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334A - Partition separation type charging separator - Google Patents

Partition separation type charging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334A
KR980008334A KR1019960027660A KR19960027660A KR980008334A KR 980008334 A KR980008334 A KR 980008334A KR 1019960027660 A KR1019960027660 A KR 1019960027660A KR 19960027660 A KR19960027660 A KR 19960027660A KR 980008334 A KR980008334 A KR 98000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y ash
contact charging
separa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0176071B1 (en
Inventor
김재관
장경룡
최병선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1996002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071B1/en
Publication of KR98000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07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7/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7/02Separators
    • B03C7/12Separators with material falling fr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7/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7/003Pretreatment of the solids prior to electrostatic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심분리방식에 의해 분체의 입도에 따라 분체를 마찰대전시킬 수 있는 마찰대전부와 미끄럼틀 구조의 정전분리부로 구성되어, 건식 분리공정에 의해 대량의 석탄회 중의 미연탄을 고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회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의 상단에는 석탄회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10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분리된 석탄회와 연탄을 분리회수하기 위한 분체회수 호퍼(43)를 포함하는 분리 회수부(40)가 설치된 회분리장치 케이스(102) 내에, 회전축(24)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가장 큰 기공을 지닌 접촉대전판이 부설되고 그것의 하부로 기공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복수의 접촉대전판이 적층 부설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과, 상기한 회전축(24)의 상단에 부설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101)로부터 공급된 석탄회를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촉대전판 유도부(21)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을 회전시키기 위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 회전모터(22)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에 의해 접촉대전된 분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25)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의 일측에 정전분리부(30)와 연장되며 접촉대전된 석탄회를 정전분리부(30)로 배출하기 위한 석탄회 배출구(26)로 구성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101)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입도분리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석탄회를 (-)로, 미연탄을 (+)로 각각 접촉대전시키기 위한 마찰대전부(20)와, 상기한 마찰대전부(20)의 석탄회 배추구(26)에 연통된 입구(31)와, 상부가 하부보다 상승되어 경사기게 형성된 미끄럼틀 구조를 지닌 전극판(33)과, 상기한 전극판(33)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수직 상향으로 부살되며 분체의 분리를 위한 이동 및 분리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분리 받침판(32)고, 상기한 분리 받침판 하부에서의 본체의 완전분리를 유도하고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분체 분리대와, 상기한 분리 받침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전극판(33) 및 분리 받침판(32)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로 구성되어, 전기장 형성에 의해 상기한 접촉대전부(20)로부터 공급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정전분리하기 위한 정전분리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cle separation charger type separa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iboelectrification unit capable of triboelectrically charging a powde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by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d an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having a slidable structure, whereby a large amount of briquettes in coal fly as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able separating device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rotors. An inlet 101 for supplying coal fly as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ranular separation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der recovery hopper 43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separated fly ash and briquettes at the lower end. A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4 and having a largest pore ar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24 and a pore size is sequentially reduced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which is stacked on the rotating shaft 24 and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24 to feed the coal fly ash supplied from the separating device inlet 101 to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rotating motor 22 for rotating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and a moving magnet plate rotating motor 22 for moving the contacted charged particles by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And a coal fly ash discharge port 26 for discharging the fly ash charged in contact with the electrostatic separator 30 to the electrostatic separator 30 at one side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A frictional charging unit 20 for making contact with the fly ash by negative centrifugal force and negative fly ash by positively separating the powder supplied from the separator inlet 101, An electrode plate 33 having an inlet 31 communicating with the coal flyash 26 of the triboelectrification unit 20 and a slider structure whose upper portion is raised from the lower portion to be inclined, And a separate partition plate (32) for providing a moving and separating space for separating the powder, a guide plate (32) for guiding the complete separation of the main body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e plate, A powder separator for preventing the above- And a vibrator for vibrating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ed support plate 32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so that the coal fly ash supplied from the contact charging unit 20 and the non-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portion 30 is integrally formed.

Description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Partition separation type charging separator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희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공정흐름도.FIG. 1 is an overall process flow diagram illustrating a coal se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FIG. 2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cle separation charger typ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3도는 제2도의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의 확대 단면도.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of FIG. 2;

제4도는 제2도의 정전분리부의 개락적 단면도로서, (A)도는 분리 받침판과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B)도는 제 2도의 A-A선에 따른 정전분리부의 입구측 단면도, (C)도는 제 2도의 B-B선에 따른 정전분리부의 출구측 단면도.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portion of Fig. 2, Fig.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upporting plate,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outlet side of the electrostatic separator according to the BB line of Fig. 2;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분체공급장치 20:마찰대전부10: Powder supply device 20: Friction charging part

21:접촉대전판 유도부 22:접촉대전 매트릭슨판 회전모터21: contact charging plate guiding portion 22: contact charging magnet plate rotating motor

23:접촉대전 매트릭스판 24:회전축23: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4:

30:정전분리부 32:분리 받침판30: electrostatic charge separator 32:

33:전극판 34:진동기33: electrode plate 34: vibrator

35 : 분체 분리대 40 : 분체 회수부35: Powder separator 40: Powder collecting part

41:석탄회 회수관 42:미연탄소 회수관41: coal fly ash collection pipe 42: unburned carbon recovery pipe

50:분체이송용 공기송풍기 60:미연탄 저장소50: powder blower air blower 60:

70:석탄회 저장소 100:회분리장치70: fly ash reservoir 100: ash separator

본 발명은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심분리방식에 의해 분체의 입도에 따라 분체를 마찰대전시킬 수 있는 마찰대전부와 미끄럼틀 구조의 정전분리부로 구성되어, 건식분리 공정에 의해 대량의 석탄회 중의 미연탄을 고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회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cle separation charger type separa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ictional charging unit capable of frictionally charging a powde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by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d an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having a slidable structure, wherein a large amount of briquettes in the fly ash To a separator which can be separated with high efficiency.

석탄회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미연탄 분리공정과 석탄정제 공정등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분리장치가 사용되어 왔다.Various types of separators have been used for the separation of uncracked coal, which separates impurities from coal fly ash, and the coal refining process.

이중에서도, 석탄의 연소 전후에 발생되는 석탄회는 그 이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수 있는데, 미연탄소분이 약 3% 이하인 순수한 석탄회를 회수할 경우, 콘크리트 혼화제, 건축물 경량제 및 성토제 등의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mong them, coal fly ash generated before and after combustion of coal can be said to be very useful. When recovering pure coal fly ash with less than 3% unburned carbon content,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oncrete admixture,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 and embankment .

통상적으로, 유연탄의 경우에는 석탄회의 양이 약 6∼20% 정도이지만, 국내의 무연탄은 석탄회의 성분이 특히 많아 약 40∼60% 정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발생되는 석탄회 중에는 미연탄소분이 약 7∼14% 정도함유되어 있어, 상기한 순수한 석탄회를 얻기 위해서는, 석탄정제공정 및 석탄회 중의 미연탄소의 분리 및 회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Generally, in the case of bituminous coal, the amount of fly ash is about 6 to 20%, but the amount of coal fly ash in Korea is about 40 to 60%. In addition, the coal fly ash produced in Korea contains about 7 to 14% of unburned carbon. In order to obtain the pure coal fly ash as described abov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separate and recover unburned carbon in the coal refining process and coal fly ash.

그러나, 최근까지 개발된 첨단의 석탄회 분리공정의 대부분은 석탄 제조공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습식공정들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석탄회 분리공정에 따라 정제된 석탄회 생성물을 상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탄회 생성물의 탈수 및 건조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추가적인 처리과정으로 인해 석탄회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한 첨단기술들의 산업적 응용에 장애로 작용하였다.However, most of the advanced fly ash separation processes developed until recently are wet processes designed to be used in coal production plants. Therefore, in order to commercially use the refined fly ash produc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ly ash separation process, dehydration and drying of the fly ash product are indispensably required. Therefore, this additional processing has made it difficult to economically produce coal fly ash, thus obstructing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the above-mentioned advanced technologies.

한편, 상기한 종래의 습식분리 정제공정과 달리, 건식분리 정제공정은 마찰대전기 내부에서 석탄회 혼합물을 마찰대전기의 내부 표면과 접촉시켜 석탄회 입자를 하전시킨 후, 전기장 중에서 대전된 입자를 각각의 극성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이다.Meanwhile, unlike the conventional wet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in the dry separation purification process, the coal fly ash is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iction charger in the friction charger to charge fly ash particles, It is a method of separating according to polarity.

이중에서도 분체 혼합물의 성분분리 공정의 경우, 대부분 구리를 재료로 사용하는 마찰대전기와 전기장 분리방식을 선택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powder mixture, the triboelector using the copper as the material and the electric field separation method are selected.

미합중국 특허 제 4,172,028호에는 진동에 의해 미세입자의 정전분리를 이룰 수 있는 정전분리장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종래의 정전분리장치는 전극이 하부로 길게 나열되어 전극저항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분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분체 처리시 장치의 대용량화가 어려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마찰대전기의 경우 대부분이 구리를 재료로 사용한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대전기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약간의 습분에도 부식될 우려가 있었다.US Pat. No. 4,172,028 discloses an 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capable of electrostatic separation of fine particles by vibration.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the electrodes are arranged long in the lower portion, And since the powder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powder processing apparatus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powder, resulting in poor economical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friction charger is used in the form of a matrix using copper as a material, not only the shape of the friction charger can be deformed, but 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corrode even a small amount of moisture.

결국,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분리공정에 의해 석탄회 중의 미연탄을 고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의 장치로도 대량의 석탄회를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ine coal from fly ash by a dry separation process with high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cle separation charger type separator which can be economically treated at the same ti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는,전기집진기에서 집진되고 분체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미연탄이 포함된 석탄회를 분리하기 위한 회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에는 석탄회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분리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분리 회수부가 설치된 회분리장치 케이스내에,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가장 큰 기공을 지닌 접촉대전판이 부설되고 그것의 하부로 기공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복수의 접촉대전판이 적층부설된 접촉 대전 매트릭스판과, 상기한 회전축의 상단에 부설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로부터 공급된 석탄회를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촉대전판 유도부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수판을 회전시키기위한 접촉대전 매트랙스판을 회전구동수단과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 의해 접촉대전된 분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의 일측에 정전분리부와 연장되며 접촉대전된 석탄회를 정전분리부로 배출하기 위한 석탄회 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한 회분리 장치 입구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입도분리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석탄회를(-)로, 미연탄을(+)로 각각 접촉대전시키기 위한 마찰대전부와, 상기한 마찰대전부의 석탄회 배출구에 연통된 입구와, 상부가 하부보다 상승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틀 구조를 지니면서 중앙에 수직 배치된 판형의 (-)전극 및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판형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판과, 상기한 전극판의 (-)전극과 (-)전극 양측의 (+)전극 사이에 상기한 전극판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수직 상향으로 부설되고 상기한 (-)전극 및 (+)전극 각각의 측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분체의 분리를 위한 이동 및 분리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분리 받침판과, 상기한 분리 받침판 상에 상기한 전극판과 수평으로, 상기한 분리 받침판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한 분리 받침판 하부에서의 분체의 완전분리를 유도하고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분체 분리대와, 상기한 분리 받침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전극판 및 분리 받침판과 연결되며 분체의 이동과 동시에 전극판에 부착된 분체의 분리를 이루도록 상기한 전극판과 분리받침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로 구성되어, 전기장 형성에 의해 상기한 접촉대전부로부터 공급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정전분리하기 위한 정전분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or for separating coal fly ash collected from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supplied by a powder feeder, And a contact charging plate having the largest pore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e. The contact charging plate is fixed to a rotating shaft in a case of a rotating separator provided with a separating / recovering unit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separated fly ash and briquettes.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are stacked and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ize of the pores is sequentially decreased to a lower portion, and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 contact charging plat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ntact charging plate, A movable passage for moving the rack span between the rotary driving means and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and a moving passage for moving the powder charged by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and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ly ash from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And a frictional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coal fly ash by negative centrifugal force and negative briquetting by positive centrifugal force, respectively, while separating the powder supplied from the inlet of the rotary separator, (-) electrode vertically arranged at the center while having an inlet communicated with a coal fly ash outlet of a triboelectrification unit and a slider structure having an upper portion sloped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and a negativ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egative electrode (+) Electrode and a (+) electrode on both sides of the (-) electrode of the electrode plate and a A separation support plate provided vertically upward and spaced from the side ends of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a moving and separating space for separating the powder, A powder separato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plate to a level above the separator plate to induce complete separation of the powd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or bottom plate to prevent mixing of the powder, And a vibrator connected to th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plate and vibrating th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plate so as to separate the powder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while moving the powd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tic electricity separating portion f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coal fly ash supplied from the contact charging portion and the briquettes And a gong.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에서 사용되는 마찰대전형 정전분리법은 물질마다 갖고 있는 고유한 전기적 특성인 일함수(work function)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 및 회수하는 방법이다. 이때, 분리하고자 하는물질들을 선택적으로 대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물질을 대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코로나방전형, 정전유도형, 접촉 및 마찰대전형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전기저항이 큰 석탄회와 전기저항이 작은 미연탄소의 혼합물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촉 및 마찰 대전형이 효과적인 방법이다.The triboelectrification type electrostatic separation method used in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separating and recovering a material by using a difference in work function, which is a uniqu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each material. At this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ively electrify the materials to be separated. Examples of the method for charging the material for this purpose include a corona discharge type, an electrostatic induction type, a contact type and a friction charging type. In the case of separating a mixture of fly ash having a high electric resistance and unburned carbon having a low electric resistance, contact and friction charging are effective methods.

그러나, 분체의 마찰대전시 분체의 입도분포 범위가 클 경우에 미립자는 마찰대전효율이 증가하는 반면, 굵은 입자는 미비한 대전효율을 보이게 된다. 즉, 입도분포가 큰 분체를 마찰대전시 입도가 작은 미립자는 하부로 이동하여 대전체와 접촉표면적이 크게 마찰대전이 되는 반면, 굵은 입자는 상대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접촉표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체의 입도에 따라 접촉대전을 유도하고 대전된 분체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전극분리부에서 효율적으로 전기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석탄회와 미연탄을 효과적으로 회수한다.However, whe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range of the powder during the triboelectric charging of the powder is large, the triboelectric charge efficiency is increased, whereas the coarse particles exhibit poor charging efficiency. That is, the fine particl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at the time of triboelectric charging move to the lower part of the powder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the entire large surface is triboelectrified while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which the coarse particles can contact relatively is reduc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 charging is induc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and an electric field is efficiently formed in the electrode separating part composed of a single device as the charged powder, thereby effectively recovering coal fly ash do.

이하,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particle separation charging typ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회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공정흐름도이다.FIG. 1 is an overall process flow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coal fly 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기(미도시)에서 집진된 석탄회는 전기집진기 호퍼(2)에서 진동기(2)의 진동에 의해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100)내로 들어가게 된다.As shown in FIG. 1, coal fly ash collected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not shown)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2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opper 2.

상기한 분체 공급장치(10)로부터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 입구(3)로 공급된 석탄회는 마찰대전부(20) 내의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으로 하강하여 접촉대전판(23)의 회전에 의해 접촉대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이동통로(25)를 통해 회전하면서 계속된 접촉대전을 하여 마찰대전부 배출구(26)를 통해 정전분리부(30)로 들어간다.The coal fly fed from the powder feeder 10 to the rotatable separator inlet 3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ends to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in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portion 20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And continues to make contact charg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moving passage 25 by centrifugal force to enter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through the frictional charging unit discharge port 26. [

정전분리부(30)의 입구(31)를 통해 공급된 대전된 석탄회와 미연탄은 정전분리부(30) 내의 전극판(33)에 가해진 전기장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석탄회 회수부(41) 및 미연탄 회수부(42)를 포함하는 분체 회수부(40)에서 회수되고, 회수된 석탄회는 석탄회 이송관(미도시)을 통해 공기송풍기의 가압에 의해 석탄회 저장소(70)으로 들어가며, 회수된 미연탄소는 미연탄 이송관(미도시)을 통해 미연탄 저장소(60)로 이송된다.The charged coal fly ash and the unburnt coal supplied through the inlet 31 of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are separated by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33 in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The recovered coal fly ash is returned to the coal fly ash reservoir (70)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air blower through a fly ash feed pipe (not shown), and the recovered unburned carbon Is transferred to the briquette storage 60 through the briquetting transfer pipe (not shown).

제2도는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rticle separation charger typ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의 상단에는 석탄회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10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분리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분체회수 호퍼(43)를 포함하는 분리 회수부(40)가 설치된 회분리장체 케이스(102) 내에,회전축(24)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가장 큰 기공을 지닌 접촉대전판이 부설되고 그것의 하부로 기공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복수의 접촉대전판이 적층 부설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과, 상기한 회전축(24)의 상단에 부설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101)로부터 공급된 석탄회를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촉대전판 유도부(21)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을 회전시키기 위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 회전모터(22)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에 의해 접촉대전된 분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25)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의 일측에 정전분리부(30)와 연장되며 접촉대전된 석탄회를 정전분리부(30)로 배출하기 위한 석탄회 배출구(26)로 구성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101)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입도분리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석탄회를 (-)로, 미연탄을 (+)로 각각 접촉대전시키기 위한 마찰대전부(20)와, 상기한 마찰대전부(20)의 석탄회 배출구(26)에 연통된 입구(31)와, 상부가 하부보다 상승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틀 구조를 지닌 전극판(33)과, 상기한 전극판(33)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수직 상향으로 부설되며 분체의 분리를 위한 이동 및 분리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분리 받침판(32)과, 상기한 분리 받침판 하부에서의 분체의 완전분리를 유도하고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분체 분리대(미도시)와, 상기한 분리 받침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전극판(33) 및 분리 받침판(32)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미도시)로 구성되어, 전기장 형성에 의해 상기한 접촉대전부(20)로부터 공급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정전분리하기 위한 정전분리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an inlet 101 for supplying coal fly as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article separation charger typ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der recovery unit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separated fly ash and non- A contact charging plate having the largest pore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4 in the case of the rotating separation shaft 24 provided with the separating and recovering unit 40 including the hopper 43,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are stacked and laid down so that the contact charging plates 23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rotating shaft 24; A contact charging plate guide portion 21 for guiding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to the charging matrix plate 23,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rotating motor 22 for rotating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23) A moving passage 25 for moving the contacted charged powder 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and a charged fly ash extending from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on one side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For separating the powder supplied from the separating device inlet 101 and separating the powder from the fly ash by the centrifugal force to bring the fly ash to the negative charge and the unburnt charge to the positive charge An electrode plate 33 having an inlet 31 communicating with the coal flyash outlet 26 of the friction charging unit 20 and a slider structure having an upper portion inclined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A separation supporting plate 32 laid vertically upward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plate 33 to provide a moving and separating space for separating the powders and a separating plate 32 for separating the powd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ng supporting plate Powder to induce and prevent mixing of powders And a vibrator (not shown) for vibrating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e support plate 32, which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An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f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fly ash and unburnt coal supplied from the unit 20 is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의 하단에는 분리된 분체를 각각 석탄회 저장소(70) 및 미연탄 저장소(60)로 이송하기 위한 분체이송용 공기송풍기(50)가 부설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der blowing air blower 50 for conveying the separated powders to the flyash reservoir 70 and the non-briquette storage 60 is installed.

상기한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에서는 마찰대전부(20)를 정전분리부(30)와 일체로 설치하여 이동상 전하의 방전을 방지하고 대전효율을 높이기위해 입자크기별 접촉대전을 유도하였다. 이때, 합금판을 재료로 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분체들이 접촉대전판(23)의 외부로 이동하면서 접촉대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은, 분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대전을 유도하기 위해 최상부는 4×4㎜, 최하부는 100mesh의 기공을 지닌 다수의 접촉대전판을 설치하여, 굵은 입자는 상부에서 대전이 이루어지고 미세입자일수록 하부로 이동하면서 대전되도록하였다. 따라서, 굵은 입자와 미립자의 분리접촉 대전을 유도하여 정전분리장치에서의 분리효율을 높였다. 또한, 정전분리부(30)의 경우, 30∼45°경사지게 전극판(33)을 설치함으로써, 대전된 석탄회를 진동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연속분리를 유도하고, 하분에서 분리된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 받침판(32)과 분체 분리대(미도시)를 설치하였다.In the rota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unit 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mobile phase charge and induce the contact electrification by the particle size to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At this time, the powder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by the centrifugal force resulting from the rotation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made of the alloy plate, and the contact charg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in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a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having pores of 4 × 4 mm in the uppermost portion and 100mesh in the lowermost por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induce charg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wder particles, Charged particles were charged at the upper part and moved to the lower part as the fine particles were charged. Therefore, the separating contact charge of the coarse particles and the fine particles is induced,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n the case of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by providing the electrode plate 33 with an inclination of 30 to 45 degrees, the charged coal fly ash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by the vibration and the continuous separation is induced, A separation plate 32 and a powder separator (not shown) are provided to prevent mixing.

제2도에 도시된 회분리장치에서는, 석탄회는 회분리장치 입구(101)로 들어와 접촉대전판(23)으로 석탄회를 유도하는 부분인 접촉대전판유도부(21)를 거쳐 수평에서 약간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는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으로 이동한다. 접촉대전판(23)으로 이동된 석탄회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큰 것은 상부의 접촉대전판에서 머물고,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은 하부의 접촉대전판으로 이동한다.2, the fly ash flows into the separating device inlet 101 and is slightly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contact charging plate guiding portion 21, which is a portion for guiding fly ash to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As shown in FIG. To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The fly ash moved to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stays on the contact charging plate on the upper side and the contact charging plate on the lower side when the particle size is small.

이때, 접촉대전판(23)의 회전속도는 석탄회의 심한 비산을 방지하고 석탄회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저속으로 작동하며, 겉보기밀도가 높아 회전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도 하부 접촉대전판에서 비산되는 석탄회가 상부 접촉대전판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대전판(23)은 수평에서 약 10∼15°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대전판(23)은 매트릭스 구조로 되어 있고 분체에 의한 기공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접촉대전판(23)의 상하 간격을 접촉대전판(23)의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시켜 설치하며 주기적으로 공기송풍을 수행한다. 또한, 접촉대전판(23)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대전판은 Cu 60, Fe 20, Ni 20의 합금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operates at a low speed in order to prevent the fly ash from being scattered deeply and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fly ash, and even when the rotation speed is high due to the high apparent density, In order to prevent the fly ash from moving to the upper contact charging plate,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bout 10 to 15 degrees from the horizontal.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has a matrix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clogging of the pores due to the powder, a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23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increasing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Perform air blowing periodically.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an alloy plate of Cu 60, Fe 20, and Ni 20 is preferably used as the contact charging plate.

접촉대전판(23)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대전된 분체는 접촉대전 배트릭스판(2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이동하여 외부 이동통로(25)를 따라 구리합금판 벽면과 계속된 접촉대전이 되면서 마찰대전부 배출구(26)로 이동하여 정전분리부(30)로 들어가게 된다.The charged powder moves to the outsid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ct charging batten span 23 and is continuously contacted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copper alloy plate along the external moving passage 25, And moves to the triboelectrification part discharge port 26 to enter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part 30.

이후, 정전분리부(30)에 들어온 대전된 석탄회와 미연탄소는 진동하는 분리 받침판(3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전극판(33)에 각각 분리 포집된 후, 진동에 의해 분리 및 회수되어, 분체 회수부(40)의 분체회수 호퍼(43)로 이동하여, 공기송풍기(50)에 의해 각각의 분체 저장소(60, 70)로 이송된다.Thereafter, the charged fly ash and unburnt carbon that have entered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are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electrode plate 33 while being moved downward along the vibrating separating support plate 32, and then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vibration, Is returned to the powder recovery hopper 43 of the powder recovery unit 40 and is transported to the respective powder reservoirs 60 and 70 by the air blower 50.

제3도는 제2도의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of FIG. 2;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은, 가장 큰 기공을 지닌 최상단의 접촉대전판(23a)으로부터 하부로 이동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아져 최하단의 접촉대전판(23j)에는 원심력에 의한 입자의 와곽 이동과 망에 의한 분리효과로 미세입자 만이 도달하여, 가장 많은 분체입자와 접촉대전판 간의 접촉대전으로 대전량이 커지게 된다. 미세입자는 일반적인 정전분리장치에서 미립자 분체간의 입자 간섭작용에 의해 집진 및 분리가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분체의 접촉표면적이 높아져 입도분리 대전의 경우 대전량이 커지기 때문에 분체의 분리가 더욱 용이해진다.3, as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rom the uppermost contact charging plate 23a having the largest pore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pore size becomes smaller, Only the fine particles reach the fine particles 23j due to the movement of the particles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separation effect due to the net, and the charge amount becomes large due to the contact charging between the most powder particles and the contact charging plate. It has been found that the fine particles are difficult to collect and separate due to the particle interference between the fine powder particles in a general 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surface area of the powder is increased and the charge amount in the case of particle size separation charging becomes large, .

제4도는 제2도의 정전분리부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제4(A)도는 분리 받침판과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 4(B)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정전분리부의 입구측 단면도이며, 제 4(C)도는 제2도의 B-B선에 따른 정전분리부의 출구측 단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portion of FIG. 2, and FIG. 4 (A) and FIG. 4 And Fig. 4 (C)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outlet side of the electrostatic separator according to the BB line of Fig. 2.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전분리부(30)는, 상부가 하부보다 상승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틀 구조를 지니면서 중앙에 수직 배치된 판형의 (-)전극(33b) 및 상기한 (-)전극(33b)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판형 (+)전극(33a)으로 이루어진 전극판(33)과, 상기한 전극판(33)의 (-)전극(33b)과 (-)전극(33b) 양측의 (+)전극(33a) 사이에 상기한 전극판(33)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수직 상향으로 부설되고 상기한 (-)전극(33b) 및 (+)전극(33a) 각각의 측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분체의 분리를 위한 이동 및 분리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분리 받침판(32)과, 상기한 분리 받침판(32) 상에 상기한 전극판(33)과 수평으로, 상기한 분리 받침판(3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한 분리 받침판(32) 하부에서의 분체의 완전분리를 유도하고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분체 분리대(35)와, 상기한 분리 받침판(32)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전극판(33) 및 분리 받침판(32)과 연결되며 분체의 이동과 동시에 전극판(33)에 부착된 분체의 분리를 이루도록 상기한 전극판(33)과 분리 받침판(32)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shaped (-) electrode 33b having a slider structure whose upper portion is raised from the lower portion and inclined, (-) electrodes 33b and (-) electrodes 33b of the electrode plate 33. The electrode plate 33 includes plate electrodes 33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egative (-) electrode 33b, (-) electrode 33b and (+) electrode 33a, which are vertically upwardly install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plate 33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33a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33b, A separation plate 32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end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ich provides a moving and separating space for separation of the powder and a separating plate 32 which is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separating plate 32, And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32 to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separation plate 32, A powder separator 35 for inducing the separation and preventing mixing of the powders and the electrode plate 33 connected to the separator plate 32 and formed below the separator plate 32, And a vibrator 34 for vibrating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ion plate 32 to separate the powder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33 at the same time.

이때,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전된 미연탄소를 포집하는 (-)전극(33b)의 양쪽에 (-)하전된 석탄회를 포집하는 (+)전극(33a) 및 (-)전극(33b)과 타측의 (+)전극(33a) 및 (-)전극(33b)의 간격을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한다. 즉, 대전된 분체에 대한 상부의 포집분리로 하부의 분리량이 작아지기 때문 에, 하부로 갈수록 전극거리를 좁게 함으로써 분체의 분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A), (+) electrodes 33a for collecting charged fly ash on both sides of the (-) electrode 33b for collecting the (+) charged unburned carbon, The distance between the (-) electrode 33b and the (+) electrode 33a and the (-) electrode 33b on the other side is made smaller. That is, since the separation amount of the lower part of the charged powder is lowered by collecting the upper part of the charged powder,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powder can be increased by narrowing the electrode distance toward the lower part.

또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33b)은 양면으로 전기장을 형성하며, 분리 받침판(32)은 전극판(33)의 하단으로부터 1/5∼2/5 정도의 수직방향 위치에 부설함으로써, 분리 받침판(32) 하부로 떨어진 분체를 분리 받침판(32)의 하단에서 포집 및 분리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전극(33b)은 접지(37)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4 (B), the (-) electrode 33b forms an electric field on both sides, and the separation plate 32 has a width of about 1/5 to 2/5 So that the powder that has fallen below the separation plate 32 is collected and separ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32. At this time, the (-) electrode 33b is connected to the ground 37.

대전된 분체의 경우, 마찰대전부(20)의 접촉대전판(2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추진력을 받아 대전된 분체는 정전분리부(30) 내로 유입되는데, 유입된 분체는 전극(33) 상부에서 분체의 내·외 저항이 같아질 때까지 포집된 후, 나머지 분체는 진동하는 분리 받침판(3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계속적으로 분리된다. 이때, 도면에서 빗금친 부분은 전극판(33)에 이하부도 이동하면서 안으로 좁아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전극판(33)에 포집분리된 분체는 진동기(34)의 진동에 의해 전극판(33)과 분리받침판(32) 사이의 공간 하부에 설치된 석탄회 회수관(41) 및 미연탄소 회수관(42)으로 회수된다.In the case of the charged powder, the powder charged with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23 of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part 20 is charged in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part 30, The powder is collected until the inner and outer resistances of the powder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n the remaining powder is continuously separated while moving down along the vibrating separating plate 32. At this time, the shaded portion in the drawing shows a portion that narrows inward while moving below the electrode plate 33. On the other hand, the powder collected and separated on the electrode plate 33 is discharged to the coal flyash collection pipe 41 and the unburned carbon recovery pipe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ion plate 32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34 42).

아울러,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33a)과 (-)전극판(33b)의 중앙의 최종 하부에 미분리된 분체들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분리 받침판(32) 상에는, 상기한 전극판(33)과 수평으로, 상기한 분리 받침판(32)의 하단으로부터 분리 받침판(32)의 상부 1/4∼1/6로 연장되도록 분체분리대(35)를 설치한다. 이는, 분리 받침판(32) 하부에서의 분체의 완전한 분리를 유도하는 동시에, 분체의 회수시 분리 받침판(32) 하부에서의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C), in order to prevent the powders not separated from the final lower part of the center of the (+) electrode plate 33a and the (-) electrode plate 33b from remaining, A powder separator 35 is provided on the separation plate 32 so as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32 horizontally to the above electrode plate 33 to the upper 1/4 to 1/6 of the separation plate 32. [ . This is to induce complete separation of the powder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32 and to prevent mixing of the powder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32 when recovering the powder.

또한, 분리 받침판(32)과 전극판(33a, 33b) 측단의 이격된 거리는 분체의 성분함량에 따라 변동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석탄회중 미연탄소 함량이 30% 이하인 경우에는, 분리 받침판(32)과 (-)전극(33b):분리받침판(32)과 (+)전극(33a)의 거리비를 1:3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연탄소 함량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거리비가 1:1이 되도록 설치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e support plate 32 and the side ends of the electrode plates 33a and 33b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nent content of the powder. That is, when the unburned carbon content in the fly ash is 30% or 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on plate 32 and the (-) electrode 33b: the separation plate 32 and the (+) electrode 33a is kept at 1: 3 . When the unburned carbon content is 30% or more, the distance ratio is set to 1: 1.

한편, 전극판(33)에 포집된 석탄회는 석탄회 회수관(41)으로, 미연탄소는 미연탄소 회수관(42)로 분리 회수된다. 이때, 전극판(33)에 의해 분리된 분체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판(33)과 분리 받침판(32) 사이에 간격은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ly ash collected in the electrode plate 33 is separated into the coal fly ash recovery pipe 41 and the unburned carbon is separated and recovered in the unburned carbon recovery pipe 42.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powder separated by the electrode plate 33 from accumula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ion plate 32 is set so as to become larger toward the bottom.

또한, 정전분리부(30) 내에서 미립자의 효율적인 회수 및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의 가압으로 인한 대전분체의 이동을 배제하고, 진동기(34)에 의한 전극판(33)과 분리 받침판(32)의 진동에 의해 분체의 이동을 이루며, 전극판(33)에 부착된 분진을 분리 회수한다.In order to prevent efficient collection of fine particles and scattering of dust in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the movement of the charged powder due to the pressurization of air is eliminated, and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ion plate 33, (32), and dust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33) is separated and recovered.

또한, 제 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그판(33a)의 중간에 (-)전극(33b)을 설치하며, 분리 받침판(32)은 아크릴과 같은 절연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장 형성을 막는다. 대전된 분체들이 들어오는 입구 부위에는 분리 받침판(32)과 전극판(33)의 간격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증가하고, (-)전극(33b) 및 (+)전극(33a)의 간격은 하부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구성하는데, 이는 전극판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전기장의 세기가 커지기 때문에, 상부에서 미포집된 분체들을 하부에서 용이하게 포집하기 위함이다. 또한, 포집량 증가에 비례하여 회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회수 부분의 면적도 크게 된다. 또한, 분리 받침판(32)의 하부에는 분체 분리대(35)를 설치함으로써, 하부에서의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여 분체의 분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 electrode 33b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positive electrode 33a and the separator plate 3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ryl Prevents electric field form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ng support plate 32 and the electrode plate 33 increases while moving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 electrode 33b and the (+) electrode 33a de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This is because, as the distance of the electrode plate is shortened,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becomes large, so that the undoped powder can be easily collected from the bottom. Also, since the amount of recovered water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ollected water, the area of the recovered water is also increas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owder separator 35 on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32, mixing of powders in the lower part can be prevented and the powder sepa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는, 정전분리부(30)와 마찰대전부(20)가 하나의 단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찰대전방식으로는 원심분리 방식을 사용하고, 정전분리부(30)의 경우 미끄럼틀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분체를 접촉 또는 마찰대전시키면, 전자에 대한 친화력이 낮은 물질은 전자를 잃어 (+) 전하를 띠는 반면에, 전자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물질은 전자를 얻어 (-)전하를 띠게 되므로, 이를 전기장 하에서 상호 분리할 수 있다. 즉, 미연탄은 (+) 전화를 띠어 반대극성인 (-)극으로 이동하고, 석탄회는 (-) 전하를 띠어 (+)극으로 이동하여 분리 및 회수된다.In the rota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and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unit 20 are formed as a single unit, the centrifugal separation system is used as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system, 30), a slide structure is used. When a powder is contacted or triboelectrically charged, a substance having a low affinity for electrons loses electrons (+), while a substance having a high affinity for electrons gets electrons (-) charged, . ≪ / RTI > In other words, the briquettes move to the negative polarity with the positive telephone and the fly ash moves with the negative polarity to the positive polarity.

원심분리기형 마찰대전부(20)의 경우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의 상단 중앙으로 유입된 석탄회는 입자크기에 따라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접촉대전을 하게 된다. 마찰대전부(20) 하부의 미끄럼틀형 정전분력부(30)는 석탄회 포집전극과 미연탄 포집전극의 면적을 동일하게하고, 평판전극(-)(33b)와 (+)전극(33a)의 간격을 상단이 15㎝, 하단이 10㎝가 되도록 구성하여, 전기장을 하부로 갈수록 강하게 형성시키는 전기장의 세기를 극간거리와 전압으로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이다.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type frictional electrification unit 20, the fly ash flowing into the upper center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The slidable static electricity applying section 30 under the triboelectrification section 20 has the same area of the coal fly ash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unburned coal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lat plate electrode 33b and the positive electrode 33a Is a device system that controls the intensity of an electric field, which is formed to be stronger toward the bottom, to the gap distance and voltage by constituting the upper end to be 15 cm and the lower end to be 10 cm.

마찰대전부(20)에 의해 (-)전하로 대전된 석탄회는 (+)전극(33a)에 도달하여 석탄회 중의 전하는 서서히 방전되므로 부착려과 결합력의 작용으로 (+)전극(33a)에 석탄회층을 형성시켜 석탄회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진동에 의해 포집극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되어 호퍼로 떨어지게 된다. 상대적으로 (-)전극(33a)의 면적을 동일하게 구성한 이유는 양극간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미연탄 포집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함이다.The fly ash charged by the (-) charge by the triboelectrification unit 20 reaches the (+) electrode 33a and the charge in the fly ash is gradually discharged. Therefore, the fly ash layer When the thickness of the fly ash layer becomes thick, it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collecting pole by vibration and drops to the hopper. The reason why the area of the (-) electrode 33a is relatively the same is that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s is made constant and the surface area of the microbial coal is increased.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들면, 전극간의 간격을 상부는 15㎝, 하부는 10㎝로 하고, 극판을 (-)극의 양쪽에 설치하여 전후로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적용전압은 35∼40㎸에서 최적효율을 나타내며 전극간의 전기장은 2∼5㎸/㎝이다. 상기한 구성은 석탄회중 미연탄소의 함량이 13%이상일 때 전극과 미연탄층 내의 전기저항을 줄여 전기장을 강하게 형성시키고 석탄회 포집전극에 전류의 전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s is set to 15 cm at the upper portion and 10 cm at the lower portion, and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fore and after the electrode plat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 pole. At this time, the applied voltage shows optimum efficiency at 35 to 40 kV, and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electrodes is 2 to 5 kV / cm.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 system for forming a strong electric field by reducing the electric resistance in the electrode and the unburnt layer when the content of unburned carbon in the fly ash is 13% or more, and facilitating the conduction of current to the fly ash collector electro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의 크기와 처리용량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ze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particle separation and separation typ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실시예][Example]

마찰대전부(20)의 경우 반지름 40㎝인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를 상하로 설치한다. 이때,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의 크기는 최상단으로부터 23a: 4×4㎜, 23b: 3×3㎜, 23c: 2×2㎜, 23d: 1×1㎜, 23e: 50mesh, 23f: 60mesh, 23g: 70mesh, 23h: 80mesh, 23i: 90mesh, 23j: 100mesh의 기공크기를 지닌 것을 사용하며, 수평방향에 대하여 외부로 10∼15°경사지게 설치하여 미립자의 비산을 방지하고 분체의 외부로의 이동을 도와 망의 막힘을 방지하였다. 또한, 각 접촉대전 매트릭스판(23)사이의 상하 간격은 23a에서 23d까지는 각각 1㎝씩으로, 23e∼23j까지는 1.5㎝가 되도록 설치하였다.In the case of the friction charging section 20, as shown in FIG. 3, ten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s 23 having a radius of 40 cm are installed vertically.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23 is 23a: 4x4mm, 23b: 3x3mm, 23c: 2x2mm, 23d: 1x1mm, 23e: 50mesh, 23f: 60mesh, 23g: 70mesh, 23h: 80mesh, 23i: 90mesh, and 23j: 100mesh are used, and they are installed at an inclination of 10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event scattering of fine particles, And the clogging of the torsion net was prevented. The vertical intervals between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s 23 were set to 1 cm from 23a to 23d and 1.5 cm from 23e to 23j, respectively.

한편, 정전분리부(30)의 경우, 설비의 규격은 (+)석탄회 포집전극(33a)은 가로 20㎝, 세로 100㎝의(4) 평판 전극을(-) 전극(33b)의 좌우로 2개를 설치하였으며, (-)미연탄 포집전극(33b)는 가로 20cm, 세로 100cm의 평탄 크기로 설치하였다. 또한, 진동하는 분리 받침판(32)은 수평으로부터 35°의기울기로 설치함으로써, 정전분리부 내 분체의 체류속도를 증가시켜 분체의 분리효율을 높였다. 분체 회수관(41, 42)의 기울기는 80°의 기울기로 조절하여 중력에 이해 적절히 회수도리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분리 받침판(32)의 하단으로부터 하부 1/6의 지점까지는 삼각형 모양의 사면체인 분체 분리대(35)를 설치하여 하부에서 미분리된 분체의 잔류를 방지하였다. 또한, 전극판(33)과 분리 받침판(32) 사이의 간격은 상단의 분체 입구에서는 각각 1㎝로 동일하게 형성하나, 하부로 갈수록 커지게 구성하였다. 또한, 전극판(33) 하부에서는 전기장 증가에 따른 회수량 증가를 위해 (+)전극판(33a)과 분리 받침판(32)의 간격은 3.5㎝, (-)전극판(33b)과 분리 받침판(32)의 간격은 1.5㎝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아울러, 분리 받침판(32) 하단에서의 분체의 분리 및 회수를 용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전극판(33)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1/5의 지점에 분리 받침판(32)을 설치하였다. 전극 간격은 상부 15㎝, 하부 10㎝로 서로 다른 전기장의 세기를 유도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30, the (+) coal aspiration collecting electrode 33a is (4) flat plate electrodes 20 cm long and 100 cm long, (-) micro briquette collecting electrode 33b was installed at a flat size of 20 cm in width and 100 cm in length. In addition, the vibrating separator plate 32 is installed at a slope of 35 degrees from the horizontal, thereby increasing the retention speed of the powder 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thereby enhanc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powder. The inclination of the powder collecting tubes (41, 42) was adjusted by a slope of 80 ° so that gravity could be recovered properly. A powder separator 35, which is a triangular tetrahedron, is provi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32 to the lower 1/6 point to prevent the powder not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from remaining.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3 and the separator plate 32 is formed to be equal to 1 cm at the powder inlet of the upper part, but is made larger as it goes downwar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3, the gap between the (+) electrode plate 33a and the separation plate 32 is 3.5 cm, the (-) electrode plate 33b and the separation plate 32) was set to be 1.5 cm. In order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recovery of the powder from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32, the separation plate 32 is provided at a point 1/5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plate 33. Electrode spacing induced different electric field intensities at the upper 15 cm and the lower 10 cm.

본 발명의 이동상 정전분리는 적용전압 40㎸, 전극간격은 상부에서 15㎝이고 하부에서 10㎝로, 2.5∼4㎸/㎝의 전기장 세기를 나타낸다. 이는 하부로 갈수록 전기장의 세기가 커진다. 최대효율은 과도한 스파킹없이 유지될 수 있는 전압 40㎸에서 나타나며, 높은 전기장은 입자에 걸리는 힘의 증가를 가져와 입자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켰다. 미끄럼틀형 정전분리부의 전극 사이에서 분체흐름 속의 분집입자에 작용하는 중력은 일반적으로 전기력과 점성력에 비해 대단히 작으므로 무시될 수 있으나, 입자의 부착과 진동에 의해 분리 및 회수되고 미분리된 분체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계속적인 분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입구의 이동상 겉보기밀도는 0.4∼0.6g/㎤이며, 석탄회 회수출구에서의 이동상 겉보기밀도는 0.34∼0.53g/㎤로, 약 13%의 미연탄소 중 11% 이상은 전극판(33)에 포집되었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었다.The electrostatic separation of the mobile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lectric field strength of 2.5 to 4 kV / cm at an application voltage of 40 kV and an electrode gap of 15 cm at the top and 10 cm at the bottom. This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as it goes down. The maximum efficiency appears at a voltage of 40 kV, which can be maintained without excessive sparking, and a high electric field increases the force of the particles to increase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particles. The gravity acting on the aggregate particles in the powder flow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slide typ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is generally negligible as compared with the electric force and the viscous force. However, the powder separated and recovered by the attachment and vibration of the particles, So that continuous separation is achieved. On the other hand, the apparent density of the moving phase of the inlet is 0.4 to 0.6 g / cm 3, the apparent density of the mobile phase at the coal fly ash outlet is 0.34 to 0.53 g / cm 3, It was easy to predict that it was captured.

본 발명의 정전분리장치는 3.5∼4ton/hr의 처리용량으로 실시하였으며, 석탄회 중 미연탄소는 13% 이상으로, 95% 이상의 분리효율에 대한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operated at a treatment capacity of 3.5 to 4 ton / hr, and the unburned carbon in the fly ash was 13% or more,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95% or more were as follows:

마찰대전부: 마찰대전부 접촉대전판의 회전속도: 60∼90rpm, 마찰대전부 내 체류시간: 5∼12초(입자크기에 따라 다름), 마찰대전부 하전량:출구에서 비산되는 입자:-1.92×10-3C/㎏, 출구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입자: -1.5×10-3C/㎏Friction charging part: Friction charging part Contact rotation speed of charging plate: 60 to 90 rpm, Retention time in friction charging part: 5 to 12 seconds (depending on particle size), Friction charging amount: 1.92 × 10 -3 C / kg,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1.5 × 10 -3 C / kg

정전분리부:(+)평판전극: 가로 20㎝, 세로 100㎝, (-)평판전극: 가로 20㎝, 세로 100㎝, 적용전압: 40㎸, (+)평판전극과 (-)평판전극 거리: 상부 15㎝, 하부 10㎝, 전기장의 세기: 2.5∼4㎸/㎝, 전극의 기울기: 30°∼ 45°, 분체회수관 기울기: 80°, 입구의 이동상 겉보기밀도: 0.4∼0.6g/㎤, 석탄회 회수출구의 이동상 겉보기밀도: 0.34∼0.53g/㎤.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 Flat plate electrode: 20 cm long, 100 cm long, (-) Flat electrode: 20 cm wide, 100 cm long Applied voltage: 40 kV, : The height of the upper 15 cm, the lower 10 cm,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2.5 to 4 kV / cm, the slope of the electrode: 30 ° to 45 °, the slope of the powder recovery tube: 80 °, the apparent density of the mobile phase at the inlet: 0.4 to 0.6 g / , The apparent density of mobile phase at the coal fly ash exit: 0.34-0.53g / ㎤.

상기한 본 발명의 정전분리장치는, 마찰대전부와 정전분리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마찰대전부에서 입도분리에 따른 접촉대전을 하기 때문에, 분체에 대한 대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unit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are integrally formed, the apparatus can be downsized, and the contact charg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eparation of the particles in the frictional electrification unit. have.

또한, 전극판을 10㎝ 이상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분체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기존의 전극판을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했을 경우, 분리된 석탄회 및 미연탄소가 전극판 하부에서 혼합되어 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극판을 30∼45°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분리 받침판 상에 분체 분리대를 설치하여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plate can be dropped by 10 cm or more,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powder can be increased, and when the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is installed in parallel vertically, the separated coal fly ash and unburnt carbon are mixed at the bottom of the electrode plate, Where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late is inclined at an angle of 30 to 45 ° and a powder separator is provided on the separated support plate, thereby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상기한 본 발명의 회분리장치는 석탄 중의 황화철(FeS2)의 정제 뿐만 아니라, 하전을 띨 수 있는 광물의 분리와 같은 혼합물 분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석탄회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미연탄 분리공정과 석탄정제 공정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분리장치에 의해, 석탄의 연소 전후에 발생하는 미연탄소분이 약 3% 이하인 순수한 석탄회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혼화제, 건축물 경량제 및 성토제로서의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not only to purification of iron sulfide (FeS 2 ) in coal but also to separation of a mixture such as separation of minerals which may be charged. Particularly, it is useful for a briquette separation process for separating impurities from coal fly ash and a coal refining process. Further, with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pure coal fly ash having the unburned carbon content of about 3% or less before and after the combustion of the coal,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oncrete admixture, a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 and an embankment.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는 건식분리공정에 의해 석탄회 중의 미연탄을 고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의 장치로도 대량의 석탄회를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granular separation charging typ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fine briquettes in coal fly ash by a dry separation process with high efficiency, and can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treat a large amount of fly ash with a small apparatus It is confirmed that it can do.

Claims (7)

전기집진기에서 집진되고 분체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미연탄이 포함된 석탄회를 분리하기 위한 회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에는 석탄회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분리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분리 회수부가 설치된 회분리장치 케이스 내에,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가장 큰 기공을 지닌 접촉대전판이 부설되고 그것의 하부로 기공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복수의 접촉대전판이 적층 부설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과, 상기한 회전축의 상단에 부설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로부터 공급된 석탄회를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촉대전판 유도부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 회전구동수단과,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에 의해 접촉대전된 분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와, 상기한 접촉대전 매트릭스판의 일측에 정전분리부와 연장되며 접촉대전된 석탄회를 정전분리부로 배출하기 위한 석탄회 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한 회분리장치 입구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입도분리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석탄회를 (-)로, 미연탄을 (+)로 각각 접촉대전시키기 위한 마찰대전부와, 상기한 마찰대전부의 석탄회 배출구에 연통된 입구와, 상부가 하부보다 상승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틀 구조를 지니면서 중앙에 수직 배치된 판형의 (-)전극 및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판형 (+)전극으로 이루어진 적극판과, 상기한 전극판의 (-)전극과 (-)전극 양측의 (+)전극 사이에 상기한 전극판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수직 상향으로 부설되고 상기한 (-)전극 및 (+)전극 각각의 측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분체의 분리를 위한 이동 및 분리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분리 받침판과, 상기한 분리 받침판 상에 상기한 전극판과 수평으로, 상기한 분리 받침판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한 분리 받침판 하부에서의 분체의 완전분리를 유도하고 분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분체 분리대와, 상기한 분리 받침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전극판 및 분리 받침판과 연결되며 분체의 이동과 동시에 전극판에 부착된 분체의 분리를 이루도록 상기한 전극판과 분리 받침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로 구성되어, 전기장 형성에 의해 상기한 접촉대전부로부터 공급된 석탄회와 미연탄을 정전분리하기 위한 정전분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An apparatus for separating coal fly ash collected from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supplied by a powder feeder, comprising an inlet for supplying fly ash to the upper end of the fly ash separated from coal briquettes A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which are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e a largest pore and which are sequentially reduc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A contact charging plate guide portion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guide the fly ash supplied from the inlet of the separating device to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rotating drive means, and a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And a coal fly ash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y ash charged in contact with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at one side of the contact charging matrix plate, A friction charging unit for contact charging the coal fly ash by centrifugal force and negative briquetting by positive centrifugal force while separating the powders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coal fly ash outlet of the above friction charging unit, (-) electrode arranged vertically at a center with a slider structure formed to be sloped upward, and a plate-shaped (+) electrod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 electrode, (-) electrode and a (+) electrode on both sides of the (-) electrode, and is arranged vertically upward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plate, A separation plat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a moving and separating space for separating the powder; and a separator provided on the separator plate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plate, A powder separator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to induce complete separation of the powd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and preventing mixing of the powder, And a vibrator for vibrating th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ing plate so as to separate the powder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The electrostatic chuck f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the coal fly ash from the contact charging unit by the electric field formation, And the separat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접촉대전판은 수평에서 10∼15°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The particle separation charger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are inclined at an angle of 10 to 15 degre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접촉대전판의 상하 간격을 접촉대전판의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The size separating and charging type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ar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to a lower end of the contact charg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접촉대전판으로는 Cu 60, Fe 20, Ni 20의 합금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느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The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lloy plate of Cu 60, Fe 20, and Ni 20 is used as the plurality of contact charging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판과 분리 받침판 사이의 간격은 전극판의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ion plate is increased toward the bottom of the electro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판의 (-)전극과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전극 사이의 간격은 전극판의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p between the (-) electrode of the electrode plate and the (+)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creases toward the bottom of the electrode plate Separation device of granular separation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리 받침판과 전극판 측단의 이격된 거리비를 분체의 성분함량에 따라 변동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분리 대전형 회분리장치.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distance ratio between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electrode plate is vari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powder. ※ 참고사항: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27660A 1996-07-09 1996-07-09 Fine particle separation by electrostatically induced oscillation KR0176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660A KR0176071B1 (en) 1996-07-09 1996-07-09 Fine particle separation by electrostatically induced oscil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660A KR0176071B1 (en) 1996-07-09 1996-07-09 Fine particle separation by electrostatically induced osci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34A true KR980008334A (en) 1998-04-30
KR0176071B1 KR0176071B1 (en) 1999-03-20

Family

ID=1946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660A KR0176071B1 (en) 1996-07-09 1996-07-09 Fine particle separation by electrostatically induced oscil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0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6910A (en) * 2021-09-08 2021-12-31 西安欧中材料科技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non-metal impurities in high-temperature alloy pow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6910A (en) * 2021-09-08 2021-12-31 西安欧中材料科技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non-metal impurities in high-temperature alloy powder
CN113856910B (en) * 2021-09-08 2023-09-19 西安欧中材料科技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nonmetallic inclusions in superalloy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6071B1 (en)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0148B1 (en) Electrostatic method of separating particulate materials
KR100187968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uncombusted carbon powder of coal ash
US4100068A (en) System for the dielectrophoretic separation of particulate and granular material
EP0311617B1 (en) Separating constituents of a mixture of particles
US4797201A (en) Electrostatic free-fall separator
KR101569584B1 (en) Electric charging unit and electroststic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16365B1 (en) Electrostatic separation of unburned carbon from fly ash using conductive induction type of ejector tribocharger
CN105026048A (en)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PL17759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gregating flying ashes
US271285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materials from gases
GB2130922A (en) Electrostatic separation particulate materials
CA1066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crude potassium salts containing carnallite
US4657567A (en) Dust separation apparatus
JPS59109260A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granular substance
CA1333700C (en) Waterflow differential electrical charging process for ores
KR980008334A (en) Partition separation type charging separator
RU63254U1 (en) SCREW SEPARATOR
KR0176069B1 (en) Friction-charged apparatus with cyclone
CN104289315B (en) Suspended composite electrified electrostatic separator and electrostatic separation method
KR100228922B1 (en) Cyclone electrostatic separator
US4164460A (en) System for the dielectrophoretic separation of particulate and granular materials
KR0176067B1 (en) Electrostatic separating apparatus
Chandrasekhar Design and testing of a triboelectrostatic separator for cleaning coal
KR0176070B1 (en) Electrostatic separating apparatus of powder using rotating belt-electrodes
KR0176068B1 (en) Electrost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coal-a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