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918U -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918U
KR980009918U KR2019960022645U KR19960022645U KR980009918U KR 980009918 U KR980009918 U KR 980009918U KR 2019960022645 U KR2019960022645 U KR 2019960022645U KR 19960022645 U KR19960022645 U KR 19960022645U KR 980009918 U KR980009918 U KR 9800099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input
telephone
charac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6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희태
Original Assignee
안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태 filed Critical 안희태
Priority to KR2019960022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918U/en
Publication of KR980009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918U/en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전화기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은 전화기의 버턴을 그대로 사용하고 출력은 부가적인 장치를 고안하므로써 상호 보완적이면서 충분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문자 배열를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기억하기 쉽게 하고 필요할 경우 보다 확장된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므로 입력수가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적으면서 기능이 풍부하고 편리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 방법에도 불구하고 그 확인이 곤란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한글출력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고안하여 입력결과를 확인하게끔 하였다. 따라서 이 장치와 병행하여 한글자 단위의 편집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문자삐삐에 기능을 더하여 전화 다이얼음을 번호로 변환하는 회로를 추가하여 한글출력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전화기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휴대용 전자수첩 대신 메모, 일정계획 등 전화기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며 이동중 스케쥴 통보를 받을 수 있으며 음성사서함과는 달리 전화를 걸어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된 전화번호는 자동 기록되어 필요시 조회할 수 있으며 외국에 출장가서도 전화를 걸어 개인적으로 구축된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등의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정보관리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hrough a conventional telephone. The input is used as a button of the telephone as it is, and the output is an additional device by devising a complementary and sufficient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reasonably arrange the character array to make it easier to remember and to add more extended functions if necessary, so that the number of inputs is much smaller and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than the existing methods. In spite of such an input method, the confirmation is difficult, 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evice such as a Hangul printer was devised to check the input result. In parallel with this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edit Hangul characters. In addition, it adds a function to the letter beep that is widely available in the market, and adds a circuit for converting a phone dial tone to a numb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rever the phone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input data through the phone such as memo and schedule plan instead of the portable electronic notebook, and can receive the schedule notification while moving. Phone numbers are automatically recorded and can be inquired when needed. Personal information can be managed using a phone, such as calling a personally established phone number even when traveling to a foreign country.

Description

전화기용 문자입력, 입출력 방법 및 그 장치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종래의 방법은 3가지로 비교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can be compared in three ways.

첫째 종래의 영문입력과 같이 한 버턴에 3개씩의 문자를 배치하여 예를 들면 2자에 ABC가 배치 되었다면 A는 1#, B는 11#, C는 111#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렇게 할 경우 한 자소당 2회에서 4회의 입력이 필요하므로 평균 3회가 된다.First, as in the conventional English input, three letters are placed on one button. For example, if ABC is placed in two letters, A is entered as 1 #, B is 11 #, and C is 111 #. This requires an average of two to four inputs per letter, which is an average of three times.

둘째 한국 통신 연구 개발원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전화기(1) 1번과 2번 버튼 사이에 자음 글자 "ㄱ"과 "ㄴ"을 표기해서 "ㄱ"의 입력은 가까운 숫자 버튼 1번을 먼저 누르고 그 다음 맞은편 2번 버튼을 누르게 되어 있다. "ㄴ"의 경우는 2번을 먼저 누르고 1번을 누르게 된다. 즉, 한글 자모 각각에 2번의 전화기(1) 버튼 값을 설정한 것이다. 첫째 방법의 3회 보다는 향상되었다.Secondly, the method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and Research, for example, the phone number (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of the consonant letters "a" and "b", so that the input of "a" to the first number button 1 And then press button 2 opposite. In the case of "b", press 2 first and then press 1. That is, two phone 1 button values are set for each Hangul alphabet. Improvements over three times of the first method.

셋째 한글은 반드시 처음에는 자음이 나오고 그 다음은 모음 그리고 받침이 오는 경우와 받침이 없는 경우로 나누어진다는 것과 같은 자모 출현의 규칙성이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상세한 원리에 의한 방법이다. 즉, 제한된 버튼(26개의 컴퓨터 자판에 비해서)을 이용해 효과적인 문자입력을 하기위해 한글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한글의 특성과 더불어 10개의 숫자 버튼에 적절하게 한글 자모를 배치하고 2개의 기능키(*버튼과 #버튼)의 역할을 배정했다. 그리하여 초성으로 올 수 있는 19개의 자음을 2개의 자음 군으로 분류하여 입력하게 하였다. 즉 한 부류의 그냥 버튼을 누르게 하고 다른 한 부류의 경우는 #버튼을 누른 후 입력하게 하여 19개의 자음입력을 처리하게 하였다. 그리고 10개의 기본 모음을 각각 1개씩 전화기 (1) 버튼에 배치하였고 그 외의 11개의 복모음의 경우는 한글창제 서문에 의해 기본 모음 글자의 어울림으로 한다는 것에 의해 처리하였다. 복모음을 입력할 경우는 #버튼을 중간에 입력하게 하였다.Third, Hangeul uses the principle that there is regularity of the appearance of Jamo such that the consonant is first divided into vowels, followed by vowels and underlays, and without underlays. In other words, it uses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to input characters effectively using limited buttons (compared to 26 computer keyboard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Hangul Jamo is appropriately placed on 10 number buttons and two function keys (* button and # button) are assigned. Thus, the nineteen consonants that could come into the beginning were classified into two consonant groups. In other words, one type of button is pressed. In the other type, the # button is pressed and inputted to process 19 consonant inputs. 10 basic vowels were placed on the telephone (1) button, and the other 11 vowels were handled by matching the basic vowel letters according to the Hangul creation preface. When entering a double vowel, the # button was entered in the middle.

그리하여 "와"라는 글자를 입력할 경우는 "오"모음을 입력한 후 복모음 합성 기능키 #버튼을 중간에 입력하고 "아"모음을 입력하게 된다.Thus, when the letters "and" are entered, the "O" vowel is input, followed by the # vowel composite function key # button in the middle, and the "ah" vowel.

이상 3가지 방법을 비교해 볼 때 셋째 방법이 가장 입력횟수가 적다. 그러나 그 방법의 특성 때문에 항상 #버턴이 필요하고 복자음 ('밝다'의 'ㄹㄱ'등)의 경우 처리가 곤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셋째방법에 부가하여 여기에 문자 배열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기억하기 쉽게 하고 필요할 경우 보다 확장된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므로 입력수가 상기 3가지 방법보다 훨씬 적으면서 기능이 풍부하고 편리하게 된다.Comparing these three methods, the third method has the fewest input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method, the # button is always requir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process the case of the futon consonants (such as 'ㄹ' of 'bright'). In addition to the thir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make it easier to remember by arranging the character array here, and to add more functions if necessary, so that the number of inputs is much smaller and richer and more convenient than the above three methods. do.

예를 들어 "집으로 연락 바람" 이라는 글자를 상기 3가지와 본 고안의 방법과 비교할 때 본 고안의 경우는 21회의 전화기(1) 버튼 입력이 되면 충분하고 둘째의 경우는 36회의 입력이 셋째의 경우는 25회의 입력이 필요하다. 참고로 컴퓨터 자판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18회의 입력이 필요하다. 본 고안에서 입력시 상대적인 시간차를 적용하면 18회의 입력으로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comparing the words "Please contact home" with the above three methods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for 21 telephones (1) button input for the present design, and 36 times for the second case. The case requires 25 inputs. For reference, inputting a computer keyboard requires 18 input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 relative time difference is applied during input, 18 inputs are possible.

상기의 셋째 방법과의 주된 차이는 한 글자를 마무리하는데 사용되는 빈칸기능키가 경우에 따라 생략한다는 것이다. 즉 초/중/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는 빈칸기능키가 불필요하며 복자음 초성 또는 받침의 경우 반복키에 의해 초성 또는 종성이 끝나지 않았음을 지시하므로 이 경우에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한 글자를 구분하는데 한 자소를 입력할때와 달리 약간의 시간을 더 두게 되면 빈칸기능키의 입력을 생략할 수도 있다. 자음에서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9개를 1회에 나머지 5개를 아래기능키 그리고 복모음/복자음의 경우 반복기능키를 사용하고 빈칸기능키를 조합하므로써 일상용어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반복기능/아래기능/빈칸기능 등의 사용은 상대적으로 서용빈도가 낮으므로 입률적인 배치보다 사용할수록 효과가 더해 진다.The main difference from the third method is that the blank function key used to complete a letter is omitted in some cases. That is, the letters made of the elementary / middle / finality do not need the blank function key, and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consonant or the bearing, it indicates that the initial or finality is not finished by the repeat key. Also, unlike entering one letter to separate one letter, if you leave a little more time, you can omit the blank function key. Nine relatively frequently used consonants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five at the same time, the following function keys, and in the case of double vowel / double consonants using the repeat function key and the combination of the blank function keys can be applied to all everyday terms. In addition, the use of repetition function, lower function, and blank function has a relatively low use frequency, so the more effective it is, the more effective it is to use than the rational arrangement.

이러한 입력 방법에도 불구하고 그 확인이 곤란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전화용 문자출력기(21,22)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고안하여 입력결과를 확인하게끔 하였다. 따라서 이 장치와 병행하여 한 글자 단위의 편집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문자삐삐(5)에 기능을 더하여 전화 다어얼음을 번호로 변화하는 회로를 추가하여 한글출력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화기(1)와의 연결은 단지 수화구에 본 고안의 문자삐삐(5)의 마이크를 대거나 문자삐삐(5)의 마이크 잭에 전화선로(4)를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구성된다.In spite of such an input method, the confirmation is difficult, s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a separate device such as a phone letter outputter 21 and 22 to check the input result. In parallel with this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edit a single character unit. In addition, by adding a function to the character beepi (5) that is widely available in the marke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Hangul output by adding a circuit that changes the telephone ice. The connection with the telephone 1 is simply configured by attaching the microphone of the character beep 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andpiece or by connecting the telephone line 4 to the microphone jack of the character beep 5.

제1도는 본 고안의 문자배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1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haracter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직렬용문자출력기(21)를 직렬로 연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Figure 2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embodiment of serially connecting the serial character output device 21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병렬용문자출력기(22)를 병렬로 연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Figure 3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an embodiment of connecting the parallel character outpu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allel.

제4도는 본 고안의 문자삐삐(5)를 전하선로(3)에 연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4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embodiment of connecting the letter beep 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harge line 3.

제5도는 본 고안의 문자삐삐(5)를 전화 수화구에 음성으로 연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Figure 5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oice connection beep 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lephone receiver by vo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화기 21 : 전화용 문자출력기(직렬용)1: Phone 21: Telephone character output (serial)

22 : 전화용 문자출력기(병렬용)22: character output for telephone (parallel)

3 : 전화선로 4 : 전화선로 결합기3: telephone line 4: telephone line combiner

5 : 다이알신호를 수신하여 문자로 출력가능한 문자삐삐5: Character beep that can receive the dial signal and output as text

전화기(1) : 12키가 달린 일반전화기로써 본 고안의 문자배열이 자체인쇄 또는 별도로 인쇄된 스티거부착 등의 방법으로 식별가능한 상태의 전화기Telephone (1): A telephone with a 12-key general telephone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method such as self-printing or attaching a sticker printed separately.

직렬식 전화용 문자출력기(2-1) : 전화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필요한 경우 전화선로에 그 신호를 전달하고 상호 데이터 교환시에는 전화선로와 차단한다.Serial telephone character output (2-1): Receives a signal from a telephone and, if necessary, transmits the signal to a telephone line and, when interchanging data, cuts off the telephone line.

병렬식 전화용 문자출력기(2-2) : 전화선로의 신호를 모니타링한다.Parallel telephone character output (2-2): Monitors signals on telephone lines.

전화선로(3) : 일반 전화회선이 연결된 선로로써 이을 통해 본 고안의 기능이 장거리까지 그 영향을 미칠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무실에서 집에 있는 문자 출력기를 호출하여 기억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Telephone line (3): This is a line connected to a general telephone line, through which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ffect the long distance. For example, you can call a text writer at home from the office to request stored data.

전화선로 결합기(4) : 회로를 분기시키기 위한 커넥타Telephone line coupler (4): Connector for branching circuits

문자삐삐(5) : 다이알신호를 수신하여 문자로 출력가능하여 본 고안의 문자출력기를 대신할 수 있는 문자삐삐Character beep (5): Receives a dial signal and can be output as a character character beep can replace the character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화기(1)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문자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므로 휴대용 전자수첩 대신 메모, 일정계획 등 전화기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며 이동중 문자삐삐(5)를 통해 스케쥴 통보를 받을 수 있으며 문자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음성사서함과는 달리 전화를 걸어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된 전하번호는 자동 기록되어 필요시 조회할 수 있으며 외출 중에도 전화를 걸어 개인적으로 구축된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등의 전화기(1)를 사용한 개인정보관리가 가능하다.Wherever the phone (1) is located, text data can be entered anywhere, so it is possible to enter data through the phone, such as memo, schedule planning, instead of a portable electronic notebook, you can receive the schedule notification through the letter beep (5) while moving the contents Unlike voicemail, you don't need to make a phone call to check it, and the charge number used is automatically recorded and can be viewed when need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is possible.

널리 보급된 기존의 전화기(1)의 기능을 활용하여 10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12개의 문자로 구성된 입력방법은 여러 가지로 고안되고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전화기(1)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은 전화기(1)의 버턴을 그대로 사용하고 출력은 부가적인 장치를 고안함으로써 상호 보안적이면서 충분한 기능이 가능하고 어느 장소에 가서라도 일반 전화기(1)만 있으면 개인적인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케쥴 입력과 같은 본인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를 본 고안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필요시 개인적으로만 관리되는 그 데이터를 이동중에 문자삐삐(5)를 통해 통보받거나 외국에 출장가서도 전화기(1)를 조작하여 조회할 수 있다.In order to input more than 10 characters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1, which is widely used, an input method consisting of 12 characters has been devised in various way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hrough the existing telephone (1). The input uses the button of the telephone (1) as it is, and the output is devised for an additional device, so that the mutual security and sufficient functions are possible. Even if you only have a regular phone (1) can use pers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you can enter the data you need to enter directly, such as schedule input through this design, and if you are notified through the letter beep (5) during the movement of the data that is managed only personally when necessary, or the phone (1) You can inquire by operating.

Claims (1)

기존의 전화기(1)에 반복, 아래 및 빈칸 기능이 있는 전화번호 자판배열을 인쇄 또는 별도로 제작된 스티카를 부착하여 문자 자판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음에서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9개를 1회에 나머지 `5개를 아래기능키 그리고 복모음/복자음의 경우 반복기능키를 사용하고 빈칸기능키를 사용하거나 자연시간을 감지하여 한 글자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1)를 사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전화기(1)와 전화선로결합기(4)를 통해 연결하거나 전화기(1)의 수화구와 마이크로 연결되어 다이알 신호를 수신하여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 문자삐삐(5)를 사용하여 문자입력 결과를 확인하면서 글자 단위의 수정이 가능한 전화기용 문자입출력방법 및 이러한 기능을 포함하면서 스케줄 문자삐삐(5) 송신 및 전화번호관리기능이 부가된 전화기용 문자입출력장치The phone number keyboard with repeat, bottom and space functions can be printed on the existing phone (1) or a sticker made separately can be attached to identify the character keyboard and use the nine most frequently used in consonants. Characters using the phon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five at a time using the lower function key and the repeat function key in the case of double vowels / consonants, and using a blank function key or to sense a natural time to complete one character Character input result using the input method and the character beep (5) connected through the telephone line (1) and the telephone line combiner (4) or connected to the microphone of the telephone (1) to receive a dial signal and output the character Character input and output method for the phone that can be modified in units of letters while checking the schedule character beep (5) transmission and telephone number management function Attached text input / output device for telephone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This is to be disclosed based on the first application.
KR2019960022645U 1996-07-22 1996-07-22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KR98000991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645U KR980009918U (en) 1996-07-22 1996-07-22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645U KR980009918U (en) 1996-07-22 1996-07-22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918U true KR980009918U (en) 1998-04-30

Family

ID=5397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645U KR980009918U (en) 1996-07-22 1996-07-22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918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48A (en) * 2000-03-30 2000-07-05 안희태 12-key Input Method of Korean C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48A (en) * 2000-03-30 2000-07-05 안희태 12-key Input Method of Korean C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2400C (en) Compact alphanumeric keyboard
CN101982812A (en) Keyboard arrangement
KR1003499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English Alphabet Using the Shorten Keypad
KR980009918U (en) Character input, input / output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KR100446553B1 (en)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KR20000044417A (en)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simply
KR20010107446A (en) Mapp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on number key pad
KR20010106807A (en) Phone keypad use Hangul input method
KR100451206B1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67965Y1 (en) Telephone with a function of electronic notebook
KR10035164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XPA02001646A (en) Keyboard layout and method for data entry.
KR100455773B1 (en) Key pad for contain reverse key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
KR10076411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JP4922990B2 (en) Key input device
KR980009919U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elephone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9990004346A (en) Digital Mobile Phone with Hangul Input Device
KR200378650Y1 (en)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KR20000012540U (en) Cell Phone Text Input Device
KR10055683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50567B1 (en) Arrangement method of a letter for mobile phone and input method
KR100231945B1 (en) A character transmission device
KR100562965B1 (en)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