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73132A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 Google Patents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3132A
KR970073132A KR1019960013779A KR19960013779A KR970073132A KR 970073132 A KR970073132 A KR 970073132A KR 1019960013779 A KR1019960013779 A KR 1019960013779A KR 19960013779 A KR19960013779 A KR 19960013779A KR 970073132 A KR970073132 A KR 97007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ignal
bandwidth
complexity
curr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659B1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1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659B1/ko
Publication of KR97007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DCT 양자화를 포함하는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 보상 오차값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이전 영상과 입력 영상간의 시간 복잡도와 움직임 추정 및 보상을 위해 복원된 이전 프레임의 공간 복잡도에 근거하여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영상의 복잡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에 따라 2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부호화후의 비트 발생량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해 복원된 이전 프레임 각각에 대해 공간 복잡도값을 산출한 다음 각각 산출된 각 이전 프레임의 공간 복잡도값들을 평균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이전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공간 복잡도값을 산출하고, 에러신호에 대해 각 매크로 블록 단위로 각 펙셀값을 가산하여 움직임 보상 오차값을 산출한 다음 각각 산출된 각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보상 오차값들을 평균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이전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 평균 오차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평균 공간 복잡도값과 움직임 평균 오차값에 의거하여 최종 복잡도값을 산출하는 시, 공간 복잡도 계산 수단; 및 산출된 최종 복잡도값을 DCT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갖는 부호화 수단을 통해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복잡도로서 참조하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통과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기설정된 복수의 대역폭 결정신호들중 산출된 최종 복잡도값에 대응하느 대역폭 결정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입력 현재 프레임 신호에 대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를 코사인함수를 이용하여 M×N 블록단위의 주파수 영역의 2차원 DCT 변환계수들로 변환하는 이산 코사인 변환수단; M×N단위의 2차원 DCT 변환계수 블록들에 대해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이용하여 유한한 개수의 값으로 양자화하는 양자화 수단; 발생된 대역폭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 블록들에 대한 고주파 통과 대역을 결정하며, 양자화된 각 DCT 변환계수 블록의 고주파 통과 대역을 결정된 대역폭으로 제한하는 주파수 선택 수단; 및 대역폭이 제한된 양자화된 각 DCT 블록들 각각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원신호로 복원된 대역폭 제한 프레임 신호를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영상 복원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부호화 수단에서의 양자화시 과도한 스텝 사이즈의 증가 없이 부호화후 발생되는 비트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Claims (5)

  1.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과, 이 현재 프레임 및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을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단위의 움직임 추정, 보상을 통해 얻어지는 예측 프레임간의 에러신호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포함하는 부호화 수단을 통해 압축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며, 상기 양자화는 출력측 버퍼에 저장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충만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그 스텝 사이즈가 조절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해 복원된 상기 이전 프레임 각각에 대해 공간 복잡도값을 산출한 다음 각각 산출된 상기 각 이전 프레임의 공간 복잡도값들을 평균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이전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공간 복잡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에러신호에 대해 각 매크로 블록 단위로 각 픽셀값을 가산하여 움직임 보상 오차값을 산출한 다음 각각 산출된 각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보상 오차값들을 평균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이전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 평균 오차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평균 공간 복잡도값과 움직임 평균 오차값에 의거하여 최종 복잡도값을 산출하는 시, 공간 복잡도 계산 수단; 상기 산출된 최종 복잡도값을 상기 부호화 수단을 통해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느 프레임의 복잡도로서 참조하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통과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기설정된 복수의 대역폭 결정신호들중 상기 산출된 최종 복잡도값에 대응하는 대여폭 결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상기 입력 현재 프레임 신호에 대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를 코사인함수를 이용하여 M×N블록 단위의 주파수 영역의 2차원 DCT 변환계수들로 변환하는 이산 코사인 변환수단; 상기 M×N 단위의 2차원 DCT 변환계수 블록들에 대해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이용하여 유한한 개수의 값으로 양자화하는 양자화 수단; 상기 발생된 대역폭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 블록들에 대한 고주파 통과 대역을 결정하며, 상기 양자화된 각 DCT 변환계수 블록의 고주파 통과 대역을 상기 결정된 대역폭으로 제한하는 주파수 선택 수단; 및 상기 대역폭이 제한된 양자화된 각 DCT블록들 각각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원신호로 복원된 상기 대역폭 제한 프레임 신호를 상기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상기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영상 복원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각 대역폭 결정신호는, 상기 산출된 각 프레임의 평균 공간 복잡도값, 상기 각 프레임의 평균 공간 복잡도값을 평균하여 얻은 초당 전송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제 1 의 평균 에러치, 이 제 1의 평균 에러치의 제 1의 표준편차, 상기 산출된 각 프레임의 움직임 평균 오차값, 상기 각 프레임의 움직임 평균 오차값을 평균하여 얻은 초당 전송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제 2의 평균 에러치 및 이 제 2의 평균 에러치의 제 2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대역폭 결정신호는, 상기 각 DCT변환계수 블록들의 각가 다른 필터계수 설정을 위한 정수값의 4개의 대역폭 결정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코사인 변환수단은, 상기 현재 프레임 신호에 대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를 8×8블록 단위의 2차원 DCT 변환계수들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 수단은, 상기 양자화된 각 DCT 변화계수 블록들에 대해 상기 발생된 대역폭 결정신호 이하의 고주파 성분을 제로(0)값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3779A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779A KR100203659B1 (ko)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779A KR100203659B1 (ko)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132A true KR970073132A (ko) 1997-11-07
KR100203659B1 KR100203659B1 (ko) 1999-06-15

Family

ID=1945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779A KR100203659B1 (ko)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44B1 (ko) * 1997-12-12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형 양자화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44B1 (ko) * 1997-12-12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형 양자화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659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018B1 (ko) 동화상 부호화장치
KR950005620B1 (ko) 적응 dct/dpcm부호기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100203710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0162203B1 (ko) 양자화스텝사이즈의 가변을 이용한 적응적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29796B1 (ko) 열화영상에 대한 보상기능을 갖는 영상 복호화 시스템
KR970073132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41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3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73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JPH0556416A (ja) フレーム間予測符号化装置のループ内フイルタ制御方式
KR970073127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4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7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8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42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71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9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46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5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0124157B1 (ko) 영상 부호화 장치
KR20060034294A (ko) 엔코딩 방법 및 디바이스
KR970073174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58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72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KR970073131A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