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32B1 - Ink-jet printer - Google Patents

Ink-jet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32B1
KR970007632B1 KR1019930008758A KR930008758A KR970007632B1 KR 970007632 B1 KR970007632 B1 KR 970007632B1 KR 1019930008758 A KR1019930008758 A KR 1019930008758A KR 930008758 A KR930008758 A KR 930008758A KR 970007632 B1 KR970007632 B1 KR 97000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ink
cartridge
ink j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야 나까무라
쓰도무 야무구찌
제이. 다이어틀 스티븐
엠. 스티이븐즈 도날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구보 미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051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882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4153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4936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구보 미츠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32B1/en

Link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내용없음.None.

Description

잉크제트프린터Inkjet Printer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잉크탱크를 생략하고 헤드기판과 제1 및 제2의 캐리지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 substr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without the ink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 및 제2의 캐리지 프레임과 클램프 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and the clamp mechanism.

제3도는 제1의 캐리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arriage frame.

제4도는 헤드기판에 설치된 배선판과 코넥터와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ring board and the connector provided on the head board.

제5도는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제6도는 헤드기판의 접점과 코넥터의 접속편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ct of the head board and the connecting piece of the connector.

제7도는 잉크제트헤드의 선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7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tip of the ink jet head.

제8도는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ink cartridge.

제9도는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제10도는 잉크탱크를 생략하고 캐리지에 헤드기판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substrate is fixed to the carriage without the ink tank.

제11도는 제2의 캐리지 프레임에 있어서 코넥터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FIG. 11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onnector in the second carriage frame. FIG.

제12도는 캐리지에 잉크 카트리지 전체를 장착하려고 하는 상태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a state where the entire ink cartridge is to be mounted on the carriage.

제13도는 캐리지에 잉크 카트리지 전체를 장착한 상태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in which the entire ink cartridge is mounted on the carriage.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1의 캐리지의 지지체에 대한 헤드기판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ate of the head substrate to the support of the first carri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의 잉크의 토출(吐出) 타이밍과 그 인자(印字)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a)는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는 타이밍을 도시한 설명도, (b)는 그 인자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FIG.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timing of ejecting ink and the printing result thereof in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timing of ejecting ink from the nozzle, and (b) )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the print.

제16도는 노즐의 배열방향을 캐리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잉크의 토출 타이밍과 그 인자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a)는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는 타이밍을 도시한 설명도, (b)는 그 인자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FIG.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ejection timing of ink and its printing result when the nozzle arrangement direction is made orthogonal to the carriage movement direction, and (a) shows the timing of ejecting ink from the nozzle One explanatory diagram (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the printing.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제1의 캐리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arriage frame showing a modification of this embodiment.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9도는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제20도는 잉크탱크를 생략하고 헤드기판과 제1 및 제2의 캐리지 프레임과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substr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without the ink tank.

제21도는 카트리지 지지부에 부착되는 칩의 사시도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p attached to a cartridge support.

제22도는 종래의 1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잉크를 비상(飛翔)시켜 인자를 행하는 잉크제트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잉크제트헤드와 잉크탱크를 유니트화한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장착하는 구조의 잉크제트프린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jet printer which selectively prints ink toward a recording medium and performs printing. In particular, the ink cartridge includes an ink cartridge head and an ink tank unitized in a carriage and freely detachable from a cartridge. It relates to an ink jet printer.

종래에는 잉크탱크와 잉크제트헤드가 유니트화된 잉크 카트리지를 왕복운동이 자유로운 캐리지에 장착하고, 이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잉크제트헤드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비상시킴으로써 인자하는 잉크제트프린터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n ink jet printer which mounts an ink cartridge in which an ink tank and an ink jet head are united in a carriage free of reciprocation, and moves ink from the nozzle of the ink jet hea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arriage.

이러한 잉크제트프린터에서 본체 케이스쪽의 캐리지에 대하여 잉크제트헤드가 착탈되는 구조상, 본체 케이스쪽에 설치되는 인자제어회로와 잉크제트헤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그 1예로서 인자제어회로에 접속된 시판의 코넥터를 캐리지에 부착하고, 잉크 카트리지에는 잉크제트헤드에 접속된 핀 단자를 설치하고, 캐리지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쪽의 핀 단자와 캐리지쪽의 코넥터가 접속되는 접속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속방법에서는 각부의 조립 오차등에 의하여 잉크카트리지의 장착시 핀 단자에 대하여 코넥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핀 단자와 코넥터와의 상대적인 이동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화하여 부품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In such an ink jet printer, a structure in which the ink jet hea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rriage on the main body case side, requires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 control circuit provided on the main body case and the ink jet head. As an example, a commercially avail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printing control circuit is attached to the carriage, the ink cartridge is provided with a pin terminal connected to the ink jet head, and the pin terminal on the ink cartridg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ink cartridge to the carriage. And a connection method in which the connector on the carriage side is connected is considered. However, in such a connection method, the connector must be moved relative to the pin terminal when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due to assembly error of each part. Therefore, a relative moving structure between the pin terminal and the connector is required, resulting in a complicated structure. As a result, the parts cost a lot.

그래서,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속구조가 생각되고 있다.Therefore, the conn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22 is considered.

이하, 제2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2 is as follows.

고무패트(101)는 왕복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캐리지(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The rubber pad 101 is supported by a carriage (not shown) in which the reciprocating motion is freely installed.

이 고무패트(101)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surface of the rubber pad 101,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2 are formed.

염화비닐계통의 플렉시블 케이블(103)은 고무패트(101)에 대향되어 캐리지에 지지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케이블(103)에는 상기 돌기(102)에 대향되어 표면쪽으로 팽출하는 다수의 접속부(104)가 박막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vinyl chloride-based flexible cable 103 is supported by a carriage facing the rubber pad 101. In this flexible cable 103,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04 opposed to the projections 102 and bulging toward the surface are formed of a thin film metal.

이들 접속부(104)는 플렉시블 케이블(103)에 형성된 접속선(105)에 의하여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These connection part 104 is connected to the drive part (not shown) by the connection line 105 formed in the flexible cable 103. As shown in FIG.

상기 캐리지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지지되는 잉크 카트리지(도시하지 않음)의 일면에는 접속패턴(106)이 금속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A connection pattern 106 is formed of metal foil on one surface of an ink cartridge (not shown) which is attached to the carriage and is freely supported to be peeled off.

이 접속패턴(106)은 상기 접속부(104)에 접속하는 다수의 단자(107)를 가진다.The connection pattern 106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107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04.

이들 단자(107)는 잉크제트헤드의 각 노즐의 안쪽에 설치된 발열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These terminals 107 are connected to a heat generating element provided inside each nozzle of the ink jet head.

따라서, 캐리지에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함으로써, 구동부에 접속된 접속부(104)가 잉크제트헤드의 단자(107)에 접속된다.Therefore, by attaching the ink cartridge to the carriage, the connecting portion 104 connected to the driv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7 of the ink jet head.

그래서, 접속부(104)의 돌출높이는 불균일하고, 단자와의 접촉이 불완전하게 되므로, 고무패트(101)의 돌기(102)로 접속부(104)를 단자(107)에 누르고 있다.Therefore, sinc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onnection part 104 is uneven and contact with a terminal becomes incomplete, the connection part 104 is pressed against the terminal 107 by the processus | protrusion 102 of the rubber fat 101. As shown in FIG.

인자시에는 선택된 단자(107)에 전압을 인가하고, 이 단자(107)에 접속된 발열소자를 발열시켜, 노즐내의 잉크를 비등시켜, 이 비등에 의하여 높인 압력에 의하여 노즐로부터 잉크가 비상하게 된다.When printing,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elected terminal 107, heats up the heat genera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terminal 107, and the ink in the nozzle is boiled, so that ink escapes from the nozzle by the pressure raised by the boiling. .

각 노즐에는 잉크탱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Each nozzle is supplied with ink from an ink tank (not shown).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다음에 설명한다.This problem of the prior art is described next.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에 장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외각을 캐리지에 위치결정시켜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s a conventional method of attaching an ink cartridge to a carriage, a method of positioning and fixing the outer shell of the ink cartridge to the carriage is generally used.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한 잉크제트헤드 및 노즐의 위치내기가 부정확하였거나, 캐리지에 대하여 잉크 카트리지를 부착할 때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기록매체에 대한 잉크제트헤드의 노즐의 상대위치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경우에는 잉크가 바른 방향으로 비상하지 않고, 인자품질이 저하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method, however, the positioning of the ink jet head and the nozzle relative to the ink cartridge may be inaccurate, or a positional shift may occur when the ink cartridge is attached to the carriage,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ozzle of the ink jet head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medium. It is easy to produce nonuniformity.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k quality does not fly in the correct direction and the printing quality is lowered.

또, 인자제어회로와 잉크제트헤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로서 제2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무패트(101)의 돌기(102)는 휨량이 적으므로, 캐리지에 대한 잉크제트헤드의 부착위치에 불균일 등이 있으면, 모든 접속부를 확실히 단자(107)에 압접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22 as the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 control circuit and the ink jet head, the protrusions 102 of the rubber pad 101 have a small amount of warpage, so that If there is a nonuniformity i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ink jet hea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liably press-contact all the connecting portions to the terminal 107.

더욱이 고무패트(101)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갯수가 많아져서 생산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ubber pad 101 is required,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resulting in a larg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은 캐리지에 잉크 카트리지를 단순히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잉크제트헤드로부터 잉크를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히 비상시킬 수가 있고, 또, 캐리지에 대하여 잉크제트헤드를 정확한 위치에 확실히 부착할 수 있고, 또 모든 접속부를 잉크 카트리지쪽의 접점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잉크제트헤드의 복수의 토출 노즐과 대응하는 발열체를 그룹으로 나누어 시분할하여 구동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잉크제트프린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fly ink from the ink jet hea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simply attaching the ink cartridge to the carriage, and can also reliably attach the ink jet head to the carriage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ll the connecting portions. The ink jet printer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k cartridge side contacts, and the hea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jection nozzles of the ink jet head can be divided into groups to obtain an ink jet printer suitable for time-division driving.

본 발명은 잉크탱크와 복수의 잉크 토출 수단을 포함한 잉크제트헤드를 가진 헤드기판으로 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잉크제트프린터에 대하여 캐리지 샤프트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캐리지를 부착하고, 상기 헤드기판의 적어도 3개소에 각각 맞닿는 적어도 3개의 돌기를 상기 캐리지에 설치하고, 이들의 돌기에 상기 헤드기판을 누름으로써 상기 캐리지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고정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상기 잉크 토출 수단을 기록매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결정하여, 상기 잉크제트헤드로부터 잉크가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히 비상하도록 구성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k jet printer using an ink cartridge of a head substrate having an ink jet head including an ink tank and a plurality of ink ejecting means can be freely slidably attached to a carriage shaft, and at least three of the head substrates are provided. At least three protrusions, each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point, are provided on the carriage, and the ink cartridge is fixedly attached to the carriage by pressing the head substrate on these protrusions, and the ink ejection means of the ink jet head is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k jet head, the ink is reliably soared from the ink jet hea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또, 잉크제트헤드와 중계용의 접점을 가진 헤드기판은 잉크탱크에 결합된 잉크 카트리지를 설치하고, 이 잉크 카트리지를 탑재하는 캐리지에 상기 헤드기판의 상기 접점에 탄발적으로 접촉하는 접속자를 설치하고, 상기 캐리지에 상기 헤드기판의 3개소에 맞닿는 3개의 돌기와 이 헤드 기판에 걸어맞추는 위치결정부를 가진 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헤드기판을 상기 캐리지의 상기 지지체에 누름으로써 상기 헤드기판의 상기 접점에 상기 접속자를 정확히 접촉시켜 상기 캐리지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며, 이때, 상기 헤드기판의 위치를 상기 위치결정부로 정함과 동시에, 상기 캐리지의 이동방향에 대한 상기 헤드기판의 위치를 상기 지지체의 3개의 상기 돌기로 정확히 정하여, 이렇게 정확히 위치결정된 상기 헤드기판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정확히 위치결정하여, 상기 잉크제트헤드로부터 잉크가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히 비상하도록 구성되었다.In addition, the head board having the ink jet head and the relay contact point is provided with an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tank, and a connector for elastically contacting the contact point of the head substrate is provided in the carriage on which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And a support having three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three places of the head substrate and a positioning portion engaged with the head substrate, and pressing the head substrate to the support of the carriage to provide the support to the contact of the head substrate. The ink cartridge is fixed to the carriage by contacting the connector accurately.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head substrate is set to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is determined by The imag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substrate which is precisely positioned as a projection and thus accurately positioned. To accurately position the ink jet head, the ink from the ink jet head was configured to ensure emergenc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또한, 잉크제트헤드와 중계용의 접점을 가진 헤드기판은 잉크탱크에 결합된 잉크 카트리지를 설치하고, 탄성을 가진 금속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헤드기판의 상기 접점에 탄발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속자의 일부가 절연재에 고정된 코넥터를 캐리지에 설치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상기 캐리지에 설치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상기 캐리지에 장착할 때에 상기 헤드기판의 상기 접점에 접속되는 상기 접속자의 휨량을 크게 하고, 상기 접속자의 배열이 불균일하여 요철부가 있더라도, 또, 상기 헤드기판의 상기 접점의 평탄성에 오차가 있더라도, 상기 접속자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쪽의 상기 접점에 확실히 접촉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ead substrate having the ink jet head and the relay contact point is provided with an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tank, and is formed of a resilient metal plate to contact the contact points of the head substrate in a flexible manner. A connector fixed to an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carriage, the ink cartridge is installed in the carriage, and when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in the carriage, the amount of warpage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of the head substrate is increased; Even if there are irregularities in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ors, and even if there is an error in the flatness of the contacts of the head substrate, the connectors are reliab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s on the ink cartridge side.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먼저, 제5도, 제8도, 제9도에 잉크 카트리지(1)의 구조를 도시하였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ink cartridge 1 is shown in FIG. 5, FIG. 8, and FIG.

이 잉크 카트리지(1)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측면에 캡(2)을 가지고 잉크를 수납하는 잉크탱크(3)와 금속제의 헤드기판(4)과 카트리지 커버(5)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nk cartridge 1 has an ink tank 3 for accommodating ink with a cap 2 on one side thereof, a metal head substrate 4, and a cartridge cover 5 combined therewith. It is formed by.

상기 잉크탱크(3)의 캡(2)과는 반대쪽의 면에 오목부(6)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6)의 바닥면과 윗면과 앞에는 개구부(7, 8, 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의 벽면(10)으로부터 돌출하는 보스(11)에 상기 헤드기판(4)이 고정되어 있다.A recess 6 is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cap 2 of the ink tank 3, and openings 7, 8, and 9 are formed at the bottom, the top, and the front of the recess 6. have. The head substrate 4 is fixed to the boss 11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10 of the recess 6.

이 편평한 헤드기판(4)에는 서로 평행한 평탄면(12, 13)과 원형의 위치결정구멍(14)과 장원형(O자형)의 위치결정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제8도 참조).The flat head substrate 4 is provided with flat surfaces 12 and 13 parallel to each other, circular positioning holes 14 and oblong (O-shaped) positioning holes 15 (see Fig. 8). ).

상기 헤드기판(4)의 평탄면(13)에는 후술하는 잉크제트헤드가 형성되고, 그 잉크제트헤드의 앞면의 노즐의 주위에 페이스 플레이트(16)에 의하여 덮여있다.An ink jet hea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flat surface 13 of the head substrate 4, and is covered by the face plate 16 around the nozz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k jet head.

또한, 제5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커버(5)에는 상기 헤드기판(4)의 일부를 개방하는 3개의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9, the cartridge cover 5 is formed with three openings 17 which open part of the head substrate 4.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기판(4)의 내면쪽의 평탄면(13)에는 잉크제트헤드(18)와 다수의 접점(19)을 가진 배선판(20)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 wiring board 20 having an ink jet head 18 and a plurality of contacts 19 is provided on the flat surface 13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head substrate 4.

그리고, 다수의 접속자(21)와 1개의 접속자(22)를 절연재(23)에 매설하고 있는 코넥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자(21)는 < 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점(19)에 탄발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21a)를 가지며, 상기 접속자(22)는 < 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기판(4)의 금속면에 탄발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22a)를 가진다.And the connector 24 which embeds the many connector 21 and one connector 22 in the insulating material 23 is provided. The connector 21 has a contact portion 21a which protrudes in a <shape and elastically contacts the contact point 19, and the connector 22 protrudes in a <shape to the metal surface of the head substrate 4. It has the contact part 22a which contacts elastically.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자(21, 22)의 후단은 기판(23a)에 납땜되고, 이 기판(23a)은 후술하는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4, the rear ends of the connectors 21 and 22 are soldered to the substrate 23a, and the substrate 23a is fixed to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described later.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제트헤드(18)는 상기 헤드기판(4)의 안쪽의 평탄면(13)의 앞쪽에 중합하여 접합된 실리콘 기판(26, 29)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nk jet head 18 is formed by silicon substrates 26 and 29 polymerized and bonded to the front of the inner flat surface 13 of the head substrate 4, respectively. .

실리콘 기판(26)에는 다수의 잉크 토출 수단인 발열체(27)가 형성되어 있다.The silicon substrate 26 is provided with a heating element 27 which is a plurality of ink ejecting means.

실리콘 기판(29)에는 발열체(27)를 위치시키는 다수의 홈에 의한 잉크 저장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28)의 각각의 선단의 개구면은 인자매체에 대향하는 노즐(25)이다. 또, 상기 실리콘 기판(26)에는 상기 발열체(27)를 구동하기 위한 매트릭스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The silicon substrate 29 is formed with an ink reservoir 28 formed by a plurality of grooves for positioning the heating element 27. The opening face of each tip of the reservoir 28 is a nozzle 25 opposite the printing medium. In addition, a matrix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the heat generator 27 is formed in the silicon substrate 26.

이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캐리지(30)의 구조를 도시하였다.Next, the structure of the carriage 30 is shown in FIGS.

먼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0)는 각각 절연성의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과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으로 구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carriage 30 is comprised from the 1st carriage frame 31 and the 2nd carriage frame 32 each formed by insulating resin.

제1, 제2의 캐리지 프레임(31, 32)은 캐리어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따라 각각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져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31 and 32, sliding motions are fitted freely along a carrier shaft (not shown), respectively.

즉,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에는 상기 헤드기판(4)의 바깥쪽의 평탄면(12)에 대향하는 지지편(33)과, 이 지지편(33)의 내면으로부터 연속되어 캐리어 샤프트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원통부(34)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carriage frame 31 has a support piece 33 facing the flat surface 12 on the outer side of the head substrate 4 and a carrier shaft which is continuou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3. Cylindrical portion 34 in which the sliding motion is fitted freely is formed.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상기 개구부(7)로부터 상기 개구부(8)로 관통하여 상기 헤드기판(4)의 상기 평탄면(13)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인 기둥형상의 카트리지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arriage frame 32 is a pressing means for penetrating from the opening 7 of the ink cartridge 1 to the opening 8 to press the flat surface 13 of the head substrate 4. The columnar cartridge support part 35 is formed.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에는 다시 상기 원통부(34)의 윗면에 따르는 돌출부(36)와, 이 돌출부(36)의 선단에 형성된 역 U자형의 벽부(37)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arriage frame 32 is again provided with a projection 36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4 and an inverted U-shaped wall portion 37 formed at the tip of the projection 36.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35)는 판스프링(38)의 한 끝에 지지되어 상기 헤드기판(4)을 탄발적으로 누르는 압압체(39)를 가진다.The cartridge support portion 35 is supported by one end of the leaf spring 38 and has a pressing body 39 that presses the head substrate 4 elastically.

또 상기 벽부(37)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36)의 길이방향을 따라 벽부(37)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축으로 하는 나선상의 캠(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piral cam 40 is formed integr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with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all portion 37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6.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상기 지지편(33)에는 상기 돌출부(36)와 상기 벽부(37)를 돌출시키는 이형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piece 33 of the 1st carriage frame 31 is provided with the release hole 41 which protrudes the said projection part 36 and the said wall part 37, have.

이 이형구멍(41)의 양쪽에는 상기 돌출부(36)의 양쪽에 형성된 리브(42)가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하는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상기 원통부(34)의 양쪽에는 리브(44)가 형성되어 있다.In both of the release holes 41, grooves 43 are formed to support the ribs 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36 so as to be free to slide. In addition, ribs 4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portion 34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에는 리브(44)가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하는 ㄷ자형의 클릭(45)과, 옆쪽으로 돌출하는 축(46)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arriage frame 32 is provided with a c-shaped click 45 for supporting the rib 44 so as to be free to slide and a shaft 46 protruding laterally.

이 축(46)에는 상기 지지편(33)을 누르는 스프링(47)이 끼워맞추어져 있다.A spring 47 for pressing the support piece 33 is fitted to the shaft 46.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상기 지지편(33)의 내면에는 상기 헤드기판(4)의 접점(19)과는 반대쪽에 위치한 평탄면(12)에 맞닿는 3개의 돌기(48)와, 헤드기판(4)에 형성된 상기 위치결정구멍(14 또는 15)에 끼워맞추어지는 2개의 위치결정부(4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3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is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12 opposite to the contact 19 of the head substrate 4. The three projections 48 abutting () and the two positioning portions 49 fit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14 or 15 formed in the head substrate 4 protrude.

3개의 상기 돌기(48)의 선단은 전술한 캐리어 샤프트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소정의 평면내에 위치되어 있고, 여기에 제1위치결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돌기(48)의 선단, 적정한 인자위치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기록매체에 대하여 평행한 소정의 평면내에 위치되어 있고, 여기에 제2위치결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The tip ends of the three projections 48 are located in a predetermined plane that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above-described carrier shaft, and the first positioning means is configured therein. The tip 48 of the projection 48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plane parallel to th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pported at an appropriate printing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is formed therein.

다음에,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35)의 일부 종단 정면도를 제11도에 도시하였다. 접지용의 접속자(22)의 접촉부(22a)는 다른 접속자(21)의 접촉부(21a) 보다도 헤드기판(4)쪽 및 상위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Next, a partial longitudinal front view of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of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is shown in FIG. The contact portion 22a of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is bent in a shape positioned above the head substrate 4 and above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other connector 21.

또, 절연체로서의 카트리지 지지부(35)에는 상기 코넥터(24)의 접속자(21, 22)의 상부를 지지하고, 인접하는 접속자(21)의 사이 및 접속자(21, 22) 사이를 절연하는 다수의 홈(50)이 형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In addition,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serving as an insulator supports a plurality of grooves 21 and 22 of the connector 24 and insulates the grooves between adjacent connectors 21 and between the connectors 21 and 22. 50 is formed (see FIG. 2).

접속자(21)를 지지하는 홈(50)의 바닥면의 깊이는 접지용의 접속자(22)를 지지하는 홈(50)의 바닥면의 깊이보다 깊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 channel 50 which supports the connector 21 is set to the dimension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 channel 50 which supports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이에 의하여도 접지용의 접속자(22)의 접촉부(22a)는 다른 접속자(21)의 접촉부(21a)보다 기판보다 헤드기판(4)쪽으로 돌출되어 있다.As a result, the contact portion 22a of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protrudes more toward the head substrate 4 than the substrate than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other connector 21.

또한, 접속자(22)와 이 접속자(22)에 가장 가까운 접속자(21)와의 사이는 접속자(21)의 배열피치의 대략 2배의 간격이 벌어져 있으나, 그 사이에도 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즉, 홈(50)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홈(50) 사이의 두께가 얇고 또한 균등하게 정해져 있다. 이에 의하여 성형시의 오므라듬에 의한 치수의 오차가 방지되고 있다.Moreover, although the space | interval of the connector 22 and the connector 21 which is closest to this connector 22 is about 2 times the space | interval of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pitch of the connector 21, the groove | channel 50 is formed also in between. . That is, the grooves 5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grooves 50 is thin and evenly determined. Thereby, the error of the dimension by the dent at the time of shaping | molding is prevented.

다음에, 제2도에 클램프 기구(51)를 도시하였다.Next, the clamp mechanism 51 is shown in FIG.

이 클램프 기구(51)는 한 끝에 플랜지(52)가 형성된 클램프축(53)과, 이 클램프축(53)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원통형의 끼워맞춤부(54)가 형성된 클램프 레버(55)를 가지고 있다.The clamp mechanism 51 includes a clamp shaft 53 having a flange 52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clamp lever 55 having a cylindrical fitting portion 54 in which rotation can be freely fitted to the clamp shaft 53. Have

끼워맞춤부(54)의 한 끝에는 상기 벽부(37)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상기 캠(40)(제1도 참조)에 맞닿는 나선형상의 캠(56)이 형성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54, a spiral cam 56 is formed which abuts against the spiral cam 40 (see FIG. 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As shown in FIG.

끼워맞춤부(54)의 다른 한끝에는 상기 클램프축(53)의 플랜지(52)쪽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캠(57)에 맞닿는 나선형상의 캠(58)이 형성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fitting portion 54 is formed with a spiral cam 58 which abuts against the spiral cam 57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52 side of the clamp shaft 53.

클램프 레버(55)의 캠(56, 58)은 서로 리드방향을 반대로 하여 형성되고 있다.The cams 56 and 58 of the clamp lever 55 are formed with their lead directions reversed.

캠(40, 56)의 리드방향은 같고, 캠(57, 58)의 리드방향은 같게 정해져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축(53)의 플랜지(52)의 양쪽에는 돌출편(5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59)을 받는 받이면(60)이 상기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상기 이형구멍(41)의 양쪽에 형성되고 있다.The lead directions of the cams 40 and 56 are the same, and the lead directions of the cams 57 and 58 are determined to be the same. Further, protruding pieces 59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52 of the clamp shaft 53. Receiving surfaces 60 which receive these projecting pieces 59 are formed in both of the release holes 41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이러한 클램프 기구(51)의 조립에 있어서는, 먼저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리브(42)를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홈(43)에 끼워맞춘다.In the assembly of such a clamp mechanism 51, the rib 42 of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is first fitted into the groove 43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동시에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리브(44)를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클릭(45)에 걸어맞추고, 제1 및 제2의 캐리지 프레임(31, 32)을 캐리어 샤프트를 따라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한다. 이어서,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이형구멍(41)으로부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벽부(37)를 최대한으로 돌출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rib 44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is engaged with the click 45 of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an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31, 32 are along the carrier shaft. The sliding movement connects freely. Next, the wall part 37 of the 2nd carriage frame 32 protrudes to the maximum from the release hole 41 of the 1st carriage frame 31. As shown in FIG.

클램프 레버(55)의 끼워맞춤부(54)가 끼워맞추어진 클램프축(35)을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과 벽부(37)와의 사이에 위치시킨다.The clamp shaft 35 to which the fitting portion 54 of the clamp lever 55 is fitted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iece 33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and the wall portion 37.

플랜지(52)의 돌출편(59)을 지지편(33)의 받이면(60)에 맞닿게 한다.The projecting piece 59 of the flange 5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surface 60 of the support piece 33.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의하여 지지편(33)이 벽부(37)쪽으로 이동하면, 클램프축(53)의 선단이 벽부(37)에 끼워맞추어진다.In this state, when the support piece 33 moves toward the wall portion 37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47, the tip of the clamp shaft 53 is fitted to the wall portion 37. As shown in FIG.

또, 클램프축(53)은 그 플랜지(52) 및 돌출편(59)이 상기 이형구멍(41)의 주위의 벽에 의하여 둘러싸이므로, 회전방지된다.In addition, the clamp shaft 53 is prevented from rotating because the flange 52 and the protruding piece 59 are surrounded by the wall around the release hole 41.

따라서, 클램프 레버(55)를 클램프 해제방향(제2도중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캠(40, 56)의 나선면을 전면적으로 접촉시킴과 동시에, 캠(57, 58)의 나선면을 전면적으로 접촉시킨다.Accordingly, by rotating the clamp lever 55 in the clamp releas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the second direction), the helical surfaces of the cams 40 and 56 are brought into full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pirals of the cams 57 and 58 are oriented. Make full contact with the surface.

이에 의하여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이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의하여 지지편(33)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클램프 레버(55)를 클램프 방향(제2도중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캠(40)의 돌출부가 캠(56)의 돌출부를 지지편(33)쪽으로 누르고, 캠(58)의 돌출부가 캠(57)의 돌출부를 지지편(33)쪽으로 누른다.As a result,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piece 33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47. On the contrary, when the clamp lever 55 is rotated in the clamp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during the second drawing), the projection of the cam 40 presses the projection of the cam 56 toward the support piece 33, and the cam 58. The projection of squeezes the projection of the cam 57 toward the support piece 33.

이에 의하여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이 카트리지 지지부(35) 쪽으로 밀린다. 환언하면 카트리지 지지부(35)가 스프링(47)의 가압력에 대향하여 지지편(35)쪽으로 이동된다.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1)를 캐리지(3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레버(55)를 클램프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편(33)과 카트리지 지지부(35)와의 간격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47)의 가압력으로 지지편(33)을 카트리지 지지부(35)로부터 최대한으로 이반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upport piece 33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is pushed toward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In other words,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is moved toward the support piece 35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47.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k cartridge 1 is mounted on the carriage 30,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support piece 33 and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is widened by rotating the clamp lever 55 in the clamp release direction. In this state, the support piece 33 can be separated from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to the maximum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47. As shown in FIG.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를 돌기(48)나 위치결정부(49)에 간섭시키지 않고 그 개구부(7, 8)를 카트리지 지지부(35)에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제12도 참조).Therefore, the openings 7 and 8 can be easily fitted to the cartridge support 35 without interfering the ink cartridge 1 with the projection 48 or the positioning portion 49 (see FIG. 12).

이 상태에서는 접지용의 접속자(22)의 접촉부(22a)가 다른 접속자(21)의 접촉부(21a)보다도 헤드기판(4)쪽 및 상위에 위치하므로, 먼저, 접지용의 접속자(22)의 접촉부(22a)가 헤드기판(4)의 금속면(접지면)에 탄발적으로 접촉되고, 이어서, 코넥터(24)의 접속자(21)의 접촉부(21a)가 헤드기판(4)의 접점(19)에 탄발적으로 접촉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contact portion 22a of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is located on the head substrate 4 side and higher than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other connector 21, first,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22a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metal surface (ground surface) of the head substrate 4, and then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connector 21 of the connector 2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d substrate 4 19. It is contacted elastically.

따라서, 접속자(21)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인채로 잉크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 지지부(35)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실리콘 기판(26)의 매트릭스 회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n the case where the ink cartridge 1 is mounted on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while the connector 21 is in a state where a voltage is applied, breakage of the matrix circuit of the silicon substrate 26 can be prevented.

또, 접속자(21, 22)는 탄성을 가진 금속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자(21, 22)의 휨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접속자(21)를 접점(19)에 확실히 접촉시킴과 동시에 접속자(22)를 헤드기판(4)의 금속면(접지면)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s 21 and 22 are formed of an elastic metal plate, the amount of warpage of the connectors 21 and 22 can be increased, whereby the connector 21 is reliab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19. The connector 22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etal surface (ground surface) of the head substrate 4.

또한, 접속자(21, 22)의 휨량이 크므로, 피로를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종래 사용하던 고무패트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품갯수를 적게 하여 코스트 다운을 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urvature amount of the connectors 21 and 22 is large, fatigue can be prevented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rubber pad used conventionally can be omitte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레버(55)를 클램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0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지지부(35)와 지지편(33)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이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헤드기판(4)이 카트리지 지지부(35)에 의하여 눌려서 지지편(33)의 돌기(48)에 카트리지 커버(5)의 개구부(17)를 통하여 맞닿게 되고, 제5도에 도시한 헤드기판(4)의 위치결정구멍(14, 15)에 위치결정부(49)가 각각 다른 개구부(17)를 통하여 끼워맞추어진다.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lamp lever 55 is rotated in the clamp direc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3,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ridge support 35 and the support piece 33 is narrowed.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is moved. As a result, the head substrate 4 is pressed by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to abut on the protrusion 48 of the support piece 33 through the opening 17 of the cartridge cover 5, and the head shown in FIG. The positioning portions 49 are fit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14 and 15 of the substrate 4 through the different openings 17,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는 헤드기판(4)의 평면방향의 위치는 위치결정부(49)로 정해지고, 헤드기판(4)의 평탄면(12)은 동일수직면내에 위치하는 3개의 돌기(48)의 선단에 맞닿고, 이에 의하여 평탄면(12)의 캐리어 샤프트에 따르는 방향의 위치 및 수직도가 일정하게 된다. 또, 잉크제트헤드(18)가 헤드기판(4)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헤드기판(4)에 대한 잉크제트헤드(18)의 상대위치를 정확히 정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position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head substrate 4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portion 49, and the flat surface 12 of the head substrate 4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three projections 48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plane. Abutment, whereby the position and verticality in the direction along the carrier shaft of the flat surface 12 are constant. Further, since the ink jet head 18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substrate 4,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k jet head 18 with respect to the head substrate 4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따라서, 헤드기판(4)을 직접 위치결정함으로써, 기록매체에 대한 잉크제트헤드(18)의 노즐의 위치를 매우 정확히 정할 수 있다.Therefore, by directly positioning the head substrate 4, the position of the nozzle of the ink jet head 18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medium can be determined very accurately.

또한,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과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벽부(37)와의 간격을 캠(40, 56, 57, 58)으로 넓히는 것만으로, 헤드기판(4)을 지지편(33)의 돌기(48)에 확실히 눌러서 위치결정구멍(14, 15)을 위치결정부(49)에 확실히 걸어맞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substrate is merely widened by the cams 40, 56, 57, 58 between the support piece 33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and the wall portion 37 of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The positioning holes 14 and 15 can be reliably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portions 49 by pressing (4) against the projections 48 of the support piece 33.

이 경우, 클램프 레버(55)의 끼워맞춤부(54)의 양단에는 리드방향이 다른 캠(56, 58)이 형성되고, 캠(56)에 맞닿은 캠(40)이 벽부(37)에 형성되어, 캠(58)에 맞닿은 캠(57)이 클램프축(5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램프축(53)의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cams 56 and 58 having different lead dir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tting portion 54 of the clamp lever 55, and a cam 40 abutting against the cam 56 is formed at the wall portion 37. Since the cam 57 abutting on the cam 58 is formed in the clamp shaft 53, the stroke of the clamp shaft 53 can be increased.

이에 의하여 지지편(33)과 카트리지 지지부(35)와의 간격을 크게 벌릴 수 있으며, 따라서 캐리지(30)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를 붙이고 떼는 조작은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by, the space | interval of the support piece 33 and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can be largely enlarged, Therefore, the operation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ink cartridge 1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30 can be made easier.

물론, 쌍을 이루는 캠(40, 56) 또는 캠(57, 58)의 한쪽을 생략하여도, 클램프 레버(55)의 조작에 의하여 지지편(33)과 카트리지 지지부(35)와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Of course, even if one of the paired cams 40 and 56 or the cams 57 and 58 is omitte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iece 33 and the cartridge support 35 can be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clamp lever 55. Can be.

또한,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과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카트리지 지지부(35)와의 상대위치에 다소의 불균일이 생겨도, 압압체(39)에 의하여 헤드기판(4)을 지지편(33)에 확실히 압접할 수 있다.Moreover, even if some nonuniformity arises i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upport piece 33 of the 1st carriage frame 31, and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of the 2nd carriage frame 32, the head board is carried out by the press body 39. FIG. (4) can be reliably pressed against the support piece 33.

또한, 잉크 카트리지(1)를 단순히 캐리지(30)에 장착하여 클램프 레버(55)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잉크제트헤드(18)가 정확한 위치에 조정된다. 따라서, 잉크제트헤드(18)로부터 잉크를 인자매체를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히 비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ink jet head 18 is adjusted to the correct position by simply mounting the ink cartridge 1 to the carriage 30 and rotating the clamp lever 55. Therefore, ink can be reliably made to fly from the ink jet head 18 toward the printing medium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그리고, 지지편(33)의 내면에 코넥터(24)를 설치하고, 헤드기판(4)의 지지편(33)쪽의 평탄면(12)에 접점(19)과 잉크제트헤드(18)를 형성하고, 카트리지 지지부(35)에 의하여 헤드기판(4)을 지지편(33)에 누름으로써, 접점(19)과 코넥터(24)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Then, the connector 24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3, and the contact 19 and the ink jet head 18 are formed on the flat surface 12 on the support piece 33 side of the head substrate 4. The contact 19 and the connector 24 can also be connected by pressing the head substrate 4 onto the support piece 33 by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제14도 내지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FIG.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분을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도 생략한다(이하 같음).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as below).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의 내면에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2개의 돌기(48)와 윗쪽에 위치하는 1개의 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나, 윗쪽에 위치하는 돌기(48)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돌기(48)보다도 지지편(33)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있다.As shown in FIG. 14, two projections 48 located below and one projection 48 located abov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3 of the first carriage frame 31. However, the protrusion 48 located on the upper side has a protruding length from the support piece 33 than the protrusion 48 located on the lower side.

즉, 헤드기판(4)과 잉크제트헤드(18)는 캐리지(30)(제1도 참조)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θ인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고 있다.That is, the head substrate 4 and the ink jet head 18 are inclined at an angle θ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30 (see FIG. 1).

따라서, 잉크제트헤드(18)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25)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도 헤드기판(4)의 평탄면(12, 13)과 똑같이 수직선에 대하여 θ인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고 있다(제15도 참조). 여기에 제3위치결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nozzles 25 formed in the ink jet head 18 is inclined at a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similarly to the flat surfaces 12 and 13 of the head substrate 4 (first See also 15). The third positioning means is configured here.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제트헤드(18)는 128개의 노즐(25)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잉크 저장부(28) 및 그들속에 설치된 잉크토출수단으로서의 발열체(27)(제7도 참조)의 수도 128개이다.In addition, the ink jet head 18 in this embodiment has 128 nozzles 25. Therefore, the number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27 (see FIG. 7) as the ink storing portion 28 and the ink ejecting means provided therein is also 128.

여기서, 128개의 발열체(27)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것은 배선이 복잡화하므로, 발열체(27)를 4개 1조의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마다 시분할하여 발열체(27)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Here, since the wiring is complicated to independently drive the 128 heating elements 27, a method of dividing the heating elements 27 into groups of four groups and time-dividing them into groups to apply voltage to the heating elements 27 is adopted. .

즉, 각 발열체(27)는 #1(첫번째)∼#4(네번째)의 4개로 1그룹을 형성하고, 이하, #5∼#8, #9∼#12, …#125∼#128과 같이 4개 단위로 그룹을 형성한다.That is, each of the heating elements 27 forms one group with four of # 1 (first) to # 4 (fourth), hereinafter # 5 to # 8, # 9 to # 12,... Groups are formed in four units like # 125 to # 128.

또, 각 발열체(27)에 대응하는 노즐(25)도 인접하는 4개를 가지고 1그룹을 형성한다.Moreover, the nozzles 25 corresponding to each heating element 27 also have four adjacent ones, and form one group.

여기서, N …전 노즐(25)의 수(128개)Where N... Number of all nozzles 25 (128)

n :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발열체(27)의 수(4개), m : 시분할 수(32회), T : 그룹단위로 발열체(27)를 구동하는 주기(sec), P : 노즐(25)의 배열피치(inch), V : 캐리지(30)의 이동속도(inch/sec), θ : 전술한 그룹단위에서의 노즐(25)의 배열 경사각이라고 하면, N : mn의 관계에 있어서, θ : cos-1(vmT/NP)=cos-1(vT/nP)라는 관계에 정하여져 있다.n: number of heating elements 27 that can be driven simultaneously (4), m: time division number (32 times), T: cycle (sec) for driving the heating elements 27 in groups, P: nozzle 25 Array pitch (inch), V: moving speed of the carriage 30 (inch / sec), θ: array tilt angle of the nozzle 25 in the above-described group unit, θ: cos -1 (vmT / NP) = cos -1 (vT / nP).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캐리지(30)를 왼쪽의 홈 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잉크제트헤드(18)의 발열체(27)를 상부에 위치하는 그룹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그룹의 순서로 T라는 주기로써 구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In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arriage 30 from the left home position to the right,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 of the ink jet head 18 is moved in the order of the group located below the group from the upper position. Consider the case of driving by cycle.

첫 그룹을 형성하는 #1(첫번째)∼#4(네번째)의 발열체(27)를 구동하는 시기와, 다음 그룹을 형성하는 #5∼#8의 발열체(27)를 구동하는 시기와의 사이에는 T라는 시간의 어긋남이 있다. 이 동안에 캐리지(3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나, 캐리지(30)의 이동방향(X)에 대하여 노즐(25)의 배열각도가 상기의 식에 의하여 θ라는 각도로써 경사지고 있으므로, 그룹마다의 X방향에 있어서의 잉크토출위치를 같게 할 수 있다.Between the timing of driving the heating elements 27 of # 1 (first) to # 4 (fourth) forming the first group, and the timing of driving the heating elements 27 of # 5 to # 8 forming the next group. There is a time deviation of T. During this time, the carriage 30 moves to the right, but sinc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nozzle 25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X of the carriage 30 is inclined at an angle θ by the above equation, the X direction for each group The ink dispensing position in can be made the same.

제15도(a)는 T라는 주기마다 각 그룹의 노즐(25)이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결과, 제15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노즐(25)로부터 토출된 잉크방울의 배열각도는 1그룹단위에서는 경사지나, 전 그룹단위에서 보면 수직이다.FIG. 15 (a)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nozzles 25 of each group correspond to the recording medium at every period of T.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5 (b), from FIG.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ejected ink droplets is inclined in one group unit, but is vertical in all group units.

이 경우, 1그룹에서 형성되는 잉크방울 자체가 미소하므로, 경사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캐리지(30)의 이동방향(X)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선을 인지하는 경우라도 선의 굵기는 다소 굵어지나 수직인 선을 인자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ink droplets formed in one group are minute, the inclination does not have any problem. Therefore, even when a straight line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X of the carriage 30 is recognized, the thickness of the line can be somewhat thicker but can print a vertical line.

이에 대하여 헤드기판(4)을 잉크제트(18)와 함께 수직상태로 고정시키고, 캐리지(3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노즐(25)을 직교시킨 경우에는 첫 그룹을 형성하는 #1(첫번째)∼#4(네번째)의 발열체(27)를 구동하는 시기와, 다음 그룹을 형성하는 #5∼#8의 발열체(27)를 구동하는 시기와의 사이에는 T라는 시간의 어긋남이 있으므로, 제16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단위로 보면, 그룹이 아래로 될 수록 노즐(25)은 캐리지(30)의 이동방향으로 진행하며, 이 결과, 제1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그룹단위에서는 4개의 도트를 수직으로 배열할 수는 있으나, 전 그룹의 노즐(25)에 의하여 형성된 직선은 경사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잇점이 이해될 것이다.In contrast, when the head substrate 4 is fixed in the vertical state together with the ink jet 18, and the nozzle 25 is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30, # 1 (first) to form the first group- Since there is a deviation of time T between the timing of driving the # 4 (fourth) heating element 27 and the timing of driving the # 5 to # 8 heating elements 27 forming the next group, FIG. As shown in (a), in the group unit, as the group goes down, the nozzle 25 proceed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30,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6 (b). Although four dots can be arranged vertically in one group unit, the straight lines formed by the nozzles 25 of the whole group are inclined to be inclined. Therefore, the advantages obtained by the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understood.

그리고,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에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2개의 돌기(61)를 형성하고, 윗쪽에 위치하는 돌기로서 나사(62)를 사용하여도 좋다.And as shown in FIG. 17, the support piece 33 of the 1st carriage frame 31 is provided with the two projections 61 located in the lower part, and the screw 62 is provided as the projection located in the upper part. May be used.

즉, 지지편(33)에 형성된 나사구멍(63)에 나사(62)를 박아 맞추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헤드기판(4)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d substrate 4 can be adjusted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crew 62 is fitted into the screw hole 63 formed in the support piece 33.

또, 돌기(61) 및 나사(62)의 선단을 구면으로 함으로써 돌기(61)와 나사(62)와의 모든 선단을 동일한 조건으로 헤드기판(4)의 평탄면(12)에 점접촉시킬 수 있다.Further, by making the distal ends of the projection 61 and the screw 62 into spherical surfaces, all the distal ends of the projection 61 and the screw 62 can be brought into point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12 of the head substrate 4 under the same conditions. .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제18도 내지 제2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1. FIG.

본 실시예는 다른 형상의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30)에 장착하기 위한 실시예이다.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mounting an ink cartridge of another shape to the carriage 30.

잉크 카트리지는 예컨대 잉크탱크(3)에 수납하는 잉크의 색이나 노즐(25)의 수를 바꾼 경우에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형상을 바꾸는 경우가 있다.The ink cartridge may be changed in shap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s when,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ink contained in the ink tank 3 or the number of the nozzles 25 is changed.

혹은 잉크 카트리지의 메이커의 차이에 의하여 형상이 다른 경우가 있다.Or the shape may diff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maker of an ink cartridge.

여기서는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탱크(3)의 개구부(8)에 돌조(64)를 형성한 점만이 다르고 나머지는 같은 잉크 카트리지(1a)의 경우를 도시하였다.Here, as shown in FIG. 18 and FIG. 19, only the point where the protrusion 64 is formed in the opening part 8 of the ink tank 3 is shown, and the remainder is the case of the same ink cartridge 1a.

이러한 잉크 카트리지(1a)를 장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의 카트리지 지지부(35)에는 凹부(65)와 그 양쪽에 위치하는 안내홈(66)과, 양쪽에 위치하는 걸림구멍(67)을 형성한다.In order to be able to mount such an ink cartridge 1a, as shown in FIG. 20,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of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has a convex part 65 and guide grooves located at both sides thereof. 66 and locking holes 67 located on both sides are formed.

그리고,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66)에 다소 헐겁게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리브(68)와, 헤드기판(4)에 맞닿는 압압부(69)와, 상기 잉크 카트리지(1a)의 상기 돌조(64)에 끼워맞추어지는 퇴피부(70)와, 상기 걸림구멍(67)에 탄발적으로 걸리는 걸림클릭(71)을 가진 칩(72)을 설치한다.Then, as shown in FIG. 21, a rib 68 in which a sliding motion is loosely fitted in the guide groove 66 somewhat loosely, a pressing portion 69 in contact with the head substrate 4, and the ink cartridge A chip 72 having a retraction portion 70 fitted to the protrusion 64 in (1a) and a locking click 71 that is elastically engaged in the locking hole 67 is provided.

73은 칩(72)을 헤드기판(4)쪽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이다.73 is a leaf spring for pressing the chip 72 toward the head substrate 4.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칩(72)의 리브(68)를 카트리지 지지부(35)의 안내홈(60)에 삽입하고, 걸림클릭(71)을 걸림구멍(67)에 걸리게 함으로써, 칩(72)은 카트리지 지지부(35)에 부착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chip 72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rib 68 of the chip 72 into the guide groove 60 of the cartridge support 35 and engaging the locking click 71 with the locking hole 67. It is attached to the cartridge support 35.

판스프링(73)은 카트리지 지지부(35)의 凹부(65)의 내면과 칩(72)과의 사이에 삽입된다.The leaf spring 73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65 of the cartridge support 35 and the chip 72.

이와 같이, 칩(72)에는 잉크 카트리지(1a)의 돌조(64)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퇴피부(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잉크 카트리지(1a)의 개구부(8)를 카트리지 지지부(35)에 장착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retracted portion 70 is formed in the chip 72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protrusion 64 of the ink cartridge 1a, the opening 8 of the ink cartridge 1a is formed by the cartridge support 35. Can be mounted on

또, 칩(72)을 부착한 카트리지 지지부(35)에는 제1의 실시예로서 제9도에 도시한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ink cartridge 1 shown in FIG. 9 as the first embodiment on the cartridge support portion 35 to which the chip 72 is attached.

어떤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한 경우라도, 칩(72)은 안내홈(66)과 리브(68)와의 헐거움분만큼 판스프링(73)에 의하여 헤드기판(4)쪽에 탄발적으로 눌리므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의 캐리지 프레임(31, 32)을 클램프 기구(51)로 연결하였을 때에 칩(72)의 압입부(69)로 헤드기판(4)을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의 지지편(33)에 탄발적으로 누를 수 있다Even when any ink cartridge is mounted, the chip 72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leaf spring 73 to the head substrate 4 side by the amount of looseness between the guide groove 66 and the rib 68. As shown in Fig. 1, when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31 and 32 are connected by the clamp mechanism 51, the head substrate 4 is connected to the first carriage by the press-fitting portion 69 of the chip 72. Can be pressed elastically to the support piece 33 of the frame 31

Claims (19)

잉크탱크(3)와, 복수의 잉크토출수단(27)을 포함한 잉크제트헤드(18)를 가진 헤드기판(4)으로 된 잉크 카트리지(1)를 사용하는 잉크제트프린터로서, 주인자방향으로 뻗은 캐리지 샤프트와 이 캐리지 샤프트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1)를 지지하는 캐리지(30)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제트헤드(18)의 잉크토출수단(27)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잉크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주인자방향의 인자를 실행하는 인자수단과, 상기 헤드기판(4)의 적어도 3개소에 각각 맞닿아서 상기 잉크제트헤드(18)의 상기 잉크토출수단(27)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상기 캐리지(30)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돌기(48, 49)와, 그리고 상기 헤드기판(4)을 상기 돌기(48, 49)에 대항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캐리지(30)에 설치된 가압수단(51)으로 구성된 상기 잉크제트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돌기(48) 각각은 동일 평면상의 선단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선단은 상기 헤드기판(4)과 접촉하여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51)은 상기 선단을 상기 헤드기판(4)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An ink jet printer using an ink cartridge (1) comprising a head substrate (4) having an ink tank (3) and an ink jet head (18) including a plurality of ink ejecting means (27), which extends in the owner's direction. Ink including a carriage shaft and a carriage 30 freely installed on the carriage shaft to support the ink cartridge 1, and selectively discharged from the ink ejection means 27 of the ink jet head 18 Printing means for performing printing in the owner's direction o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ink ejecting means 27 of the ink jet head 18 in contact with at least three positions of the head substrate 4, respectively. At least three projections 48 and 49 provided on the carriage 30 to position them, and the head substrate 4 mounted on the carriage 30 to press the head substrate 4 against the projections 48 and 49. Image composed of the pressing means (51) In an ink jet printer, each of the three projections 48 has a coplanar tip, each of which tips is in contact with the head substrate 4, and the urging means 51 causes the tip to face the head. Ink 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against the substrate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48, 49)에는 상기 캐리지 샤프트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상기 잉크토출수단(27)을 위치시키는 제1위치결정수단(48)과,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잉크토출수단(27)을 위치시키는 제2위치결정수단(49)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2. The projections (48) and (49) of claim 1, wherein the projections (48, 49) have a first positioning means (48) for positioning the ink ejection means (27)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arriage shaft, and approximately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medium. And a second positioning means (49) for positioning the ink discharging means (27) in a paralle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48, 49)에는 상기 캐리지 샤프트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상기 잉크토출수단을 방향지우는 제3위치결정수단(48)과,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잉크토출수단을 위치시키는 제2위치결정수단(49)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2. The projections (48) and (49) of claim 1, wherein the projections (48, 49) have a third positioning means (48) for orienting the ink ejection means in a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shaft, and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medium. And a second positioning means (49) for positioning the ink discharging means in a paralle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돌기(48, 49)를 가진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임시 지지하는 카트리지 지지부(35)를 가진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2. The carriage of claim 1, wherein the carriage includes a first carriage frame (31) having the projections (48, 49) and a second carriage frame (32) having a cartridge support portion (35) for temporarily supporting the ink cartridge.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51)은 상기 돌기(48, 49)와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35)가 서로에 근접하도록 상기 캐리지 샤프트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캐리지 프레임(31, 32)을 이동시키는 기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31, 32) of claim 4, wherein the pressing means (51) is provided along the carriage shaft such that the protrusions (48, 49) and the cartridge support (35) are close to each other.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chanism for moving th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35)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굴요성을 가진 접속자(21)를 가지며, 상기 접속자는 상기 제1 및 제2캐리지 프레임(31, 32)이 클램프기구(51)로 형성된 상기 가압수단(51)에 의하여 상기 캐리지 샤프트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헤드기판상에 제공되고 상기 잉크토출수단(27)에 연결된 접점(19)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6. The prin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inting means has a plurality of flexible connectors 21 provided on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wherein the connectors are clamped by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frames 31 and 32.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19 provided on the head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ink ejection means 27 when moved along the carriage shaft by the urging means 51 formed by the mechanism 51. Inkjet Pri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토출수단(27)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접점(19), 상기 3개의 돌기(48)와 그리고 상기 헤드기판에 걸어맞추는 위치결정부(49)를 가지고 있고, 상기 캐리지에 설치된 지지체(33)와, 그리고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기판(4)을 상기 지지체쪽으로 가압하는 상기 가압수단(51)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2. The carriag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cts 19, three projections 48, and a positioning portion 49 engaged with the head substrat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k ejection means 27. And a press means (51) mounted on the support (33) and on the carriage to press the head substrate (4) toward the suppo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를 상기 캐리지 샤프트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과 그리고 상기 제1캐리지 프레임(31)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2캐리지 프레임(32)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33)를 상기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에 설치하고,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임시 지지하는 카트리지 지지부(35)를 설치하고, 그리고 이 카트리지 지지부(35)와 상기 지지체(33)가 서로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을 미끄럼운동시키는 클램프 기구(51)에 의하여 상기 가압수단(5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8. The second carriage frame of claim 7, wherein the carriage 30 is slid freely supported by the carriage shaft, and the second carriage frame is slid freely connected to the first carriage frame 31. (32), wherein the support (33) is installed on the first carriage frame (31), and the ink cartridge (1)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second carriage frame (32) to freely support it. By the clamp mechanism 51 which installs the cartridge support part 35 and slides the said 2nd carriage frame 32 in the direction which this cartridge support part 35 and the said support body 33 approach each other, Ink 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ans (51) form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캐리지 프레임(31)에 설치된 상기 지지체(33)를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벽부(37)를 상기 제2의 캐리지 프레임(32)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체(33)와 상기 벽부(37)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캠(40, 56, 57, 58)을 가진 상기 클램프 기구(51)를 상기 지지체(33)와 상기 벽부(37)와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The wall carriage 37 which penetrates the support body 33 installed in the said 1st carriage frame 31 from the inside outward is fixed to the said 2nd carriage frame 32, and The clamp mechanism 51 having the cams 40, 56, 57, 58 exten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33 and the wall 37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33 and the wall 37.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기판(4)을 상기 지지체(33)쪽에 탄발적으로 누르는 압압체(39)를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35)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An ink jet print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ress body (39) for pressing the head substrate (4) elastically against the support body (33) is provided on the cartridge support portion (3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의 왕복동작방향으로 직교시켜 상기 지지체(33)를 형성하고, 이 지지체(33)에 형성된 상기 돌기(48, 49)에 맞닿는 상기 헤드기판(4)의 판두께방향의 어느 한쪽면에 상기 잉크제트헤드(1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8. The head substrate (4)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upport board (33) is formed at right angles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30), and the head board (4) abuts against the protrusions (48, 49) formed on the support (33). An ink 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jet head (18) is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의 왕복동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잉크제트헤드(18)에 복수의 노즐(25)을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12. The ink jet print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plurality of nozzles (25) are arranged in the ink jet head (18)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3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토출수단(27)의 구동순서에 따라 상기 노즐(25)의 배열방향을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The ink jet print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nozzle (25) is incl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sequence of the ink ejecting means (2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토출수단(27)에 각각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접점(19)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1)에 설치되어 있는 배선판(20)과, 그리고 절연재(23)와 그리고 각각 탄성을 가진 금속판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점(19)에 탄발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일부분이 상기 절연재(23)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접속자(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캐리지(30)에 부착되어 있는 코넥터(24)를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7. The wiring board (20) according to claim 6, which has the plurality of contacts (19) connected to the ink discharge means (27), and which is provided in the ink cartridge (1), and the insulating material (23); And the plurality of connectors 21 each formed by a metal plate having elasticity and fixed to the insulating material 23 to partially contact the contacts 19, and the carriage 30.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24) attached to th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는 상기 캐리지(30상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할 때, 상기 접속자(21)가 상기 접점(19)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접지면(4)에 접촉하는 형상으로 정하여진 접지용의 접속자(2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15. The ground plane of the ink cartridge (1)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connector, when mounting said ink cartridge (1) on said carriage (30), before said connector (21) contacts said contact point (19). An ink jet printer, comprising: a connector 22 for grounding determined in a shape in contact with (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21, 22)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50)이 형성된 절연체(23)를 상기 캐리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The inkjet printer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n insulator (23)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50) into which the connector (21, 22)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arriage. 제16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접속자(21, 22)의 자유단부에 맞닿아서 그들 접속자(21, 22)의 복귀위치를 정하는 바닥면이 상기 절연체(23)의 상기 홈(5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17. The groove (50) of the insulator (23)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a bottom surface that contacts the free ends of the connectors (21, 22) to define the return positions of the connectors (21, 22), respectively.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5항에 있어서, 접지용의 상기 접속자(22)의 일부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상기 접지면(4)쪽에 돌출하는 접촉부(22a)를 형성하고, 다른 상기 접속자(21)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상기 접점(19)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부(21a)를 형성하고, 그리고 접지용의 상기 접속자(22)가 삽입되는 상기 홈(50)들 중 하나의 바닥면의 깊이를 다른 상기 접속자(21)가 삽입되는 상기 홈의 바닥면(50)의 깊이보다도 얕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A contact portion (22a) protruding toward the ground plane (4) of the ink cartridge (1) is formed in a part of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and the ink is formed in the other connector (21). The contact portion 21a protruding toward the contact point 19 of the cartridge 1, and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of one of the grooves 50 into which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is inserted. An ink jet printer which is formed to be shallower than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50 of the groove into which the 21 is inserted. 제17항에 있어서, 접지용의 상기 접속자(22)의 일부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상기 접지면(4)쪽에 돌출하는 접촉부(22a)를 형성하고, 다른 상기 접속자(21)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상기 접점(19)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부(21a)를 형성하고, 그리고 접지용의 상기 접속자(22)가 삽입되는 상기 홈(5)들 중 하나의 바닥면의 깊이를 다른 상기 접속자(21)가 삽입되는 상기 홈의 바닥면(50)의 깊이보다도 얕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프린터.18. The contact portion (22a) protruding toward the ground plane (4) of the ink cartridge (1) in a part of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and the ink in the other connector (21). The contact portion 21a protruding toward the contact point 19 of the cartridge 1, and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of one of the grooves 5 into which the connector 22 for grounding is inserted. An ink jet printer which is formed to be shallower than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50 of the groove into which the 21 is inserted.
KR1019930008758A 1992-05-22 1993-05-21 Ink-jet printer KR9700076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30513 1992-05-22
JP13051392A JP2728828B2 (en) 1992-05-22 1992-05-22 Ink cartridge holding device
JP4153329A JP2834936B2 (en) 1992-06-12 1992-06-12 Ink cartridge holding device
JP92-153329 1992-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32B1 true KR970007632B1 (en) 1997-05-13

Family

ID=2646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758A KR970007632B1 (en) 1992-05-22 1993-05-21 Ink-jet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63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1220B1 (en) Exchangeable assembly of inkjet printer head and ink cartridge
US4734717A (en) Insertable, multi-array print/cartridge
US7252375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therefor
EP0622233B1 (en)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for a printer
US5706040A (en) Reliable contact pad arrangement on plastic print cartridge
US4736213A (en) Multiple print/cartridge ink jet printer having accurate vertical interpositioning
US5623293A (en) Contact electrode connector
US5598194A (en) Wiping structure for cleaning electrical contacts for a printer and ink cartridge
JP4006244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KR970007632B1 (en) Ink-jet printer
JP2834936B2 (en) Ink cartridge holding device
JP3307107B2 (en) Ink jet recording device
JP2670209B2 (en) Inkjet printer drive
JP2670209C (en)
JPH05318713A (en) Retainer for ink cartridge
JPH07144417A (en) Holding device for ink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