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3233A -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in a facsimile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in a facsimil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13233A KR980013233A KR1019960028582A KR19960028582A KR980013233A KR 980013233 A KR980013233 A KR 980013233A KR 1019960028582 A KR1019960028582 A KR 1019960028582A KR 19960028582 A KR19960028582 A KR 19960028582A KR 980013233 A KR980013233 A KR 9800132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recording
- voice
- voice data
- b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316 response fun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02953 Aphonia Disease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153282 Theop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음성데이타를 기록지에 기록하여 재생하는 기술이다.end.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cording voice data on a recording sheet and reproducing the voice data in a facsimile hav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 팩시밀리의 자동응답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의 용량의 한계로 인해 음성데이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음성데이타를 기록용지에 기록한 후 재생한다.I.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voice data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apacity of the memory provided in the automatic answering device of the facsimile machine, the voice data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paper and then reproduced.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압축한 후 상기 압축한 음성데이타를 기록용지에 미리 설정된 형태로 프린트하고, 미리 설정된 기록 형태로 기록용지에 프린트된 데이타를 스캐닝하고, 상기 스태닝한 화상데이타를 수직기울림을 보상하며, 상기 수직기울림을 보상한 데이타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음성합성하여 음성신호로 재생한다.All. SUMMARY OF THE INVENTION A key poin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is to convert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 telephone line into a digital signal and compress it, print the compressed voice data on a recording paper in a predetermined form, Data is scanned, the stunning image data is compensated for vertical ringing, and the compensated data of the vertical ringing is converted into voice data, and voice synthesis is performed to reproduce the voice signal.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자동응답기능을 가지는 팩시밀리장치에 적용한다.la. An important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is applied to a facsimile machine hav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팩시밀리 시스템에서 음성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음성데이타를 기록지에 기록하고, 기록한 음성데이타를 스캐닝하여 재생하는 음성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data in a facsimil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udio data on a recording medium in a facsimile hav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nd scanning and reproducing recorded audio data.
통상적으로 팩시밀리장치는 각종 문서와 사진 등을 전화선로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상대방에게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사무자동화기기이다. 사무자동화기기는 산업의 발달 및 정보의 다양화에 따라 단순한 한 가지의 기능 뿐만이 아닌 복합 사무기기로서의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기능의 요구는 자동응답기능 뿐만 아니라 퍼스널컴퓨터의 프린터기능 등이 포함된 복합사무기기로서 팩시밀리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A facsimile apparatus is an office automation apparatus that can transmit or receive various documents and photographs to a remote party using a telephone line. The office automation equipment is required to have various functions as a complex office device as well as a simple func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information diversification. The demand for such a complex function is a tendency that a facsimile system is being developed as a complex office equipment includ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s well as a printer function of a personal computer.
자동응답장치는 음성신호의 기록매체로써 자기테이프를 이용한 아날로그 자동응답장치와 DRAM(Direct Random Access Memory)이나 ARAM(Audio Random Access Memory)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디지탈 자동응답장치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The automatic answering device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n analog automatic answering device using a magnetic tape and a digital automatic answering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a DRAM (Direct Random Access Memory) or an ARAM (Audio Random Access Memory) .
최근 들어 반도체 메모리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독출하기가 용이한 자동응답장치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자동응답장치는 반도체 부품가격 등으로 인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기록된 데이타가 유실되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주로 사용함에 따라 데이타의 보존에 대한 시간적인 제한과 많은 양의 데이타를 보존하기에는 기억소자의 기억용량이 한계가 있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n automatic response device has been developed which facilitates recording or reading data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memories. Conventionally, an automatic answering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memory uses a volatile memory device in which recorded data is lost if power is not supplied due to a price of a semiconductor part, so that the time limitation for data storage and the storage of a large amount of data The memory capacity of the memory element is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팩시밀리장치에서 음성데이타를 기록용지에 기록하여 재생하는 음성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dio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data on recording paper in a facsimile apparatu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팩시밀리장치에서 음성데이타를 기록용지에 프린트하여 기록용지를 보조기억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음성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data in which a facsimile apparatus can print audio data on recording paper and use the recording paper as auxiliary storage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장치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acsimile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팩시밀리시스템에서의 화상재생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reproduction area in a facsimile system;
도 3은 팩시밀리시스템에서 A4 크기의 기록지에 대한 기록영역을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cording area for an A4 size recording sheet in a facsimile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정보기록 영역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formation record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 기록 포맷도.FIG. 5 is a format of voice data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의 구체적 기록 포맷도.6 is a specific recording format of voi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용지에 프린트된 음성데이타 예시도.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voice data printed on a recording shee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를 기록지용에 기록하는 제어흐름도.8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ording voice data for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용지에 프린트된 음성데이타를 재생하는 제어흐름도.9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producing voice data printed on recording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화상 기울림 보상 서브루틴의 흐름도.10 is a flow diagram of a vertical screen echo compensation subrout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 복원 서브루틴 흐름도.11 is a flowchart of a speech data restoration subrout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오차 보상 서브루틴 흐름도.12 is a flowchart of a horizontal error compensation subrout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평오차 보상 서브루틴의 흐름도.13 is a flow diagram of a dual horizontal error compensation subrout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CPU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기록용지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며, 기록용지로부터 스캐닝한 음성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2는 음성데이타 및 음성데이타를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OPE(OPERATING PANNEL)14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이 키의 압압에 다른 키데이타를 CPU10로 인가하고, 상기 CPU10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스캐너16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원고에 대한 화상을 2치화 정보로 변환하여 CPU10로 인가한다. 모뎀18은 상기 CPU10의 제어를 받아 송출 데이타를 아나로그 변조 출력하고, 아나로그 수신 데이타를 복조 출력한다. NCU(Network Control Unit)20는 상기 CPI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전화라인의 통화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모뎀18의 신호와 상기 전화라인의 신호를 인터페이싱 한다. 프린터22는 CPU10의 제어에 의해 기록지에 화상데이타를 프린팅한다. 코덱24는 NCU20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처리부26으로 추력하고, 디지탈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NCU20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증폭부28은 코덱24로부터 아날로그신호 변환된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30으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26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들어 DSP사의 D6375A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CPU10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12에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세지를 음성합성하여 코덱24로 출력하고, 상기 코덱24로부터 디지탈 변환된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메모리12에 저장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acsimile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U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acsimile according to the set program, controls to record the received voice signal on the recording paper, and controls to reproduce the voice signal scanned from the recording paper. The memory 12 stores a progra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and voice data, and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The OPE (OPERATING PANEL) 14 has a plurality of keys, and applies different key data to the pressing of this key, and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 [ The scanner 16 scans the original, converts the image of the original into binarized information, and applies the binarized information to the CPU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 the modem 18 analog-modulates the transmission data and demodulates and outputs the analog reception data. An NCU (Network Control Unit) 2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I 10 to form a call loop of the telephone line and to interface the signal of the modem 18 with the signal of the telephone line. The printer 22 prints image data on a recording sheet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 [ The codec 24 converts the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NCU 20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voice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26,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voice signal to the NCU 20. The audio amplifier 28 amplifies the audio signal converted from the analog signal from the codec 24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the amplified audio signal to the speaker 30. The voice processing unit 26 is implemented by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can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D6375A of DSP. The voice processing unit 26 synthesizes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12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 , And compresses the digitized voice signal from the codec 24 and stores the compressed voice signal in the memory 12.
도 2는 팩시밀리시스템에서의 화상재생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reproduction area in a facsimile system.
도 3은 팩시밀리시스템에서 A4 크기의 기록지에 대한 기록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cording area for an A4 size recording paper in a facsimile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정보기록 영역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formation record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 기록 포맷도이다. a는 데이타라인, b는 라인 간 여백, c는 좌측 여백, d는 시작 비트, e는 데이타비트, f는 종료비트(패리티비트), g는 우측 여백이다.5 is a view showing a format of voice data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data line, b is a margin between lines, c is a left margin, d is a start bit, e is a data bit, f is a stop bit (parity bit), and g is a right margi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의 구체적 기록 포맷도이다.6 is a specific recording format of voi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용지에 프린트된 음성데이타 예시도이다.7 is an illustration of audio data printed on a recording shee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를 기록지용에 기록하는 제어흐름도이다.8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ording voice data for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용지에 프린트된 음성데이타를 재생하는 제어흐름도이다.9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producing voice data printed on recording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화상 기울림 보상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10 is a flow chart of a vertical image jitter compensation subrout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타 복원 서브루틴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voice data recovery subrout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오차 보상 서브루틴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of a horizontal error compensation subrout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평오차 보상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13 is a flow diagram of a dual horizontal error compensation subrout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FIG.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iganization) A4크기(21mm × 297mm)의 원고를 송수신할 수 있는 Group3팩시밀리시스템에 있어서 CCITT(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 Recommendation T.4에서 권고하는 화상재생 영역은 프린트와 스캔시 나타날 수 있는 수평손실과 수직손실을 고려한 것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6.6mm × 281.46mm의 범위를 보장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리고 하기 표1 및 표2는 CCITT REC. T.4에 권고된 GROUP3팩시밀리시스템의 A4 크기 원고의 독취 및 기록시 발생될 수 있는 수평손실과 수직손실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하기 표3은 수평과 수직에 대한 기록 및 독취 해상도를 나타내고 있다.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iginization) In the Group3 facsimile system that can send and receive A4 size (21mm × 297mm) originals, the image playback area recommended by CCITT Recommendation T.4 can be displayed in print and scan The horizontal loss and the vertical loss are considered,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 range of 196.6 mm × 281.46 mm is guaranteed as shown in FIG. And Table 1 and Table 2 below show CCITT REC. The horizontal loss and the vertical loss that can be generated when reading and recording the A4 size manuscript of the GROUP3 facsimile system recommended in T.4 are shown. Table 3 below show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cording and reading resolutions.
[표 1][Table 1]
[표 2][Table 2]
[표 3][Table 3]
화상의 독취는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문서에 반사하고, 반사된 빛을 독취센서로 검출하여 독취한다. 독취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칩이나 CIS(Contact Image Sensor)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표3의 수평 해상도와 같은 간격으로 나열된 광센서로 되어 있다. ISO A4 크기(210mm×297mm)의 문서를 독취하는 광센서는 일반적으로 Letter Size(216 × 279mm)의 문서까지 독출할 수 있도록 216mm의 독취폭을 가지며, 독취용 센서는 수평방향 216mm에 대하여 8개/mm의 간격으로 총 1728개의 광센서 어레이를 가진다.The reading of the image reflect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on the document, and the reflected light is detected by the reading sensor and read. Charge coupled device (CCD) chips or contact image sensors (CIS) are mainly used as the read sensor, and optical sensors ar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horizontal resolution shown in Table 3. Optical sensors that read ISO A4 size (210mm × 297mm) documents typically have a read width of 216mm to read documents up to letter size (216 × 279mm), while read sensors have eight lt; RTI ID = 0.0 > mm / mm. < / RTI >
또한 광원으로는 형광램프나 LED어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기록방법은 프린트되는 기록지에 따라 감열기록 방식과 일반용지방식으로 구분하며, 기록되는 수평해상도는 표준으로 3.815lines/mm와 옵션으로 7.7lines/mm와 15.4lines/mm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대부분의 Group3팩시밀리시스템이 7.7lines/mm의 수직 해상도까지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상도를 가지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시스템은 자동응답기능을 구비하며, 자동응답기능은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응답기능에 의해 음성메모리에 CALLING PART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이 음성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타를 기록용지에 도 7과 같은 코드형태로 변환하여 프린트하는 것이다.Fluorescent lamps and LED arrays are used as light sources. The recording method is classified into the thermal recording method and the plain paper method according to the recording paper to be printed. The recorded horizontal resolution is 3.815 lines / mm as standard and 7.7 lines / mm and 15.4 lines / mm as an option. Of Group3 facsimile systems are capable of recording up to 7.7 lines / mm of vertical resolution. The facsimi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resolution has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nd the automatic response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conventionally used in an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CALLING PART in the voice memory is stored in the voice memory by the automatic response function. The data stored in the voice memory is converted into a code form as shown in FIG.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한 음성신호를 도 7과 같은 코드형태로 변환하여 기록용지에 프린트하는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101단계에서 CPU10는 NCU20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는가 검사하여 링신호가 검출되면 102단계로 진행한다. 102단계에서 CPU10는 OPE14의 키입력부에 의해 음성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음성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1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CPU10는 설정되어 있는 해당 모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TEL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송수화기를 훅크오프시켜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FAX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FAX문서를 수신하며, ANS/FAX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응답 및 FAX문서를 수신한다. 그러나 102단계에서 음성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104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음성처리부26를 제어하여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읽어들인 후 음성합성 음성안내메세지(OUT GOING MESSAGE : OGM이라함)를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 송출한 음성안내메세지는 코덱2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NCU20를 통해 CALLING PART로 송출된다. 이렇게 음성안내 메세지를 송출한 후 CALLING PART의 사용자가 음성메세지를 입력시키게 되면 105단계에서 CPU10는 음성데이타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음성데이타를 NCU20을 통해 수신되어 코덱24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처리부 26으로 인가된다. 그러면 106단계에서 CPU10는 음성처리부26를 제어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된 음성데이타를 압축하여 메모리12에 저장한다. 그런 후 107단계에서 음성데이타 수신이 종료되었는가 검사하여 음성데이타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105단계로 돌아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음성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러나 음성데이타 수신이 종료되었으면 108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상기 메모리12에 저장한 음성데이타를 읽어들인 후 프린터22를 제어하여 프린트를 수행한다. 이 때 프린트하는 형식은 도 3과 같은 A4크기의 기록용지에 대하여 음성데이타를 프린트되도록 하는데, a는 상단 여백, b는 하단 여백, c는 좌측 여백, d는 우측 여백을 갖도록 하고, e는 정보기록부, f는 음성데이타 기록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부분은 기록된 음성데이타에 대한 표제와 정보가 기록된 정보기록부와 음성데이타가 기록된 데이타 기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백부는 팩시밀리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서 주어지는 유효인쇄영역(effective printing area)과 유효독위영역(effective scanning area)을 고려하여 정하였다.Referring to FIG. 8, an operation of converting a voice signal stored in the voice memory into a code form as shown in FIG. 7 and printing on a recording paper will be described. First, in step 101, the CPU 10 checks whether a ring signal is detected from the NCU 20, The flow advances to step 102. In step 102, the CPU 10 checks whether the voice input mode is set by the key input unit of the OPE 14. If the voice input mode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3. [ In step 103, the CPU 1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corresponding mode. That is, when the TEL mode is set, the handset is hooked off to make a telephone call. If the mode is set to the FAX mode, the FAX document is received. If the mode is set to the ANS / FAX mode, the automatic response and the FAX document are received. However, if the mode is set to the voice receiving mode in step 102, the CPU 10 controls the voice processing unit 26 to read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12, and then transmits a voice synthesis voice guidance message (OUT GOING MESSAGE: OGM) . The transmitted voice guidance message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CODEC 24 and transmitted to the CALLING PART through the NCU 20. When the user of the calling party inputs a voice message after transmitting the voice guidance message, the CPU 10 receives the voice data in step 105. [ At this time, the received voice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NCU 20,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from the codec 24, and applied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26. Then, in step 106, the CPU 10 controls the voice processing unit 26 to compress the digitally-converted voice data and store the compressed voice data in the memory 12. Then, in step 10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of the voice data has been completed. If the voice data reception has not been completed,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105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o receive and store the voice data. However, if the voice data reception has been completed, the CPU 10 proceeds to operation 108 and reads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12, and controls the printer 22 to perform printing. In this case, the audio data is printed on A4-size recording paper as shown in FIG. 3, where a is an upper margin, b is a lower margin, c is a left margin, and d is a right margin. The recording unit, f, is designed to record the audio data recording unit. The printing section is composed of an information recording section in which a title and information for recorded audio data are recorded, and a data recording section in which audio data is recorded. The margin is determin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ffective printing area and the effective scanning area given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acsimile system.
정보기록부의 구성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의 정보기록 기준선, b의 정보기록 영역인 인쇄내용에 대한 표제 및 음성데이타의 수신일시와 기록된 데이타의 페이지정보, c의 데이타 기록 시작선 등으로 되어 있다. 도 3과 같은 기록지의 실제 음성데이타 기록영역은 도 5와 같은 형태의 데이타로 프린트를 하게 되며, 음성데이타의 기록은 0과 1의 이진데이타에 대하여 0의 데이타는 스페이스(SPACE)로, 1의 데이타는 바(BAR)로 기록하는 방법을 제한하였다. 0과 1로 조합된 데이타를 스페이스와 바의 표기로 한 라인을 기록하고, 연속된 데이타의 기록이 한라인을 초과하면 새로운 라인에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기록한다. 새로운 라인에 데이타를 기록함에 있어서 이전 라인의 데이타와 구분을 위하여 데이타가 기록된 라인 사이에는 라인간 여백 b를 삽입한다. 하나의 데이타라인 a는 여백부로서 좌측 여백 c와 우측 여백 g를 가지며, 데이타 기록영역은 시작비트 d와 데이타 비트 c와 종료비트 f로 구성되어 있다. 시작비트와 종료비트는 각각 한 비트의 정보를 가지며, 시작비트는 바의 정보로 표시되어 한 라인의 데이타가 시작됨을 나타낸다. 종료비트는 한 라인의 데이타가 종료됨을 나타내고, 또한 패리티비트로서 화상독취시 발생할 수 있는 비트오차를 검출하여 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음성데이타 영역의 바(bar)데이타에 대한 이븐 패리티(EVEN PARITY)의 정보를 갖는다. 음성데이타 영역은 도 5와 같이 0과 1의 으성데이타에 대하여 각각 스페이스와 바로 프린트한다. 도 5와 같이 프린트한 데이타에 대한 한 비트의 기록단위 크기는 팩시밀리시스템의 기록 해상도, 화상독취시 원고의 좌우와 상하 기울림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As shown in Fig. 4, the information recording section is constituted by an information recording reference line of a, a heading of print contents which is an information recording area of b, page information of recorded data, a data recording start line of c, . The actual audio data recording area of the recording sheet as shown in FIG. 3 is printed with the data of the form shown in FIG. 5, and the audio data is recorded in the space data of 0 for the binary data of 0 and 1, Data limits the method of recording with bar (BAR). A line consisting of a space and a bar is recorded as data combined with 0 and 1, and data is continuously recorded on a new line when the recording of consecutive data exceeds a line. In recording the data on a new line, a blank space b is inserted between the lines on which data is recorded for discrimination from the data on the previous line. One data line a has a left margin c and a right margin g as margins, and the data recording area consists of a start bit d, a data bit c, and an end bit f. The start bit and the end bit each have information of one bit, and the start bit is indicated by the information of the bar to indicate that the data of one line is started. The end bit indicates that the data of one line is terminated and the bit error that may occur when the image is read as a parity bit is detected and the bit error of the even parity (EVEN PARITY) for the bar data of the voice data area is correcte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5, the voice data area is directly printed with spaces for 0 and 1 saturation data, respectively. The size of one bit recording unit for the data printed as shown in FIG. 5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ording resolution of the facsimile system, and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rings of the original in the image reading.
상기 프린트한 데이타의 수평과 수직해상도에 대한 한 비트의 기록단위의 크기는 도 6과 같다. 도 6에서 1비트에 대한 기록단위의 크기는 수평으로 8pels/mm의 해상도에 대하여 4pels을 한 비트의 표기단위로 적용하였으며, 수직으로는 7.7Lines/mm의 해상도에 대하여 5Lines을 한 비트의 표기단위로 적용하였다. 또한 데이타라인간의 구분을 위하여 삽입된 라인간 여백은 수직으로 3라인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메모리12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데이타를 읽어들인 후 프린터22에 의해 기록용지에 실제 프린트한 으성데이타를 도 7과 같다.The size of one-bit recording uni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solutions of the printed data is shown in FIG. In FIG. 6, the size of the recording unit for one bit is 4 pels as a unit of one bit for a resolution of 8 pels / mm horizontally, and 5 lines for a resolution of 7.7 Lines / Respectively.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data lines, 3 lines were applied vertically to the inserted margins. FIG. 7 shows a chart of actual data printed on the recording sheet by the printer 22 after reading the audio data recorded in the memory 12 in this way.
상기와 같이 기록용지에 음성데이타를 스페이스 또는 바형태로 프린트한 후 프린트한 원고를 스캐닝하여 다시 음성신호로 재생하는 동작을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금 201단계에서 CPU10는 OPE14의 키입력부로부터 음성재생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이 때 음성재생키가 입력되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원고대에 원고가 삽입되었는가 검사한다. 원고대에 원고가 삽입되지 않았으면 203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경보음을 발생하고 2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CPU10는 OPE 14의 표시장치에 원고를 로딩시키라는 원고로딩요구 메세지를 표시한다. 그러나 원고대에 원고가 삽입되면 205단계에서 CPU10는 스캐너16을 제어하여 원고의 화상데이타를 독취하여 이치화된 화상데이타를 수신한다. 이 때 원고의 화상독취는 일반적으로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원고이송로울러가 고정된 독취장치로 원고를 이송하여 화상데이타를 독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원고가 원고이송로울러에 의해 독취장치로 이송되는 메카니즘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기계적인 특성에 의해 원고의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독취된 이치화 화상데이타를 이용하여 음성데이타를 복원할 수 없다. 따라서 206단계에서 CPU10는 독취된 이치화 화상데이타의 수직기울림 보상을 한다. 이 때 독취된 이치화 화상데이타의 기울림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화상데이타의 기울림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기준선이 있어야 하는데, 도 4a와 같이 음성데이타가 기록된 원고의 상단에 위치한 기준선을 이용하여 수직기울림을 보상한다. 상기 수직기울림을 보상하는 구체적 동작은 도 10에 개시되어 있다. 301단계에서 CPU10는 스캐닝한 원고의 화상데이타를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2의 화상저장 영역은 28개의 수직라인의 화상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런 후 302단계에서 CPU10는 상기 저장한 화상데이타로부터 보상기준선을 검출하고, 303단계에서 수평화소별 수직 기울림 정보, 즉 수평화소별 보상 기준값을 검출하고 3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모리12에 저장한 데이타의 수직기울림에 대한 최대 보상가능 기준값은 표2의 CCITT REC. T.4에서 권고하는 최대 3.6mm의 수직기울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직기울림의 검출은 보상기준선의 수직위치값을 기울림의 값으로 하여 보상값을 검출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CPU10는 검출한 수직기울림 보상값이 최대보상 가능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최대보상가능 기준값을 초과하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CPU10는 화상을 재독취하기 위한 경보음이나 OPE14의 표시장치에 메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고를 재삽입하여 원고의 화상을 재독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기울림보상값이 최대보상가능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306단계에서 CPU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28개의 수직라인 화상데이타에 대하여 기울림을 보상한다. 이와 같이 기울림을 보상하는데, 원고이송로울러로 원고를 이송하여 독취한 화상데이타에서 나타나는 데이타의 기울림은 원고가 독취부를 통과하는 모든 과정 속에서 계속적으로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306단계에서 기울림을 보상하여도 기울림의 정도가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기울림이 누적되어 나타나게 되므로 원고의 상단에 위치한 보상기준선을 이용하는 기울림 보상으로 데이타를 복원하기 충분한 보상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307단계에서 CPU10는 상기 수직기울림을 보상한 데이타를 음성데이타로 변환을 하기 위해 화상윈도우용 버퍼에 저장한다. 그런 후 308단계에서 CPU10는 화상윈도우용 버퍼에 15라인의 데이타가 저장되었는가 검사하여 15라인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3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윈도우용 버퍼에 저장되는 화상데이타가 마지막 라인인가 검사하여 마지막 라인이면 수직기울림 보상을 종료한다. 상기 마직막 라인이 아니면 313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다음 한 라인의 화상데이타를 독취하고 3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4단계에서 CPU10는 상기 독취한 화상데이타의 수직기울림을 보상하여 315단계에서 메모리12에 저장한다. 그런 후 316단계에서 CPU10는 상기 수직기울림을 보상한 데이타를 음성데이타로 변환을 하기 위해 화상윈도우용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308단계로 돌아가 전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하여 독취화상데이타의 수직기울림을 보상한다. 상기 윈도우용 버퍼의 15개의 수직라인을 저장하는 영역은 5개의 수직라인으로 구성된 하나의 데이타라인에 대하여 상하 각각 5라인씩의 수직 기울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값이 된다. 이렇게 독취된 화상데이타의 수직기울림을 보상한 후 도 9의 207단계로 진행하여 CPU10은 음성데이타를 복원한다.Referring to FIGS. 9 to 13, the operation of scanning the printed document after printing the audio data in the space or bar form on the recording paper as described above and reproducing it again as a voice signal will now be described. In step 201, It is determined whether a voice reproduction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At this time, if the voice reproduction key is inputted, the CPU 10 proceeds to step 202 and checks whether the document is inserted in the document table. If the orig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original glass, the CPU 10 proceeds to step 203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In step 204, the CPU 10 displays a document loading request message to load the document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OPE 14. However, if the original is inserted into the original glass, the CPU 10 controls the scanner 16 in step 205 to read the image data of the original and receive the binarized image data. At this time, the image reading of the document is generally carried out by a method of reading the image data by transferring the document to the reading device in which the document feeding roller driven by the stepping motor is fixed. In the mechanism in which the original is transferred to the reading device by the original conveying roller, the original sound of the original is generated due to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so that the audio data can not be restored using the read binary image data. Accordingly, in step 206, the CPU 10 compensates for vertical noise of the read-out binarized image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readout of the binarized image data, there is a reference line for detecting the echo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As shown in FIG. 4A, Compensate. A specific opera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vertical echo is disclosed in Fig. In step 301, the CPU 10 stores the image data of the scanned original in the memory 12. Here, the image storage area of the memory 12 can store image data of 28 vertical lines. Then, in step 302, the CPU 10 detects a compensating reference line from the stored image data, and in step 303, detects vertical bell information for each horizontal pixel, that is, a compensation reference value for each horizontal pixel. The maximum compensatable reference value for the vertical ringing of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2 is the CCITT REC.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up to 3.6mm of vertical sounding as recommended in T.4. The detection of vertical sounding detects the compensation value by taking the vertical position value of the compensation reference line as the value of the echo. In step 304, the CPU 10 checks whether the detected vertical ringing noise compensation value exceeds a maximum compensatable reference value, and proceeds to step 305 if it exceeds the maximum compensatable reference value. In step 305, the CPU 10 displays an alarm sound for re-reading the image or a message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OPE 14 so that the user can re-insert the original to re-read the image of the original. However, if the echo compensation value does not exceed the maximum compensatable reference value, the CPU 10 compensates the jitter for the 28 vertical lin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12 in step 306. In order to compensate for such a bell, the jitter of the data appearing in the read image data by transferring the original to the original conveying roller continuously occurs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passing the original through the reading unit. Therefore, The degree of echo is not constant even though the echo is compensa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ata recovery by compensating the jitter using the compensation reference line located at the top of the document. Therefore, in step 307, the CPU 10 stores the compensated data of the vertical ringing into the buffer for the picture window to convert the data into voice data. Then, in step 308, the CPU 10 checks whether or not 15 lines of data are stored in the image window buffer, and proceeds to step 312 if 15 lines of data are not stored. In step 312,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buffer for the window is checked for the last line, and if it is the last line, the vertical buzzer compensation is terminated. If it is not the last line, the CPU 10 proceeds to step 313 and the CPU 10 reads the next line of image data and proceeds to step 314. In step 314, the CPU 10 compensates for the vertical ringing of the read image data,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2 in step 315. Then, in step 316, the CPU 10 stores the data compensated for the vertical ringing into the image window buffer for conversion into voice data, and returns to step 308 to repeat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to compensate for the vertical ringing of the read image data . The area for storing the 15 vertical lines of the window buffer is a value set to compensate vertical lines f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ive lines for one data line composed of five vertical lines. After compensating the vertical ringing of the read image data, the CPU 10 proceeds to step 207 in FIG. 9 to restore the voice data.
상기 데이타를 복원하는 동작을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401단계에서 수평측으로 1번째 화소부터 1728번째의 화소까지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15개의 수직라인데이타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15개의 수직라인데이타를 비교결과를 가지고 402단계에서 CPU10는 5개의 수직라인에 흑(BLACK)데이타가 연속적으로 검출되었을 때 비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수직 블랙데이타가 수평으로 4개 이상 연속적으로 위치할 때 시작비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 후 405단계에서 CPU10는 시작비트가 검출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속으로 위치하는 블랙 및 화이트의 연속화소수를 이용하여 데이타비트를 검출한다. 이 때 데이타비트가 검출되면 404단계에서 CPU10는 윈도우용 버퍼로부터 1728개의 수평화소에 대하여 15개의 수직라인중에서 데이타가 존재하는 수직라인의 위치를 각각 분석한다. 상기 분석에 의해 수평화소별 수직라인의 위치가 검출되면 데이타가 위치하는 최상위 수직라인(Ymin)과 최하위 수직라인(Ymax)의 값을 각각 분석한다. 하기 식 1과 같이 최상위 수직라인(Ymin)과 최하위 수직라인(Ymax)값을 평균하여 데이타의 위치의 센터값(Ycen)계산한다. 그런 후 411단계에서 CPU10는 수학신 1, 2와 같이 센터값(Ycen)과 버퍼라인의 쉬프트값(Yshift)으로 설정한다.The operation of restoring the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In step 401, fifteen vertical line data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each pixel from the first pixel to the 1728th pixel on the horizontal side. In step 402, the CPU 10 determines that a bit is detected when black data is successively detected in five vertical lines with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15 vertical line data. And determines that the start bit is detected when the detected vertical black data is horizontally positioned four or more times continuously. Then, in step 405, the CPU 10 detects the data bits using the sequential decimal numbers of black and white continuously l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fter the start bit is detected. At this time, if a data bit is detected, the CPU 10 analyzes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line in which data exists among the 15 vertical lines with respect to 1728 horizontal pixels from the window buffer in step 404. When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line for each horizontal pixel is detected by the above analysis, the values of the uppermost vertical line Ymin and the lowest vertical line Ymax at which the data are located are respectively analyzed. The center value Ycen of the position of the data is calculated by averaging the values of the highest vertical line Ymin and the lowest vertical line Ymax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n, in step 411, the CPU 10 sets the center value (Ycen) and the shift value (Yshift) of the buffer line as mathematical expressions 1 and 2.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2]&Quot; (2) "
Yshift = YcenYshift = Ycen
여기서 버퍼라인의 쉬프트는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윈도우를 이동하는 것으로 화상데이타의 수직라인에 대하여 위에서 아래로 계산된 쉬프트값만큼 버퍼를 이동한다. 버퍼가 이동되면 계속해서 새로운 화성데이타를 독취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음성데이타를 판독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데이타비트가 검출되면 404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타의 수직위치값을 검출하고 411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403단계에서 데이타비트가 검출되면 405단계로 진행하여 도 6과 같이 1비트의 데이타 정보가 4개의 수평화소로 구성되므로, 연속되는 화소수를 카운팅한다. 그런 후 406단계에서 CPU10는 수평독취 오차를 보상한다.Here, the shift of the buffer line shifts the buffer by a shift value calculated from top to botto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image data by moving the window for reading the data. When the buffer is moved, new Mars data is read, stored in the buffer, and the voice data is read. If the data bit is detected in step 4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4 to detec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ata,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1. If a data bit is detected in step 4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5, where one bit of data information is composed of four horizontal pixels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number of consecutive pixels is counted. Then, in step 406, the CPU 10 compensates for the horizontal reading error.
상기 수평독취 오차를 보상하는 동작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501단계에서 CPU10는 연속되는 화소수를 카운팅한 값을 4로 나누고 502단계에서 CPU10는 나머지를 검사한다. 이 때 503단계에서 나머지가 0이면 510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상기 연속되는 화소수를 카운팅한 값을 4로 나누어 그 몫만큼의 0 또는 1의 음성데이타 정보로 변환한다. 그러나 504단계에서 나머지가 1이면 505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상기 연속되는 화소수의 카운팅값으로부터 1을 감산한 후 510단계로 진행하여 그 감산한 값을 4로 나누어 그 몫만큼의 0 또는 1의 음성데이타 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506단계에서 나머지가 3이면 509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상기 연속되는 화소수의 카운팅값으로부터 1을 가산한 후 510단계로 진행하여 그 가산한 값을 4로 나누어 그 몫만큼의 0 또는 1의 음성데이타 정보로 변환한다. 그리고 506단계에서 나머지가 2이면 507단계로 진행하여 이중보상 서브루틴을 수행한 후 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이중보상 서브루틴 동작을 도 13을 참조하면, 현재의 연속된 화소를 N번째 연속화소라하고, N-1번째와 N+1번째의 연속된 화소수를 참조하여 보상값을 결정한다.12, the CPU 10 divides the value obta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nsecutive pixels by 4 in step 501, and in step 502, the CPU 10 checks the rest. At this time, if the remainder is 0 in step 5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10, and the CPU 10 divides the value obta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nsecutive pixels by 4 and converts it into 0 or 1 audio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otient. However, if the remainder is 1 in step 504, the CPU 10 proceeds to step 505, and the CPU 10 subtracts 1 from the count value of the consecutive pixels, and then proceeds to step 510 and divides the subtracted value by 4 to obtain 0 or 1 And converts it into voice data information. If the remainder is 3 in step 506,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09. In step 510, the CPU 10 adds 1 to the count value of the consecutive pixels, and then divides the added value by 4 to obtain 0 or 1 And converts it into voice data information. If the remainder is 2 in step 506, the flow proceeds to step 507 to perform the double compensation subroutine, and then proceeds to step 510. Referring to FIG. 13, the double compensation subroutine operation is referred to as an N-th successive pixel, and the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number of consecutive N-1th and N + 1th pixels.
601단계에서 현재의 연속된 화소값을 N번째 화소값이라하고 602단계에서 N-1번째 연속화소 보상값을 체크한다. 이 때 603단계에서 보상값이 0이면 604단계로 진행하여 N+1번째 연속화소 보상값을 체크한다. 그러나 상기 602단계에서 N-1번째 연소고하소 보상값을 체크한 결과 605단계에서 연속화소 보상값이 0보다 작으면 6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6단계에서 카운트값을 연속되는 화소수의 카운팅값에 2를 가산한다. 그런 후 510단계에서 상기 연속되는 화소수의 카운팅값에 2를 가산한 값을 4로 나누어 그 몫만큼의 0 또는 1의 음성데이타 정보로 변환한다. 그러나 상기 연속화소 보상값이 0보다 크면 608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트값을 연속되는 화소수의 카운팅값에서 2를 감산한다. 그런 후 510단계에서 상기 연속되는 화소수의 카운팅값에 2를 감산한 값을 4로 나누어 그 몫만큼의 0또는 1의 음성데이타 정보로 변환한다. 이렇게 하여 511단계에서 데이타비트가 검출되면 검출된 비트수를 카운트하여 하나의 데이타라인에 기록된 수만큼의 비트 검출이 완료되었는지 검사한다. 즉, N이 0인가 검색한다. 상기 N이 0이 아니면 상기 0 또는 1로 변환한 음성데이타 1비트의 정보를 메모리12에 저장하고 5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3단계에서 CPU10는 N을 1감소시키고 511단계로 되돌아가 하나의 데이타라인에 기록된 수 만큼의 비트 검출이 완료될 때까지 전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한다.In step 601, the current continuous pixel value is determined as the Nth pixel value, and in step 602, the (N-1) th continuous pixel compensation value is checked. If the compensation value is 0 in step 6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04 to check the (N + 1) th successive pixel compensation value.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2 that the N-1th burning high calcination compensation value is less than 0 in step 605, the flow advances to step 606. In step 606, 2 is added to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consecutive pixels. Then, in step 510,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2 to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consecutive pixels is divided by 4 and converted into audio data information of 0 or 1 corresponding to the quotient. However, if the continuous pixel compensation value is greater than 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08 where the count value is subtracted from the count value of consecutive pixels. Then, in step 510,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2 from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consecutive pixels is divided by 4 and converted into 0 or 1 audio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otient. When the data bit is detected in step 511, the number of detected bits is count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number of bits recorded in one data line is completed. That is, it searches whether N is 0 or not. If N is not 0, the information of 1 bit of the voice data converted into 0 or 1 is stored in the memory 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13. In step 513, the CPU 10 decrements N by 1, returns to step 511,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until the number of bits detected in one data line is completed.
이와 같이 수평오차를 보상한 후 도 11의 407단계에서 CPU10는 음성데이타라인에서 검출된 음성데이타의 비트 수를 카운팅한다. 그런 후 408단계에서 상기 음성데이타의 비트 수를 카운팅한 값으로부터 종료비트가 검출되는지 검색한다. 이 때 종료비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403단계로 되돌아가 종료비트가 검출될 때가지407단계까지 전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종료비트는 하나의 데이타라인에 기록된 수만큼의 비트 검출이 완료되는 비트가 된다. 상기 종료비트가 검출되면 409단계로 진행하여 CPU10는 현재의 데이타라인에서 검출된 1의 비트수를 비교하여 패리티에러가 발생되는지 검색한다. 상기 패리티에러가 발생되면 CPU10는 화상을 재독취하기 위한 경보음이나 OPE14의 표시장치에 메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고를 재삽입하여 원고의 화상을 재독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패리티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최상위 수직라인(Ymin)과 최하위 수직라인(Ymax)값을 평균하여 데이타의 위치의 센터값(Ycen)계산한 후 411단계에서 CPU10는 상기 센터값(Ycen)을 버퍼라인의 쉬프트값(Yshift)으로 설정한다.After compensating for the horizontal error, the CPU 10 counts the number of bits of the audio data detected in the audio data line in step 407 of FIG. Then, in step 4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d bit is detected from a value obta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bits of the voice data. If the end bit is not detected at this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03, an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 until the end bit is detected until step 407 is performed. The end bit is a bit in which the number of bits recorded in one data line is completed. If the end bit is detected, the CPU 10 proceeds to step 409 where the CPU 10 compares the number of 1's detected in the current data line to find whether a parity error occurs. When the parity error occurs, the CPU 10 displays an alarm sound for re-reading the image or a message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OPE 14 so that the user can re-insert the original to re-read the image of the original. However, if the parity error does not occur, the center value Ycen of the data position is averaged by averaging the most significant vertical line Ymin and the lowest vertical line Ymax, and then, in step 411, Set the shift value of the line (Yshift).
상기와 같이 각 데이타라인에 대하여 독취한 화상신호가 음성데이타 신호 변환이 완료되면 도 9의 208단계에서 변환된 음성데이타를 메모리12에 저장하고 2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CPU10는 상기 변환한 음성데이타를 메모리12로부터 읽어들인후 음성처리부 26을 제어하여 음성합성한 후 코덱2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신호 변환된 음성신호는 오디오증폭기28에서 증폭되어 스피커30로 송출되어 재생된다.After the audio data signal conversion for the read image signal for each data lin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data converted in step 208 of FIG. 9 is stored in the memory 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9. FIG. In step 209, the CPU 10 reads the converted voice data from the memory 12, controls the voice processor 26 to voice-synthesize the voice data, and then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codec 24. The analog signal-converted audio signal is amplified by the audio amplifier 28 and sent to the speaker 30 for reproduction.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원하는 효과가 나올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와 팩시밀리시스템을 연결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실험용 기록데이타는 랜덤함수를 이용한 램던데이타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의 평가는 데이타의 기록 알고리즘에 대하여 ISO A4기록지 1장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용량과 재생알고리즘에 대하여 재생율을 평가하였다. 독취재생율은 복원된 데이타와 초기의 기록 데이타와 비트에러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ISO A4 크기의 기록지 1장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용량은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영역과 기록단위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었다. ISO A4 크기의 기록지에 대한 기록영역은 도 3과 같이 구분되어지며, 본 발명에서 적용된 각 영역의 크기는 하기 표4와 같다.Also, a personal computer and a facsimile system are connected and simulated in order to test whether a desired effect can be obtained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Experimental recording data were recorded using random function.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 was evaluated on the data recording capacity for one ISO A4 recording paper and the reproduction rate for the reproduction algorithm on the data recording algorithm. The readback rat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covered data with the initial recorded data and the bit error. The recording capacity of data for one recording sheet of ISO A4 size was determined by the recording area where data is recorded and the size of the recording unit. The recording area for the recording sheet of ISO A4 size is divided as shown in FIG. 3, and the size of each area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able 4 below.
[표 4][Table 4]
[표 5][Table 5]
그리고 데이타 기록의 단위 비트에 대한 수평 및 수직의 크기와 라인간여백의 크기는 하기 표5와 같다.Table 5 show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of the unit bits of the data record and the size of the lag space.
또한 ISO A4 크기의 기록지에 대한 데이타 기록용량은 하기 표6과 같다.The data recording capacity for the recording sheet of the ISO A4 size is shown in Table 6 below.
[표 6][Table 6]
상기 표6에서 보는 바와 같이 A4 기록지에 대하여 하나의 데이타라인당 392비트의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으며, 1장의 기록지에 대하여는 269개의 데이타라인을 기록할 수 있으므로 1자의 A4 크기의 기록지에는 약 13.1Kbytes의 데이타를 기록한다. 디지탈 자동응답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처리부26은 음성신호를 메모리12에 저장함에 있어서 8KHz로 샘플링되어 8bit의 디지탈 신호로 PCM방식에 의해 변조된 음성데이타를 4Mbit의 메모리에 약 15∼17분의 음성신호의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압축율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D6375A의 DSP칩을 이용하여 메모리12에 저장된 음성데이타는 1장이 ISO A4크기의 기록지에 대하여 약 25초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도 7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실제 기록용지에 기록하고 208%로 확대하여 표시한 프린트 데이타의 예시도이다. 또한 재생알고리즘의 실험은 100종류의 랜덤데이타를 기록지에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타를 각각 10회씩 독취하여 데이타를 재생하였다. 또한 기록되는 기록지는 일반용지(Plain Paper)와 감열기록지를 각각 사용하여 기록지별 독취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대한 평가는 데이타 재생시 발생한 패리티 에러의 발생횟수와 재생된 데이타와 초기의 기록데이타와의 비트에러를 비교하여 독취재생율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대한 평가는 하기 표7과 같이 100종류의 기록데이타에 대한 각 10회씩 독취재생으로 기록지별 각각 1000회씩의 독취 재생실험을 실시하였다.As shown in Table 6, it is possible to record 392 bits of data per one data line with respect to the A4 recording sheet, and 269 data lines can be recorded with respect to one recording sheet, so that a single A4 size recording sheet has about 13.1 Kbytes Quot; is recorded. A voice processing unit 26 for performing a digital automatic response is configured to store voice signals in the memory 12 and store the voice data sampled at 8 KHz and modulated by the PCM method in an 8-bit digital signal into a 4-Mbit memory for about 15 to 17 minutes And a compression ratio that can store data of the data. Therefore,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12 using the DSP chip of the D6375A can record voice signal data of about 25 seconds for one recording sheet of the ISO A4 size.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print data that is recorded on an actual recording paper and enlarged to 208%. In addition, experiments of the regeneration algorithm recorded 100 kinds of random data on the recording paper and read the recorded data 10 times each time to reproduce the data. Also, the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paper were compared using plain paper and thermal recording paper, respectively. Experimental resul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parity errors generated during data reproduction with the bit error between the regenerated data and the initial recorded data. As shown in Table 7 below,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read out 1000 readings of each 100 recording data, 10 readings per recording paper.
[표 7][Table 7]
실험결과 상기 표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용지에서는 6회의 독취에러가 발생하여 독취재생 에러율은 0.6%로 나타났으며, 감열기록지에서는 14회의 독취에러가 발생하여 독취에러발생율은 1.4%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취에러 발생시 용지가 올바르게 독취되도록 하여 다시 실험하였을 때 독취에러가 발생되지 않았다. 기록지별 독취재생율의 차이를 보면 일반용지에서는 기록용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독취시 화상데이타의 기울림이 적게발생하였으며, 감열기록지에서는 기록용지의 말림현상으로 인하여 독취시 화상 기울림 현상이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데이타 기록 및 재생에 대한 본 발명의 알고리즘은 기록용지 및 시스템의 기계적인 특성등에 따라 재생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실용상 문제는 되지 않는 것이다.Experimental Results As shown in Table 7, the reading error rate was 0.6% due to 6 reading errors on the plain paper, and the reading error rate was 1.4% due to 14 reading errors on the thermal recording paper. However, when the reading error occurs, the paper is correctly read, and no reading error occurs when the paper is tested again. As for the difference in reading ratio among the recording papers, in the case of plain papers, the image data was less likely to be rea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papers. In the thermal papers, Because. However, the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ata recording and reproduction has different reproduc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paper and the system, but is not a problem in practical u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메모리에 저장한 음성데이타를 기록용지에 프린트하여 보관하고, 보관된 기록용지를 스캐닝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그 저장한 음성데이타로 재생하므로,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의 용량에 관계없이 모든 수신음성데이타를 보관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메모리용량의 한계로 인해 수신되는 음성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oice signals received in a facsimile hav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re stored in a memory, and then voice data stored in a memory is printed and stored on a recording paper, and the stored recording paper is scanned and stored in a memory It is possible to store and reproduce all the received voice data regardless of the capacity of the memory for storing the voice and to prevent the loss of the voice data receiv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emory capacity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8582A KR100223204B1 (en) | 1996-07-15 | 1996-07-15 | Voic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in a facsimile system |
JP09022730A JP3093161B2 (en) | 1996-07-15 | 1997-02-05 | Voic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in facsimile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8582A KR100223204B1 (en) | 1996-07-15 | 1996-07-15 | Voic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in a facsimil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13233A true KR980013233A (en) | 1998-04-30 |
KR100223204B1 KR100223204B1 (en) | 1999-10-15 |
Family
ID=1946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8582A KR100223204B1 (en) | 1996-07-15 | 1996-07-15 | Voic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in a facsimile syste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093161B2 (en) |
KR (1) | KR10022320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8701B1 (en) * | 1999-03-12 | 2001-04-16 | 윤종용 |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answer in facsimile |
-
1996
- 1996-07-15 KR KR1019960028582A patent/KR10022320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
- 1997-02-05 JP JP09022730A patent/JP309316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23204B1 (en) | 1999-10-15 |
JP3093161B2 (en) | 2000-10-03 |
JPH1079824A (en) | 1998-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48980B1 (en) | System for aligning document images when scanned in duplex mode | |
EP0964569A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KR980013233A (en) |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in a facsimile system | |
US6288791B1 (en) | Multifunction apparatus and picture signal processing method by the same | |
US5353406A (en) |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0238152B1 (en) |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in a facsimile | |
US20030043417A1 (en) | Internet facsimile machine providing voice mail | |
JPH0412665B2 (en) | ||
JP3089062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US5592303A (en) |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hich extracts and records images on the transmission side | |
JPS6074769A (en) | Facsimile communication system | |
JPH01177258A (en) |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JP2745447B2 (en) | Facsimile communication method | |
KR930007984B1 (en) | Two-tone picture method for fax | |
JP2868680B2 (en) | Data recording method for facsimile machine | |
JP2987213B2 (en) | Facsimile machine | |
JPH08125838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3280687B2 (en) | Facsimile machine | |
JP2622699B2 (en) | Facsimile receiver | |
JPH07162655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3075817B2 (en) | Facsimile machine | |
US753233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omaly detection | |
JPH05284330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S62269562A (en) | Facsimile multiple address device | |
KR015500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generating audio signal of a facsim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