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55920A -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55920A
KR970055920A KR1019950059432A KR19950059432A KR970055920A KR 970055920 A KR970055920 A KR 970055920A KR 1019950059432 A KR1019950059432 A KR 1019950059432A KR 19950059432 A KR19950059432 A KR 19950059432A KR 970055920 A KR970055920 A KR 97005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vel
power supply
battery
supply voltag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6857B1 (ko
Inventor
윤성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5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857B1/ko
Publication of KR97005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전화기의 배터리전원레벨에 따른 전원조명구동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배터리의 전원전압을 소정 주기마다 검사하여 조명장치로의 전원전압 공급을 제어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을 일정주기마다 체크하여 갱신하는 제1과정과; 조명장치를 구동시키는 조명키가 입력되면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레벨 이하인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상기 저전압 레벨 이하이면 상기 무선전화기가 통화상태인가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무선전화기가 통화상태이면 경고음을 발생하고, 상기 조명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상기 저전압레벨 이상이면 상기 조명장치가 구동되는 시간을 세트한 뒤,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수행후, 다이얼링 요구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저전압레벨 이하이면 상기 조명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제6과정으로 해결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2)

  1. 조명장치와 배터리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을 일정주기마다 체크하여 갱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는 조명키가 입력되면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레벨 이하인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상기 저전압 레벨 이하이면 상기 무선전화기가 통화상태인가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무선전화기가 통화상태이면 경고음을 발생하고, 상기 조명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상기 저전압레벨 이상이면 상기 조명장치가 구동되는 시간을 세트한 뒤,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수행후, 다이얼링 요구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전압레벨이 저전압레벨 이하이면 상기 조명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59432A 1995-12-27 1995-12-27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KR015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432A KR0156857B1 (ko) 1995-12-27 1995-12-27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432A KR0156857B1 (ko) 1995-12-27 1995-12-27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20A true KR970055920A (ko) 1997-07-31
KR0156857B1 KR0156857B1 (ko) 1998-11-16

Family

ID=1944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432A KR0156857B1 (ko) 1995-12-27 1995-12-27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62B1 (ko) * 1999-07-28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619B2 (ja) * 1996-03-19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の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照明制御方法
KR20010091049A (ko) * 2000-04-07 2001-10-22 오카베 히로무 부가기능을 가진 배터리-전원공급 이동전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62B1 (ko) * 1999-07-28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857B1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515A (ko) 무선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호출방법
KR970055920A (ko)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KR910015134A (ko) 무선전화장치
KR910007296A (ko) 무선전화장치
KR900011233A (ko) 키폰시스템의 국선 발신 통화시간 표시방법
KR950030504A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60006315A (ko) 셀룰라폰에서의 부스터 사용시 출력제어 방법
KR100305860B1 (ko) 셀룰라폰의통화시전력절감방법
GB0302105D0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970009152A (ko) 키폰시스템에서 전원절약 운영방법 및 회로
KR970056726A (ko) 키폰전화기의 절전방법
KR940017366A (ko) 메모리전원 제어기능을 갖춘 셀룰라폰
KR930015332A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920022700A (ko) 무선호출 수신기에서 저전압시 메세지 보호방법
KR970004218A (ko) 재충전용 밧데리의 메모리 이펙트 제거를 위한 충방전 제어방법 및 그 회로
KR940010590A (ko) 전화기 및 그것의 착신음 일시발생정지방법
KR970055996A (ko) 이동무선전화기의 경보발생방법
KR930015612A (ko) 무선 전화기에서의 통화 제어방법 및 회로
KR890003176A (ko) 확장전화기의 호출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60039525A (ko)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KR970056547A (ko) 전화기의 초기 설정기능 변경제어방법
KR960016205A (ko) 셀룰라폰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KR960027951A (ko) 전화기의 루프 자동전환 방법
KR970055949A (ko) 무선전화기의 로우밧데리 경고후 통화유지를 위한 휴대장치
KR960030586A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링신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