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16813A2 -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16813A2
WO2009116813A2 PCT/KR2009/001397 KR2009001397W WO2009116813A2 WO 2009116813 A2 WO2009116813 A2 WO 2009116813A2 KR 2009001397 W KR2009001397 W KR 2009001397W WO 2009116813 A2 WO2009116813 A2 WO 200911681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vement
axis
moving
sensing sig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3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16813A3 (ko
Inventor
박영준
배인수
김대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259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3107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341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3107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US12/933,66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134029A1/en
Priority to CN200980117856.4A priority patent/CN102037429A/zh
Publication of WO200911681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6813A2/ko
Publication of WO200911681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681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inter movemen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movement of a pointer (or a cursor or an icon activation area)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inting control means.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Various pointing movement control devices such as a mouse or touch pad, are us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moved by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use, and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moved by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ntact body touching the touch pattern.
  • an area for activating an icon on the screen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agent according to the device. Therefore,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smoothly on the screen, the moving area of the mouse and the contactor must be large. Therefore, the size of the pointing movement control device such as a mouse and a touch pad in the related art is increas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mounted on a small electronic device.
  • the move buttons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horizontal, horizontal directions (+ X axis, -X axis, + Y axis, and -Y axis) of the center click button for performing the icon operation.
  • the pointer ie, the active area of the icon
  • the pointer was mov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moving button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the dome switch, a sufficient space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dome switches must be secured, so that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size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 a plurality of moving button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enter click button, a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 a pointer movement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vement of a pointer on a screen by detecting a two-dimensional movement of a magnet by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direction and strength of a magnet. It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and uses it as a signal for pointer movement, thereby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 the pointing movement control device that generates the movement signal of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that is, the sensor) has a narrow movement space of the senso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that is, the displa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changes abruptl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ointer.
  • the icon activation area does not move in the target direction,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icon cannot be freely activa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and a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smooth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pointer (ie, an icon activation area) on a screen using sensor movement signals out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sensor of a pointing movement control device. do.
  •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various levels of sensing signals generated by a user's sensor manipulation, and a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inter movement on a screen using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provided.
  • the method may include defining the sensing signal as a plurality of sections, and defining the sensing signal of each section as a 0th to Mth (one natural number of 3 to 100) sensing signals, and the 0th to Mth sensing signals.
  • Each reference corresponds to a reference lookup table in which a weight value corresponding to an output level of the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is stored, and a weight valu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zeroth to Mth sensing signals and corresponding to a weight value of the reference lookup table.
  • the operation continues in the moving mode, and in the case of the minimum value, comparing the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the current sensing signal; and comparing the interval difference, the interval difference is greater than L. If larg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generated using one variable lookup table, and if the interval difference is smaller than L, the other variable lookup table is generated. Generat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t provides a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 L is preferably a natural number of one of 2, 3 and 4.
  • the acceleration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K, which is the maximum value duration, is greater than an N value,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smaller than the N valu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using the reference lookup table. , Add 1 to the K value, and if the sensing signal newly applied after the current sensing signal maintains the maximum value, it is determined once again whether the maximum number of times K is greater than the N value, If the newly applied sensing signal does not maintain the maximum value, the acceleration mode is terminate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 value,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sensing signal in the reference lookup table corresponds to the K value.
  •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new weight increased by a value that is equal to, and newly inputs the signal after the current sensing signal.
  • a new K is generated by adding 1 to the K value, and once again,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sensing signal in the reference lookup table is increased by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new K value. It is desirable to generat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ith an increased new weight.
  • N is preferably a natural number of 2 to 15.
  • the continuous movement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level of the sensor signal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when the output level of the sensor signal is increased, another variable lookup tab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used.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is generated and the output level of the sensor signal decreases, the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sensor signal and the previous sensor signal is compared, and when the interval difference is larger than P, When the output is set to 0 and the interval difference is smaller than P,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using the another variable lookup table.
  • P is a natural number of one of 2, 3, and 4.
  • the magnet part is used as the sensor, and the output level of the sensing signal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part, and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gnet part to the maximum moving position of the magnet part is divided into seven sections based on one axis direction.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define the output level of the sensing signal into seven sections.
  • the reference lookup table and the plurality of variable lookup tables include a case in which the magnet portion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in the + X-axis or + Y-axis direction (ie, one maximum moving position direction).
  • First weight values and second weight values when the magnet portion moves in the -X or -Y axis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rein the first weight values have one of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 the second weight values have the other value, and the absolut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values are the same.
  • the reference lookup table has a weight value that is sequentially increased corresponding to seven sections of the sensing signal, and the one variable lookup table has a weight of 0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even sections of the sensing signal, and a second value.
  • the weight is 1, in the fifth to seventh intervals, the weight is 3, and the other variable lookup table has a weight in the first and second intervals of the seven intervals of the sensing signal is 0.
  • the weights in the third and fourth sections are 1, the weights in the fifth to seventh sections are 3, 4, and 7, respectively, and another variable lookup table is a first section of the seven sections of the sensing signal.
  • the weight is 0, the weight is 1 in the second to fourth sections, and the weight is 3, 4, and 7, respectively, in the fifth to seventh sections.
  • a pointing control mean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moving in the groove-shaped mov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of various levels and the sensing signal is defined as a plurality of sections, the sensing signal of each section A reference lookup table and a plurality of variables, each of which is defined as a 0 th to M th sensing signal and stores various weight values corresponding to an output level of the 0 th to M th sensing signals and a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pointer movement on a scree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ointer control module that uses a lookup table and generates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using a currently applied sensing signal and a previously applied sensing signal.
  • the pointer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ly applied sensing signal is the maximum value, and executes an acceleration mode for accelerating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ime when the maximum valu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sensing signal is the minimum value, and if it is not the minimum value, a continuous movement mode for continuously mov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and if it is the minimum value, compar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the current sensing signal and comparing the interval.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L,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generated using one variable lookup table, and when the interval difference is smaller than L, the other variable is compared. A point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using a lookup table It is desirable to produce a movement control signal.
  •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various levels of sensing signals generated according to a sensor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controlled using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are used. And a weigh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0 th to M th sensing signa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0 th to M th sensing signals, an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evel of the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10.
  • a pointing device in which a stored reference lookup table and a plurality of variable lookup tables corresponding to the zeroth to Mth sensing signals and correspondingly stored with different weighted values are stored.
  • the signal is the maximum valu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the maximum value, If it is not the maximum value, it determines whether the previously applied sensing signal is the minimum value, and if it is not the minimum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revious sensing signal, it continues to execute the moving mode and the minimum value.
  • the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compared, and the interval difference is greater than L when the interval difference is greater than L, one variable lookup table ha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 the acceleration mode determines whether K, which is the maximum value duration number, is greater than the N value,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smaller than the N value, generates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using the reference lookup table.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signal newly applied after the current sensing signal maintains the maximum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K, which is the maximum value duration number, is greater than the N value once again. If the sensing signal does not maintain the maximum value, the acceleration mode is terminate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of N,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sensing signal in the reference lookup table corresponds to the value of K.
  •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new weight increased by a value and newly applied after the current sensing signal.
  • a new K is generated by adding 1 to the K value, and again,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sensing signal in the reference lookup table is increased by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new K value. It is effective to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new weight.
  • the continuous movement mode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level of the sensor signal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when the output level of the sensor signal is increased, another weight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obtained using another variable lookup table. Generates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and when the output level of the sensor signal decreases, compares the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sensor signal and the previous sensor signal and outputs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hen the interval difference is greater than P; When the interval difference is smaller than P,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generating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using the another variable lookup table.
  • a method of controlling a pointer mov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one reference movement range and moving an icon active area on a screen using the selected reference movement range is provided.
  •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movement range it is effective to select the reference movement range in which the size of the divided reg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located is largest.
  •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re separated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moving space, and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is located at the center point of the moving spac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reference movement range in which all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re identical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 the partitioned area includes an upper partitioned area, a lower partitioned area, a left partitioned area and a right partitioned area respectively positioned in an upper area, a lower area, a left area and a right area of the center point, wherein the intermediate member is a boundary of the partitioned area.
  • the intermediate member is a boundary of the partitioned area.
  • the upper divided area, the lower blade divided area, the left divided area and the right divided area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an area corresponding to a 90 degre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 the divided region extends at an angle of 100 to 14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 two divided regions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divided region are reduced by the expanded region.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moving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moving in the movement space of the two-dimensional plane having the X-axis and Y-ax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ving space is divided into a ⁇ X axis movement area for moving the icon active area in the X axis direction and a ⁇ Y axis movement area for moving in the Y axis direction, and the ⁇ X axis movement area and ⁇ Y axis direction moving.
  • a method of controlling a pointer mov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axial movement area in which an intermediate member is located in the area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an axial movement area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not located.
  • the intermediate member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is located at the center point, the ⁇ X axial movement region and the ⁇ Y axial movement region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is formed of the ⁇ X axial movement region and the ⁇ Y axial movement region. When at the boundary, it is preferable that the ⁇ X axial movement region is larger than the ⁇ Y axial movement region.
  •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divided and stored in the first axial movement range in which the ⁇ X-axis movement region and the ⁇ Y-axis movement region are the same, and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defined in the ⁇ X-axis movement region.
  •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divided and stored in the first axial movement range in which the ⁇ X-axis movement region and the ⁇ Y-axis movement region are the same, and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defined in the ⁇ X-axis movement region.
  •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When belonging to the X-axis movement region,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changed to the second axial movement range,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is ⁇ Y-axis movement zero.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effective to change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the third axial moving range.
  • the icon active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The movement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econd axial movement range,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belongs to the ⁇ Y axis movement region,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the third axial movement range. desirable.
  • the icon active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The movement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third axial movement range,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belongs to the ⁇ X axis movement region,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the second axial movement range. effective.
  • the ⁇ X-axis movement region of the first axial movement range is a range of -45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 Y-axis movement region is greater than -45 degrees and + with respect to the Y axis. It is preferred that it is a range region of less than 45 degrees.
  • the + X axis When the + X axis is 0 degrees in the first axial movement range, the + X axis movement region is in the range of 315 degrees to 45 degrees, and the + Y axis movement region is in the range of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It is effective that the -X axis direction moving area is in the range of 135 degrees or more and 225 degrees or less, and the -Y axis direction moving area is in the range of more than 225 degrees and less than 315 degrees.
  • the ⁇ X-axis movement region of the second axial movement range is a range of -6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 Y-axis movement region is greater than -30 degrees and + for the Y ax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range area of less than 30 degrees.
  • the + X axis When the + X axis is 0 degrees in the second axial movement range, the + X axis movement range is in the range of 300 degrees to 60 degrees, and the + Y axis movement range is in the range of 60 degrees and less than 120 degrees. It is effective that the -X 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is 120 degrees or more and 240 degrees or less, and the said -Y 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is more than 240 degrees and less than 300 degrees.
  • the ⁇ X-axis movement region of the third axial movement range is a range region of -30 degrees or more and +3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 Y-axis movement region is greater than -60 degrees and + with respect to the Y axis. It is effective to be a range area of less than 60 degrees.
  • the + X axis is 0 degrees in the third axial movement range
  • the + X axis movement range is in the range of 330 degrees to 30 degrees
  • the + Y axis movement range is in the range of more than 30 degrees and less than 15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is the range of 150 degree
  • a pointing control mean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portion moving in the moving space of the two-dimensional plane having the X axis and the Y ax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magnet part by using the sensing signal Determine and divide the moving space of the magnet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in which the icon active area moving direction is defined, and divide the size of the divided areas differently and store the divided results as a plurality of reference moving ranges
  •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ointer control module that selects one reference movement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magnet unit, and moves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using the selected reference movement range.
  • the divided area is divided into an upper divided area, a lower divided area, a left divided area and a right divided area respectively positioned in an upper area, a lower area, a left area and a right area with respect to a center point of the magnet moving space.
  • a magnet part is locat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said division area, it is preferable to recognize that it is located in the said left division area or the said right division area.
  • a pointing control mean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portion moving in the moving space of the two-dimensional plane having the X axis and the Y ax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magnet part by using the sensing signal
  • the moving space of the magnet is divided into a ⁇ X axis direction moving area for moving the icon active area in the X axis direction and a ⁇ Y axis direction moving area for moving in the Y axis direction, wherein the ⁇ X axis direction moving is performed.
  • An axial movement region in which the magnet portion is located between a region and a ⁇ Y axial movement region includes a pointer control module that varies a range larger than an axial movement reg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not located.
  • the ⁇ X axial movement region and the ⁇ Y axial movement region are the same, and the magnet portion i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 X axial movement region and the ⁇ Y axial movement region. If pres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 X axial movement region is larger than the ⁇ Y axial movement region.
  •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con active area is defined as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the sizes of the divided regions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vided result is stored as a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and one referenc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 a pointing device having a program code for selecting a range and controlling a movement of an icon active area on a screen using the selected reference movement range is provided.
  • a pointing device having a program code for controlling an movement of an icon active area on a screen by varying its range larger than an axial moving area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not located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and smooth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by differently applying the weight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or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move the icon activation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that is, the magnet unit or the sensor unit) moving in the limited space of the two-dimensional plane.
  •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nto a plurality of axial movement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selectively apply the axial movement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previous and current intermediate member to display the icon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movement of the activation area.
  • the present invention can define the movement of the icon activation area in the boundary area (that is, the baseline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xial movement ranges by using the X axis or the Y axis to utilize the entir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3 is a cross section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 top conceptual view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output divis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6 to 9 are diagrams showing a look-up table to be applied by the pointer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ccel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3 is a front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 to 1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tivating an ic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front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cut along the line
  • A-A of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output divis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6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ook-up table to be applied by the pointer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l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2 is a first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ontinuous movement mode according to an example.
  •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es a pointer 100 and a display unit 300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and other input signals for mov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 An input unit 1000 and a main body 2000 which moves the pointer 100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provide 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to the display unit 3000 according to other input signals.
  •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e 4000 for accommodating the input unit 1000, the main body 2000, and the display 3000,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ments. Equipped.
  • the display unit 3000 described above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us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by the main body 2000, and expresse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within the screen using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of the main body 2000.
  •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cathode-ray tube (CRT),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ay be used.
  • the input unit 1000 described above provides an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to the main body unit 2000.
  • the input unit 1000 is a pointing control means 1100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which is a motion signal of a senso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key for outputting a key or a butt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And button control means 1200.
  • the main body 2000 receiv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from the pointine control means 1100 to generat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nsor, thereby generating a pointer of the display unit 3000.
  • Pointer control module 2100 for moving 100, a memory 2200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data related to video, driving, control, etc.) are stored, and a drive control module 2300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entire body part 2000.
  • an audio and video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process an image (ie, an imag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image input device 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0, and an audio provided through a speaker or earphone, or input through a microphone ( 2400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odule 2400 for processing data to be received or transmitted through wired wireless.
  • the main body 2000 may further include a modulator for digitizing an analog signal or analogizing the digitized signal.
  • the main body part 2000 is manufactured in a chip form in which the modules are integra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at this time, the main body 2000 may be formed of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Each module of the main body 2000 may be manufactured in a chip form, or they may be integrated in a single chip.
  •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various signals (for example, watching a movie or music, photographing a video or moving pictur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like) through signals input from the input unit 1000 and signals and data provided or stored in the main body 2000. Web surfing, data processing such as images, game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peration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 a mobile phone may be used as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 MP3, a PMP, a PDA, a GPS, a laptop, a game machine, a remote controller, and an electronic dictionary may be used. Can be.
  •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ointer on the display unit 3000 by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that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gener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
  •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moves the substrate 1110, the magnet portion 1120 provided on the substrate 1110, and the magnet portion 1120 through movement by a user.
  • Sensing member by sensing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1130, the magnetic member 11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that moves, rotates, and restores the magnet member 1120.
  • the sensor unit 1160 for generating a signal,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include a cover unit 1150 fixed to the substrate 1110.
  •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a main board of the main body part 2000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1110.
  • the dome switch 111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1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member 1130 is lowered in the Z-axis direction, the dome switch 1111 is press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When the dome switch 1111 is pressed,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provides it to the main body 2000 as a click signal.
  • a lubrication pad 1112 having excellent lubricity and wear resistance is attached to at least the dome switch 1111 of the substrate 1110. As a result, friction between the dome switch 1111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be reduced.
  • the magnet part 11200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and the operation member 1130, and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1130, and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
  • An operating member 1130 moving by a user's manipulation is disposed above the magnet part 1120.
  • the operation member 1130 has a pillar portion in which the magnet portion 1120 is located in the lower center area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pillar portion. A portion of the upper region of the magnet portion 1120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lower region of the pillar por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prevents the operation member 1130 from leaving the cover part 1150 located above the operation member 1130.
  • the operation member 1130 described above is moved and rotat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a user's manipulation force), and the movement and rotational force are transmitted to the magnet unit 1120.
  • the magnet part 1120 is fixed to the operation member 1130 to move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member 1130.
  • the operation member 1130 and the moving and rotating magnet portion 1120 ar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 the medial member 1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fixes the magnet part 1120 to the operation member 1130,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and a restoring force to the magnet part 1120 and the operation member 1130.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41, a plurality of pattern portions 1142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1141, and a plurality of heights provided at ends of each of the pattern portions 1142.
  • a government portion 1143 and a fixing protrusion 1144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1141 to support and fix the magnet portion 1120.
  • the central portion 1141 further includes a click protrusion 1145 protruding to a lower bottom surface.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process using a high strength plastic (eg, POM, PC, etc.). Through thi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be simplified, and mass production may be performed.
  • the central portion 1141, the pattern portion 1142, the fixing portion 1143, and the fixing protrusion 1144 are manufactured as a single body.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 the metal is manufactured through an etching process or a metal cutting process.
  • a material excellent in lubricity, wear resistanc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may be used as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 the central portion 1141 is produced in a plate shape.
  • the central portion 1141 is disposed in the center point region of the fixing portions 1143. 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ree fixing parts 1143 are disposed in the region around the central portion 1141. In this case, the center portion 1141 is disposed in the center point region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three fixing portions 1143.
  • the central portion 1141 is preferably smaller in size than the magnet portion 1120 to b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as shown in FIGS.
  • Each of the plurality of pattern portions 114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bent lin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1141 and the fixing portion 1143 and extended in a curved form.
  • the intermediate member 1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ag prevention protrusions 1146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1142.
  • Each of the pattern portions 114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nufactured in an approximately S shape (that is, an approximately sinusoidal shape) as shown in FIG.
  • the pattern portion 1142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210 as shown in FIG. 4,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n arc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ding line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lin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143.
  •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 the end of the above-described pattern portion 1142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143.
  • the fixing part 1143 is fixed to the cover part 1150. This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pattern portion 1142.
  • one end of the plurality of pattern portion 1142 may be a reference for imparting a restoring forc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portion 1142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ortion 1141 may perform two-dimensional movement by an external force within a range of 0.6 to 3.0 mm. Not only linear motion but also curved and circular motions are possibl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enter portion 1141 may be naturally restor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fixing portion 1143 by the pattern portion 1142.
  • the pattern portion 1142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1141 when the central portion 1141 moves or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at is, the central portion 1141 does not move and rotate). The central portion 114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114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the pattern portion 1142 may be manufactured such that a single lin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ie, a swirl shape) in a space between the center portion 1141 and the fixing portion 1143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portion 1141.
  • the pattern portion 1142 may be manufactured from a plurality of meandering lines.
  • the fixing part 114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cover part 1150.
  • the fixing part 1143 is preferably fixed to the groove of the cover part 1150.
  • the fixing part 114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do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xing part 1143 may be manufactured in a band shape.
  • the medial member 1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44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1141 to support the magnet portion 1120 for smooth transfer of the moving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 the fixing protrusion 1144 supports a portion of the lower region and a portion of the side region of the magnet portion 300.
  • the fixing protrusion 1144 is fixed to the space between the magnet part 1120 and the operation member 1130 in a fitting form.
  • the magnet part 1120 may be fixed but als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1130 may be transmitted to the pattern part 1142 through the central part 1141,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pattern part 1142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ember 1130. ) And the magnet unit 1120.
  • the magnet part 1120 is fixed to the operation member 1130 by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medium member 1130, and to the fixing part 1143 of the medium member 1130 fixed to the cover part 1150. By this, the operation member 1130 and the magnet part 1120 are fixed to the cover part 1150.
  • the cover part 1150 includes an accommodating body part having a top plate having a through groove and a side wall part,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provided in a partial lower area of the side wall part, and a plurality of fixing hooks extending from a partial lower area of the side wall part. And a plurality of fixing pin portions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ial region of the side wall portion.
  • the pillar portion of the operation member 1130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 the diameter of the through groov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illar and the through hole, and the two-dimensional moving area of the magnet part 1120 is defined by the space. That is, the magnet part 1120 moves in the circular through groove area of the cover part 1150.
  • the sensor unit 1160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ubstrate 1110 having the magnet 1120, the operation member 1130,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and the cover 1150 as described above. Is placed.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160 detects a magnetic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1120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ubstrate 111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 the sensor unit 1160 detects the movement (ie, two-dimensional movement)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gnet unit 1120.
  • the sensor unit 1160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1120 in the X-axis direc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X-axis sensing signal (ie, ⁇ X coordinate value), and a Y-axis.
  • I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rec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Y-axis sensing signal (that is, ⁇ Y coordinate valu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magnetic sensor and combining the detected magnetic field.
  • the sensor chip having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as one chip is used as the sensor unit 1116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may not be chipped,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our directions (i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agnet unit 1120.
  • the magnetic sensors are preferably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center point region of the magnet part 1120.
  • a Hall element it is preferable to use one of a Hall element, a semiconductor magnetoresistive element, a potato magnetoresistive element, or a GMR (Giant Magneto Resistive) element as the magnetic sensor in the sensor unit 1160.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ement in which such a magnetic sensor changes its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 a magnetic element uses a Hall element whose output voltage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magnetic flux density.
  • the sensing signal output by the sensor unit 1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coordinate-related data. This determines the two-dimensional movement direction of the pointer.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rol of the movement speed of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utputs a sensing signal by a user's manipulation.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e user's manipulation to move the pointer on the screen. That i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re provided to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main body 2000, and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sequentially provides the sensing signal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s manipulation changes rapidly or slowly, or stays at the maximum or minimum value, and provides the display unit 3000 with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eighted accordingly. As a result,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3000 is moved.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includes a plurality of weight tables for weighting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 a weight table was defined a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sections by separating output levels of sensing signals.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utputs a corresponding pointer movement ⁇ signal by assign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each defined section.
  • a method of moving the pointer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level is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of the magnet part 1120 is limited by the area between the cover part 1150 and the operation member 1130 (ie, K area of FIG. 3).
  • the output level of the sensing signal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11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long the movement axes (X axis and Y axis). This is because three sensors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respectively, and sense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1120 by using a change in their output value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sensing unit 1100 is divided into 16 sensing signal sec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one axis of the magnet unit 1120 (that is, the output level of the sensing signal). The sensing signal output through the video is divided into 16 parts.
  •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1120 and the output level of the sensing signal are proportional to 0 and 8 sections (reference point sections). Of course, the s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vided into more or less sections.
  • the initial reference poin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agnet part 1120) is set to 0.
  • the first reference point is set to 8
  • sections 9 to 15 are sequentially defined and are defined as eighth to fifteenth sensing signals, respectively.
  • the sensing signal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0 and 8 as reference points. That is, the output levels of the zeroth and eighth sensing signals become minimum values, and the seventh and fifteenth sensing signal levels become maximum values. At this time, the output levels of the seventh and fifteenth sensing signals have opposite values. For example, the seventh sensing signal becomes the maximum right value and the fifteenth sensing signal becomes the maximum left value.
  • a section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center point of the moving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gnet unit 1120 is defined as 0 or 8 sections, and the remaining right and left moving distances are defined.
  •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ections or the ninth to fifteenth sections may be defined, and the output of each section may be defined as the zeroth to fifteenth sensing signals.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receiving the above-described zeroth to seventh sensing signals and the eighth and fifteenth sensing signals increases and decreases the output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thereby moving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That is, the moving speed and / or moving distance) is controlled. That is, when the seventh sens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zeroth sensing signal,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utputs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hose output level increases sequentially, and the fifteenth sens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eighth sensing signal.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also outputs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hose output level increases sequentially.
  • the output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reduced.
  • the output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and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are proportional. That is, when the output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ncrease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becomes fas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decrease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becomes slow. This change in movement is effective to change relatively.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outputs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of various levels by using a sensing signal by a user manipulation, and weights according to a change (ie, a manipulation state of a user) of the sequentially applied sensing signals. Differently varies the output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output. That is, even if the user moves the magnet 1120 by the same distance, even if the same sensing signal is applied,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varies according to a previous user manipulation (that is, output of the previous sensing signal). Through thi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may be naturally controlled.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main body 20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every predetermined time (1 to 100 msec). For example, a sensing signal is input every 20 msec.
  • the time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range depending on the sensing sensitivity and the response sensitivity of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okup table having different weight values as shown in FIGS. 6 to 9 according to the applied sensing signal section.
  • the weight value of the lookup tables When the weight value of the lookup tables is positive, it means that the pointer moves to the left or upper sid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 the two-dimensional plane, and when the weight value is negative, the pointer moves to the right or lower sid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 the lookup tables may be stored in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r in the memory 2200.
  • weights from 0 to 7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0th to 7th sensing signals.
  • the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hich is the output of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increases from the minimum level to the maximum level.
  • the moving speed of is sequentially increased.
  • weights from 0 to -7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each of the eighth to fifteenth sensing signals. This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previous weight, and indicates that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sequentially increases its moving spe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zero and first sensing signals are assigned the same weight of zero, and the second to fourth sensing signals are assigned the same weight of one, and the fifth to the fifth sensing signals.
  • the seventh sensing signal is assigned the same weight of 3
  • the eighth and ninth sensing signals are assigned the same weight of zero
  • the tenth to twelfth sensing signals are assigned the same weight of -1
  • the thirteenth to the fifteenth sense The sensing signal is given the same weight of -3.
  • the zero to second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the same zero
  • the third and four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the same one
  • the fifth to fif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 the seven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3, 4, and 7, respectively
  • the eighth to ten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the same zero
  • the eleventh and twelf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the same -1
  • the thirteenth to fifteen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3, -4, and -7, respectively.
  • the magnet unit 1120 when the magnet unit 1120 is initially moved by the user,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is smooth (or dull) by moving the magnet unit 1120 in the middle range, which is hardly moved in the sensing signal having a low value. ) Can be moved, and through this, fine control of the pointer 100 is possible.
  • the zero and first sensing signals are assigned the same weight of zero, and the second to fourth sensing signals are assigned the same weight of one, and the fifth to fifth sensing look-up tables.
  • the seven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3, 4, and 7, respectively, the eighth and nin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the same zero, and the tenth to twelf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the same -1,
  • the thirteenth to fifteenth sensing signals are weighted with -3, -4, and -7, respectively. This may cause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to react quickly while the magnet unit 1120 is moving by the user.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e user's manipulation using the change of the sensing signal, and applies the corresponding lookup tab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move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that is, Moving speed) can be controlled.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method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ointer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 the movement control method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direction is not in the X-axis direction.
  •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movement speed control of the pointer.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level of the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160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of the input unit 1000 is the maximum value (S100).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venth or fifteenth sensing signal is applied as the sensing signal.
  • S100 the maximum value
  • the sensing signal level is maximized, it occurs when the magnet 1120, that is, the operation member 1130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by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user.
  • the acceleration mode is executed (S200).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magnet part 1120 that is, the operating member 1130 is centered on the basis of the sensing signal previously input (ie, immediately before). Determine whether it is located at or between the central area and the maximum separation point.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viously input sensing signal is the zero signal (S110).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ensing signal is applied every about 20 msec,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20 msec.
  • the magnet unit 1120 determines that the first movement starts by the user, and compares the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the current sensing signal. do.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intervals is greater than two (S120).
  • the interval difference comparison mea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tion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occurs two or more steps. Therefore, when the zero sensing signal is output as the previous sensing signal, the third sensing signal is output as the current sensing signal, the interval difference is 3, and the zero sensing signal is output as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the first sensing signal is as the current sensing signal. When the signal is output, the interval difference is 1.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to which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assigne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variable lookup table (S130).
  •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3000 is moved using a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weighted according to the first variable lookup table (S140). 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moves the operating member 1130 abruptly by the first variable lookup table, only the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the maximum weight value 3 is output.
  • the pointer 100 within the screen may be gradually moved. That i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may be smoothly maintained by preventing the sudden movement of the pointer 100 at the time when the pointer 100 is stopped for the first time by the user's pointing control means 1100.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ith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variable lookup table (S150).
  •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3000 is moved using a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weighted according to the second variable lookup table (S160).
  • the weight of the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zero. This means that the pointer 100 in the screen does not move.
  • the interval difference is defined as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signated as 3 or 4. In this case, when the interval difference is 5 or mor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user cannot cope with fine adjustment or rapid change of the pointer.
  • the pointer 100 ie, the cursor
  • the pointer 100 is moved due to external physical shock or instability of the input side voltage.
  • the shak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 the acceleration mode as shown in FIG. 11 is executed.
  • K which is the maximum value duration number
  • N the set N value
  • K ⁇ N the K value
  •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ith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lookup table (S230). That is, since the current sensing signal has the maximum value,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s a weight of seven. In this case, not only the reference lookup table but also the second and third variable lookup tables may be used.
  •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3000 is moved using a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weight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riable lookup table (S240).
  • the acceleration mode is terminated and the mode returns to the initial pointing movement control mode.
  • the K value and the N value are compared again (S210). In this case, adding 1 to the above-described K value may be performed before comparing the K value and the N value once again.
  • the K value is set to 0 when the acceleration mode ends.
  • the N value is selected as a natural number value of any one of 2 to 1000.
  • the K value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 value when the sequentially input sensing signal maintains the maximum value 3 to 16 times. K ⁇ N).
  • K ⁇ N the K value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 value when the sequentially input sensing signal maintains the maximum value 3 to 16 times.
  • K ⁇ N As such, when the K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 value, 1 is first added to the K value (S260).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applying the weight amplified by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K value (S270).
  • the weight value amplified by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K value may be at least 10% and up to 100% with respect to the current weight value. And, it is desirable to increase within the range of 5 to 10% as the K value increases. That is, the weight of the current sensing signal by the reference lookup table is 7. For example, if the value of K increases from 3 to 12, the weight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7.1 when the K value is 3, 8.4 when the K value is 4, and 14 when the K value is 12. Can be.
  • the amplified weight value may be at most 10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weight value, and may be increased to a range of 10% or more as the K value is increased.
  •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3000 is moved using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weight (S280).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wly applied sensing signal after the current sensing signal maintains the maximum value (S290).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oes not continue, the mode is terminated. If the result is continued, 1 is added to the K value,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having a weight amplified by the K value added with 1 is generated, and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is moved. . Through this,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er 100 may be accelerated in proportion to the time when the sensing signal maintains the maximum value. Thus, the user can quickly move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 the continuous movement mode as shown in FIG. 12 is executed.
  • the continuous movement mode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sensing signal is increased or decreased (S310). That is, whether the magnet unit 1120 moves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region (ie, increased from the zeroth sensing signal to the seventh sensing signal) or moves from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region to the center point region (that is, the seventh Reduced from the sensing signal to the zeroth sensing sig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increased, a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with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hird variable lookup table (S320). Subsequently, the pointer 100 in the display unit 3000 is moved using a pointing movement control signal weighted according to the third variable lookup table (S330), and the mode ends.
  • the weight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through the third variable lookup table is given, so that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is fast while the magnet unit 1120 is moved by the user. You can make a response.
  • the current sensing signal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sensing signal,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is greater than two.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weighted using the third variable lookup table as in the case of the increase described above.
  • the interval difference may be 3 or 4.
  • the interval difference is greater than 2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section of the magnet unit 1120 varies from 7 to 4)
  •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mouse is stopped by the user and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determined.
  •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determined.
  • give a weight of zero That is, the level (ie, output current or voltage level) of the pointer movement control signal is set to zero. This stop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100 on the screen (S360).
  • the sensing signal is sub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or the current level of the sensing signal input to the pointer control module, and has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using the divided sensing signal.
  •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put unit, a main body unit, and a display unit has been described.
  • some elements of the input unit and some elements of the main body may be combined to form a point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 the pointer control module of this embodiment can be positioned (programmed) on the control chip IC which is a main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and can also be recorded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 a pointer control module in the form of program code may be recorded in the pointing control means.
  • the movement may include ro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various examples are possible. That is, in the following,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technique of activating an icon on a screen by the point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the pointer may vary in various ways, such as an activation area of a mouse pointer, a cursor, or an icon, according to a program executed in the electronic device.
  •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 the techniqu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echniqu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 13 is a front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 to 1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tivating an ic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may generate a display unit 3000 for displaying an icon 101 and an image, and a sensing signal for moving a pointer and other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 An input unit 1000 and a main body 2000 which moves an active area of the icon 101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provides a signal for displaying the screen to the display unit 3000 according to other input signals.
  •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e 4000 for accommodating the input unit 1000, the main body 2000, and the display 3000,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ments. Equipped.
  • the input unit 1000 includes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and the key or button control means 1200.
  •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includes a substrate 1110, a magnet part 1120, an operation member 1130, an intermediate member 1140, a sensor part 1160, and a cover part 1150. do.
  • the main body 2000 includes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the memory 2200, the drive control module 2300, the audio and video control module 2400,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odule 2500. .
  • a method of controlling movement of an activation area of an icon located on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operations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and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described above.
  • the operation member 1130, the magnet part 11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operated by the user move on a two-dimensional plane.
  • the moving spaces of the operation member 1130, the magnet part 11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hen, for each area, a moving direction related to the icon active area is designated. For example, if the moving space is designated as five spaces, one of the spaces is a space in which the active area of the icon does not move, one is a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to the left, and one is an active area of the icon to the right.
  • a space for moving to a space is defined as a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upward and a space for moving an active area of the icon downwar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ace may be defined as a plurality of spaces.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will be described. This is because the magnet part 1120 and the operation member 1130 move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refers to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That is, the movement of the central portion 114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re specifically, the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region of the central portion 1141 is referred to.
  • the movement s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refers to the movement sec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portion.
  •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stored as the reference moving range.
  • a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are generated by storing the divided regions in different sizes and stored therein.
  • the first reference movement range has the largest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to the left
  • the second reference movement range has the largest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to the right
  • the third reference movement range The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upward is maximized
  • the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downward is maximized in the fourth reference movement range.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stores the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as described above, selects one reference movement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movement r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and utilizes the selected reference movement range. To move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That is,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movement range selects the reference movement range in which the size of the divided region located in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1140 is largest. For example,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located in the split area on the left side (that is, the space for moving the active area of the icon to the left side), the first reference movement range described above is selected. In addition,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located in the lower division area, the fourth reference movement range described above is selected.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oving space, and in this case, the reference moving ranges having the same size of each divided area apply. In addition,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on the boundary between the divided regions within the reference movement range, it is recognized as being located in the left or right divided region. Through this, the entir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be utilized.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of this embodiment moves inside a circular two-dimensional planar space having an X-axis and a Y-axis intersecting at the center point and the center point. Therefore, the divided area is separated based on the X axis and the Y axis, and this is defined as an axial moving area and stored. And, by changing the axial movement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magnet portion 11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operating feeling. That is, the width of the axial movement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member is located is vari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xial movement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member is not located.
  • the circular two-dimensional plane space is moved.
  • the magnet portion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the + X-axis or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point O of the planar space and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as shown in FIG.
  • the active area of the icon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e, the + Y axis or the -Y axis direction)
  • the active area of the icon on the screen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magnet portion 1120 that is, the operation member 1130
  • the plane direction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axis and the axis as described above.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or example, within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X and Y axes, Recognize that.
  • the angular rang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to utilize the entire moving are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thereby improving the user's manipulation force for selecting the icon active region. Can be.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main body 20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receiv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output from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every predetermined time (5 to 100 msec). For example, a sensing signal is input every 20 msec.
  • the time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range depending on the sensing sensitivity and the response sensitivity of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ivided to define the first to third axial moving ranges.
  • the axial movement range refers to a region in which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ivided and defined, and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within the defined movement range, it is determined to move in the corresponding axial direction. That is, the axial movement range is divided into the X-axis movement range (that is, the + X and -X-axis movement ranges), and the Y-axis movement range (ie, the + Y and -Y-axis movement ranges).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within the + X 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all of the movements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are determined to be + X axis direction movements.
  • the first ⁇ X-axis movement range includes the first + X-axis movement range and the first ⁇ X-axis movement range.
  • the first ⁇ Y-axis movement range includes a first + Y-axis movement range and the first ⁇ Y-axis movement range.
  • the first ⁇ X axis and the first ⁇ Y axis direction moving ranges are denoted by the first X axis and the first Y axis direction moving ranges.
  • the second ⁇ X-axis and the second ⁇ Y-axis movement range and the third ⁇ X-axis and the third ⁇ Y-axis movement range also include the second X-axis and the second Y-axis movement range, and the third X-axis and It represents with the 3rd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first ⁇ X-axis movement range is a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X angle ( ⁇ ⁇ ax) with respect to the ⁇ X axis in XY two-dimensional space
  • the first ⁇ Y-axis movement range is Refers to the remaining range area.
  • the first ⁇ Y axis direction range is a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Y angle ( ⁇ ⁇ ay) with respect to the ⁇ Y axis.
  • the sum of ⁇ ax and ⁇ ay is 90 degrees.
  • the 1X angle ( ⁇ ⁇ ax) is ⁇ 45 degrees.
  • the angle may vary within a range of ⁇ 10 degrees.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rang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vary.
  • the first Y angle ⁇ ⁇ ay is also ⁇ 45 degrees.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ine is moved on the ⁇ 45 degree line (that is, the reference line A in FIG. 14), the movement is determined as the first ⁇ X-axis movement range.
  • the first ⁇ X axis direction moving range is determined as the movement of the ⁇ X axis.
  • the first ⁇ Y-axis movement range is determined as movement of the ⁇ Y axis.
  • the range of 315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is set as the first + X axis direction moving range
  • the range of more than 45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is set as the first + Y axis direction moving range
  • 135 The range of more than 225 degrees is set as the 1st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range of more than 225 degrees and less than 315 degrees is set as the 1st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first X-axis and Y-axis movement range is preferably applied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initially moved from the center point (O).
  • the second X-axis movement range is a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X angle ( ⁇ ⁇ bx) with respect to the X axis
  • the second Y-axis movement range is a second Y angle ( ⁇ ) with respect to the Y axis.
  •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 by since the X and Y axes are orthogonal, the sum of ⁇ bx and ⁇ by is 90 degrees.
  • the 2X angle ( ⁇ ⁇ bx) is ⁇ 60.
  • the angle may vary within a range of ⁇ 10 degrees.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rang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vary.
  • the second Y angle ( ⁇ ⁇ by) becomes ⁇ 30 degree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on the line of ⁇ 60 degrees (ie, the reference line B of FIG. 15) with respect to the X axis, it is determined as the second X axis direction moving range.
  • the second X-axis movement range is determined to be the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left or right).
  • the second Y-axis direction moving range is determined as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upper or lower)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in a range of more than -30 degrees and less than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Y axis.
  • the range of 30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is set as the second + X axis direction moving range, and the range of more than 60 degrees and less than 120 degrees is set in the second + Y axis direction.
  • the range of 120 degrees or more and 240 degrees or less is set as the 2nd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and the range exceeding 240 degrees and less than 300 degrees is set as the 1st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second X-axis and Y-axis movement range is determined after the movement result in the initial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etermined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ange is applied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moved.
  • the third X-axis movement range is a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a third X angle ( ⁇ ⁇ cx) with respect to the X axis
  • the third Y-axis movement range is a third Y angle ( ⁇ ) with respect to the Y axis.
  •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 cy range region corresponding to ⁇ cy.
  • the 3X angle ( ⁇ ⁇ cx) is ⁇ 30.
  • the angle may vary within a range of ⁇ 10 degrees.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rang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vary.
  • the third Y angle ⁇ ⁇ cy is also ⁇ 60 degrees. Therefor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on a line of ⁇ 30 degrees (ie, the reference line C of FIG. 16) with respect to the X axis,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etermined as the third X-axis direction moving range.
  • the third X-axis movement range is determined to be the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left or right).
  • the second Y-axis direction moving range is determined as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upper or lower)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in a range of more than -60 degrees and less than +60 degrees relative to the Y axis.
  • an axial movement value can be obtained in the entire movement s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oves to the reference line,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may be determined as the third Y-axis movement range.
  • the range of 330 degrees or more and 30 degrees or less is set as the third + X axis direction moving range, and a range of more than 30 degrees and less than 150 degrees is set as the third + Y axis direction moving range, 150
  • the range of more than 210 degrees is set as the 3rd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and the range of more than 210 degrees and less than 330 degrees is set as the 1st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third X-axis and Y-axis movement range is determined after the movement result in the initial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etermined in the Y-axis direction, or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ange is applied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moved.
  • th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ivided to set the first X-axis movement range and the first Y-axis movement range, and the movement range is greater than the first X-axis movement range.
  • a third X-axis moving range having a larger second X-axis moving range and a second Y-axis moving range having a smaller moving range than the first Y-axis moving range, and having a smaller moving range than the first X-axis moving range.
  • Set a direction movement range and a third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having a larger movement range than the first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and select and apply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direction movement ranges as necessary to activate an icon on the screen. Move the area.
  • the movement range of the icon active region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first X-axis and the first Y-axis moving ranges.
  • the second X-axis and the second Y-axis direction moving range are newly set.
  • the third X-axis and the third Y-axis direction moving range are newly set.
  • the axial movement range is the third X-axis and the third Y-axis movement range.
  • the axial moving range is the second X-axis and the second Y-axis moving range. Is converted to.
  • the movement are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set to the first X-axis and the first Y-axis direction moving ranges. .
  •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is in the + X-axis direction (ie, To the right) to activate the icon located to the right of the initial active area.
  • the movement are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changed to the second X-axis and second Y-axis direction moving ranges.
  •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is in the + Y-axis direction (ie, Upward direction) to activate the icon located above the initial active area. Nevertheless, the movement are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changed to the third X-axis and third Y-axis direction moving ranges.
  •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is + Y. I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moving are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changed from the second X axis and the second Y axis direction moving range to the third X axis and third Y axis direction moving range.
  • the icon active area on the screen becomes + X.
  • the mov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changed from the third X-axis and the third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to the second X-axis and second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can utilize the entire moving area (i.e., moving space).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which are outputs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to activate an activation area for activating an icon in the display unit 3000 by ⁇ X axis and ⁇ Y axis.
  •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move in the direction (i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pointer control module 2100 first determines the position (ie, coordinates) of the current medial member 1140 by using the currently applied sensing signal (S1110).
  • the positioning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determined using the position vector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1140 based on the center point O.
  • the four sensors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of the pointing control means 1100 are located on the X axis and the Y axis,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 output of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is varied according to the magnet portion 1120 moving by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Therefore,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can be known only by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alue of the sensing signal.
  •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intermediate member 1140 is the center point 0, which of the first ⁇ X-axis movement range and the first ⁇ Y-axis movement range i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1140? It is determined (S113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within the first ⁇ X axis direction moving range, the previous icon active area is moved to the ⁇ X axis direction (which is + X axis direction or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X axis direction means) (S1140). Then, the mov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changed to the second ⁇ X-axis direction moving range and the second ⁇ Y-axis direction moving range (S1150).
  • the previous icon active area is moved to the ⁇ Y axis direction (which is + Y axis direction or ⁇ depending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Mean in the Y-axis direction) (S1160). Then, the mov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changed to the third ⁇ X-axis direction moving range and the third ⁇ Y-axis direction moving range (S1170).
  • the movement region of the previous intermediate member 1140 (the axial movement range reg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intermediate member 1140) is equal to the second ⁇ .
  • operation S118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X-axis and the second ⁇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or the third ⁇ X-axis and the third ⁇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are divid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movement region of the previous intermediate member 1140 is the second ⁇ X-axis and the second ⁇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intermediate member 1140 is in the second ⁇ X-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S1190).
  • the previous icon active area is moved in the ⁇ X axis direction, and the axial movement range is fixed (S1200).
  • the previous icon active area is moved in the ⁇ Y-axis direction (S1210), and the movement reg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moved to the third ⁇ It changes to the X-axis movement range and the third ⁇ Y-axis movement range (S1220).
  • the moving region of the previous intermediate member 1140 is the third ⁇ X-axis and the third ⁇ Y-axis direction movement range
  • the previous icon active area is moved in the ⁇ X-axis direction (S1250), and the movement reg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140 is moved to the second ⁇ It changes to the X-axis movement range and the second ⁇ Y-axis movement range (S1260).
  • the pointer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freely move the icon activation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moving in the limited space of the two-dimensional plane.
  • the movement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xial movement r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xial movement range is sel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state (eg,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revious and current intermediate members.
  • the positional state eg, position coordinates
  • the reference line region of the axial movement range may be defined as the X axis or the Y axis to utilize the entire moving sp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put unit, a main body unit, and a display unit has been described.
  • some elements of the input unit and some elements of the main body may be combined to form a point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 the pointer control module of this embodiment can be positioned (programmed) on the control chip IC which is a main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and can also be recorded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 a pointer control module in the form of program code may be recorded in the pointing control means.
  • a pointer may be locat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applied to the pointer control module.
  • the pointer may mov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n the screen to activate the icon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movement of the magnet and the intermediate member. That is, the icon on which the pointer is located is activa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con on the screen may be activated by moving the point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2차원 평면을 이동하는 매개 부재(즉, 자석부 또는 센서부)의 이동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또는 커서 또는 아이콘 활성화 영역)의 이동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인팅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또는, 커서, 아이콘 활성화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였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마우스나 터치 패드와 같은 다양한 포인팅 이동 제어 장치(또는 포인팅 제어 수단)가 사용된다.
종래의 마우스의 경우 마우스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 만큼 화면상의 포인터가 이동하고, 터치 패드의 경우 터치 패터를 터치하는 접촉체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 만큼 화면상의 포인터가 이동하였다. 또는 장치에 따라 접촉제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화를 위한 영역이 이동하였다. 따라서 화면에서의 포인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마우스와 접촉체의 이동 면적이 넓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마우스와 터치 패드와 같은 포인팅 이동 제어 장치의 경우 그 크기가 증대되어, 소형의 전자 기기에 장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아이콘 동작 수행을 위한 중심 클릭 버튼의 수평면의 상하좌우 방향(+X축, -X축, +Y축, -Y축)에 각기 이동 버튼을 배치시키고, 이 버튼들의 클릭에 따라 포인터(즉, 아이콘의 활성화 영역)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이동 버튼들이 일반적으로 돔 스위치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복수의 돔스위치를 실장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일정 크기 이상 줄이는 것은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중심 클릭 버튼 외에 복수의 이동 버튼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비싸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자석의 이동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자석의 2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장치가 제시되었다. 이는 자석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포인터 이동을 위한 신호로 사용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자석(즉, 센서)의 이동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 이동 제어 장치는 센서의 이동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화면(즉,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포인터의 이동이 급격하게 변화게 되어 포인터의 이동 제어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자석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자석이 축과 축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아이콘 활성화 영역이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아이콘을 자유롭게 활성화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포인팅 이동 제어 장치의 센서의 이동에 따라 출력되는 센서 이동 신호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즉, 아이콘 활성화 영역)의 이동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센서 조작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레벨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의 센싱 신호를 제 0 내지 제 M(3 내지 100 중 하나의 자연수) 센싱 신호로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가중치값이 저장된 기준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의 가중치 값에 대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 값이 저장된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생성 저장하는 단계와,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판단결과 최대값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 모드를 실행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소값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센싱 신호의 판단 결과 최소값이 아닌 경우에는 계속 이동모드를 실행하고, 최소값인 경우에는 상기 이전 센싱 신호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구간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L은 2, 3 및 4 중 하나의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 모드는,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N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K 값에 1을 더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다시 한번 상기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상기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속 모드를 종료하며, 판단 결과 N 값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상기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K 값에 1을 더하여 새로운 K를 생성하여, 다시한번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새로운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N은 2 내지 15 중 하나의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속 이동 모드는,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현재 센서 신호와 이전 센서 신호 간의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P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을 0으로 하고, 상기 구간차가 P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는 2, 3 및 4 중 하나의 자연수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센서로 자석부를 사용하고, 상기 자석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이 변화하고, 일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자석부의 초기 위치에서 자석부의 최대 이동 위치까지의 거리를 7개의 구간으로 분리하여 상기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을 7개의 구간으로 정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자석부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초기 위치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즉, 일 최대 이동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 1 가중치 값들과, 상기 자석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 2 가중치 값들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가중치 값들은 양 및 음 중 하나의 값을 갖고, 상기 제 2 가중치 값들은 나머지 하나의 값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중치 값들의 절대값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에 대응하여 그 가중치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 중 제 1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0이고, 제 2 내지 제 4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1이고, 제 5 내지 제 7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3이며,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 중 제 1 및 제 2 구간에서의 가중치가 0이고, 제 3 및 제 4 구간에서의 가중치가 1이고, 제 5 내지 제 7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각기 3, 4 및 7이고,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 중 제 1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0이고, 제 2 내지 제 4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1이고, 제 5 내지 제 7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각기 3, 4 및 7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 형태의 이동 공간 내에 이동하는 자석의 움지임을 감지하여 다양한 레벨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수단 및 상기 센싱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의 센싱 신호를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와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에 각기 대응하는 다양한 가중치 값들이 저장된 기준 룩업 테이블 및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고,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와 이전에 인가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포인터 제어 모듈은,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인지 판단하여, 최대값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시간에 따라 가속시키는 가속 모드를 실행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소값인지 판단하여, 최소값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계속 이동모드를 실행하고, 최소값인 경우에는 상기 이전 센싱 신호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구간 차이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센서 조작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레벨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의 센싱 신호를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가중치값이 저장된 기준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의 가중치 값에 대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 값이 저장된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이 생성 저장된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판단결과 최대값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 모드를 실행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소값인지 판단하고, 상기 이전 센싱 신호의 판단 결과 최소값이 아닌 경우에는 계속 이동모드를 실행하고, 최소값인 경우에는 상기 이전 센싱 신호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구간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를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속 모드는,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N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K 값에 1을 더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다시 한번 상기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상기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속 모드를 종료하며, 판단 결과 N 값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상기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K 값에 1을 더하여 새로운 K를 생성하여, 다시한번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새로운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계속 이동 모드는,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현재 센서 신호와 이전 센서 신호 간의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P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을 0으로 하고, 상기 구간차가 P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이 정의된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분할하고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준 이동 범위의 선택은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한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큰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2차원 이동을 하고, 상기 다수의 분할 영역은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분리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 영역은 상기 중심점의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각기 위치하는 상측 분할 영역, 하측 분할 영역, 좌측 분할 영역 및 우측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또는 상기 우측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측 분할 영역, 사익 하측 분할 영역,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및 상기 우측 분할 영역은 각기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90도 각도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상측 분할 영역, 상기 하측 분할 영역,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및 상기 우측 분할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분할 영역은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100 내지 140도 각도로 확장되고, 상기 해당 분할 영역과 인접한 두 분할 영역은 상기 확장된 영역만큼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 축 방향 이동 영역 중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방향 이동 영역보다 그 범위를 크게 가변시키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매개 부재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하게 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의 경계에 있을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한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작은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아이콘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X축 방향 이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아이콘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Y축 방향 이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아이콘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한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작은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이전 매개 부재의 위치가 중심점일 경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에 의해 결정하고,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가 ±X축 방향 이동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가 ±Y축 방향 이동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전 매개 부재의 위치가 중심점이 아니고, 이전 매개 부재의 이동 위치에 의해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이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된 경우,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가 ±Y축 방향 이동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전 매개 부재의 위치가 중심점이 아니고, 이전 매개 부재의 이동 위치에 의해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이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된 경우,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가 ±X축 방향 이동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의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X축에 대하여 -45도 이상과 +45도 이하의 범위 영역이고,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Y축에 대하여 -45도 초과와 +45도 미만의 범위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을 0도로 할 경우,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315도 이상 45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45도 초과 135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135도 이상 225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225도 초과 315도 미만의 범위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2 축 방향 이동 범위의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X축에 대하여 -60도 이상과 +60도 이하의 범위 영역이고,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Y축에 대하여 -30도 초과와 +30도 미만의 범위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을 0도로 할 경우,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30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60도 초과 120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120도 이상 24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240도 초과 300도 미만의 범위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의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X축에 대하여 -30도 이상과 +30도 이하의 범위 영역이고,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Y축에 대하여 -60도 초과와 +60도 미만의 범위 영역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을 0도로 할 경우,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330도 이상 3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30도 초과 150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150도 이상 21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210도 초과 310도 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자석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수단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이동 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자석부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이 정의된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분할하고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하고, 상기 자석부의 이동 좌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분할 영역은 상기 자석부 이동 공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각기 위치하는 상측 분할 영역, 하측 분할 영역, 좌측 분할 영역 및 우측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자석부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각기 동일한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상기 자석부가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석부가 위치한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큰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상기 자석부가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또는 상기 우측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자석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수단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이동 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자석부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 축 방향 이동 영역 중 상기 자석부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방향 이동 영역보다 그 범위를 크게 가변시키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석부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하게 되고, 상기 자석부가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의 경계에 있을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이 정의된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분할하고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 축 방향 이동 영역 중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방향 이동 영역보다 그 범위를 크게 가변시켜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된 센서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가중치를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원 평면의 한정된 공간을 이동하는 매개 부재(즉, 자석부 또는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아이콘 활성화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개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복수의 축 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하고, 이전과 현재 매개 부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축 방향 이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화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된 경계 영역(즉, 기준선 영역)에서의 아이콘 활성화 영역의 이동을 X축 또는 Y축으로 정의하여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개념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제어 수단의 단면.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포인팅 제어 수단의 평면 개념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싱 출력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 내지 도 9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제어 모듈이 적용할 룩업 테이블을 타나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속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개념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제어 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포인팅 제어 수단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싱 출력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제어 모듈이 적용할 룩업 테이블을 타나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도,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속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포인터(100)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0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인터 이동을 위한 센싱 신호와 기타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1000)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포인터(100)를 이동시키고, 기타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표시를 위한 신호를 표시부(3000)에 제공하는 본체부(200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부(1000), 본체부(2000) 및 표시부(3000)를 수납하는 케이스(4000)와, 상기 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표시부(3000)는 본체부(2000)에서 제공된 화상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내에 화상을 표시하고, 본체부(2000)의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 내의 포인터(100)의 이동을 표현한다. 이러한, 표시부(3000)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Ray Tub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부(10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를 본체부(20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입력부(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센서의 움직임 신호인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 수단(1100)과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또는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 또는 버튼 제어 수단(1200)을 구비한다.
상술한 본체부(2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틴 제어 수단(1100)의 복수의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센서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3000)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제어 모듈(2100)과, 다양한 정보(영상, 구동, 제어 등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2200)와, 본체부(2000)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2300)과, 별도의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제공되거나, 표시부(3000)에 표시되는 영상(즉, 화상)과,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해 제공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 및 영상 제어 모듈(2400)과, 유선 무선을 통해 전달 받거나 송출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 제어 모듈(240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2000)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화하거나, 디지털화된 신호를 아날로그화하는 변복조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부(20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상기 모듈들이 집적된 칩 형태로 제작된다. 즉, 이때, 본체부(20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0) 각각의 모듈들이 각기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들이 단일 칩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입력부(1000)로 부터 입력된 신호 및 본체부(2000)에 제공되거나 저장된 신호 및 데이터들을 통해 다양한 동작(예를 들어, 영화 또는 음악 감상, 사진 또는 동화상 촬영, 유무선 통신, 웹서핑,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 가공, 게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로는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PMP, PDA, GPS, 노트북, 게임기, 리모콘, 전자 사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센싱 신호를 인가받은 포인터 제어 모듈(2100)에 의해 표시부(3000) 상의 포인터를 제어하여 상술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장착된 본 실시예의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0)과, 기판(1110)상에 마련된 자석부(1120)와,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자석부(1120)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1130)와,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매개 부재(1140)와, 자석부(1120)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1160)와, 매개 부재(1140)가 고정되고, 상기 기판(1110)에 고정된 커버부(1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110)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판(1110)으로 본체부(2000)의 인쇄 회로 기판(즉, 메인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판(1110)의 상측 표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스위치(1111)가 위치한다. 따라서, 작동 부재(1130)가 Z 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매개 부재(1140)에 의해 돔 스위치(1111)가 눌려지게 된다. 돔 스위치(1111)가 눌러 지게 되면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이를 클릭 신호로 본체부(20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기판(1110)의 돔 스위치(1111) 상에는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윤활 패드(1112)가 부착된다. 이를 통해 돔 스위치(1111)와 매개 부재(1140)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자석부(11200)는 매개부재(1140)와 작동 부재(11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어 작동 부재(113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매개 부재(114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의 자석부(1120) 상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작동 부재(1130)가 배치된다.
작동 부재(1130)는 하측 중심 영역에 자석부(1120)가 위치하는 기둥부와, 기둥부에서 연장된 이탈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자석부(1120)의 상측 영역 일부가 상기 기둥부의 하측 영역에 인입 고정된다. 이탈 방지부는 작동 부재(1130) 상측에 위치한 커버부(1150) 외측으로 상기 작동 부재(11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작동 부재(113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즉,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 및 회전하게 되고, 이 이동 및 회전력은 자석부(1120)에 전달된다. 상기 자석부(1120)가 작동 부재(1130)에 고정되어 작동 부재(1130)와 함께 이동 및 회전한다.
이와 같은 작동 부재(1130)와 이동 및 회전하는 자석부(1120)는 외부 힘이 사라지는 경우 매개 부재(114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140)는 상기 자석부(1120)를 작동 부재(1130)에 고정시키고,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에 탄성력 및 복원력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매개 부재(1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41)와, 중심부(1141)에서 연장된 복수의 패턴부(1142)와, 패턴부(1142) 각각의 끝단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부(1143)와, 중심부(1141)에서 돌출되어 자석부(1120)를 지지고 정하는 고정 돌기부(1144)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141)는 하측 바닥면으로 돌출된 클릭 돌기부(1145)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매개 부재(1140)는 고강도 플라스틱(예를 들어, POM, PC 등)을 이용한 사출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중심부(1141), 패턴부(1142), 고정부(1143) 및 고정 돌기부(1144)는 단일 몸체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개 부재(1140)를 금속성의 물질로 제작할 수 있다. 금속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금속의 에칭공정 또는 금속 절단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또한, 매개 부재(1140)로 윤활성, 내마모성,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중심부(1141)는 판 형상으로 제작한다. 중심부(1141)는 고정부(1143)들의 중심점 영역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고정부(1143)가 중심부 (1141)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3개의 고정부(1143)에 의해 형성됨 삼각형의 중심점 영역에 상기 중심부(1141)가 배치된다.
이때, 중심부(114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할 자석부(1120)보다 사이즈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패턴부(1142) 각각은 양 단부가 각기 중심부(1141)와 고정부(1143)에 각기 접속되고 곡선 형태로 연장 절곡된 절곡 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400)는 패턴부(1142)의 하측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처짐 방지 돌기부(1146)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패턴부(1142)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S자 형상(즉, 대략 사인 곡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패턴부(1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210)에 접속된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제 1 연장선부와, 제 1 연장선부에서 절곡 연장된 원호 형상의 제 2 연장선부와 제 2 연장선부에서 연장되어 고정부(1143)에 접속된 제 2 접속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연장선부와 제 2 연장선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술한 패턴부(1142)의 끝단은 고정부(1143)에 접속된다. 이때, 고정부(1143)는 커버부(1150)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패턴부(1142)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의 패턴부(1142)의 일 끝단을 고정시킴으로 인해 복원력을 부여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턴부(1142)의 구조에 의해 중심부(1141)는 0.6 내지 3.0mm 범위 내에서 외부 힘에 의해 2차원 운동을 할 수 있다. 직선 운동은 물론 곡선 및 원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패턴부(1142)에 의해 중심부(1141)는 고정부(1143)의 중심점에 자연스럽게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1142)는 외부 힘에 의해 중심부(1141)가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 중심부(1141)를 지지하고, 외부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즉, 중심부(1141)가 이동 및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심부(1141)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패턴부(1142)의 형상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패턴부(1142)는 단일 라인이 나선 형상(즉, 선회 형상)으로 중심부(1141) 둘레를 따라 중심부(1141)와 고정부(1143)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패턴부(1142)는 복수의 사행형상의 선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1143)는 커버부(1150)에 고정된다. 고정부(1143)는 상기 커버부(1150)의 홈에 끼워 맞춤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1143)는 복수의 점 형태로 제작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1143)는 띠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140)는 이동력과 복원력의 원활한 전달을 위해 상기 중심부(1141)에서 돌출되어 자석부(1120)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부(1144)를 구비한다. 고정 돌기부(1144)는 자석부(300)의 하측 영역의 일부와 측면 영역 일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고정 돌기부(1144)가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 사이 공간에 끼워 맞춤 형태로 고정된다.
이를 통해 자석부(1120)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부재(1130)의 움직임을 중심부(1141)를 통해 패턴부(1142)에 전달할 수 있고, 패턴부(1142)의 복원력을 작동 부재(1130)와 자석부(112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1120)가 매개 부재(1130)의 고정 돌기부에 의해 작동 부재(1130)에 고정되고, 커버부(1150)에 장착 고정되는 매개 부재(1130)의 고정부(1143)에 의해 작동 부재(1130) 및 자석부(1120)가 커버부(115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커버부(1150)는 관통홈을 갖는 상부판과 측벽부를 갖는 수납 몸체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측 일부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 홈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측 일부 영역에서 연장된 복수의 고정 후크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측 일부 영역에서 연장된 복수의 고정 핀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작동 부재(1130)의 기둥부가 관통홈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관통홈의 직경이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기둥부와 관통홈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 공간에 의해 자석부(1120)의 2차원 이동 영역이 정의된다. 즉, 자석부(1120)는 커버부(1150)의 원형 형상의 관통홈 영역 내에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석부(1120), 작동 부재(1130), 매개 부재(1140) 및 커버부(1150)가 마련된 기판(1110)의 하측면 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60)가 배치된다. 이때, 센서부(1160)는 기판(111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자석부(1120)의 이동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즉, 센서부(1160)는 자석부(1120)의 상하좌우 방향의 움직임(즉, 2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부(1160)는 각기 자석부(1120)의 X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X축 센싱 신호(즉, ±X 좌표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자기 센서와, Y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Y 축 센싱 신호(즉, ±Y 좌표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기 센서의 출력을 증폭하고, 종합하여 최종 자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자기 센서가 원칩화된 센서칩을 센서부(11160)로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자기 센서가 원칩화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자기 센서가 자석부(1120)를 중심으로 4 방향(즉, 상하좌우 방향)에 각기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이때, 복수의 자기 센서들은 자석부(1120)의 중심점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1160) 내의 자기 센서로는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로 자속 밀도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센서부(1160)에 의해 출력되는 센싱 신호에는 좌표 관련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포인터의 2차원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센싱 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이동 속도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센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판단하여 화면의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즉, 사용자 조작에 따라 포인팅 제어 수단(110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 복수의 센싱 신호가 본체부(2000)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에 제공되고,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순차적으로 제공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이 급격하게 변화하였는지 아니면 천천히 변화하였는지 아니면 최대 또는 최소값에서 지속적으로 머무르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에 맞는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표시부(3000)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표시부(3000) 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포인터 제어 모듈(2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가중치 적용을 위한 복수의 가중치 테이블을 구비한다. 이때, 가중치 테이블을 제작을 위해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을 분리하여 다수개의 센싱 신호 구간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정의된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 포인터 이동 젱 신호를 출력하였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동작을 중심으로 포인터(100)의 이동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센싱 신호 레벨의 크기는 일정 범위 내에서 한정된다. 이는 자석부(1120)의 움직임이 커버부(1150)와 작동 부재(1130)에 사이 영역(즉, 도 3의 K 영역 참조)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1120)의 이동에 의한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이동 축(X축 및 Y축)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였다. 이는 각기 3개의 센서가 X축과 Y축에 위치하고 이들의 출력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자석부(1120)의 이동을 감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1120)의 일 축 방향의 이동(즉,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에 따라 16개의 센싱 신호 구간으로 분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을 통해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16개로 분할하였다. 여기서, 자석부(1120)의 이동과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은 0과 8 구간(기준점 구간)을 기준으로 비례한다. 물론 상기 구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많거나 적은 구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분할 방식으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1120)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때 처음 기준점(자석부(1120)의 최초 위치)을 0으로 하고, 순차적으로 1 부터 7까지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이를 각기 제 0 내지 제 7 센싱 신호로 정의한다. 그리고, 자석부(1120)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때 처음 기준점을 8로 하고, 순차적으로 9 부터 15까지의 구간을 정의하고 이를 각기 제 8 내지 제 15 센싱 신호로 정의한다. 센싱 신호들은 0과 8을 기준점으로 하여 좌우 대칭된다. 즉, 제 0 및 제 8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이 최소값이 되고, 제 7 및 제 15 센싱 신호 레벨이 최대값이 된다. 이때, 제 7 센싱 신호와 제 15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은 반대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 7 센싱 신호는 우측 최대 값이 되고, 제 15 센싱 신호는 좌측 최대 값이 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1120)의 축방향의 이동 거리중 중심점 인접 영역의 구간을 0 또는 8 구간으로 정의하고, 나머지 우축 및 좌측 이동 거리를 각기 1 내지 7 구간 또는 제 9 내지 제 15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에서의 출력을 제 0 내지 제 15 센싱 신호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 0 내지 제 7 센싱 신호와 제 8 및 제 15 센싱 신호를 제공 받은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증가 및 감소시켜 표시부 내의 포인터(100)의 움직임(즉, 이동 속도 및/또는 이동 거리)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 0 센싱 신호에서 제 7 센싱 신호가 인가될 때,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그 출력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 8 센싱 신호에서 제 15 센싱 신호가 인가될 때에도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그 출력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이의 반대의 경우, 즉, 제 7 센싱 신호에서 제 0 센싱 신호가 인가되거나, 제 15 센싱 신호에서 제 8 센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은 감소한다. 이는 제 7 센싱 신호 및 제 15 센싱 신호는 자석부(1120)의 움직임이 가장 큰 값이다. 이는 제 0 및 제 8 센싱 신호는 자석부(112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즉, 포인터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를 지칭하고, 제 7 및 제 15 센싱 신호는 자석부(1120)가 가장 많이 움직이는 경우 즉, 포인터가 가장크게 변화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또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과 포인터(100)의 움직임은 비례한다. 즉,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포인터(100)의 움직임은 빨라진다. 반면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포인터(100)의 움직임은 둔해진다. 이와 같은 움직임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레벨의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되,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센싱 신호들의 변화(즉,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출력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가변시킨다. 즉, 사용자가 자석부(1120)를 동일한 거리를 이동시켜 동일한 센싱 신호가 인가되었더라도 이전의 사용자 조작(즉, 이전의 센싱 신호의 출력)에 따라 포인터(100)의 움직임을 다르게 한다. 이를 통해 포인터(100)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2000)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일정 시간(1 내지 100msec)마다 포인팅 제어 수단(1100)으로 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매 20msec 마다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다. 물론 센싱 신호를 입력받는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싱 감도 및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반응 감도에 따라 상기 범위보다 더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인가된 센싱 신호의 구간에 따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중치 값이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들의 가중치 값이 양일 때는 2차원 평면에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상측으로 포인터가 이동함을 의미하고, 가중치 값이 음일 때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하측으로 포인터가 이동함을 의미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들은 포인터 제어 모듈(2100)에 저장되거나 메모리(2200)에 저장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기준 룩업 테이블을 보면 제 0 내지 제 7 센싱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0 부터 7까지의 가중치가 순차적으로 부여된다. 이를 통해 제 0 내지 제 7 센싱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출력인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레벨은 최소 레벨에서 최대 레벨로 증가하게 되고,이를 통해 화면상의 포인터(100)의 이동 속도는 순차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제 8 내지 제 15 센싱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0 부터 -7까지의 가중치가 순차적으로 부여된다. 이는 앞선 가중치와는 방향이 반대인 경우를 지칭하는 것으로, 화면상의 포인터(100)는 반대 방향으로 그 이동 속도가 순차적으로 증대됨을 나타낸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제 1 가변 룩업 테이블을 보면 제 0 및 제 1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0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2 내지 제 4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5 내지 제 7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3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8 및 제 9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0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0 내지 제 12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3 내지 제 15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3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가 초기에 급격하게 이동할때(중심점에서 급격하게 움직일 경우), 센싱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을 3개의 구간으로 분리하여 센싱 신호가 급격하게 변화하더라도 화면상의 포인터(100)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제 2 가변 룩업 테이블을 보면 제 0 내지 제 2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0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3 및 제 4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5 내지 제 7 센싱 신호에는 각기 3, 4 및 7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8 내지 제 10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0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1 및 제 12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3 내지 제 15 센싱 신호에는 각기 -3, -4 및 -7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가 초기 이동할때, 낮은 값을 갖는 센싱 신호에서는 거의 움직이지 않다가 중간 정도의 범위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화면상의 포인터(100)의 움직임이 완만하게(또는 둔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인터(100)를 미세 컨트롤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제 3 가변 룩업 테이블을 보면 제 0 및 제 1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0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2 내지 제 4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5 내지 제 7 센싱 신호에는 각기 3, 4 및 7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8 및 제 9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0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0 내지 제 12 센싱 신호에는 동일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3 내지 제 15 센싱 신호에는 각기 -3, -4 및 -7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 화면 상의 포인터(100)가 빠른 반응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센싱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룩업 테이블을 적용시켜 화면상의 포인터(100)의 이동(즉,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을 제어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인터의 이동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포인터의 이동 제어 방법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은 X축 방향으로의 포인터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물론 X축 방향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 이동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터의 이동 속도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입력부(1000)의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센서부(1160)로부터 제공된 센싱 신호의 레벨이 최대 값인지를 판단한다(S100). 즉, 센싱 신호로 제 7 센싱 신호 또는 제 15 센싱 신호가 인가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센싱 신호 레벨이 최대가 되는 때는,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 즉, 작동 부재(1130)가 중심에서 최대 이격거리로 이격되었을때 발생한다.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입력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일 경우에는 가속 모드를 실행한다(S200). 가속 모드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현재 입력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이 아닐 경우에는 이전(즉, 바로전)에 입력된 센싱 신호를 바탕으로 이전의 자석부(1120) 즉, 작동 부재(1130)의 위치가 중심에 위치해 있었는지 아니면 중심 영역과 최대 이격 지점사이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이전 입력된 센싱 신호가 제 0 신호 인지 판단한다(S11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약 20msec 마다 센싱 신호를 인가받기 때문에 이전 센싱 신호와 현재 센싱 신호간의 시간 차는 20msec이다.
상기 판단 결과 이전 입력된 센싱 신호가 제 0 센싱 신호(또는 제 8 센싱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가 계속적으로 움직이고 있음으로 결정하고, 계속 이동 모드를 실행한다(S300). 계속 이동 모드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판단결과, 이전 입력된 센싱 신호가 제 0 센싱 신호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가 처음 움직이기 시작하는 단계로 결정하고, 이전 센싱 신호와 현재 센싱 신호간의 구간 차이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신호 구간의 차가 2보다 큰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120).
상기 구간 차이 비교는 앞선 도 5에서 설명된 구간의 차가 2 단계 이상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전 센싱 신호로 제 0 센싱 신호가 출력되고, 현재 센싱 신호로 제 3 센싱 신호가 출력되면 구간차는 3이 되고, 이전 센싱 신호로 제 0 센싱 신호가 출력되고, 현재 센싱 신호로 제 1 센싱 신호가 출력되면 구간차는 1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간차를 계산한 결과 구간차가 2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작동 부재(1130)를 급격하게 조작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제 1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30). 이어서, 제 1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3000) 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S140). 이때, 제 1 가변 룩업 테이블에 의해 사용자가 작동 부재(1130)를 급격하게 이동시켰더라도 그 최대 가중치 값이 3인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만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 부재(1130) 즉, 자석부(1120)가 급격하게 이동되더라도 화면 내의 포인터(100)는 서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멈추어 있던 포인터(100)가 사용자의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조작을 통해 최초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포인터(100)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여 포인터(100)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간차가 2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작동 부재(1130)를 천천히 조작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제 2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50). 이어서, 제 2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3000) 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S160). 이때, 구간차가 2보다 작기 때문에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가중치는 0이 된다. 이는 화면내의 포인터(100)가 움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구간차를 2로 정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 또는 4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간차를 5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포인터의 미세 조정이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초기 위치(즉, 중심점)에서의 급격한 움직임을 판단하여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함으로 인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나 입력측 전압의 불안정으로 인해 화면상의 포인터(100)(즉, 커서)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가속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현재 센싱 신호의 레벨을 판단하여 최대치값일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속 모드가 실행된다.
가속 모드에서는 먼저,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설정된 N 값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210). 물론 이때, K 값이 N 값과 크거나 같음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만일 K가 N값보다 작을 경우(즉, K<N인 경우), K값에 1을 더한다(S220). 이어서, 기준 룩업 테이블에 따라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230). 즉, 현재 센싱 신호가 최대 값을 갖기 때문에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는 7의 가중치를 갖게 된다. 이때, 기준 룩업 테이블 뿐만 아니라 제 2 및 제 3 가변 룩업 테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기준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3000) 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S240).
이후에, 현재 센싱 신호 이후 새롭게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50). 판단 결과 최대값을 유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속 모드를 종료하고, 초기 포인팅 이동 제어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하지만, 판단 결과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K값과 N값을 다시 한번 비교한다(S210). 이때, 앞서 설명한 K값에 1을 더하는 단계가 상기 K값과 N값을 다시 한번 비교하는 단계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속 모드를 종료하는 경우에 K 값을 0으로 셋팅된다.
이때, 상기 N 값은 2 내지 10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 값으로 선택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 N 값을 2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 값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 값을 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 값에서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예를 들어, N 값을 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 값으로 선택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3번에서 16번 유지할 때에 K 값이 N값보다 크거나 같게 된다(즉, K≥N). 이와 같이 K 값이 N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는 먼저 K값에 1을 더한다(S260). 이어서, K 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폭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270). 이때, K 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폭된 가중치 값은 현재 가중치 값에 대하여 최소 10%에서 최대 100%까지 일 수 있다. 그리고, K 값의 증가에 따라 5 내지 10%범위 내에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준 룩업 테이블에 의한 현재 센싱 신호의 가중치는 7이다. 예를 들어 K 값이 3에서 12로 증가하는 경우,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가중치는 K 값이 3일 때는 7.1이 되고, K 값이 4일때는 8.4가 되고, K 값이 12일때는 14가 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폭된 가중치 값이 현재 가중치 값에 대하여 최대 100% 이상일 수 있고, K 값의 증가에 따라 10% 이상의 범위도로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중치가 증폭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3000) 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S280). 이어서, 현재 센싱 신호 이후 새롭게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90). 판단결과 지속하지 않을 때는 모드를 종료하고, 지속하는 경우에는 K 값에 1을 더하고, 1이 더해진 K 값 만큼 증폭된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화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포인터(100)의 이동 속도는 센싱 신호가 최대 값을 유지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의 포인터(100)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계속 이동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현재 센싱 신호의 레벨을 판단하여 최대값이 아니고, 이전 센싱 신호가 제 0 센싱 신호가 아닐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속 이동 모드가 실행된다.
계속 이동 모드는 먼저 센싱 신호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판단한다(S310). 즉, 자석부(1120)가 중심점에서 최대 이동 거리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인지(즉, 제 0 센싱 신호에서 제 7 센싱 신호로 증가됨) 아니면 최대 이동 거리 영역에서 중심점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인지(즉, 제 7 센싱 신호에서 제 0 센싱 신호로 감소됨)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증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320). 이어서, 제 3 가변 룩업 테이블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3000) 내의 포인터(100)를 이동시킨다음(S330), 모드를 종료한다. 이때, 제 3 가변 룩업 테이블을 통해 화면상의 포인터(10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가중치를 주어, 사용자에 의해 자석부(1120)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 화면 상의 포인터(100)가 빠른 반응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판단결과, 감소하는 경우에는 현재 센싱 신호와 이전 센싱 신호를 비교하고, 두 신호들의 구간 차이가 2보다 큰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구간차이가 2보다 작을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증가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제 3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상기 구간 차이는 3 또는 4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구간 차이가 2보다 클경우(예를 들어, 자석부(1120)의 이동 구간이 7에서 4로 가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마우스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에 0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즉,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레벨(즉, 출력 전류 또는 전압 레벨)을 0으로 한다. 이를 통해 화면의 포인터(100) 움직임을 정지시킨다(S36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터 제어 모듈에 입력되는 센싱 신호의 출력 전압 또는 전류 레벨에 따라 센싱 신호를 다수의 구간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하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 본체부 및 표시부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입력부의 일부 요소와 본체부의 일부요소가 결합되어 화면상의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터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는 입력부의 일부 요소와 본체부의 일부 요소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의 경우는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본체부인 제어 칩(IC)에 위치(프로그램화)할 수 있고,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물론, 프로그램 코드 형태의 포인터 제어 모듈이 포인팅 제어 수단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이동은 회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시가 가능하다. 즉,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상기 포인터가 화면의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기술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포인터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 또는 커서 또는 아이콘을 활성화 영역 등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의 기술은 제 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제 1 실시예의 기술 또한 제 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콘(101)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0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인터 이동을 위한 센싱 신호와 기타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1000)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101)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고, 기타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표시를 위한 신호를 표시부(3000)에 제공하는 본체부(2000)를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부(1000), 본체부(2000) 및 표시부(3000)를 수납하는 케이스(4000)와, 상기 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입력부(1000)는 포인팅 제어 수단(1100)과 키 또는 버튼 제어 수단(1200)을 구비한다. 그리고,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기판(1110)과,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와, 매개 부재(1140)와, 센서부(1160)와, 커버부(1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체부(2000)는 포인터 제어 모듈(2100)과, 메모리(2200)와, 구동 제어 모듈(2300)과, 음성 및 영상 제어 모듈(2400)과, 유무선 통신 제어 모듈(2500)을 구비한다.
상술한 입력부(1000), 표시부(3000) 및 본체부(20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앞선 제 1 실시예와 유사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포인팅 제어 수단(1100)과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위치하는 아이콘의 활성화 영역의 이동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부재(1130),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는 2차원 평면상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 부재(1130),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공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각 영역 마다 아이콘 활성 영역에 관련된 이동 방향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 공간은 5개의 공간으로 지정한 경우, 상기 공간중 하나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이 움직이지 않는 공간, 하나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 하나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 하나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 및 하나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으로 정의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간은 복수개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매개 부재(11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는 매개 부재(1140)와 함께 자석부(1120) 및 작동 부재(1130)가 함께 이동하기 때문이다. 하기에서 매개 부재(1140)의 이동은 매개 부재(1140)의 중심의 이동을 지칭한다. 즉, 매개 부재(1140)의 중심부(114)의 이동을 의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중심부(1141)의 중심점 영역의 이동을 지칭한다. 또한,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구간은 상기 중심부의 중심점의 이동 구간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공간을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를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기준 이동 범위에서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을 가장 크게 하고, 두번째 기준 이동 범위에서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을 가장 크게 하고, 세번째 기준 이동 범위 에서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을 가장 크게 하고, 네번째 기준 이동 범위에서는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을 가장 크게 한다.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저장하고, 매개 부재(11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여,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활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킨다. 즉, 기준 이동 범위의 선택은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한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큰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매개 부재(1140)가 좌측의 분할 영역(즉,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앞서 예를 든 첫번째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한다. 또한, 매개 부재(1140)가 하측의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앞서 예를 든 네번째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140)는 이동 공간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는 각 분할 영역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기준 이동 범위를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 이동 범위 내의 분할 영역들 간의 경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좌측 또는 우측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140)는 중심점과 중심점에서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갖는 원형의 2차원 평면 공간 내부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분할 영역을 분리하고, 이를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정의하고,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의 위치에 따라 축 방향 이동 영역을 가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매개 부재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의 넓이가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의 넓이보다 크게 가변시킨다.
즉,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2차원 평면 공간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평면 공간의 중심점(O) 및 X축과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자석부가 X축 방향(즉, +X축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Y축 방향(즉, +Y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아이콘의 활성 영역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하지만, 자석부(1120)(즉, 작동부재(1130))가 축 방향만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 방향 즉, 축과 축 사이 공간으로도 이동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직접 인가받아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를 이동시키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및 Y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기준 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 범위(예를 들어 ± 45도 내외) 내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 해당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 범위를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위치에 따라 가변시켜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 전구간을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아이콘 활성 영역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2000)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일정 시간(5 내지 100msec)마다 포인팅 제어 수단(1100)으로 부터 출력된 복수의 센싱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매 20msec 마다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다. 물론 센싱 신호를 입력받는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싱 감도 및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반응 감도에 따라 상기 범위보다 더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공간을 분할하여 제 1 내지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정의한다. 여기서, 축 방향 이동 범위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공간을 분할 정의하고, 정의된 이동 범위 내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 이를 해당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 판단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즉, 축방향 이동 범위는 X축 방향 이동 범위(즉, +X과 -X축 방향 이동 범위), Y축 방향 이동 범위(즉, +Y과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분리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매개 부재(1140)가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 내를 이동하는 경우 매개 부재(1140)의 이동은 모두 +X축 방향 이동으로 판단한다.
먼저, 제 1 ±X축 및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의 정의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를 포함한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를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제 1 ±X축 및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를 제 1 X축 및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표기하였다. 물론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 그리고,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또한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표기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X-Y 2차원 공간에서 ±X축에 대하여 제 1X 각도(±θax)에 해당하는 범위 영역이고,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그 나머지 범위 영역을 지칭한다. 제 1 ±Y축 방향 범위는 ±Y축에 대하여 제 1Y 각도(±θay)에 해당하는 범위 영역이다. 여기서, X축과 Y축이 직교하기 때문에 θax와 θay의 합은 90도가 된다.
여기서 제 1X 각도(±θax)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각도는 ±10도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형상에 따라 그 이동 범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 1Y 각도(±θay)도 ±45도가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45도 선상(즉, 도 14의 기준선 A)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결정한다. 따라서,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X축을 기준으로 -45도 이상과 +45도 이하의 범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X축의 이동으로 판단한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Y축을 기준으로 -45도 초과와 +45도 미만의 범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Y축의 이동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전 이동 구간에서 축방향 이동 값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기 기준선들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Y축의 이동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X축을 0도라고 하면, 315도 이상 45도 이하의 범위를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45도 초과 135도 미만의 범위를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135도 이상 225도 이하의 범위를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225도 초과 315도 미만의 범위를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한다.
여기서, 제 1 X축 및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O)에서 최초 이동하는 경우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 2 X축 및 Y축 방향 이동 범위의 정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X축에 대하여 제 2X 각도(±θbx)에 해당하는 범위 영역이고,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Y축에 대하여 제 2Y 각도(±θby)에 해당하는 범위 영역이다. 여기서, X축과 Y축이 직교하기 때문에 θbx와 θby의 합은 90도가 된다.
여기서 제 2X 각도(±θbx)는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각도는 ±10도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형상에 따라 그 이동 범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 2Y 각도(±θby)는 ±30도가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1140)가 X축을 기준으로 ±60도 선상(즉, 도 15의 기준선 B)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결정한다. 따라서,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X축을 기준으로 -60도 이상과 +60도 이하의 범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X축 방향(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으로 판단한다.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Y축을 기준으로 -30도 초과와 +30도 미만의 범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Y축 방향(상측 또는 하측)의 이동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전 이동 구간에서 축방향 이동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축을 0도라고 하면, 30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를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60도 초과 120도 미만의 범위를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120도 이상 240도 이하의 범위를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240도 초과 300도 미만의 범위를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한다.
여기서, 제 2 X축 및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매개 부재(1140)의 최초 이동시 이동 결과가 X축 방향으로 결정된 이후 또는, 매개 부재(1140)가 Y축 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의 매개 부재(1140) 이동시 적용되는 이동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 3 X축 및 Y축 방향 이동 범위의 정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X축에 대하여 제 3X 각도(±θcx)에 해당하는 범위 영역이고,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Y축에 대하여 제 3Y 각도(±θcy)에 해당하는 범위 영역이다. 여기서, X축과 Y축이 직교하기 때문에 θcx와 θcy의 합은 90도가 된다.
여기서 제 3X 각도(±θcx)는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각도는 ±10도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형상에 따라 그 이동 범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 3Y 각도(±θcy)도 ±60도가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1140)가 X축을 기준으로 ±30도 선상(즉, 도 16의 기준선 C)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결정한다. 따라서,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X축을 기준으로 -30도 이상과 +30도 이하의 범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X축 방향(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으로 판단한다.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Y축을 기준으로 -60도 초과와 +60도 미만의 범위에서 매개 부재(11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Y축 방향(상측 또는 하측)의 이동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전 이동 구간에서 축방향 이동 값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개 부재(1140)가 상기 기준선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결정할 수도 있다.
+X축을 0도라고 하면, 330도 이상 30도 이하의 범위를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30도 초과 150도 미만의 범위를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150도 이상 210도 이하의 범위를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하고, 210도 초과 330도 미만의 범위를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한다.
여기서, 제 3 X축 및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매개 부재(1140)의 최초 이동시 이동 결과가 Y축 방향으로 결정된 이후 또는, 매개 부재(1140)가 X축 방향 이동 범위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의 매개 부재(1140) 이동시 적용되는 이동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공간을 분할하여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 및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보다 이동 범위가 큰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 및 상기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보다 이동 범위가 작은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보다 이동 범위가 작은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 및 상기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보다 이동 범위가 큰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를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방향 이동 범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적용하여 화면 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킨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매개 부재(1140) 이동에 따른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영역을 가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O)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X축 및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가 적용되어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O)에서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 내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가 새롭게 설정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O)에서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 내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가 새롭게 설정된다.
또한,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 내를 이동하던 매개 부재(1140)가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축 방향 이동 범위가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화되고,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 내를 이동하던 매개 부재(1140)가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축 방향 이동 범위가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O)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1 X축 및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설정된다. 이때,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에서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한 제 1 지점(B)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은 +X축 방향(즉,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 활성 영역의 우측에 위치한 아이콘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화된다.
또한,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에서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한 제 2 지점(C)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은 +Y축 방향(즉,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 활성 영역의 상측에 위치한 아이콘을 활성화한다. 그리도, 상기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화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 부재(1140)가 제 1 지점(B)에서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한 제 2 지점(C)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에서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화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 부재(1140)가 제 2 지점(C)에서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한 제 1 지점(B)으로 이동하는 경에는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에서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화된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최초 이동후 매개 부재(114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을 분할하는 축 방향 이동 범위를 가변시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매개 부재(1140)의 전체 이동 영역(즉, 이동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도 17의 흐름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의 흐름도에서는 매개 부재(1140)가 중심점 영역에서 이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의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출력인 복수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3000) 내의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영역을 ±X축 및 ±Y축 방향(즉,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센싱 신호를 인가 받는다.
따라서, 먼저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즉, 좌표)를 결정한다(S1110).
이때, 매개 부재(1140)의 위치 결정은 중심점(O)을 기준으로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 백터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이는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복수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4개의 센서가 X축과 Y축 상에 각기 2개씩 위치한다. 그리도, 센서의 센싱 신호의 출력은 매개 부재(1140)에 의해 이동하는 자석부(1120)에 따라 가변된다. 따라서, 센싱 신호의 출력값의 크기만으로도 매개 부재(1140)의 위치좌표를 알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이전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중심점(O)인지 판단한다(S1120).
만일, 이전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중심점(0)인 경우에는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 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1130). 판단결과,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1 ±X축 방향 이동 범위에 속하는 경우, 이전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이는 매개 부재(1140)의 이동 방향에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의미함)으로 이동시킨다(S1140). 그리고,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을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한다(S1150). 또한, 판단 결과,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1 ±Y축 방향 이동 범위에 속하는 경우, 이전 아이콘 활성 영역을 ±Y축 방향(이는 매개 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의미함)으로 이동시킨다(S1160). 그리고,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을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한다(S1170).
만일, 이전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중심점(O)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전 매개 부재(114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축방향 이동 범위 영역)이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 또는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180). 판단 결과, 이전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2 ±X축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인 경우,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인지 판단한다(S1190). 여기서,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인 경우에는 이전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축방향 이동 범위를 고정시킨다(S1200). 하지만,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인 경우에는 이전 아이콘 활성 영역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S1210),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을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한다(S1220). 또한 판단결과, 이전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이 제 3 ±X축 및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인 경우,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인지 판단한다(S1230). 여기서,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3 ±Y축 방향 이동 범위인 경우에는 이전 아이콘 활성 영역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축방향 이동 범위를 고정시킨다(S1240). 하지만, 현재 매개 부재(1140)의 위치가 제 3 ±X축 방향 이동 범위인 경우에는 이전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S1250), 매개 부재(1140)의 이동 영역을 제 2 ±X축 방향 이동 범위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한다(S126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은 2차원 평면의 한정된 공간을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아이콘 활성화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매개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복수의 축 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하고, 이전과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 상태(예를 들어, 위치 좌표)에 따라 상기 축 방향 이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른 축 방향 이동 범위를 가변시켜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화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축방향 이동 범위의 기준선 영역을 X축 또는 Y축으로 정의하여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 본체부 및 표시부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입력부의 일부 요소와 본체부의 일부요소가 결합되어 화면상의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인터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는 입력부의 일부 요소와 본체부의 일부 요소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의 경우는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본체부인 제어 칩(IC)에 위치(프로그램화)할 수 있고,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물론, 프로그램 코드 형태의 포인터 제어 모듈이 포인팅 제어 수단내에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터 제어 모듈에 인가된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 포인터(마우스 또는 커서)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석부 및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포인터가 화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면의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아이콘 상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활성화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않고, 포인터가 매개부재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화면의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사용자의 센서 조작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레벨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의 센싱 신호를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가중치값이 저장된 기준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의 가중치 값에 대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 값이 저장된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생성 저장하는 단계;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판단결과 최대값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 모드를 실행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소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전 센싱 신호의 판단 결과 최소값이 아닌 경우에는 계속 이동모드를 실행하고, 최소값인 경우에는 상기 이전 센싱 신호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구간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 모드는,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N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K 값에 1을 더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다시 한번 상기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상기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속 모드를 종료하며,
    판단 결과 N 값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상기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K 값에 1을 더하여 새로운 K를 생성하여, 다시한번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새로운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은 2, 3 및 4 중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N은 2 내지 15 중 하나의 자연수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속 이동 모드는,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현재 센서 신호와 이전 센서 신호 간의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P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을 0으로 하고, 상기 구간차가 P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는 2, 3 및 4 중 하나의 자연수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 자석부를 사용하고, 상기 자석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이 변화하고, 일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자석부의 초기 위치에서 자석부의 최대 이동 위치까지의 거리를 7개의 구간으로 분리하여 상기 센싱 신호의 출력 레벨을 7개의 구간으로 정의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자석부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초기 위치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즉, 일 최대 이동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 1 가중치 값들과, 상기 자석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 2 가중치 값들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가중치 값들은 양 및 음 중 하나의 값을 갖고, 상기 제 2 가중치 값들은 나머지 하나의 값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중치 값들의 절대값은 동일한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에 대응하여 그 가중치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 중 제 1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0이고, 제 2 내지 제 4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1이고, 제 5 내지 제 7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3이며,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 중 제 1 및 제 2 구간에서의 가중치가 0이고, 제 3 및 제 4 구간에서의 가중치가 1이고, 제 5 내지 제 7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각기 3, 4 및 7이고,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은 상기 센싱 신호의 7개의 구간 중 제 1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0이고, 제 2 내지 제 4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1이고, 제 5 내지 제 7 구간에서는 가중치가 각기 3, 4 및 7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9. 홈 형태의 이동 공간 내에 이동하는 자석의 움지임을 감지하여 다양한 레벨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수단; 및
    상기 센싱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의 센싱 신호를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와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에 각기 대응하는 다양한 가중치 값들이 저장된 기준 룩업 테이블 및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고,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와 이전에 인가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제어 모듈은,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인지 판단하여, 최대값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시간에 따라 가속시키는 가속 모드를 실행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소값인지 판단하여, 최소값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계속 이동모드를 실행하고,
    최소값인 경우에는 상기 이전 센싱 신호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구간 차이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1. 사용자의 센서 조작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레벨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각 구간의 센싱 신호를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포인팅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가중치값이 저장된 기준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0 내지 제 M 센싱 신호에 각기 대응하고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의 가중치 값에 대하여 각기 다른 가중치 값이 저장된 복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이 생성 저장된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현재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대값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판단결과 최대값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 모드를 실행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 인가된 센싱 신호가 최소값인지 판단하고,
    상기 이전 센싱 신호의 판단 결과 최소값이 아닌 경우에는 계속 이동모드를 실행하고, 최소값인 경우에는 상기 이전 센싱 신호와 상기 현재 센싱 신호의 구간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L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를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포인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속 모드는,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N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K 값에 1을 더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다시 한번 상기 최대값 지속 횟수인 K가 상기 N 값 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속 모드를 종료하며,
    판단 결과 N 값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상기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센싱 신호 이후에 새롭게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K 값에 1을 더하여 새로운 K를 생성하여, 다시한번 상기 기준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신호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새로운 K값에 대응하는 값 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계속 이동 모드는,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현재 센서 신호와 이전 센서 신호 간의 상기 구간차를 비교하여 구간차가 P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의 출력을 0으로 하고, 상기 구간차가 P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또 다른 하나의 가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갖는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4.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이 정의된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분할하고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동 범위의 선택은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한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큰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되,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2차원 이동을 하고, 상기 다수의 분할 영역은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분리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이동 공간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할 영역은 상기 중심점의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각기 위치하는 상측 분할 영역, 하측 분할 영역, 좌측 분할 영역 및 우측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또는 상기 우측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측 분할 영역, 사익 하측 분할 영역,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및 상기 우측 분할 영역은 각기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90도 각도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상측 분할 영역, 상기 하측 분할 영역,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및 상기 우측 분할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분할 영역은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100 내지 140도 각도로 확장되고, 상기 해당 분할 영역과 인접한 두 분할 영역은 상기 확장된 영역만큼 감소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18.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 축 방향 이동 영역 중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방향 이동 영역보다 그 범위를 크게 가변시키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하게 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의 경계에 있을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보다 커지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한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작은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아이콘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X축 방향 이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아이콘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매개 부재가 ±Y축 방향 이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아이콘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한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 보다 작은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분할 저장하고,
    이전 매개 부재의 위치가 중심점일 경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에 의해 결정하고,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가 ±X축 방향 이동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 매개 부재의 위치가 ±Y축 방향 이동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22.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의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X축에 대하여 -45도 이상과 +45도 이하의 범위 영역이고,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Y축에 대하여 -45도 초과와 +45도 미만의 범위 영역이고,
    상기 제 2 축 방향 이동 범위의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X축에 대하여 -60도 이상과 +60도 이하의 범위 영역이고,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Y축에 대하여 -30도 초과와 +30도 미만의 범위 영역이며,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의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X축에 대하여 -30도 이상과 +30도 이하의 범위 영역이고,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Y축에 대하여 -60도 초과와 +60도 미만의 범위 영역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을 0도로 할 경우,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315도 이상 45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45도 초과 135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X축 방향 이동 영역은 135도 이상 225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영역은 225도 초과 315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제 2 축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을 0도로 할 경우,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30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60도 초과 120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120도 이상 24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240도 초과 300도 미만의 범위이며,
    상기 제 3 축방향 이동 범위에서 +X축을 0도로 할 경우,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330도 이상 3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30도 초과 150도 미만의 범위이고, 상기 -X축 방향 이동 범위는 150도 이상 21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범위는 210도 초과 310도 미만의 범위인 전자 장치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24.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자석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수단;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이동 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자석부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이 정의된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분할하고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하고, 상기 자석부의 이동 좌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분할 영역은 상기 자석부 이동 공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각기 위치하는 상측 분할 영역, 하측 분할 영역, 좌측 분할 영역 및 우측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자석부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각기 동일한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상기 자석부가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석부가 위치한 분할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큰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상기 자석부가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좌측 분할 영역 또는 상기 우측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전자 장치.
  26.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자석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수단;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이동 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자석부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 축 방향 이동 영역 중 상기 자석부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방향 이동 영역보다 그 범위를 크게 가변시키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가 중심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이 동일하게 되고,
    상기 자석부가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의 경계에 있을 경우,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Y 축 방향 이동 영역보다 커지는 전자 장치.
  28.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 이동 방향이 정의된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분할하고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로 저장하고,
    상기 매개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 이동 범위 중 하나의 기준 이동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포인팅 장치.
  29. X축과 Y축을 갖는 2차원 평면의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매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을 이동시키는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상기 아이콘 활성 영역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축 방향 이동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X 축 방향 이동 영역과 ±Y 축 방향 이동 영역 중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는 축 방향 이동 영역이 상기 매개 부재가 위치하지 않는 축방향 이동 영역보다 그 범위를 크게 가변시켜 화면상의 아이콘 활성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포인팅 장치.
PCT/KR2009/001397 2008-03-20 2009-03-19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WO2009116813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33,663 US20110134029A1 (en) 2008-03-20 2009-03-19 Electronic device and a pointer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200980117856.4A CN102037429A (zh) 2008-03-20 2009-03-19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指针移动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956 2008-03-20
KR1020080025956A KR100931070B1 (ko) 2008-03-20 2008-03-20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KR10-2008-0034180 2008-04-14
KR1020080034180A KR100931071B1 (ko) 2008-04-14 2008-04-14 전자 장치 및 이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6813A2 true WO2009116813A2 (ko) 2009-09-24
WO2009116813A3 WO2009116813A3 (ko) 2009-12-23

Family

ID=4109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397 WO2009116813A2 (ko) 2008-03-20 2009-03-19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34029A1 (ko)
CN (1) CN102037429A (ko)
TW (1) TW200945119A (ko)
WO (1) WO200911681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0964A (zh) * 2011-12-27 2012-06-27 北京神州泰岳软件股份有限公司 客户端界面上的应用图标管理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45B1 (ko) * 2007-10-1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EP2407860A4 (en) * 2009-03-11 2013-01-09 Innochips Technology Co Ltd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BR112012002790A8 (pt) * 2009-08-10 2017-10-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istema para movimentar um cursor, método para movimentar um cursor, programa de computador, mídia para armazenagem de dados e dispositivo médico
US9292161B2 (en) * 2010-03-24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US8704783B2 (en) 2010-03-24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Easy word selection and selection ahead of finger
US9317196B2 (en) 2011-08-10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TWI598773B (zh) * 2012-03-01 2017-09-11 A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cursor moving speed
CN103309489B (zh) * 2012-03-12 2016-07-06 硕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改变移动速度的触控输入装置与方法
TWI502471B (zh) 2012-12-04 2015-10-01 Wistron Corp 游標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CN110945462B (zh) * 2017-07-21 2023-06-09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输入装置、输入装置控制方法以及控制程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4914A (ja) * 1995-02-28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ソル制御装置及びカーソル制御方法
KR20050005072A (ko) * 2003-07-0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가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커서 이동 속도제어방법
KR20070053522A (ko) * 2005-11-21 2007-05-25 주식회사 애트랩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광 포인팅 장치
KR20070096547A (ko) * 2006-03-27 2007-10-02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터치 포인터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7748A (en) * 1995-11-20 1999-03-02 Redlich; Sanford I. Computer control input interface system
JP4408862B2 (ja) * 2003-01-20 2010-02-03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4914A (ja) * 1995-02-28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ソル制御装置及びカーソル制御方法
KR20050005072A (ko) * 2003-07-0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가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커서 이동 속도제어방법
KR20070053522A (ko) * 2005-11-21 2007-05-25 주식회사 애트랩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광 포인팅 장치
KR20070096547A (ko) * 2006-03-27 2007-10-02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터치 포인터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0964A (zh) * 2011-12-27 2012-06-27 北京神州泰岳软件股份有限公司 客户端界面上的应用图标管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6813A3 (ko) 2009-12-23
TW200945119A (en) 2009-11-01
US20110134029A1 (en) 2011-06-09
CN102037429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16813A2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WO2015076547A1 (ko) 가상 키보드를 모바일 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EP3342143A1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WO2013191484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80013A1 (zh) 一种终端的触摸操作方法及装置
WO2020017743A1 (ko) 디스플레이 상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WO2022055255A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19039702A1 (en) COVE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VER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WO2022055322A1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WO2016195197A1 (en) P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221421A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124561A1 (ko)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1071301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09134040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thereof
WO2024043440A1 (ko)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018116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114885A1 (ko) 스타일러스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을 받는 전자 장치
WO2022119055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086071A1 (ko) 전자 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WO2022158866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자 펜 포인터 표시 방법
WO2024035069A1 (ko)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위한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23146077A1 (ko) 가상 키보드 상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의도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2186538A1 (ko)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인식 방법
WO2022240196A1 (ko) 장치들 간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2119231A1 (ko) 키 활성 영역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17856.4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220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933663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220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