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868U -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 Google Patents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868U
KR980008868U KR2019960022255U KR19960022255U KR980008868U KR 980008868 U KR980008868 U KR 980008868U KR 2019960022255 U KR2019960022255 U KR 2019960022255U KR 19960022255 U KR19960022255 U KR 19960022255U KR 980008868 U KR980008868 U KR 980008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combustion chamber
discharged
draf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22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868U/ko
Publication of KR980008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86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001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spraying nozzle combined with forced draft fan in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0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at the burne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풍난방기의 오일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연소실 (60)내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흡입구(10a) 및 토출구(10b)를 갖는 드래프트 튜브(10)와, 상기드래프트 투브(10) 내부에 장착하여 공기의 흡토출을 이루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의 전면에 위치하여 연료 공급라인을 통해 연료탱크(80)의 액체연료가 공급되는 노즐(40)과, 상기 노즐(40)의 출구 근접위치에 장착하여 노즐(40)에서 배출되어 연소실 (60)로 분무되는 액체연료를 점화 연소시키는 점화플러그(50)로 구성된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에 있어서, 상기 드래프트 튜브(10) 내경에는 드래프트 튜브(10)에서 연소실(60)로 토출되는 공기를 노즐(40)의 출구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일단에 경사면(12)을 갖는 에어가이드 (100)를 장착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하여, 상기 노즐이 에어가이드의 경사면에 유도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과열이 방지됨으로써, 액체연료 속에 포함된 찌꺼기가 노즐 속에서 고착됨이 방지되며, 이에 착화 및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본 고안은 등유 및 경유등 액체연료를 사용하여 공조장소를 소정의 온도대로 공조시키는 온풍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연료를 공기와 혼합 분무하여 연소시키는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일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오일버너를 적요한 온풍난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오일버너는 공기의 흡배출이 이루어 지도록 흡입구(10a) 및 토출구(10b)를 갖는 드래프트 튜브(10) 내부의 흡입구(10a) 인접부위에 공기의 흡배출을 위한 송풍수단으로 송풍팬 (30)을 회전축 일단에 설치한 송풍모터(20)를 장착하고, 토출구(10b) 인접부위에 연료 공급라인과 연결한 노즐(40)을 장착하며, 상기 노즐 (40)의 출구 근접위치에는 점화플러그(5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제1도 과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오일버너는 작동모드를 선택하면 점화플러그(50)가 통전되어 예열된후 송풍수단의 작동에 따라 드래프트 튜브(10)를 통해 연소실(60)로 공기의 흡토출이 이루어 진다. 이때 전자펌프(70)의 작동에 따라 연료탱크 (80)에서 공급라인으로 유도된 액체연료가 노즐(40)을 통해 흘러나온다. 흘러나온 액체연료는 연소실(60)로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무화 상태로 연소실(60)로 분무됨과 동시에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플러그 (50)에 의해 점화 연소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오일버너는 연소실(60)의 온도 상승에 따라 노즐(40)이 과열된다. 이때 정해진 품질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불량연료를 사용하여 액체연료 내에 찌꺼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찌꺼기가 노즐(40)속에서 고착되어 노즐(40)을 통해 흘러 나오는 액체연료에 간섭을 일으킨다. 이에 착화불량(일반적으로 점화초기의 공급유량은 착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상적인 공급유량에 대해 110% 정도로 설정한다.) 및 연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경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송풍수단에 의해 드래프트 튜브로 흡입되어 연소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노즐 출구측으로 유도하여 노즐의 온도상승을 초기에 제어함으로써, 노즐속에서 액체연료에 함유된 찌꺼기의 고착이 방지되는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오일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오일버너를 적용한 온풍난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가)는 본 고안에 의한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구성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
제3도(나)는 제3도(가)의 오일버너에 적용한 에어가이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래프트 튜부 40 : 노즐
50 : 점화플러그 60 : 연소실
100 : 에어가이드 120 : 경사면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제3도(가)와 제3도(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가)(나)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의 오일버너에 적용한 에어가이드(10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에어가이드(100)는 일단에 통공(140)을 갖는 경사면(120)을 형성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에어가이드(100)는 송풍수단인 송풍모터(20) 및 송풍팬(30)을 장착한 드래프트 튜브(10)의 내경의 대향위치에 각각 장착한다. 이때 에어가이드 (100)의 경사면(12)은 점화플러그(50)와 인접한 노즐(40)의 출구측으로 향하도록 장착한다.
이에 상기 에어가이드(100)를 적용한 온푼난방기의 오일버너는 통상 작동 방식에 의해 점화플러그(50)의 예열후 송풍수단의 작동에 의해 드래프트 튜브(10)흡입되어 제2도에 나타낸 연소실(60)로 토출되는 공기는 도면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의 간섭에 의해 노즐(40)측으로 유도된다. 즉, 에어가이드(100)의 경사면(120)에 충돌된 토출 공기중 일부는 경사면(120)의 통공(140)을 통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실(60)로 직접 토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통공(140)과 인접한 경사면(120)에 유도되어 노즐(40)측에 충돌된후 연소실(60)로 토출된다. 따라서 노즐(40)로 흘러나온 액체연료가 연소실(60)로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무화 상태로 연소실 (60)로 분무됨과 동시에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플러그(50)에 의해 점화 연소되어 연소실(60)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경사면(120)에 유도된 공기에 의해 노즐(40)의 온도상승이 방지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00)는 경사면(120)에 통공(140)을 형성하고, 에어가이드(100)를 2개 장착하여 공기의 토출 저항을 줄였으나, 상기 통공(140)의 형성과 에어가이드(100)의 수는 제품의 열량에 따라 연소효율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40)의 냉각이 이루어 지도록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연료 점화에 따른 연소실(60)에서의 연소전후 연소실(60) 측으로 지속적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에어가이드(100)에 의해 노즐(40)측으로 유도하여 노즐(4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액체연료에 포함된 찌꺼기가 노즐(40)의 온도 상승에 따라 노즐(40)속에서 고착됨이 방지된다. 이에 착화 및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노즐(40)측으로 유도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노즐(40)의 분출압이 증대 되어 찌꺼기가 액체연료에 실려 빨려나와 상기 효과가 보장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연소실내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드래프트 튜브와, 상기 드래프트 튜브 내부에 장착하여 공기의 흡토출을 이루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의 전면에 위치하여 연료 공급라인을 통해 연료탱크의 액체연료가 압송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출구 근접위치에 장착하여 노즐에서 배출되어 연소실로 분무되는 액체연료를 점화 연소시키는 점화플러그로 구성된 온풍난방기의 에어버너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튜브 내경에는 드래프트 튜브에서 연소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점화플러그의 출구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일단에 경사면을 갖는 에어가이드를 장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255U 1996-07-26 1996-07-26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KR9800088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255U KR980008868U (ko) 1996-07-26 1996-07-26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255U KR980008868U (ko) 1996-07-26 1996-07-26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68U true KR980008868U (ko) 1998-04-30

Family

ID=5397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255U KR980008868U (ko) 1996-07-26 1996-07-26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8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1288B2 (en) 2015-04-30 2019-10-2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KR20200065346A (ko) 2018-11-30 2020-06-09 김양수 돌출형 조명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1288B2 (en) 2015-04-30 2019-10-2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KR20200065346A (ko) 2018-11-30 2020-06-09 김양수 돌출형 조명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5321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fuel burner
CA1297397C (en) Burner
US3543742A (en) Heater for burning liquid fuel,primarily benzine,especially extraneous heater for motor vehicles
US20060127831A1 (en) Waste oil multi-fuel fired burner
CA1166905A (en) Heating device for preheating combustion ai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80008868U (ko) 온풍난방기의 오일버너
KR200430405Y1 (ko) 고점도 연료를 위한 공냉식 버너장치
KR100689657B1 (ko) 고점도 연료를 위한 공냉식 버너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840535B1 (ko) 액체연료용 버너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너
CN220365670U (zh) 一种喷射雾化加热器
KR0132199Y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장치
KR200185230Y1 (ko) 난방기용 연소장치
JP3049970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20020012720A (ko) 액체연료 연소장치용 버너
KR0179140B1 (ko) 냉온풍기 온풍시스템의 연소장치
KR0121160B1 (ko) 액체연료연소장치
KR0133935Y1 (ko) 석유연소기의 연소용공기 예열장치
JP2623030B2 (ja) 温風暖房機
KR100287708B1 (ko) 공기 조화기의 버너
JPH0752529Y2 (ja) 温風暖房機
KR100223943B1 (ko) 기화기
KR100440028B1 (ko) 자동차의 연소식 히터
JPH08583Y2 (ja) 燃焼器
KR100249225B1 (ko) 석유 연소기의 화염 활성화장치
JPH06117606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