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71184A -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1184A
KR970071184A KR1019960010295A KR19960010295A KR970071184A KR 970071184 A KR970071184 A KR 970071184A KR 1019960010295 A KR1019960010295 A KR 1019960010295A KR 19960010295 A KR19960010295 A KR 19960010295A KR 970071184 A KR970071184 A KR 97007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line
line carrier
power management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3739B1 (ko
Inventor
이기원
김진태
박규현
Original Assignee
이기원
기인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기인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1996001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739B1/ko
Publication of KR97007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739B1/ko

Link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대전력관리장치는 수용가의 최소 8개 이상 제어대상 부하(냉방기기 등)들을 출력 신호선으로 직접 연결하여 전원 온 오프 제어를 수행하므로 각각의 냉방기기들이 설치된 위치까지 일일이 제어신호선을 포설하는 공사를 수행해야 하며, 기존 설치운용중인 최대전력 관리장치는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는 설비로 한전과는 무관하게 수용가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하여 목표전력관리도 지금까지는 수용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인 바, 고압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이 사전에 입력한 목표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선 반송통신(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최대전력관리장치가 현장의 부하를 별도 신호선 포설 공사없이 간편하게 제어하며, 전력회사의 전력관리센터와 수용가 최대전력관리장치를 온라인하여 하계피크가 예상되는 시간대에 전력관리센터에서 적절한 목표전력을 수용가 최대전력관리장치에 다운로드함으로써 한전 전체의 전력수급에 연동되어 수용가 부하를 제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의 현장접속 연결 구성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수급연동형 시스템 구축 블럭도, 제5도는 제3도의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상세 구성 블럭도, 제12도 본 발명의 최대전력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현장 부하제어의 수행 알고리즘의 플로우챠트.

Claims (9)

  1. 공지의 최대전력관리 주장치, 전력량계 접속장치 및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로 구성된 최대전력관리장치(100)와 수용가의 제어대상 부하(22)에 부착된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와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을 AC 일반 전원선을 통해 연결하고, 목표전력 초과 사용이 발생하면 제어대상 부하(22)의 일부에 대한 정격공급을 차단하여 전력사용량을 목표전력 이하로 제어하고, 목표전력 초과사용이 해소되면 전력공급 차단되었던 일부 제어대상 부하(22)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전력공급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가 AC 일반전원선을 통해 상기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에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방법.
  2. 전력회사 거래용 최대수요 전력량계(10)에서 사용전력량과 15분 수요시한을 인출하는 전력량계 접속장치(110), 수용가 최대 사용전력이 사전에 정해진 목표전력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최대전력관리 주장치(120),그리고 수용가 사용전력이 목표전력을 초과할 때 원거리의 제어대상 부하(22)들에 제어 출력신호를 송출하고 제어출력의 수신 상태를 확인받는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로 이루어진 최대전력 관리장치(100)와, 제어 대상 부하(22)들에 연결된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장치(160)와, 상기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와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를 연결하는 AC 일반전원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AC 전원선에 여려개의 대용량 부하나 커패시터 부하가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제어대상 부하(22)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AC 전원선에 유입되어 전력선 반송 주파수대의 임피이던스가 저하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인덕터(L1~L4)와 커패시터(C1)로 구성된 임피이던스 부스트 필터(170)를 제어대상 부하(22) 앞단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특정 수용가의 전력선 반송 제어 신호가 인접한 타 수용가로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전 수전용 변압기(15)의 2차측에 인덕터(L5,L6)와 커패시터(C2,C3)로 구성된 반송주파수 감쇄용 노치필터(18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원격제어를 위한 통신 프레임은 1주기마다 2개의 비트를 전송하되, 앞선 반주기에는 실제 전송 데이타 비트를, 뒤진 반주기에는 앞선 비트를 역전시킨 인버스비트를 보내어 전력선 반송 데이타의 신뢰성이 있도록 데이타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에서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로 부하제어 명령을 송출한 후, 상기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에서 상기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로 제어명령의 수신 및 수행결과를 응답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전력선 반송통신의 신뢰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반송 마스타 장치(140)나 상기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의 AC 전원 입력 접속부에 60Hz 전원 주파수는 오픈시키고 반송 주파수 대역은 통과시키는 캐리어 필터 및 트랜스부(16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반송 슬레이브 장치(160)의 외부 접점 출력 릴레이로 AC 일반전원이 정전시 정전 이전의 릴레이 접점을 그대로 유지하는 래치형 릴레이(163)를 채택하여 AC 전원의 “오프” 후 “온”될 때에도 접점 릴레이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장치.
  8. 전력회사의 지역별 전력관리센터(200)와 자기지역 관내 고압수용가에 설치된 최대전력관리장치(100)들이 전용통신망으로 온라인 연동되어, 피크전력 위기시에 전체적인 전력 수급 사정에 따라 지역별 전력관이센터(200)에서 수용가의 목표전력을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부하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수용가에 설치된 최대전력관리장치(100)가 지역별 전력관리센터(200)로부터 목표전력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수용가의 사용전력 변화 추이를 상기 지역별 전력관리센터(200)로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부하제어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0295A 1996-04-04 1996-04-04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및장치 KR10019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295A KR100193739B1 (ko) 1996-04-04 1996-04-04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295A KR100193739B1 (ko) 1996-04-04 1996-04-04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84A true KR970071184A (ko) 1997-11-07
KR100193739B1 KR100193739B1 (ko) 1999-06-15

Family

ID=6622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295A KR100193739B1 (ko) 1996-04-04 1996-04-04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64B1 (ko) * 2007-09-27 2009-08-07 한국전력공사 전력회사의 고객건물 냉방전력부하 협력 원격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27966B1 (ko) * 2008-12-03 2012-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기기의 동작에 따른 소비 전력 수집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73B1 (ko) 2005-12-21 2006-12-15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통신방식을 이용한 분산발전용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1168160B1 (ko) 2008-12-03 2012-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기기의 부하 제어에 따른 전력 변화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64B1 (ko) * 2007-09-27 2009-08-07 한국전력공사 전력회사의 고객건물 냉방전력부하 협력 원격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27966B1 (ko) * 2008-12-03 2012-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기기의 동작에 따른 소비 전력 수집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739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0677A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consumption, including transceiver communicator control apparatus and alternating current control apparatus
ATE182038T1 (de) Energieverteilungs- und gebäudeautomationssystem
ES2173450T3 (es) Control de temperatura y tiempo de un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electrico.
CN105207237A (zh) 配网三相负荷不平衡调整控制系统
RU2001123922A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оличеством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потребляемой установленными в доме бытовыми электроприборами
WO2001071881A3 (en) Energy management system which includes on-site energy supply
CN103023139A (zh) 一种配网监测装置及监测方法
EP2012132A1 (de) Verbrauchs- und Zustandsmesser
CN103124071A (zh) 可在线监测的智能高压无功补偿装置
KR100938616B1 (ko) 모자검침기를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CN112953599A (zh) 一种具有电力宽带载波功能的储能接入终端
KR970071184A (ko) 최대전력관리장치의 전력선 반송 부하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257162B (zh) 施工现场智能配电系统
CN103337906B (zh) 电信级节能保护系统及其实现方法
CN202260625U (zh) 电力在线智能监控器
Markushevich et al. Functional requirements and cost-benefit study for distribution automation at BC Hydro
CN103138850A (zh) 通信终端的调测方法及装置
KR19980025675A (ko) 수급연동형 최대전력 관리 시스템
KR20040082599A (ko) 최대수요전력측정 및 제어시스템
KR200318807Y1 (ko) 최대수요전력측정 및 제어시스템
CN210957803U (zh) 一种三相不平衡调节装置
CN204481573U (zh) 一种低压馈线单元负荷可定制电力智能终端
CN204967427U (zh) 一种基于存量基站直流远程供电系统
KR20150081805A (ko) 통신 및 분기 확장이 용이한 통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WO2016139129A1 (en) Adjustable speed driv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