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32377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32377A
KR970032377A KR1019970015146A KR19970015146A KR970032377A KR 970032377 A KR970032377 A KR 970032377A KR 1019970015146 A KR1019970015146 A KR 1019970015146A KR 19970015146 A KR19970015146 A KR 19970015146A KR 970032377 A KR970032377 A KR 97003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bait
plate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4213B1 (ko
Inventor
김유일
Original Assignee
김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일 filed Critical 김유일
Priority to KR101997001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213B1/ko
Publication of KR97003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8Fishing rods with attached auxiliary devices, e.g. for keeping the rod afloat or for line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어신을 극히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어획률을 높임과 동시에 정해진 포인트에 정확하게 미끼를 투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낚시의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다수개의 봉체가 다단으로 절첩 및 전개되며, 각 봉체의 선단에는 낚싯줄 가이딩용 가이더가 부착된 통상의 낚싯대(1)에 있어서, 상기 봉체(1a)의 최후단 손잡이부에는 어신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5)을 설치하되, 상기 어신 감지수단(5)은 정역회동이 가능한 피니언(8) 전후로 낚싯줄 가이더(7a)를 하단에 갖는 승강랙(7)과 랙기어(6a)를 일측에 갖는 낚시찌(6)를 상호 기어물림토록 구성하여 낚싯줄이 당겨지는 어신과 늘어지는 어신 등이 발생시 손잡이부의 낚시찌(6)가 승강작동하여 어신을 낚시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봉체(1a)의 일측에는 미끼안치용 안치판(14)을 상부에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력판(12)을 고정하여 미끼를 설정 포인트로 탄력판(12)의 탄성에 의해 투척가능토록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싯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 정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요부 확대평면도.

Claims (5)

  1. 다수개의 봉체(1a, 1b‥)가 다단으로 절첩 및 전개되며, 각 봉체(1a, 1b‥)의 선단에는 낚싯줄(2) 가이딩용 가이더(3)가 부착된 통상의 낚싯대(1)에 있어서; 상기 봉체(1a)의 최후단 손잡이부에는 어신을 감지할 수 있는 어신 감지수단(5)을 설치하되, 상기 어신 감지수단(5)은 정역회동이 가능한 피니언(8) 전후로 낚싯줄 가이더(7a)를 하단에 갖는 승강랙(7)과 랙기어(6a)를 일측에 갖는 낚시찌(6)를 상호 기어물림토록 구성하며; 상기 봉체(1a)의 일측에는 미끼안치용 안치판(14)을 상부에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력판(12)을 고정하여 미끼를 설정 포인트로 투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1a)에는 탈착용 브라켓(10)을 가진 케이싱(9)을 결합하며, 상기 케이싱(9)의 내부에 정역회동이 피니언(8)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8) 전후로 낚싯줄 가이더(7a)를 하단에 갖는 승강랙(7)과 랙기어(6a)를 일측에 갖는 낚시찌(6)을 상호 기어물림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판(12)의 하부에는 탄력증대를 위하여 코일스프링(13)을 탄력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4. 제1, 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6)의 상단에는 끼움관체(6c)를 형성하여 발광수단(6b)을 선택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5. 제1, 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판(12)에는 조절장공(15)을 형성하여 안치판(14)의 걸림축핀(14a)이 슬라이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조절장공(15)의 일측에는 스프링(17)에 탄력설치되며, 수개의 걸림요부(16a)를 가진 걸림탄성판(16)을 설치하여 걸림축핀(14a)이 선택적으로 걸림요부(16a)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는 낚싯대.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15146A 1997-04-19 1997-04-19 낚싯대 KR10020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146A KR100204213B1 (ko) 1997-04-19 1997-04-19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146A KR100204213B1 (ko) 1997-04-19 1997-04-19 낚싯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377A true KR970032377A (ko) 1997-07-22
KR100204213B1 KR100204213B1 (ko) 1999-06-15

Family

ID=1950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146A KR100204213B1 (ko) 1997-04-19 1997-04-19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2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421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094A (en) Fishing sinker apparatus
EP0035996B1 (en) Device for a casting float
US4376349A (en) Night time fishing aid
US2716832A (en) Fishing line sinker
US2801487A (en) Fishhook spring set
US2976642A (en) Fish line submerging device
US2004414A (en) Bobber
US2462828A (en) Bait casting and trolling lure
US2266725A (en) Fishhook
US2172889A (en) Fish lure
US2582627A (en) Fish lure
US3190029A (en) Fishing device
US2908990A (en) Twin weedless fishhooks
KR970032377A (ko) 낚싯대
US1723193A (en) Fishing bait
US3755954A (en) Fish hook
US2218045A (en) Automatic casting device for fish rods
US4034498A (en) Beam assembly for fishing
US2616206A (en) Fishing plug
US2995852A (en) Fish hooking device
US720643A (en) Fishing-tackle.
SE505328C2 (sv) Anordning för infästning av en rev vid en djuptackling eller en sidoplanare
KR200260401Y1 (ko) 고정식 겸용 유동식 낚시찌
SU1200871A1 (ru) Блесна
US2781601A (en) Automatic fishing line pu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