 지지롤러(156)에 지지되는 신발끈(120)과 상부의 지지롤러(156)에 지지되는 신발끈(120)이 함께 잡아당겨지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oller 156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hoelace support rollers 156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and the support roller 156 disposed on the upper side ) Is disposed outward. Therefore, the shoelace 120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roller 156 and the shoelace 120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roller 156 ar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being pulled together.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