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700915A - A STENCIL FOR MAKING DRAWINGS WITH OBTENTION OF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FOR USING IT - Google Patents

A STENCIL FOR MAKING DRAWINGS WITH OBTENTION OF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FOR USING IT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700915A
KR980700915A KR1019970704369A KR19970704369A KR980700915A KR 980700915 A KR980700915 A KR 980700915A KR 1019970704369 A KR1019970704369 A KR 1019970704369A KR 19970704369 A KR19970704369 A KR 19970704369A KR 980700915 A KR980700915 A KR 980700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cil
virtual
interval
point
depth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우리시오 아라우조 드 소우사
Original Assignee
마우리시오 아라우조 드 소우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우리시오 아라우조 드 소우사 filed Critical 마우리시오 아라우조 드 소우사
Priority claimed from PCT/BR1996/000001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20838A1/en
Publication of KR98070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700915A/en

Link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깊이효과를 주는 도안 및/또는 다른 캐릭터를 제조하는 스텐실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스텐실은 그안에 글자(2) 및/또는 그래픽성분(3) 및/또는 전체 또는 일부 미리 형성된 절취된 그림(4)을 갖춘 임의의 형상의 바닥재로 구성되고, 이 절취성분은 소정 표면에 그림을 재생하기위한 몰드와 패턴으로 사용되며, 상기한 바닥재(1)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간격(m)의 표시를 구비하는데, 0에서 1사이의 간격은 1에서 2사이의 간격보다는 작고, 1에서 2사이의 간격은 2에서 3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되는 식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cil for producing a design and/or other character giving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said stencil comprising therein a letter (2) and/or a graphic component (3) and/or a whole or some preformed flooring material with cut-out figures (4) of any shape, which cut-out components are used as molds and patterns for reproducing drawings on a given surface, said flooring material (1) gradually in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0 and 1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1 and 2, the interval between 1 and 2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2 and 3, and so on.

Description

가상-깊이 효과를 갖는 도안을 제조하는 스텐실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Stencils for making designs with virtual-depth effects and how to use them.

본 발명은 가상-깊이 효과를 갖는 그림 및/또는 다른 캐릭터를 제조하는 스텐실과 이 스텐실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encils for producing drawings and/or other characters with virtual-depth effe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tencils.

더욱이 본 발명은 가상-깊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연재만화 캐릭터의 그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것이다.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roducing a picture of a comic strip character capable of obtaining a virtual-depth effect.

사람의 두눈에서 기록된 화면이 뇌에서 모여질 때 공간내에 상이한 깊이의 존재가 인지되는 바, 상기한 화면들은 서로 사소한 차이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차이가 관찰점에 대한 물체의 차이를 결정하게 된다.When the images recorded from the human eyes are gathered in the brain, the existence of different depths in space is recognized, and the above images have minor differences from each other.

서로 상이한 거리로 수평선상에 놓인 유사한 그림들과 지면의 앞 또는 후부에 초점을 놓고 관찰하면 깊이의 차이를 갖는 듯한 인상을 준다.Similar paintings placed on the horizon at different distances and observing with focus on the front or rear of the ground give the impression of having a difference in depth.

지면을 지나 초점을 더 진행시켜 본다면 그림 사이에 큰 거리가 가깝게 보이고, 초점을 지면의 앞에 놓고 본다면 반대의 현상이 벌어지게 된다.If you move the focus further past the ground, the large distance between the pictures will appear close, and if you put the focus in front of the ground, the opposite phenomenon will occur.

첫 번째로 기술한 과정은 즉 지면을 넘어선 초점으로 볼 때에는 ″평행″가시 형태라고 불리 우는데, 이는 뇌에서 2개의 화상을 단일한 화상으로 결정하기 전까지 좌측의 그림은 좌측눈으로 보고 우측의 그림은 우측눈으로 (두눈의 가시 축들은 거의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보는것에 기인하는 건이다.The first described process is called a “parallel” view when viewed with a focal point beyond the ground, which means that the image on the left is viewed with the left eye and the image on the right is viewed with the left eye until the brain determines the two images as a single image. This is due to looking with the right eye (while keeping the visual axes of both eyes almost parallel to each other).

다른 과정은 즉 지면의 앞에서 초점을 놓고 보는 것은 우측 화면은 좌측 눈으로 좌측화면은 우측눈으로 보게되는데, 이는 두눈의 가시 축들이 교차하여 두화상이 겹쳐지기 전까지 이루어진다.In the other process, that is, focusing on the front of the ground and viewing the right screen with the left eye and the left screen with the right eye, this is done until the visual axes of the two eyes intersect and the two images overlap.

상이한 2개의 가시모드는 가능한 초점들이 다양하게 위치하는 변형을 제공하게 된다.The two different viewing modes provide a variant in which the possible focal points are located in various places.

상이한 가시축을 ″개방″하는 것보다 가시축을 ″교차″하는(눈을 교차)하는 건이 더욱 수월한데, 코끝은 볼 수있지만,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면 두눈 사이에 거리보다 큰 거리에 있는 2개의 물질을 동시에 쳐다볼 수 없다. 이는 ″평행″가시형태를 위한 특별한 결과를 취할 수 있는 한계를 결정하게 되는데, 그림사이의 거리가 눈을 분리시키는 거리보다 크지 않게 되어야 한다.It is easier to 'cross' the visible axes (intersecting the eyes) than to 'open' the different visible axes, where the tip of the nose can be seen, but if not far apart, two substances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can be used simultaneously. can't look This sets the limit at which it can take special results for ″parallel″ visual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pictures should not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that separates the eyes.

그리고 눈과 지면 사이의 평균거리는 약 25cm이므로, 화면들사이의 거리는 45m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인데 이는 이러한 가상-깊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평균으로부터 시작하여 입체효과를 얻기위해서는 종이를 눈으로부터 멀리 이동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And since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ground is about 25 cm, it is ideal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s does not exceed 45 mm. because you have to do it

서로 상이한 거리를 갖도록 나란히 정렬된 동일한 그림들은 전술한 과정등 하나로 보게 되면 조금 수정된 그림들이 상이한 결과를 창출하면서 깊이가 상이한 평면에 놓인 듯한 인상을 주게 되는데, 예컨대 2개의 삼각형을 좌측의 삼각형은 등변삼각형으로, 우측의 삼각형은 동일 높이를 갖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그리면, 평행가시과정을 사용하여 가상 삼각형의 우측(2개사이에 형성된)은 좌측보다 가깝게 보이고, 위치를 바꾸면 효과가 역으로 된다.When the same figures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have different distances from each other are viewed as a single process, such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slightly modified figures create different results and give the impression of being placed on a plane with different depths. With a triangle, if the right triangle is drawn as an isosceles triangle with the same height, the right side of the imaginary triangle (formed between the two) appears closer than the left side using the parallel visibility process, and changing the position reverses the effect.

상기한 개념에 부가하여 깊이의 인식은 두눈에서 기록된 화면이 서로 섞이게 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바, 각각의 눈이 상이한 공간적인 위치를 차지하므로 화면이 달라져 보이게 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cep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image recorded from both eyes is mixed with each other for the perception of depth, and since each eye occupies a different spatial position, the screen looks different.

일반적으로 몇몇 방식으로 깊이의 인식이 가능한 바, 예컨대 나란히 놓여진 2개 이상의 도면으로부터 뇌를 ″속이는″것이 그것이다.In general, perception of depth is possible in some way, eg to "trick" the brain from two or more drawings placed side by side.

상기한 효과를 위한 관찰의 기본적인 2가지 방법은 두눈의 가시 축들을 수렴(″평행″모드)하면서 초점을 지면을 지나 위치시키거나 가시축을 발산(″교차″모드)하면서 지면의 앞에 초점을 놓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2개의 형태는 가능한 초점의 위치가 다양한 변형을 제공하는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모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다른 모 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반대된다. 만약 ″평행″모드에서 화면이 가깝게 보였다면 ″교차″모드에서는 더욱 멀어져 보이게 된다.The two basic methods of observation for the above effect are to place the focus past the ground while converging the visual axes of both eyes (″parallel″ mode), or to focus on the front of the ground while diverging the visible axes (″intersecting″ mode). There is this. The above two forms provide variations in the position of the possible focal points, and in general, the effect obtained in one mode is opposite to the effect obtained in the other mode. If the screen looks closer in ″parallel″ mode, it looks farther away in ″crossover″ mode.

나란히 정렬된 동일한 화면은 서로간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표면에서 상이 맺혀질 수 있는데, ″평행″모드의 가시상태에서는 거리가 더욱 작아지면서 화면이 근접되게 보일 것이고, ″교차″모드에서는 반대상태가 이루어진다.The same screens arranged side by side can be imaged on different surface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visible state of ″parallel″ mode, the screens will appear closer as the distance becomes smaller, and in the ″crossover″ mode, the opposite status is achieved.

나란히 놓인 유사한 화면(서로간에 미세한 차이가 있는)은 이들 화상이 다른 정렬의 하부나 상부에 있다면 서로 약간의 ,차이를 갖게 되는 평면으로 나뉘어지지 않는 연속적인 깊이를 갖는 인상을 주게 된다.Similar screens placed side by side (with subtle differences from each other) give the impression of having a continuous depth that is not divided into planes that will differ slightly from each other if these images are below or above different alignments.

본 발명에 따른 스텐실을 첨부한 도면을 창조로 상술하는 바,The drawings accompanying the st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ailed by creation,

도 1은 가능한 2개의 가시초점을 도시하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wo possible visual foci;

도 2a와 도 2b는 가상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개략도,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for obtaining a virtual image;

도 3a와 도 3b는 나란히 도시된 이등변 삼각형(우측)으로부터 본 이미지의 차이를 얻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3A and 3B are plan views showing an example of obtaining a difference in images viewed from an isosceles triangle (right) shown side by si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실 모델을 도시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stencil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스텐실로 제조한 도면을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view made with the stencil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텐실을 도시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stenc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스텐실을 사용하여 제조한 도면을 도시한 평면도.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iew manufactured using the stencil shown in FIG. 6;

도 1에는 서로 상이한 거리로 수평으로 배치된 유사한 그림을 도시한 것으로, 선(3)은 제 1초점선을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그림은 연속적으로 ″매치″되고, 선(b)은'제 2초점선을 나타내며, 여기서 그림은 상이하게 ″매치″된다.Fig. 1 shows a similar figure placed horizontally at different distances from each other, where line (3) represents the first focal line, where the figures are successively ″matched″ and line (b) is the 'second focal line. , where the pictures are ″matched″ differently.

도 2a와 도 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림을 보는 2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이다. 여기서 ″평행″한 가시 모드에 따른 평면(P) 뒤 또는 ″교차″가시모드에 따른 평면(P) 앞에서 가상 이미지(V.Ⅰ.)의 형성을 볼 수 있다.2A and 2B are results obtained by the two methods of viewing a picture as described above. Here we can see the formation of the virtual image (V.I.) behind the plane (P) according to the ″parallel″ view mode or in front of the plane (P) according to the ″intersecting″ view mode.

도 3a와 도 3b는 약간 수정된 도면으로부터 상이한 결과를 얻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 3a에서 평행모드의 가시에 의해 가상이미지(나타난 제 3의 삼각형)로 삼각형의 우측이 가까워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보았을 보았을 때 반대현상이 벌어지는데, 즉 우측면이 가까워보인다.3A and 3B show that different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slightly modified drawing. In FIG. 3A, it can be seen that the right side of the triangle appears close to the virtual image (the third triangle that appears) due to the parallel mode visibility. And when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the opposite phenomenon occurs, that is, the right side appears closer.

도 4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형태로 가시되어질 도면을 제조하는 스텐실의 2가지 예를 도시한 것으로, 임의의 형태의 바닥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 글자(2) 및/또는 그래픽성분(3) 및/또는 전부 또는 일부 미리 형성된 그림(4)이 그 안에 절취되어진 플라스틱이나 다른 적절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여기서 종이나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표면상에 도면(그림 또는 이와 유사한것)을 재생하는 몰드 또는 패턴으로 사용된다.4 and 6 show two examples of a stencil for manufacturing a drawing to be viewed in a virtual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ny type of flooring material, preferably a letter 2 and/or a graphic component. (3) and/or all or part of a preformed figure (4) formed of plastic or other suitable material cut therein, wherein the drawing (figure or the like) is reproduced on a surface such as paper or the like used as a mold or pattern.

상이한 깊이(가상이미지)의 평면상에 있는것처럼 가시될 수 있는 도면의 조합을 위해서는 바닥재(1)가 점진적인 간격(m)을 만들어야 하고, 0에서 1사이의 간격은 1에서 2사이 보다는 크고 2에서 3사이 보다는 작게 되는 등이다.For a combination of drawings that can be viewed as being on a plane of different depths (virtual images), the flooring 1 must make a gradual gap (m), and the distance between 0 and 1 is greater than between 1 and 2 and at 2 less than 3, and so on.

바닥에 표시(m)를 함으로써 도면이 그려진 표면의 외부(그 앞이나 후부)에 초점을 놓고 보았을 때 깊이를 갖는 인상을 초래하는 소정거리로 수평하게 도면(글자, 캐릭터, 사인, 그림등)을 반복적으로 정렬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한 초점은 도안표면을 지나 위치할때는 그림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고, 더 가깝게 보여지며, 초점이 앞에 위치할 때에는 반대 현상이 이루어진다.By making a mark (m) on the floor, the drawing (letters, characters, signs, pictures, etc.)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align, where the above-mentioned focus is positioned beyond the surface of the design, the spacing between the figures is smaller and closer, and the opposite occurs when the focus is positioned in front.

본 발명에 따른 스텐실에 적용된 패턴에 따라 작은 간격이 그림사이에 더 큰 깊이차를 초래하게 된다.Depending on the pattern applied to the st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gap will result in a larger depth difference between the figures.

본 발명에 따른 스텐실을 사용하는 기본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basic method of using the st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정렬을 위해 바닥으로 사용되는 수평 직선을 그린다.(a) Draw a horizontal straight line used as the floor for alignment.

(b)그림을 위치시키고 지면에 옮기며, 지점을 표시한다. (예컨대 지점 5)(b) Place the figure, move it to the ground, and mark the point. (eg point 5)

(c)표시된 점이 다음과 일치할 때까지 이 경우에는 스텐실의 지점 4까지 스텐실을 우측으로 이동한다.(c) Move the stencil to the right up to point 4 of the stencil in this case until the marked point coincides with

(d)그림을 새로운 위치로 이전하는데, 원하는 만큼 이를 반복한다(d) move the picture to a new location, repeating this as many times as you want

(e)만약 지점 0까지 이동하고자 한다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감소하는 간격으로 6개의 그림을 그리게 된다.(e) If we want to move to point 0, we draw 6 pictures with decreasing intervals from left to right.

우측에 있는 그림을 지면을 지나 초점을 위치시켜 보면, 가깝게 보이고, 좌측에 있는 그림은 점점 멀어지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그리고 동일한 평면상에 그림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반복하면서 일정한 거리로 유지해주면 된다. 상기한 경우에 도안을 옮기면서 지점을 표시하며 다음 점이 표시된 점에 일치할 때 까지 스텐실을 수평하게 이동시키며, 다시 처음지점을 표시하고 새로운 위치로 도안을 옮기며 이러한 작업을 필요에 따라 반복하게 된다. 항상 새로 생성하는 선들은 수평정열을 유지해야만 한다.If you focus the picture on the right past the ground, it looks closer, and the picture on the left looks like it's getting farther away. And in order to keep the pictures on the same plane, it is enough to keep them at a constant distance while repeating the same interval between them. In the above case, the point is marked while moving the design, the stencil is moved horizontally until the next point coincides with the marked point, the first point is marked again, the design is moved to a new location, and this operation is repeated as necessary. Newly created lines must always maintain horizontal alignment.

캐릭터의 경우에는 간격(0 - 1, 1 - 2, 2 - 3 등)에 부가하여 바닥재에 작은 표시(m')가 도안의 특정부 예컨대 눈, 코, 귀등의 이동을 위한 패턴으로 사용되어 지는데, 이 경우에 먼저 원하는 그림의 상기한 부분들을 그려서 일정한 평면상에 유지하면서 간격의 표시를 하고, 이후 작은 척도들을 근간으로 점진적으로 가깝게 또는 멀리 부재를 이동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spacing (0 - 1, 1 - 2, 2 - 3, etc.), a small mark (m') on the flooring is used as a pattern for moving specific parts of the design, such as eyes, nose, ears, etc. , in this case, first, the above parts of the desired figure are drawn to indicate the spacing while maintaining it on a constant plane, and then the member is moved closer or farther gradually based on small scales.

가상 깊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도면의 일예들 즉 문자, 사인, 캐릭터 및 연재만화 캐랙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텐실을 사용하여 창출되어질 수 있는 도안들이 도 5와 도 7에 게재되어 있다.Examples of drawings that can achieve a virtual depth-effect, that is, designs that can be created using the stenci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characters, signs, characters, and comic strip characters are shown in FIGS. 5 and 7 .

동일한 그림이 반복되는 장면에서 사용된 거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예컨대 20mm의 거리로 수평선내에서 반복된 하나에 15mm폭의 그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간이 30mm의 그림들 사이에 척도의 패턴으로 다른 선에 근접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도의 패턴이 2배인 즉 40mm인 다른 선에 근접할 때와는 상이한 특정 깊이효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에 2개의 선들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공동의 가능한 20mm와 30mm 사이의 초점이 그림이 바로 옆에 위치한 그림과 ″매치″될 매 소정거리에 생기는 반면에 20mm 거리의 그림들이 이와는 다르게 즉 초점에 들어오기위해 40mm인 것과 같이 동일한 지점에 ″매치″되는 것에 기인한다.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istances used in the scene where the same picture is repeated, for example, a 15mm wide picture for one repeated within a horizontal line with a distance of 20mm is a pattern of scale between the pictures of simple 30mm as shown in FIG. Proximity to the other line results in a different specific depth effect than when approaching another line whose scale pattern is doubled, i.e. 40 mm, as shown in Fig. 9. In this case, the two lines are on the same plane. appears to be positioned, this difference is that a common possible focal point between 20mm and 30mm occurs at every given distance at which the picture will "match" the picture immediately next to it, whereas pictures at a distance of 20mm do this differently, i.e. 40mm to come into focus. Due to being 'matched' to the same point as .

Claims (3)

글자(2) 및/또는 그래픽 성부(3) 및/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미리 형성된 절취부(4)를 구비한 임의의 형태의 바닥재(1)로 구성되고, 이 절취부는 소정표면상에 그림을 재생하기위한 몰드와 패턴이고, 바닥재(1)는 점차 증가하는 간격의 표시를 구비하는 바, 즉 0과 1사이의 간격은 1과 2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1과 2사이의 간격은 2와 3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되는 식으로 형성되는 가상-깊이 효과를 주는 도안을 제조하는 스텐실.It consists of a flooring material (1) of any shape (1) having letters (2) and/or graphic parts (3) and/or preformed cut-outs (4) wholly or partly formed in advance, these cut-outs being drawn on a surface. It is a mold and pattern to reproduce, and the flooring 1 is provided with gradually increasing intervals, that is, the interval between 0 and 1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1 and 2 and the interval between 1 and 2 is 2 and 3 A stencil that produces a design that gives a virtual-depth effect that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become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닥재(1)에 주된 그림의 일부의 이동을 위한 패턴으로 사용되는 작은 표시(m')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깊이 효과를 주는 도안을 제조하는 스텐실.The stencil for producing a design giving a virtual-depth effec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oring (1) is provided with small marks (m') used as a pattern for the movement of a part of the main picture. 정렬을 위한 바닥으로 사용되는 수평직선을 그리고, 그림을 위치시키고 지점을 표시(예컨대 지점 5)하면서 지면에 그림을 옮기며, 표시된 지점이 다음건파 즉 스텐실의 지점 4와 일치할 때까지 우측으로 스텐실을 이동시키고, 새로운 위치에 그림을 옮기고 이 작업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는 단계로 구성된 제 1항 내지 제 2항에 기술한 것에 따른 스텐실을 제조하는 방법.Draw a horizontal straight line to be used as the floor for alignment, position the figure and move the figure to the ground while marking the points (e.g. point 5), and then slide the stencil to the right until the marked point coincides with the next tendon wave, point 4 of the stenci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cil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the steps of moving, moving the picture to a new location and repeating this operation as many times as desired.
KR1019970704369A 1995-01-05 1996-01-04 A STENCIL FOR MAKING DRAWINGS WITH OBTENTION OF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FOR USING IT KR98070091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9500111-5 1995-01-05
BRPI9500111 1995-01-05
PCT/BR1996/000001 WO1996020838A1 (en) 1995-01-05 1996-01-04 A stencil for making drawings with obtention of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for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700915A true KR980700915A (en) 1998-04-30

Family

ID=6617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369A KR980700915A (en) 1995-01-05 1996-01-04 A STENCIL FOR MAKING DRAWINGS WITH OBTENTION OF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FOR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7009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2898T2 (en) Method for three-dimensional facial model production from facial images
DE102014013677B4 (en) Method for optically scanning and measuring an environment with a handheld scanner and subdivided display
Collett Extrapolating and interpolating surfaces in depth
EP1744282A3 (en) Hierarchical image-based representation of still and animated three-dimensional object,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is representation for the object rendering
JPH06139334A (en) Random dot stereograph and its generating method
US4158481A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a two-dimensional drawing
Dollner et al. Real-time expressive rendering of city models
CN109591297A (en) A kind of 3D printing method and system of customized threedimensional model appearance
KR980700915A (en) A STENCIL FOR MAKING DRAWINGS WITH OBTENTION OF A VIRTUAL-DEPTH EFFECT AND A METHOD FOR USING IT
RU2152879C2 (en) Tem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patterns and reaching virtual depth effect
CN109376441B (en) A kind of surface subsidence grating stereo figure production method
DE60030401T2 (en) Display techniques for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Cunningham et al. The dynamic specification of surfaces and boundaries
Hochberg The perception of pictorial representations
Cantor A semiotic model of visual perception
EP0149635B1 (en) Kinetic advertising board
JPH05247775A (en) Formation of original drawing of design
CN110458927A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picture is generated to three-dimensional house type model automatically
FI79629B (en) KINETISK REKLAMTAVLA.
MXPA97004981A (en) Clise for the development of drawings with the obtaining of an effect of virtual depth and a method for the utilization of the
KR950001006A (en) Apparatus for making a frame for dyeing clothes
Carr Visionary Syntax: Nontyrannical Coherence in Blake's Visual Art
Idesawa et al. Occlusion cues and sustaining cues in 3D illusory object perception with binocular viewing
Tonnhofer et al. Autostereograms-Classification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GR20190100098A (en) 3-d drawing adhered on the front of magnetic or metal pl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