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1114A - 열가소성 중합체용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중합체용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1114A
KR970021114A KR1019960048944A KR19960048944A KR970021114A KR 970021114 A KR970021114 A KR 970021114A KR 1019960048944 A KR1019960048944 A KR 1019960048944A KR 19960048944 A KR19960048944 A KR 19960048944A KR 970021114 A KR970021114 A KR 97002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alkyl
additive according
copolymer
impac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053B1 (ko
Inventor
마르크 에르. 크라츠
만프레트 디트리히
토르스텐 하이네만
군돌프 야콥스
요세프 산더스
헬무트 보이나르
크리스 베르텔로
쥘르 뫼니에
앙드레 레르미떼
빠스깔 다르쥴로
자비에 드뤼종
Original Assignee
만프레트 조벨, 볼프강 페트로비키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뿌아송 삐에르
엘프 아토켐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95115940A external-priority patent/EP0768324B1/en
Application filed by 만프레트 조벨, 볼프강 페트로비키,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뿌아송 삐에르, 엘프 아토켐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만프레트 조벨, 볼프강 페트로비키
Publication of KR97002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용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내충격성 첨가제는 n-알킬 아크릴레이트기재의 가교결합된 탄성 코어와 상기 코어상에 그라프트된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중합체용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36)

  1.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고무를 기재로 한 코어 및 폴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쉘로 구성된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로서, 첨가제가 하기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 ; a) 하기 성분으로 구성된 탄성 가교결합된 코어 70 내지 90중량% ; 1) 탄소 원자 수 5 내지 12의 알킬기를 지닌 n-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Ⅰ),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지닌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또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고무, 또는 분자중에 불포화기를 함유하되, 그중 하나 이상이 CH2=C< 비닐형인 다작용성 가교제로 구성되고, 분자중에 불포화기를 함유하되, 그중 하나 이상이 CH2=CH-CH2- 아릴형의 다작용성 그라프트제를 함유할 수 있는 핵 20중량%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중량%(단, 상기 핵은 가교제 및 함유될 수 있는 그라프트제를 0.05몰% 내지 5몰%의 양으로 함유한다) ; 2)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n-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Ⅱ), 또는 상기 1)에서 규정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및 분자중에 불포화기를 함유하되, 그중 하나 이상이 CH2=CH-CH2- 아릴형인 다작용성 그라프트제로 구성된 외피 80중량% 내지 0중량%,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중량%(단, 상기 외피는 그라프트제를 0.05몰% 내지 2.5몰%의 양으로 함유한다) ; b) 탄소 원자 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또는 선택적으로 탄소 원자 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 및 탄소 원자 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고,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5몰% 내지 40몰%의 양으로 함유하거나, 선택적으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구성된, 상기 코어상에 그라프트된 쉘 30중량% 내지 10중량%.
  2. 제1항에 있어서, 내충격성 첨가제가 하기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 a) 가교결합된 탄성 코어 75 내지 85%, 및 b) 상기 코어상에 그라프트된 쉘 25 내지 1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의 n-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5 내지 8이고, 공중합체(Ⅱ)의 n-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이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8인 내충격성 첨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 및/또는 공중합체(Ⅱ)의 일부를 형성하는 혼합물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의 탄소 수가 4 내지 8인 내충격성 첨가제.
  5. 제1항에 있어서, CH2=C< 비닐형의 이중 결합 2개 이상을 함유하는 유도체로부터 가교제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6. 제1항에 있어서 CH2=CH-CH2- 알릴형의 이중 결합 1개 이상과 비닐형의 이중 결합 1 또는 수개를 함유하는 유도체로부터 가교제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알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9. 제1항에 있어서, CH2=CH-CH2- 알릴형의 이중 결합 2개 이상을 함유하는 유도체로부터 그라프트제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10. 제1항에 있어서 비닐형의 이중 결합 1개 이상과 아릴형의 이중 결합 1 또는 수개를 함유하는 유도체로부터 그라프트제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그라프트제가 디알릴 말레에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그라프트제가 알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결합된 코어의 핵이 0.5몰% 내지 1.5몰%의 가교제 및 임의로 그라프트제를 함유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14.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결합된 코어의 외피가 0.5몰% 내지 1.5몰%의 그라프트제를 함유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의 랜덤 공중합체가 10몰% 내지 20몰%의 그라프트제를 함유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및 n-옥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Ⅱ)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부틸 아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및 n-옥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 및 (Ⅱ)의 제조용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펜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 및 (Ⅱ)의 제조용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헥실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 및 (Ⅱ)의 제조용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헵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 및 (Ⅱ)의 제조용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옥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의 제조용 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옥틸 아크릴레이트이고, 공중합체(Ⅱ)의 제조용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부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Ⅰ) 및/또는 (Ⅱ)를 제조하는데에 사용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크릴레이트가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아밀 아크릴레이트, 2-메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데실 아크릴레이트, n-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3,5,5,-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4. 제23항에 있어서, n-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의 10중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25. 제24항에 있어서, n-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의 2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내충격성 첨가제.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n-옥틸 아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쉘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내충격성 첨가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내충격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1 또는 수개의 중축합물 형태의 중합체, 특히,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에테르아미드 및 상기 중합체의 알로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28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 과염소화될 수 있는 비닐 클로라이드 동종 중합체 ; 1 또는 수개의 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와 비닐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의한 결과물로서, 중합된 비닐 클로라이드를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공중합체 ; 1,1-디클로로에틸렌 동종중합체 ; 또는 1,1-디플루오로에틸렌 동종중합체에서 선택된 1 또는 수개의 중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비닐 클로라이드 동종 중합체인 조성물.
  32. 제29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조성물.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충격성 첨가제의 함량이 사용된 열가소성 중합체 100중량부당 1 내지 30중량부인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내충격성 첨가제의 함량이 사용된 열가소성 중합체 100중량부당 5 내지 10중량부인 조성물.
  35. 제1단계에서 핵과 외피로 구성된 가교결합된 탄성 코어를 제조하고, 제2단계에서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된 쉘을 상기 가교결합된 탄성 코어상에 그라프트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내충격성 첨가제의 제조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1,1-디플루오로에틸렌 동종중합체인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48944A 1995-10-10 1996-10-26 열가소성중합체용코어/쉘형내충격성첨가제 KR100277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115940.9 1995-10-10
EP95115940A EP0768324B1 (en) 1995-10-10 1995-10-10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stable, finely divided, low viscosity polymer polyols of small average particle size
FR9512706 1995-10-27
FR9512706 1995-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114A true KR970021114A (ko) 1997-05-28
KR100277053B1 KR100277053B1 (ko) 2001-02-01

Family

ID=6631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944A KR100277053B1 (ko) 1995-10-10 1996-10-26 열가소성중합체용코어/쉘형내충격성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71B1 (ko) * 2005-09-05 2006-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착색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굴절률 충격보강제 및제조방법
US10787534B2 (en) 2017-12-18 2020-09-29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core-shell copolymer,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739B1 (ko) * 1998-02-0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트레이트 가공용 염화 비닐계 수지의제조 방법
KR100815995B1 (ko) 2006-06-08 2008-03-21 제일모직주식회사 저온 및 상온 내충격성과 착색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466151B1 (ko) 2010-12-31 2014-11-27 제일모직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379979B2 (ja) * 2013-10-31 2018-08-29 日信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変性シリコーン樹脂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71B1 (ko) * 2005-09-05 2006-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착색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굴절률 충격보강제 및제조방법
US10787534B2 (en) 2017-12-18 2020-09-29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core-shell copolymer,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053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3328A1 (en) Impact modifier combination for polymers
BR9908134A (pt) Copolìmero e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DE3473283D1 (en) Graft copolymers of alkyl methacrylates onto cross-linked diene-alkyl acrylate copolymers and their use as impact modifiers
DK0785234T3 (da) Gummimodificeret polymersammensætning
KR920701352A (ko) 저광택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US4894416A (en) Low gloss thermoplastic blends
DE3473288D1 (en) Graft copolymers of alkyl methacrylates - alkyl acrylates onto diene-alkyl acrylate copolymers and their use as impact modifiers
EP1245597A4 (en) PFROPOP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970707232A (ko) 에틸렌 공중합체에 의해 가소된 pvc의 개선된 제조 방법(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ethylene copolymer plasticized pvc)
MX9606152A (es) Mezclas de resinas de metacrilato.
MX9604655A (es) Polimero cauchotoso.
KR970070126A (ko) 반응성 염료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KR970021114A (ko) 열가소성 중합체용 코어/쉘형 내충격성 첨가제
DE69734663D1 (de) Polycarbonatharz zusammensetzungen
MY128633A (en) Impact modifier having improved blocking resistance
KR930006094A (ko)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중합체, 및 낮은 황색도, 우수한 투명성 및 개선된 충격 강도를 갖는 그의 pvc블랜드
ATE302219T1 (de) Emulsionspolymerisierter polyacrylat-kautschuk, schlagzähe modifizierungsmittel, mischungen davo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930701504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성형 조성물
EP0095769A2 (en) Impact-resistant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JPS6112711A (ja) 耐衝撃性、加工性、外観に優れる耐候性樹脂
JPS55165942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960031496A (ko) 입자상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고 착색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성형재료
US5625001A (en) Toughened polar thermoplastics
JPH10237265A (ja) グラフト化されたアクリル酸エステル共重合体ゴムを含有する熱可塑性組成物
EP0272241A2 (en) Color stable polymer ble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327

Effective date: 200004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