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석가구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1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eat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정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front.
도3은 측면에서 본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side.
도4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도5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한 일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including a bottom frame;
도6은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후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used in this embodiment.
도7은 동력생성부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도8은 스위칭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witching unit;
도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단면도.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10은 링크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Fig. 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nk plate.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 : 시트부 20 : 등받이10: seat portion 20: backrest
30 : 지지체 100 : 하부프레임30: support 100: lower frame
200 : 상부프레임 300 : 상하변위발생수단200: upper frame 300: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300a: 링크플레이트 310 : 플레이트단위체300a: link plate 310: plate unit
320 : 연결브라켓 400 : 탄성체320: connecting bracket 400: elastic body
500 : 전후이동수단 510 : 고정레일500: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means 510: fixed rail
520 : 중간레일 530 : 가동레일520: intermediate rail 530: movable rail
540 : 볼 531 : 브라켓540: Ball 531: Bracket
600 : 등받이 프레임 700 : 동력생성부600: back frame 700: power generation unit
710 : 수직 랙기어 720 : 기어박스710: vertical rack gear 720: gearbox
730 : 피니언기어 740 : 수직베벨기어730: pinion gear 740: vertical bevel gear
750 : 수평베벨기어 760 : 스퍼기어750: horizontal bevel gear 760: spur gear
770 : 수평랙기어 780 : 가이드롤러770: Horizontal Rack Gear 780: Guide Roller
790 : 스토퍼 800 : 스위칭부790: stopper 800: switching unit
810 : 회동래치 820 : 래치훅810: rotating latch 820: latch hook
821 : 제한핀 830 : 푸셔821: limiting pin 830: pusher
831 : 상부푸셔 832 : 하부푸셔831: upper pusher 832: lower pusher
833 : 코일스프링 840 : 래치가이드833: coil spring 840: latch guide
841 : 슬롯 850 : 해제레버 841: slot 850: release lev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되는 좌석가구(이하, 좌석가구라 한다)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본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현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인 바, 타인에 의한 단순한 설계변경을 가한 실시나 일부 구성요소의 등가적인 요소로의 대체와 같은 실시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at furni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at furniture) to which the backrest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provided as a mean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technology. Reference is mad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presented are only one exampl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dding a simple design change by another person or replacing some of the components with equivalent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좌석가구를 설명하며 도1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보여준다. 제1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와 같은 것에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2는 정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며, 도3은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4는 평면도에 해당된다.First, the seat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FIG. 1 show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thereof. The first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something such as a general office chair. 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front, FIG. 3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side, and FIG. 4 is a plan view.
의자를 구성하는 시트부(10)에 사용자가 착석시 등받이(20)가 자동적으로 전진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크게 하부프레임(100), 상부프레임(200), 상하변위발생수단(300), 탄성체(400), 전후이동수단(500), 등받이 프레임(600), 동력생성부(700), 스위칭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0 constituting the chair, the backrest 20 is automatically advanced to support the back part of the user as the lower frame 100, the upper frame 200,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300, the elastic body 400,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500, the backrest frame 600, the power generation unit 700, the switching unit 800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하부프레임(100)은 지지체(30)에 고정 연결되는 부위이며, 여기에서의 지지체(30)라 함은 주로 의자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하부측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체(30)는 좌석가구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나 기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사무용 의자인 경우에는 지지체 부위 자체의 높낮이도 변화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즉, 사용자의 키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지지체 부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지지체의 높낮이 조절에 관한 기술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된다.The lower frame 100 is a portion fixedly connected to the support 30, wherein the support 30 means a lower side mainly including the leg of the chair. The support 30 may vary in shape or fun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eating furniture, and in the case of the office chai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many things that may change the height of the support itself.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user to be able to vary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as needed, the techniqu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such a support is a known technique.
도5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한 일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의 상단부에 하부프레임(100)이 연결 설치되고, 하부프레임(100)의 좌우측면에 상하변위발생수단(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변위발생수단(300)을 매개로 하여 하부프레임(100) 상측에 상부프레임(200)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하변위발생수단(300)은 고정된 하부프레임(100)에 대해 상부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다수의 볼이 구름운동하면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직선 슬라이딩 운동되는 것이라면 LM가이드와 같은 것을 비롯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하변위발생수단을 상하슬라이더라 부르기로 한다. 이것은 후술할 전후이동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including a lower frame, the lower frame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 as shown, the upper and lower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ame 100 300 is installed. The upper frame 200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frame 100 through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300.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upper frame 200 can mov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xed lower frame 100 is used that the linear movement is made while rolling a plurality of balls along the rail Doing. If it is a linear sliding movement, such as an LM guide can be used.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used in this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as vertical slider. This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ack and forth moving means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프레임(100)과 상부프레임(200) 사이에는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400)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체(400)는 시트부(10)에 사람이 앉게되면 상부프레임(200)이 하강되면서 탄성체(400)가 수축되어 반발력이 저장되며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체(400)가 복원되면서 상부프레임(200)을 밀어올리게 된다.One or more elastic bodies 4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100 and the upper frame 200 to provide repulsive force. Preferably, a coil spring may be used. That is, the elastic body 400 is the upper frame 200 is lowered when a person sits on the seat 10, the elastic body 400 is contracted to store the repulsive force and the load is removed, the elastic body 400 is restored to the upper frame Will push the 200.
시트부(10)에 하중이 작용되는 경우 등받이 프레임(600)이 직선운동하면서 전진하게 되는데, 상기 등받이 프레임(600)의 직선이동을 위한 전후이동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전후이동수단(500)은 상부프레임(200)의 좌우측 내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600)과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전후이동수단(500)으로는 직선운동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상하변위발생수단(300)과 같은 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seat 10, the backrest frame 600 is moved forward while linearly moving, and the back and forth movement means 500 for linear movement of the backrest frame 600 is provide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500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inner edge of the upper frame 200 and form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backrest frame 600.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500 may be any one that can be linearly moved, and in this embodiment, one having the same type as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300 described above is used.
첨부되는 도6은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후이동수단(500)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상하변위발생수단(300) 역시 그 길이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수단(500)은 상부프레임(200)에 고정되는 고정레일(510)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레일(510)은 상부프레임(200)의 전후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510)의 내측면에는 고정레일(510) 보다는 길이가 짧은 중간레일(520)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레일(520) 내부로 가동레일(53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중간레일(520)에는 다수의 볼(540)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볼(540)은 고정레일(510) 및 가동레일(530)과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어 구름운동하게 된다. 한편, 가동레일(530)에 결합되는 브라켓(531)에 상부프레임(200)이 연결되어 후술할 동력생성부(700)에 의한 동력으로 등받이 프레임(600)이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등받이 프레임(600)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할 때에는 고정레일(510)에 대해 중간레일(520) 및 가동레일(530)이 동시에 움직이게 되며, 특히 상기 가동레일은 중간레일의 이동량보다 많은 이동거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전후이동수단은 구매품으로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50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300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difference in length. As show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500 is provided with a fixed rail 510 fixed to the upper frame 200, the fixed rail 510 i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200 Has An intermediate rail 520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xed rail 5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rail 510, and the movable rail 530 is coupled into the intermediate rail 520.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balls 540 are fitted to the intermediate rail 520 and the ball 540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rail 510 and the movable rail 530 to make a cloud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upper frame 20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531 coupled to the movable rail 530, the back frame 600 may be linearly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backrest frame 600 linear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intermediate rail 520 and the movable rail 530 move simultaneously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510. In particular, the movable rail moves more tha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rail. Have a distance. The back and forth moving means showing this mechanism corresponds to a technique known as a purchased product.
다음으로 동력생성부(700)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7은 동력생성부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에 해당된다.Next, the power generation unit 700 will be described, and FIG. 7 corresponds to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상기 동력생성부(700)에서는 상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시트부(10)에 하중이 작용되어 상부프레임(200)이 하강됨에 따른 변위를 이용하여 전후이동수단(500)에서 직선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이를 통해서 등받이 프레임(600)의 전진이 가능토록 하는 부위가 된다.In the power generating unit 700, the load is applied to the seat unit 10 coupled to the upper frame 200, so that the front frame 200 is converted to linear movement by using the displacement as the upper frame 200 is lowered. It functions to be and through this is a part to allow the advance of the backrest frame 6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생성부(7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700 will be described.
상기 동력생성부(700)를 구성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수직 랙기어(710), 기어박스(720), 피니언기어(730), 수직베벨기어(740), 수평베벨기어(750), 스퍼기어(760), 수평랙기어(77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랙기어(710)는 하부프레임(10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후술할 피니언기어(730)가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부프레임(200)에 기어박스(720)가 설치되며 기어박스(720)를 구성하는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샤프트(s1)가 설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s1)에 피니언기어(730) 및 수직베벨기어(740)가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730)는 상기 수직 랙기어(710)와 치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730)와 수직베벨기어(740)는 일체를 이루어 회전될 수 있다. Vertical rack gear 710, gearbox 720, pinion gear 730, vertical bevel gear 740, horizontal bevel gear 750, spur gear 760, and a horizontal rack gear 770, the vertical rack gear 71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frame 100, the pinion gear 730 to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On the other hand, the gearbox 720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200, the first shaft (s1)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constituting the gearbox 720 and the pinion gear (1) on the first shaft (s1) 730 and the vertical bevel gear 740 is installed. The pinion gear 730 meshes with the vertical rack gear 710, and the pinion gear 730 and the vertical bevel gear 740 may be integrally rotated.
그리고 상기 수직베벨기어(740) 보다 상측으로 기어박스(72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스퍼기어(760)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스퍼기어(760)의 하부면에 수직베벨기어(740)와 연결되는 수평베벨기어(750)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관계를 통해서 상부프레임(200)이 하강되면 피니언기어(730)가 수직 랙기어(710)를 따라 회전되고 그 회전력은 수직베벨기어(740)를 통해서 수평베벨기어(750)로 전달되고 스퍼기어(760)가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pur gear 760 lying horizontally in the gearbox 720 may be rotated upward from the vertical bevel gear 740. The vertical bevel gear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ur gear 760. The horizontal bevel gear 750 connected to the 740 is coupled. When the upper frame 200 is lowered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as described above, the pinion gear 730 is rotated along the vertical rack gear 710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ferred to the horizontal bevel gear 750 through the vertical bevel gear 740. And the spur gear 760 is rotated.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하강으로 인한 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으로 상기 스퍼기어(760)가 회전되는 것이고, 스퍼기어(760)의 회전력을 등받이 프레임(60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랙기어(7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평 랙기어(770)는 등받이 프레임(600) 하부측에서 그 상단부가 결합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퍼기어(760)가 회전동작함에 따라 직선운동하여 등받이 프레임(6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랙기어(770)가 스퍼기어(760)에서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어박스(720)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수평 랙기어(770)의 외측면(기어이가 형성된 반대면)이 접촉되어 회전되는 가이드롤러(780)를 두도록 한다. 비교적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수평 랙기어(770)가 스퍼기어(760)와 맞물리는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롤러(780)에 의해 지지가 됨으로써 스퍼기어(760)와 수평 랙기어(770)간의 맞물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원활한 동력전달이 달성될 수 있다.The spur gear 760 is rotat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displacement due to the lowering of the upper frame 200, and the horizontal rack gear i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ur gear 760 to the back frame 600 ( 770 is further provided. The horizontal rack gear 77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t the lower side of the back frame 600 and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back frame 600 can be moved by linear movement as the spur gear 760 rotates. . More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rack gear 770 on the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earbox 720 so that the horizontal rack gear 770 can be accurately engaged in the spur gear 760 (the opposite of the gear teeth formed) Surface) and the guide roller 780 is rotated in contact. Since the horizontal rack gear 770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is supported by the guide roller 780 at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rack gear 770 is engaged with the spur gear 760, the meshing between the spur gear 760 and the horizontal rack gear 770 is precisely performed. Can be made so that smooth power transmission can be achieved.
더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생성부(700)에 상기 스퍼기어(760)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차단하여 등받이 프레임(600)을 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790)를 두도록 하는데, 상기 스토퍼(790)는 멈춤레버(791)와 연결되어 멈춤레버(791)의 조작으로 스퍼기어(76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790)가 스퍼기어(760)와 맞물리게 되면 시트부(10)에 작용된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등받이 프레임(600)은 후퇴되지 않고 이동된 위치에 머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7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720)의 일측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며 멈춤레버(791)의 끝단과 결합되어져 있어 멈춤레버(791)를 올리거나 내림에 의해 스퍼기어(760)와의 단속이 이루어진다.Further preferably, the stopper 790 may be provided in the power generating unit 700 to forcibly block rotation of the spur gear 760 to fix the back frame 600 in one position. 790 is connected to the stop lever 791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spur gear 760 can be made or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stop lever (791). That is, when the stopper 790 is engaged with the spur gear 760, the backrest frame 600 is able to stay in the moved position without retreating even if the load applied to the seat portion 10 is removed. The stopper 79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earbox 720 as shown,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top lever 791 to raise or lower the stop lever 791 by spur gear 760. ) Is cracked dow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생성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지만, 그 외에도 벨트나 체인을 이용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using a plurality of gears, but it is obvious that the belt or chain can be configured.
다음으로는 스위칭부(800)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8은 스위칭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의 사시도에 해당되고, 도2 내지 도4와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Next, the switching unit 800 will be described. FIG. 8 corresponds to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witching unit, and will be referred to together with FIGS. 2 to 4.
상기 스위칭부(800)는 사용자가 시트부(10)에 착석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시트부에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등받이 프레임(600)이 전방으로만 이동가능한 하프락(half-lock) 상태가 되도록 하고, 시트부(10)의 작용하중이 완전히 제거되면 등받이 프레임(600)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언락(unlock)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시트부(10)에 앉게되면 상술한 동력생성부(700)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600)은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스위칭부(800)는 등받이 프레임(600)의 전진 이동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가하지 않게 되나 등받이 프레임(600)이 사용자의 등 부위에 닿게 되면 등받이 프레임(600)이 현 위치에서 후방으로 후퇴되지 못하도록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하프락(half-lock) 상태라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한 동안 몸을 움직이거나 일시적인 하중의 감소가 생기더라도 등받이 프레임(600)이 갑자기 후퇴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The switching unit 800 has a half-lock state in which the backrest frame 600 is only movable forward in a state in which load is applied to the seat unit, such as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unit 10. When the working load of the seat part 10 is completely removed, the backrest frame 600 may be switched to an unlocked state so that the backrest frame 600 may be moved backward. That is,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unit 10, the back frame 600 is advanc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700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800 has no response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back frame 600. When the backrest frame 60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part, the backrest frame 600 is restricted from moving backward so that the backrest frame 600 is not retracted from the current position. This state may be referred to as a half-lock state and prevents such a phenomenon that the back frame 600 suddenly retracts even when the user moves while the user is seated or a temporary load decreases.
한편, 사용자가 착석했다가 의자로부터 일어서면 시트부(1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로상태로 되므로 상부프레임(200)은 상승되며, 이에 따라 동력생성부(700)에서는 등받이 프레임(600)이 후퇴될 수 있는 힘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등받이 프레임(600)은 최초의 위치로 후퇴 이동되어야 하므로 스위칭부(800)에서는 등받이 프레임(600)의 후퇴이동에 제한이 전혀없도록 언락(unlock) 상태가 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s seated and stands up from the chair, since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eat 10 becomes zero, the upper frame 200 is raised, and accordingly, the back frame 600 is retrac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unit 700. It creates a force that can be. Because of this, the back frame 600 should be moved back to the initial position, so the switching unit 800 should be in an unlocked (unlock) state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back frame 600.
상기 스위칭부(8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회동래치(810)와 래치훅(820)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래치(810)는 상부프레임(20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래치(810)는 상부프레임(200)의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전후이동수단(500)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전후 양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동래치(810)는 시트부(10)에 하중이 작용하면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며, 하중이 제거되면 외측으로 회동되는 움직임을 갖는다.Looking at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unit 800 includes a pivoting latch 810 and a latch hook 820, the pivoting latch 810 is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rot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upper frame 200. As shown, the rotation latch 810 i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means 500 which is installed on any one edge of the upper frame 200 and is rotatably support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The rotation latch 810 is rotated inwar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seat portion 10, and has a movement to be rotated outward when the load is removed.
래치훅(820)은 등받이 프레임(600)의 하부면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제한된 각도범위내에서 회전동작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래치(8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600)의 전진이동이나 후퇴이동 혹은 후퇴이동의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훅(820)은 톱니형을 이루는 회동래치(810)에 맞물릴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형태를 이루어 회동래치(810)에 래치훅(820)이 맞물리면 등받이 프레임(600)은 후퇴되지 못하게 된다.The latch hook 8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rest frame 600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in a limited angle range so as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pivoting latch 810 to move forward or back of the backrest frame 600. It functions to enable the retreat movement or the restriction of retreat move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latch hook 820 has a sharp pointed shape so that the latch hook 820 can be engaged with the rotational latch 810 forming the sawtooth. Will not be.
상기 회동래치(810)는 시트부(1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와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회동방향이 결정됨은 설명한 바와 같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래치(810)와 시트부(10)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The rotation latch 810 is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dir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se that the load is not applied to the seat portion 10 and the case,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latch 810 and the seat portion 10 I will explain the relationship with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부(10)의 후단부를 상부프레임(200) 후단과 결합시키도록 하되 시트부(10)의 전단부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트부(10)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시트부의 전단부는 하방으로 눌리면서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시트부(10)의 전방측 단부 하부면에 상기 회동래치(810)의 전단부와 연결되는 푸셔(830)를 두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0)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래치(810)의 회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seat 1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frame 200, but the front end of the seat 10 may be moved up and down. Therefor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0, the front end of the seat is pressed downward while moving downward. The pusher 830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ivoting latch 810 is dispos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portion 10 so that the pivoting direction of the pivoting latch 810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at portion 10. This can be determined.
회동래치(810)와 연결되는 푸셔(8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More specific structure of the pusher 830 connected to the rotation latch 810 is as follows.
상기 푸셔(830)는 상부푸셔(831)와 하부푸셔(8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푸셔(831)와 하부푸셔(832) 사이에 코일스프링(833)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푸셔(831)의 상단부는 시트부(10)의 하부면을 향하게 되며 상부푸셔(831)의 하단부에 하부푸셔(83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하부푸셔(832)의 하단부는 회동래치(810)의 전단부와 연결된다. 즉, 상부푸셔(831)에 하부푸셔(832)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이루되 그 사이에는 코일스프링(833)이 설치된다. 시트부(10)에 하중이 작용하면 상부푸셔(831)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코일스프링(833)을 통해 힘이 전달되면서 하부푸셔(832)가 가압되면서 회동래치(810)를 내측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상기 회동래치(810)가 내측으로 회동되면 스위칭부(800)는 하프락(half-lock) 상태로 되며, 래치훅(820)은 회동래치(810)에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 프레임(600)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등받이 프레임(600)이 전방으로 이동 후 일시적인 위치고정이 되는 경우에는 래치훅(820)이 회동래치(810)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등받이 프레임(6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The pusher 830 includes an upper pusher 831 and a lower pusher 832, and a coil spring 833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usher 831 and the lower pusher 832. The upper end of the upper pusher 831 is directed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usher 832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usher 831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move and the lower pusher 832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tation latch 810. That is, while the upper end of the lower pusher 8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pusher 831, a coil spring 833 is installed therebetween. When a load acts on the seat 10, the upper pusher 831 is pressed to move downwards. At this time, while the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il spring 833, the lower pusher 832 is pressed while the rotation latch 810 is inward. To be rotated. When the pivoting latch 810 is rotated inward, the switching unit 800 is in a half-lock state, and since the latch hook 820 is not engaged with the pivoting latch 810, the backrest frame 600 is forward. Can be moved to.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ckrest frame 600 is temporarily fixed after moving forward, the latch hook 820 is held in engagement with the pivoting latch 8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frame 600 to the rear. .
상기 스위칭부(800)를 구성하는 래치훅(820)은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되어야 회동래치(810)와 래치훅(820)의 끝단부가 결합가능한 위치에 있게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래치(810)와 래치훅(820)의 설치 위치 사이에 천공된 슬롯(841)을 갖는 래치가이드(840)를 두도록 한다. 상기 래치가이드(840)는 상부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상기 슬롯(841)에는 래치훅(820)이 부분적으로 삽입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래치훅(820)에는 끝단 근처에 하나의 제한핀(821)이 형성되고 이것과 이격되어 또 하나의 제한핀(82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두개의 제한핀(821)에 의해 래치훅(820)은 제한된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으며 슬롯(841)의 좌우측으로 하나씩의 제한핀(821)이 배치되는 양상을 이룬다.The latch hook 820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800 must be rotated within a limited angle range so that the end of the pivot latch 810 and the latch hook 820 can be engaged.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atch guide 840 having a slot 841 is drilled between the rotation latch 8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tch hook 820. The latch guide 840 is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atch hook 82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lot 841. In particular, the latch hook 820 is formed with one restriction pin 821 near the end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restriction pin 821 is formed. The latch hook 820 may be rotated in a limited range by the two restriction pins 821, and one restriction pin 821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ot 841.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부(8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회동래치(810)를 필요에 따라 언락 상태로 조정하여 등받이 프레임(600)의 위치를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래치(810)의 전단단부를 눌러주어 외측으로 회동되게 하는 해제레버(850)를 두도록 한다. 의자에 사람이 앉은 채 회동래치(810)를 외측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것은 푸셔(830)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미 언급된 푸셔(830)는 상부푸셔(831)와 하부푸셔(832)를 갖추어 코일스프링(833)을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는데, 하부푸셔(832)는 상부푸셔(831)에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해제레버(850)를 움직임에 의해 코일스프링(833)을 압축되게 하면 하부푸셔(832)가 고정된 상부푸셔(831)를 따라 상승되므로 회동래치(810)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More preferably, in configuring the switching unit 800, the rotation latch 810 is adjusted to an unlocked state as necessar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frame 600 can be finely adjusted even while sitting on a chair. To this end, by pressing the front end of the rotation latch 810 to leave the release lever 850 to be rotated outward.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latch 810 to the outside while a person is sitting on a chair is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pusher 830. That is, the pusher 830 mentioned above is formed to have the coil spring 833 between the upper pusher 831 and the lower pusher 832, and the lower pusher 8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pusher 831 to move. When the coil spring 833 is compressed by moving the release lever 850, the lower pusher 832 is raised along the fixed upper pusher 831,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latch 810 is possible. will b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학교와 같은 교실에서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의자에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ir that can be used by students in a classroom, such as a school.
제1실시예와 달리 하부프레임(100)이 고정설치되는 지지체(30)의 형상 및 하부프레임의 형상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상부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상하변위발생수단(300)은 다수의 접철되는 링크플레이트(300a)로 구성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도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10은 링크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30 to which the lower frame 100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shape of the lower frame, and in particular, a vertical displacement genera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ower frame 100.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folding link plate (300a).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nk plat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300a)는 상부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4방향에 형성되며 대략 ㄷ 자형을 이루는 플레이트단위체(310)를 축으로 연결시켜서 상부프레임(200)이 하부프레임(100)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플레이트단위체(310)를 연결시켜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구속시키기 위해 ㄱ 자형의 연결브라켓(320)을 상부프레임(200) 및 하부프레임(100)에 결합시키고 축을 끼워 플레이트단위체를 연결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단위체(310)의 사이즈가 가장 크고 하부로 갈수록 작아져 다수의 플레이트단위체(310)들이 간섭없이 접철될 수 있는 링크플레이트(300a)를 이루도록 한다. 기타 등받이 프레임의 이동관계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the link plate 300a is formed in four directions so that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ower frame 100 can be stably connect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ink plate 300a connects the plate unit 310 which forms an approximately c-shape with an axis. The frame 200 may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100. In order to connect the plate unit 310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restrain the A-shaped connecting bracket 320 to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ower frame 100 and to connect the plate unit by the shaft. Preferably, the size of the plate unit unit 310 located at the top is the largest and smaller toward the bottom to form a link plate 300a that can be folded without a plurality of plate unit units 310. Since the movement relationship of the other backrest frame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되는 좌석가구는 이미 설명한 일반적인 사무용의자나 학교 교실용 의자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파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열차나 항공기용 의자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seat furniture to which the backrest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general office chair or school classroom chair described above, but also to a sofa, and can also be used as a train or aircraft ch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