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159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159A
KR980008159A KR1019970035424A KR19970035424A KR980008159A KR 980008159 A KR980008159 A KR 980008159A KR 1019970035424 A KR1019970035424 A KR 1019970035424A KR 19970035424 A KR19970035424 A KR 19970035424A KR 980008159 A KR980008159 A KR 980008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corona discharge
discharge means
electric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6724B1 (ko
Inventor
다까히사 도요따
나루히꼬 스즈끼
야스노리 고따까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80008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실을 갖고 있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과 연통하도록 접속된 흡입구체를 갖고 있는 전기 청소기로서,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입구체 사이에 코로나 방전 수단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설치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코로나 방전 발생 수단을 마련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운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입구체로부터 먼지가 흡입되고, 연장관, 호스를 거쳐서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로 집진된다. 이 때, 흡입되는 먼지가 흡입구체, 연장과, 호스 등의 내벽에 충돌하여 정전기가 발생한다.
특히, 정전기가 발생하는 부위가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접촉하면 큰 전기적 쇼크를 받는다. 이것은 금속 재료의 경우, 플라스틱 재료에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와 비교해 정전기의 전위가 동일해도 금속 재료에서는 도전성을 갖고 있어, 금속 재료에 대전된 전체 전하가 유도되기 때문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63-30583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로니트릴 황화 구리 복합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코로나 방전 수단을 외기와 접하도록 청소기의 본체 케이스내에 배치한다든지, 호스의 외주에 휘감는다든지 해서, 대전된 정전기를 방전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개 소63-30583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코로나 방전 수단이 외기와 접하도록 그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로나 방전 수단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코로나 방전 수단이 파손되는 것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인체에 전기 쇼크를 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로나 방전 수단의 파손 방지를 꾀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요부 외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요부 외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 전체의 외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외관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체의 외관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체의 외관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전방부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코로나 방전 수단 102 : 보유 지지 부재
103 : 개구부 504 : 연장관
505 : 흡입구체 506 : 스위치 조작부
507 : 제1 적외선 발광부 508 : 제2 적외선 발광부
509 : 적외선 수광부 604 : 집진실
608 : 전동 송풍기실 614 : 제어 기판
615 : 적외선 수광 소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것은,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실을 갖고 있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과 연통하도록 접속된 흡입구체를 갖고 있는 전기 청소기로써,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입구체 사이에 설치된 코로나 방전 수단과,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갖고 있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5에 있어서, 도면 부호 501은 제어 회로나 전동 송풍기 등이 내장된 청소기 본체, 502는 청소기 본체(501)의 흡입구부에 접속된 호스, 503은 호스 손잡이붑, 504는 호스(502)의 선단[호스 손잡이부(503)]에 접속된 연장관, 505는 연장관 (504)에 접속된 흡입구체, 506은 호스 손잡이부(503)에 마련된 스위치 조작부, 507은 호스 손잡이부(503)에 마련된 제1적외선 발광부, 508은 호스 손잡이부(503)에 마련된 제2적외선 발광부, 509는 청소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적외선 수광부이고, 510은 실내의 천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청소기 본체(501)는 그 전방부를 하부를 덮는 하부 케이스(601)와 그 전면 상부를 덮는 덮개체(602), 덮개체(602) 위에 마련된 흡입구(603), 집진 주머니를 수납하는 집진실(604), 집진실(604)내의 기밀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서 덮개체(602)와는 별도의 부재로 덮개체(602)에 부착된 기밀 보유 지지커버(605)를 가지고 있고, 그 후방부에 하부 케이스(601)와 상부 케이스(606)로 형성되는 전동 송풍기실(608)을 가지고 있다. 또, 집진실(604)에는 집진 주머니(607), 전동 송풍기실(608)에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전동 송풍기(609)가 수납되어 있다. 이 전동 송풍기(609)의 흡기 쪽에는 필터(610)를 마련해 집진실(604)과 연통하고 있다. 집진실(604)의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케이스(601)의 벽면 상부에는 패킹(6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패킹(611)과 기밀 보유 지지 커버(605)가 가압 접촉되어 집진실 (604)의 기밀을 보유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606)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스 커버(612)로 덮힌 기판 수납부(613)가 형성되어 제어 기판(614)이 수납되고 있다. 제어 기판(614)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 쪽 또는 상부 케이스 커버 쪽에 고정해도 된다. 제어 기판(614) 위에는 호스 손잡이부 (503)의 제1적외선 발광부(507) 및 제2적외선 발광부(508)에서 방사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 소자(6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적외선 수광 소자(615)에 적외선 신호가 도달하도록 상부 케이스 커버(612) 위에 적외선을 투과 시키는 별도의 재료로 성형한 적외선 수광부(509)가 마련되어 있다. 적외선 수광부(509)는 상부 케이스 커버(612) 자체를 적외선 투과시키는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해도 된다.
다음에, 도5 및 도6를 사용해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 사용자가 호스 손잡이부(503)에 마련된 스위치 조작부(506)의 하나를 누르면, 눌린 스위치에 따른 신호 코드가 적외선 신호로써 제1적외선 발광부(507) 및 제2적외선 발광부(508)로부터 방사된다.
제1적외선 발광부(507)는 보통 사용 상태에서는 거의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1적외선 발광부(507)에서 방사된 적외선 신호는 방의 천정이나 벽에 부딪혀 반사해서 청소기 본체(501)의 적외선 수광부(509)에 도달한다. 또, 제2적외선 발광부(508)는 호스 손잡이부의 파지단부에 거의 수평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2적외선 발광부(508)에서 방사된 적외선 신호는 직접 청소기 본체(501)의 적외선 수광부에 도달한다. 적외선 수광부(509)에 도달한 적외선 신호는 적외선 수광 소자(615)에 의해 수광되고 제어 기판(614)을 거쳐 청소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작 정보를 적외선 신호를 이용해 청소기 본체(501)로 송신해서 전기 청소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호스(502), 연장관(504) 등에 전원선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청소기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 기류로 흡입구체(505)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연장관(504), 호스(502)를 거쳐 청소기 본체(501)의 집진 주머니(607)로 집진한다. 이 때, 집진되는 먼지가 흡입구체(5 05), 연장관(504), 호스(502) 등의 내벽에 충돌해서 정전기가 발생한다.
흡입구체(505), 연장관(504), 호스(502) 등이 정전기를 띤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들에 접촉하면 전기적 쇼크를 받게 된다.
이하, 정전기에 의한 전기적 쇼크를 방지하는 수단에 대해서 도1 내지 도4를 사용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요부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요부 외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의 요부 외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장관 전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4에 있어서, 연장관(504)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내부 통(401)과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외부 통(402)을 가지고 있고, 외부 통(402)에 내부통(401)의 일단부 쪽을 삽입해서, 삽입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연장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403은 내부 통(401)과 외부 통(402)을 걸어주는 걸림 수단이다.
내부 통(401)의 타단부 쪽에는 흡입구체(505)와 접속하기 위한 커버체(4040가 마련되어 있고, 후크체(405)를 조작함으로써 연장관(504)과 흡입구체(505)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연장관(504)의 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1은 아크릴로니트릴 황화 구리 복합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코로나 방전 수단으로, 내부 통(401)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2는 코로나 방전 수단(101)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로, 커버체(404)의 홈부(404a)에 보유 지지 부재(102)의 갈퀴부(102a)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하고 있다. 또, 이 보유 지지 부재(102)에는 코로나 방전 수단(101)이 외기와 접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개구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코로나 방전 수단(101)은 그 대부분이 보유 지지 부재(102)에 의해 덮혀져 있기 때문에 코로나 방전 수단(10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정전기를 방전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운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입구체로부터 먼지가 흡입되고, 연장관, 호스를 거쳐서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로 집진된다. 이 때, 흡입되는 먼지가 흡입구체, 연장관, 호스를 거쳐서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로 집진된다. 이 때, 흡입되는 먼지가 흡입구체, 연장관, 호스 등의 내벽에 충돌해서 정전기가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정전기는 금속으로 구성된 내부 통(401)으로 유도된다. 내부 통(401)으로 유도된 정전기는 내부 통(401)에 접촉해 설치된 코로나 방전 수단(101)으로 이동하여 개구부(103)에서 대기중으로 방전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접촉해도 큰 전기적 쇼크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코로나 방전 수단(101)을 커버체(404)의 내부 통(401)측 단부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구체(505)에 대전한 정전기도 방전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 수단(101)을 연장관(504)의 대략 중앙부가 되는 내부 통(401)과 외부 통(402)의 미끄럼 이동부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통(401)과 외부 통(402)에 대전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8에 도시한다.
도8은 흡입구체(505)의 외관 사시도,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에 있어서, 흡입구체(505)의 골격이 되는 흡입구 본체(801)는 그 대략 중앙의 높이에서 상하로 2분할 되어 있고, 외곽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802)와 이 하부 케이스(802)의 상방 후방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80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본체(801)내의 전방부 공간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터빈ㆍ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청소체(804)가 배치되어 있고, 이 회전 청소체 (804)에는 블레이드(804a)와 브러쉬(804b)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 청소체(804)의 상방에는 이 회전 청소체(804)를 덮도록 착탈 가능한 흡입구 커버(805)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 본체(801)의 하부 케이스(802)와 흡입구 커버(805)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는 기밀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범퍼(806)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807, 808은 흡입구 본체(8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방 차륜 및 후방 차륜, 809는 이음매이다.
도9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803)의 후방부에는 코로나 방전 수단(810) 및 이 코로나 방전 수단(810)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수단(811)이 배치되어 있고, 또 코로나 방전 수단(810)이 외기와 접하도록 개구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유 지지 수단(811)을 상부 케이스(803)의 후방부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보유 지지 수단(811)은 하부 케이스(802)에 설치해도 된다.
또, 상부 케이스(803)와 흡입구 커버(805)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구체(505)에 코로나 방전 수단(810)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구체(505)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다해도 코로나 방전 수단 (8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10 및 도11를 사용해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0은 흡입구체(505)의 외관 사시도, 도11은 도10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 05)의 전방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0 및 도11에 있어서, 흡입구 본체(801)의 하부 케이스(802)와 흡입구 커버(805)가 접촉하는 위치의 하부 케이스(802)의 외주에는 범퍼를 겸한 코로나 방전 수단(100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로나 방전 수단(1001)은 하부 케이스(802)에 형성된 보유 지지 수단이 되는 오목부(1002)의 저면부(1002a)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동시에, 가이드부(1002b)에 의해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802)의 오목부(1002)에 부착된 코로나 방전 수단(1001)은 항상 외기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구체(505)에 발생한 정전기를 코로나 방전 수단(1 001)을 통해서 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로나 방전 수단(1001)을 범퍼와 겸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코로나 방전 수단(1001)의 파손 및 하부 케이스(802)로부터의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입구체에 코로나 방전 수단을 설치하여 흡입구체 내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고, 코로나 방전 수단을 보유 지지 수단으로 보유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체에 가해진 강한 충격에 의한 코로나 방전 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실을 갖고 있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을 갖고 있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과 연통하도록 접속된 흡입구체를 갖고 있는 전기 청소기로써,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입구체 사이에 배치된 코로나 방전 수단과,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이 외기와 연통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은 흡입구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을 연장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을 연장관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을 연장관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은 아크릴로니트릴 황화 구리 복합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9. 흡입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기류에 의한 집진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실을 갖고 있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과 연통하도록 접속된 흡입구체를 갖고 있는 전기 청소기로써, 상기 흡입구체에 코로나 방전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수단은 상기 흡입구체의 외주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5424A 1996-07-31 1997-07-28 전기 청소기 KR100216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1517 1996-07-29
JP20151796 1996-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59A true KR980008159A (ko) 1998-04-30
KR100216724B1 KR100216724B1 (ko) 1999-09-01

Family

ID=1644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424A KR100216724B1 (ko) 1996-07-31 1997-07-2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16724B1 (ko)
CN (1) CN1117547C (ko)
TW (1) TW381460U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086A (en) * 1986-12-19 1987-12-29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dissipating electrostatic charge through corona discharge
JPS63305835A (ja) * 1987-06-05 1988-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1460U (en) 2000-02-01
CN1117547C (zh) 2003-08-13
KR100216724B1 (ko) 1999-09-01
CN1176087A (zh)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009B1 (en) Vacuum cleaner
US6647587B1 (en) Vacuum cleaner using centrifugal force dust collection to prevent filter blinding
GB9921385D0 (en)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EP2033563A3 (en) Vacuum cleaner
CA2424185A1 (en) Airflow system for bagless vacuum cleaner
US4817234A (en) Vacuum cleaner with shielded electronic control module
DE69705329D1 (de) Saugöffnung für Staubsauger
ATE345079T1 (de) Staubsammelvorrichtung für staubsauger und stielstaubsauger
GB2324958B (en)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configuration
CA2450058A1 (en) Bagless vacuum cleaner
FR2650745B1 (fr) Aspirateur menager electrique avec support de tuyau d'aspiration
PL1559359T3 (pl) Odkurzacz
SG60173A1 (en) Dust suction body and vacuum cleaner with a dust suction body
KR100216724B1 (ko) 전기 청소기
CA2445569A1 (en) Bagless vacuum cleaner
JP3344290B2 (ja) 電気掃除機
EP1852048B1 (en) Vacuum cleaner having decreased noise and vibration
CA2476198A1 (en) Nozzle assembly with high efficiency agitator cavity
KR200182561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KR920006227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고무캡
JPH08238201A (ja) 掃除機および掃除機用ノズル
KR970032720A (ko) 진공청소기의 정전기 방지장치
KR200161654Y1 (ko) 진공청소기용 악세서리조립체
SE9900142L (sv) Borstmunstycke för dammsugare
JP200409750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