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5284A -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 Google Patents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5284A
KR970015284A KR1019950030976A KR19950030976A KR970015284A KR 970015284 A KR970015284 A KR 970015284A KR 1019950030976 A KR1019950030976 A KR 1019950030976A KR 19950030976 A KR19950030976 A KR 19950030976A KR 970015284 A KR970015284 A KR 970015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battery
function
ke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곤
Original Assignee
이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곤 filed Critical 이형곤
Priority to KR101995003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5284A/en
Publication of KR97001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284A/en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를 사용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하여 주는 차량용 주변장치와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의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ipheral device of a vehic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eripheral device for a vehicle and hygienic maintenance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a vehicle, and the characteristics comprising the same It's about cars.

이제까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기·전자 제품들은 그 전기 소모 용량의 대·소를 막론하고 간단히 연결할수 있으며 퓨우즈 용량이 비교적 대용량인 시거잭에서 그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전기·전자 제품에 의해 차량의 밧데리가 계속 소모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상태로 방전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키 스위치가 off되어 있으면, 즉 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하지 않거나 키가 빠져있는 상태에서는 더이상 차량 밧데리가 소모되지 않도록 키 스위치를 거쳐서 전원이 공급되도록 결선이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Until now,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used in automobiles can be easi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ir small or large capacity, and they ar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cigar jack having a relatively large fuse capacity. If the key switch is turned off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consumed by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used and discharged to a state that does not start, that is, the generator does not produce electricity or the key is missing. In most cases,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key switch so that the vehicle battery is no longer consumed.

그러나 최근들어 차량용 냉·온장고나 공기 정화기·환기 장치 등 키 스위치의 상태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그 효과가 중대될 수 있는 자동차용 전기, 전자 제품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특별한 대책 없이 지속적으로 자동차 밧데리를 사용할 경우,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까지 방전될 수도 있기 때문에 키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서 전원을 제한적으로 공급할 수밖에 없었다.Recently, however,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for automobiles, which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continuously operate regardless of the state of a key switch such as a vehicle cold / heater, an air purifier, a ventilation device, etc., are continuously appearing one after another. However, if the car battery is continuously used without any special measures, it may be discharged to a state where it cannot be started. Therefore, power supply is limit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key switch.

따라서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는 없어도 간헐적으로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어 발전기를 돌리면서 또는 키 스위치를 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을 격어야 했다.Therefore, even if the power can not be continuously supplied, the user has to intermittently start the vehicle to turn on the generator or have to use it with the key switch turned 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에 필요한 적정선의 밧데리 용량을 확보하여 주며 더 나아가서는 스스로 엔진 가동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가동시키고, 엔진 정지 시기를 판단하며 스스로 엔진의 가동을 정지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차량용 전기·전자 제품을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 수단을 적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완벽한 기능을 제공하는 완성차를 생산하므로써 동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battery capacity of the appropriate line required for the start of the vehicle and further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engine operation by itself, and to operate the device to determine the engine stop time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engine by itself By solving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t provides a means to safely and conveniently us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for vehicles, and by applying this means to produce finished cars that provide more convenient, safe and complete functions, The purpose is to greatly improve.

Description

차량용 주변 장치와 자동차Vehicle Peripherals and Cars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Since this is an open matter, no full text was included.

제1도는 간단한 기본 기능만을 나타낸 차량용 밧데리 보호 장치의 일예,1 is an example of a battery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showing only basic functions,

제2도는 밧데리 보호 기능과 온도유지 기능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특징의 자동차용 안전 장치.2 is a vehicle safety device characterized by a battery protection function and temperature maintenance function.

Claims (6)

자동차 키가 제거된 상태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밧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부위 바람직하게는 퓨우즈 등과 같은 안전 장치 또는 회로를 통과한 부위, 일예로써 트렁크 램프나 룸 램프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들 중 한선 이상과 결선하여 사용되는 부품과 자동차용 메인 밧데리 사이에 결합되거나 그 전단에 별도의 퓨우즈 둥의 안전 장치를 두어 구성되는 장치로서, 차량 밧데리의 전압이나 용량 측정이 가능한 변수 즉 메인 밧데리의 전압, 전류, 내부 저항등을 측정하여 잔류 용량이 낮게는 10% 수준, 바람직하게는 85% 수준에서부터 그와 연결 사용되는 전기 전자 제품의 사용을 제어 또는 제한하는 기능, 바람직하게는 이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안전 선의 기준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잔류 용량의 정도에 따라 사용 제품의 동작을 강·약으로 또는 on/off로 또는 on time과 off time을 조절하는 등의 방식으로 동작을 제어 또는 제한하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해 주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밧데리 보호 장치.Power supply from battery with car keys removed or ignition off, preferably through safety devices or circuits such as fuses, for example, wires supplying power to trunk lamps or room lamps It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parts used in connection with more than one line and the main battery for automobiles or is equipped with a separate fuse safety device in front of the vehicle.It is a variable that can measure the voltage or capacity of the battery, that is, the main battery. A function of controlling or limiting the us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used in connection therewith, by measuring voltag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etc., at a low residual level of 10%, preferably 85%, preferably using this func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or not to control the standard of the safety line arbitrarily, and more preferably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product,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is controlled or restricted in a manner such as strong or weak or on / off or by adjusting the on time and off time. Vehicle battery protector with giving function. 차량의 메인 밧데리 잔류 용량이 설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자동차 내의 지정한 부위 온도가 지정된 온도보다 일정량 이상 차이가 나면 이를 감지하여 스스로 시동을 걸어 발전기를 가동함으로써 메인 밧데리 또는 그와 결합되어 있는 보조 밧데리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전시킨 후, 또는 특정 부위의 온도를 지정한 온도 범위까지 도달시킨 후에 스스로 시동을 끄도록한 기능을 부여하되 바람직하게는 연료의 잔류량을 확인하여 특정량 이하이면 위의 동작을 멈추거나 시작하지 않도록 하되 이 상태를 경보음이나 경보등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주는 기능의 논리 회로와 상기 기능의 실현을 목적으로 설계된 회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If the main battery residual capacity of the vehicle falls below the set standard value or if the designated part temperature in the car differs from the designated temperature by a certain amount or more, it detects this and starts the generator by itself to start the main battery or its auxiliary battery. After charging above the level, or after reaching the specified temperature range of the specific area, the function to turn off the start-up itself, but preferably check the residual amount of fuel to stop or start the above operation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gic circuit of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by an alarm sound, an alarm lamp, or other means, and a circuit designed for realizing the function. 시동이 꺼지거나 에어콘 가동이 중단되면 즉시로 또는 일정시간 경과후로부터 일정 기간 이상 차량의 송풍 씨스템 외기 도입 벨브가 열린 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거나, 상기의 공기 정화 장치 또는 환기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외기 도입 벨브가 열린 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여 공기가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흘려 보내지도록 하여 송풍 씨스템 내의 구성 부품과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기능의 동작 형태 또는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콘을 가동한 후에는 일정 시간동안 또는 에어콘의 냉각유니트 표면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오를 때까지 환기 시스템의 공기 흐름을 역 방향으로, 즉 차량내부에서 외부 쪽으로 흐르도록 구성하여 냉각 유니트 표면에 응축된 수분이나 오염 물질들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먼저 히타 유니트를 통과하여 열풍으로 만든 후 냉각 유니트로 흐르게 하여 살균효과를 부여하는 동시에 응축된 물질들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증발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의 안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오존 또는 음이온 발생 장치를 두어 오존이나 활성산호등의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를 냉각 유니트로 주입 또는 통과시켜 배출함으로써 살균, 항균, 탈취, 공해 물질의 분해기능 등을 부가한 특징의 환기겸용 차량 공기 정화 장치.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or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immediately 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ventilation system air inlet valve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open state, or air is introduced while the above air purifier or ventilation device is operating. The valv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open state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to keep components and spaces in the ventilation system clean, and preferably to select the operation type or operation of the function. Afte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the air flow of the ventilation system is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for a period of time or until the air conditioning surface temperature ris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Releases moisture or pollutants to the outside More preferably, first through the heater unit is made into hot air and then flows to the cooling unit to give a sterilization effect and at the same tim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densed material in a faster time and more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safety device and it is equipped with ozone or anion generating device to inject or pass air containing anion such as ozone or active coral into the cooling unit to add sterilization, antibacterial, deodorization and decomposition of pollutants. Ventilation combined use vehicle air purifier.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각항의 장치 또는 기능중 한가지 이상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환기, 제습, 가습, 오존 발생, 음이온 발생, 온도 조절 중 한가지 이상의 공조 기능 또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공기의 흐름이 위로부터 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특징,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과정에서 차내로 공급되기 전에 먼저 정화시킨 후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구성 부품의 일부 이상이 문짝, 본네트, 트렁크, 천장등 승용 공간 이외의 공간에 설치되는 특징,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 펌프를 사용할 경우, 펌프 내부중의 펌핑(PUMPING) 공정에 사용되는 공간이 일정 시간동안 밀폐된 상태로 압축공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펌프, 일예로 다이아푸람 펌프, 퍼스톤 펌프 또는 베인 펌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중 한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 차량용 공기 정화 장치.Claim 1 to 3 is applied by applying one or more of the devices or functions of each claim, preferably comprising one or more air conditioning functions or devices of ventilation,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ozone generation, anion generation, temperature control. Air flow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cleans the fresh air before supplying it to the vehicl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fresh air into the room,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 components Installed in spaces other than passenger spaces, such as bonnets, trunks, ceilings, and more preferably, when an air pump is used, the space used for the pumping process inside the pump is compressed in a clos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Pumps designed to carry out the process, for example diaphragm pumps, perston pumps or vane pumps. Vehicle air-purifying device that satisfies one or more of features.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각 항의 장치 또는 기능중 한가지 이상을 부가 기능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의 차량용 도난 경보 장치.An 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devices or functions of each item as additional functions.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각 항의 장치 또는 기능중 한가지 이상을 적용하여 이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차내의 한곳 이상에 그 장치를 포함하여 결선된 접속 단자 또는 전원 연결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이를 포함하는 특징의 자동차.Claims 1 to 3 include applying one or more of the devices or functions of each item, or preferably comprising a separate connection terminal or power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he device in one or more places in the vehicle, including Car of feature to say.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The disclosure is based on the initial application.
KR1019950030976A 1995-09-21 1995-09-21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KR9700152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976A KR970015284A (en) 1995-09-21 1995-09-21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976A KR970015284A (en) 1995-09-21 1995-09-21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284A true KR970015284A (en) 1997-04-28

Family

ID=6661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976A KR970015284A (en) 1995-09-21 1995-09-21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528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25A (en) * 2001-09-18 2003-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ischarge current of a battery for vehicles
KR100794182B1 (en) * 2007-08-30 2008-01-14 (주)휴머니 Vehicles with sub-batte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1573A1 (en) * 1988-08-10 1990-02-22 Philip Morris Products Inc. Polyolefin filter tow and method of making it
JPH05316658A (en) * 1992-05-12 1993-11-26 Hino Motors Ltd Controlling device for charged amount of battery
KR950004911U (en) * 1993-07-31 1995-02-18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circuit
KR950011224U (en) * 1993-10-29 1995-05-15 Indoor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
KR950013746U (en) * 1993-11-16 1995-06-16 Automotive indoor venti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1573A1 (en) * 1988-08-10 1990-02-22 Philip Morris Products Inc. Polyolefin filter tow and method of making it
JPH05316658A (en) * 1992-05-12 1993-11-26 Hino Motors Ltd Controlling device for charged amount of battery
KR950004911U (en) * 1993-07-31 1995-02-18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circuit
KR950011224U (en) * 1993-10-29 1995-05-15 Indoor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
KR950013746U (en) * 1993-11-16 1995-06-16 Automotive indoor ventil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25A (en) * 2001-09-18 2003-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ischarge current of a battery for vehicles
KR100794182B1 (en) * 2007-08-30 2008-01-14 (주)휴머니 Vehicles with sub-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7503C (en) Vehicle preheating system
US7508091B2 (en) Vehicle battery protection device
JPS6215364B2 (en)
JP3686173B2 (en) Automotive air purifier
US4677902A (en) Deodorizing devic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WO2008018283A1 (en) On-vehicle ion generation system
CN104380011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vehicle idle management
JP2008500219A (en) Device for disinfecting automatic vehicle air conditioners
KR970015284A (en) Vehicle Peripherals and Cars
JP2022503492A (en) A supply device having a fuel cell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the voltage of the fuel cell device.
US5408211A (en) Timed vehicle disabling system
CN108215875A (en) A kind of power control and power control method
CN212637105U (en) Vehicle-mounted ultraviolet sterilization system
JPS59134005A (en) Ventilating device for car
CN110871659A (en) Method for controlling blower of vehicle,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vehicle
KR960010303A (en) Rapid heating heater and heater manufacturing method in winter vehicle cabin equipped with air purifier
KR100233295B1 (en) Battery charging monitoring device for a vehicle
KR19980022973A (en) How to prevent automatic discharge of vehicle battery
JPS5937369Y2 (en) Auxiliary hot air fan for vehicles
JP2016107910A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KR100217092B1 (en) Low voltage protecting circuit for sleeping heater
JPS60175766A (en) Power source controller
JPH0197463A (en) Deodorizing apparatus for car
KR970021716A (en) Car start safety devices and electrical appliances
KR19980025444U (en) Portable heating device using carbon yarn as heating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