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4417A -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4417A
KR970024417A KR1019950035349A KR19950035349A KR970024417A KR 970024417 A KR970024417 A KR 970024417A KR 1019950035349 A KR1019950035349 A KR 1019950035349A KR 19950035349 A KR19950035349 A KR 19950035349A KR 970024417 A KR970024417 A KR 97002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arness
grommet
dash panel
hole
gromm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3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24417A/ko
Publication of KR97002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417A/ko

Link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니스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와이어링 하니스 그로밋은 단지 대쉬패널의 관통홀 리브에 그로밋의 리브걸착홈이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차체진동에 의해 장시간 경과후에는 그로밋이 이탈되는 문제가 있어 와이어링 하니스상에 커다란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대쉬패널(10)상에 형성된 관통홀(12)의 상·하에 웰드너트(14)(16)를 형성하고 그로밋의 중앙부위 상·하에 체결구(22)(24)를 형성하여 상·하 보울트(32)(34)로 견고하게 대쉬패널(10)상에 부착시켜 차체의 진동이나 오염물질(오일류)에 의한 그로밋의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전기배선상의 문제로 발생되는 자동차 고장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 - A선 단면도로 대쉬패널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상태도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와이어링 하니스 그로밋에 있어서, 관통홀(12) 상·하에 각각 웰드너트(14)(16)를 형성하고, 내·외반구부(28)(20)로 형성되어 그 사이의 외주연을 따라 요홈부(26)와 상·하체결구(22)(24)가 형성되어 상·하보울트(32)(34)로 웰드너트(14)(16)와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구(30)가 형성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어링 하니스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체결구(22)(24)의 구멍이 각각 장공(38)(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어링 하니스 그로밋.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5349A 1995-10-13 1995-10-13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KR970024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349A KR970024417A (ko) 1995-10-13 1995-10-13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349A KR970024417A (ko) 1995-10-13 1995-10-13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17A true KR970024417A (ko) 1997-05-30

Family

ID=6658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349A KR970024417A (ko) 1995-10-13 1995-10-13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244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57B1 (ko) * 2007-08-22 2009-01-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그로멧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57B1 (ko) * 2007-08-22 2009-01-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그로멧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24417A (ko)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니스 그로밋
KR970035127A (ko) 자동차 스크린 도어 트림 포켓의 취부구조
KR970038962A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 취부구조
KR970038945A (ko) 자동차의 트림 취부구조
KR970001080A (ko) 자동차의 전면 취부구조
KR970035467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취부구조
KR960033830A (ko) 자동차의 도어
KR970039092A (ko) 자동차 대시판넬의 셀렉트 케이블 그로밋
KR970041177A (ko) 자동차의 인판넬 레인 포스 취부부 구조
KR970035285A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 흡수 패드 고정 구조
KR970035266A (ko)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그로밋
KR960022135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고정구조
KR970010382A (ko) 자동차용 백밀러 취부구조
KR970041270A (ko) 발포재가 설치된 차량용 센타필라
KR970001065A (ko) 자동차용 브라켓 취부구조
KR970065326A (ko) 자동차용 본네트록의 구조
KR970041204A (ko) 자동차 측면패널의 세팅용 브라켓트
KR970041493A (ko) 자동차 대시패널
KR970038970A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장착구조
KR970039058A (ko) 승용차 리어부의 번호판브라켓
KR970034900A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 흡수 패드 고정 구조
KR970001088A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19980052790U (ko) 자동차 샤시멤버
KR19980035769U (ko)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KR970035429A (ko) 전기 자동차에서의 모터의 중공 샤프트와 감속기의 선기어의 개선된 체결구 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