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117B1 -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117B1
KR970008117B1 KR1019940001475A KR19940001475A KR970008117B1 KR 970008117 B1 KR970008117 B1 KR 970008117B1 KR 1019940001475 A KR1019940001475 A KR 1019940001475A KR 19940001475 A KR19940001475 A KR 19940001475A KR 970008117 B1 KR970008117 B1 KR 97000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yringe
cover
protective cover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422A (ko
Inventor
윤범구
조낙관
Original Assignee
해원산업 주식회사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원산업 주식회사,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해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117B1/ko
Publication of KR95002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61M2005/325Means obstructing the needle passage at distal end of a needle protection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61M2005/3258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being compressible or compressed along the 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제1도는 바늘보호갭을 포함하는 종래의 주사기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가 주사바늘상에 장착된 형상의 축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사기접속부20 : 보호용 덮개
25 : 스프링30 : 팁볼
35 : 보호용 캡
본 발명은 주사기의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를 사용후 폐기시에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주사바늘을 덮어 씌울 수 있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회용 주사기에 있어서, 주사기를 운반할 때 주사바늘을 보호하고, 바늘에 의한 찔림으로 야기될 수 있는 상해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제거 기능캡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가 개시되고 있다.
주사기의 주사바늘 보호용 캡의 일예로서 제1도에 도시된 특허공고 제93-3314의 주사기를 살펴보면 주입매체를 수용하는 주사기몸체(1)에 원추형의 돌기부(2)가 주사기몸체(1)와 한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2)와 주사기몸체(1) 사이의 전이부분에는 슬롯모양의 요부로서 환상슬롯(3)이 배치되어 있다. 주사바늘(4)은 바늘홀더(5)에 결합되며 바늘홀더에는 환상플랜지(6)가 제공되어 이러한 플랜지에 의하여 충전물(7)의 중간접속에 의하여 바늘홀더(5)쪽으로 향한 돌기부(2)의 전면(8)에 눌릴 수 있다. 주사기를 조립할 때 동시에 무균 폐쇄도 달성하기 위하여 바늘홀더(5), 주사바늘(4) 및 보호캡(10)으로 구성되는 단위를 돌기부(2)의 원추형 외피면 위로 끼워넣고, 보호캡(10)의 기초부분으로 이용되는 지지장치(11)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갈고리(13)를 환상슬롯(3)내로 끼워 넣는다.
보호캡(10)에는 바늘홀더(5)를 돌기부(2)와 단단히 결합시키기 위한 기초부분 이외에, 바늘을 덮어 씌우는 바늘보호캡(12)이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들의 일반적인 목적은 주사기의 사용전의 안전유지 또는 무균상태의 유지를 위한 것으로 사용후에는 특별히 제작된 주사기바늘 수거용 플라스틱 용기나 쓰레기통 등에 폐기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호캡들은 주사바늘의 사용전에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전혀 안전 대책을 강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주사기의 사용후에 해당 보호캡을 다시 덮어 씌우는 경우 사용상의 부주의로 캡을 정확히 끼우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바늘에 찔리게 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주사기 바늘이 간염 보유자나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자에게 사용된 경우에는 이러한 병들이 혈액을 통하여 감염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료 도중에 이러한주사바늘에 찔리게 될 가능성을 가지는 의료 종사자들에게는 극히 치명적인 손상을 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처리없이 해당 주사기 바늘을 쓰레기통 등에 폐기처리한 경우에는 수집과정중에 주사바늘에 찔려서 제3자의 이차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의 사용후 폐기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주사기의 주사바늘 덮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발명은 주사바늘을 포함하여 주사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주사기접속부를 덮어 씌워서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장치에 있어서, 주사기접속부상에 지지되도록 고정가능하며 중앙에 주사바늘이 관통되는 주사바늘덮개; 주사기접속부와 주사바늘덮개의 내측의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주사바늘덮개가 주사기로부터 이탈될 때 탄성을 부가하여 주사바늘덮개를 주사바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수단; 및 주사바늘이 내부로 관통하며 탄성수단과 주사바늘덮개 사이에 위치하여 주사바늘덮개가 주사기접속부로부터 분리될 때 주사바늘의 끝을 막는 주사바늘 차단수단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원의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주사바늘에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가 장착된 형상의 축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주사기에서 주사바늘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서 20은 주사기접속부(1)의 몸체상에 이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호용 덮개로서 주사기접속부(1)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가지도록 한다. 25는 주사기의 사용후 폐기시에 주사기의 접속부(15)로부터 이탈되어 탄성에 의하여 보호용 덮개가 주사바늘의 끝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30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폐기시키기 전에는 주사바늘의 보호용 덮개(20)와 주사바늘(4)의 사이에 고정되며 주사기의 사용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주사바늘(4)의 끝을 막을 수 있도록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하여 주사바늘(4)을 따라서 수평이동을 하여 주사바늘(4)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팁볼로서 중앙에는 주사바늘(4)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35는 주사기의 사용전에 주사바늘(4)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사바늘 보호용 캡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의 구성을 각각의 구성 요소별로 분리도시한 제3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주사기의 접속부상에 형성되는 보호용 덮개는 사용되는 주사바늘과 주사기를 접속시키는 주사기의 접속부의 크기에 따라 소정 크기의 반경과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되며 보호용 덮개의 상단과 주사기 접속부(15)의 몸체에 서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요철부를 형성하여 보호용 덮개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부위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일예로서 보호용 덮개(20)의 상단에는 'ㄴ'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보호용 덮개(20)를 주사기접속부(15)에 설치할 때 주사기접속부(15)상에 형성된 돌기가 'ㄴ'형상의 홈을 따라서 걸림으로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형성되는 'ㄴ'형상의 홈은 사용되는 주사기의 크기에 따라 보호용 덮개의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되는 주사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보호용 덮개의 내부에만 홈을 형성하는 것이 보호용 덮개의 두께와 관련하여 곤란할 경우에는 외부까지 관통되도록 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홈을 가지는 보호용 덮개를 주사기접속부(15)상에 형성된 돌출물을 주사기의 홈방향으로 끼우면서 돌리면 주사기접속부(15)가 보호용 덮개(20)의 내부홈에 돌기가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보호용 덮개(20)의 주사바늘방향 부분의 내측에는 스프링(25)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팁볼이 위치한 부분의 앞쪽에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돌출부의 역할은 스프링(25)이 고정되도록 하여 주사기로부터 보호용 장치가 분리되어 탄성에 의하여 튀어나갈 때 주사기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사기접속부(15)의 반경이 큰 경우에는 앞부분에 위치한 팁볼(30)이 빠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팁볼(30)이 보호용 덮개(20)의 앞부분의 일정 영역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돌출부는 스프링(25)의 고정을 위한 것이므로 통상 서로 대칭되도록 2개 정도를 형성하면 족할 것이다.
스프링(25)은 주사기접속부(15)의 몸체와 원추형의 돌기부(2) 사이의 계단부분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스프링(25)은 계단부분과 보호용 덮개(20)의 안쪽에 형성된 돌기부분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사용되는 스프링(25)은 계단부분과 보호용 덮개(20)의 안쪽에 형성된 돌기부분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사용되는 스프링(25)은 사용되는 주사기접속부(15)의 반경과 주사기접속부(15)에 장착되는 보호용 덮개(20)의 크기 등에 따라 원통형 또는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25)의 형상은 주사기(1)와 보호용 덮개(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팁볼(30)은 보호용 덮개(20)와 스프링(25) 사이에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구형의 볼을 사용하였으나 보호용 덮개(20)와 스프링(25)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보호용 덮개(20)의 내부의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반드시 구형을 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호용 장치의 동작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덮개(20)가 설치된 주사기의 바늘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주사기가 사용된 상태에서 보호용 덮개(20)를 소정 각도를 회전시키면 보호용 덮개의 'ㄴ'자 형상의 홈에 걸려 있던 주사기접속부(15)에 형성된 돌출부가 홈에서 이탈되므로 제4B도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크기의 힘으로 눌려있던 보호용 덮개의 내부의 스프링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므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보호용 덮개(20)가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사용되는 스프링(25)은 보호용 덮개(20)가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하여 보호용 덮개(20)의 끝이 주사바늘(4)보다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정도의 세기를 가지는 소정 길이의 스프링을 사용한다. 탄성에 의하여 보호용 덮개가 전방으로 튀어나감에 따란 주사기접속부에 부착되어 잇는 주사바늘의 몸체부분에 위치하던 팁볼(30)도 주사바늘을 따라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제4B도).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하여 최대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 그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멈춤의 상태가 되나 내부에 있던 팁볼은 관성에 의하여 계속 진행하려고 하므로 팁볼은 보호용 덮개와 서로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충돌에 의하여 팁볼(30)은 보호용 덮개(20)의 앞부분에서 회전 또는 요동이 있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팁볼에 뚫려져 있는 바늘구멍은 제4C도에 도시된 것처럼 초기에 주사바늘에 끼워져 있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가지게 된다.
초기에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하여 앞부분으로 이동된 보호용 덮개(20)는 스프링(25)이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수축되어 있던 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 다시 보호용 덮개(20)를 끌어당기게 된다. 그렇게 되면 팁볼(30)은 주사바늘(4)에 부딪히게 되고 이때는 팁볼(30)에 뚫려진 구멍이 원래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주사바늘(4)을 통하여 주사기접속부(15)의 돌기부로 이동할 수 없고 주사바늘(4)을 막은채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4D도와 같은 팁볼(30)은 주사기의 바늘을 막고 또한 보호용 덮개(20)는 스프링(25)에 의하여 주사바늘을 덮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보호용 덮개(20)의 내부에 팁볼(30)을 위치하여 팁볼(30)의 회전이나 이동에 의하여 주사바늘이 관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사바늘의 끝을 덮도록 하였으나 팁볼이 없는 경우에도 스프링(25)에 의하여 보호용 덮개(20)가 앞으로 이동하게 된 후에 다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하여 수축되는 경우에 보호용 덮개(20)는 일정한 가이드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이 아니므로 보호용 덮개(20)의 앞부분의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평탄한 형태로 하면 팁볼이 없어도 단지 보호용 덮개의 역할만으로도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용 덮개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였으나 이를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하나는 주사기의 몸체의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손잡이(Turning Knob), 나머지는 주사기바늘을 덮개될 보호용 덮개의 역할을 수행할 안전캡의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주사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손잡이에 일시적으로 보호용 안전캡을 지지시키고 사용후에는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안전캡을 주사기로부터 분리시켜 이 안전캡이 주사기의 끝부분을 막도록 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기의 사용후에 주사바늘의 끝을 보호용 덮개로 덮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후 이전에 끼워 있던 캡을 이용하여 다시 주사바늘을 덮을 때 또는 폐기후에 처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찔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주사바늘을 포함하여 주사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주사기접속부를 덮어 씌워서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장치에 있어서, 주사기접속부상에 지지되도록 고정가능하며 중앙에 주사바늘이 관통되는 주사바늘덮개; 상기 주사기접속부와 상기 주사바늘덮개의 내측의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사바늘덮개가 상기 주사기로부터 이탈될 때 탄성을 부가하여 상기 주사바늘덮개를 주사바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수단; 및 상기 주사바늘이 내부로 관통하며 상기 탄성수단과 상기 주사바늘덮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주사바늘덮개가 주사기접속부로부터 분리될 때 주사바늘의 끝을 막는 주사바늘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차단 수단은 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덮개는 상기 탄성수단이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덮개와 상기 주사기접속부는 주사기접속부상에 형성된 돌기와 보호용 덮개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6. 주사바늘을 포함하여 주사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주사기접속부를 덮어 씌워서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접속부상에 지지되도록 고정가능하며 중앙에 주사바늘이 관통되는 주사바늘덮개; 상기 주사기접속부와 상기 주사바늘덮개의 내측의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사바늘덮개가 상기 주사기로부터 이탈될 때 탄성을 부가하여 상기 주사바늘덮개를 주사바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수단을 부가하여 상기 주사바늘덮개에 의하여 주사바늘을 덮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덮개와 상기 주사기접속부는 주사기접속부상에 형성된 돌기와 보호용 덮개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KR1019940001475A 1994-01-27 1994-01-27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KR97000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475A KR970008117B1 (ko) 1994-01-27 1994-01-27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475A KR970008117B1 (ko) 1994-01-27 1994-01-27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422A KR950023422A (ko) 1995-08-18
KR970008117B1 true KR970008117B1 (ko) 1997-05-21

Family

ID=1937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475A KR970008117B1 (ko) 1994-01-27 1994-01-27 주사바늘 보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263B1 (fr) * 2015-09-23 2017-11-24 Aptar Stelmi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comportant une seringue et un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aigui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422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6159C (en) Safety syringe having a needle to be retracted and canted within a protective sleeve
US5163915A (en) Safety needle set
US5246427A (en) Safety hypodermic needle and shielding cap assembly
EP0702973B1 (en) Manually pivoted barrier assembly for a piercing element
EP0510187B1 (en) Catheter assembly having safety mean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944397A (en) Disposable covered needle for syringe
US4767413A (en) Dental syringe having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needle
US4986817A (en) Hypodermic syringe sheath holder and needle guide
EP0707860B1 (en) Safety shield assembly for a needle
US4826489A (en) Disposable safety syringe having means for retracting its needle cannula into its medication cartridge
EP0394537B1 (en) Hypodermic syringe
US5836920A (en) Needle guard
US5201721A (en) Medical safety needle and method
US5411492A (en) Hypodermic needle protector
US5358491A (en) Cartridge-needle unit having retractable needle
EP0343438B1 (en) Needle shield
US4998920A (en) Protective assembly for hypodermic syringe devices
US5067944A (en) Hypodermic needle guard
EP0957957B1 (en) Shielding means
US20070088261A1 (en) Hypodermic needle safety cap apparatus
US4799927A (en) Needle guide and puncture protector
JPH10127767A (ja) 片手操作可能な針バリアーを備えた針アセンブリ
JPH03118072A (ja) 自動注射器
US5401251A (en) Safe cap covered injection system
US4840272A (en) Container for injection needles with safet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