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05B1 -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505B1
KR970007505B1 KR1019920007466A KR920007466A KR970007505B1 KR 970007505 B1 KR970007505 B1 KR 970007505B1 KR 1019920007466 A KR1019920007466 A KR 1019920007466A KR 920007466 A KR920007466 A KR 920007466A KR 970007505 B1 KR970007505 B1 KR 97000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awing
voltage
temperature
microcomputer
thaw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684A (ko
Inventor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505B1/ko
Publication of KR93002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4Temperature balanc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제 2 도는 (a)(b)(c)는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공급부 2 : 전압감지부
3 : 해동히터 4 : 마이컴
5 : 트랜스 6 : 과전압방지용 퓨우즈
7 : 레귤레이터 8 : 감지부
9 : 신호제한기 10 : 전용팬
11 : 압축기 D1∼D5: 다이오드
R1∼R2: 저항 C1∼C3: 캐폐시터
본 발명은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전압범위를 마이컴이 체킹하고 그 체킹한 데이타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한 다음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해동동작을 제어하도록 됨으로써, 전압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해동히터의 발열량 변화에 따라 냉동식품의 상태가 변이되게 되는 일이 없도륵 됨은 물론 정격전압에 의해 해동히터가 동작됨으로 해동조건의 최적성도 향상되도록 된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동냉장고는 냉장실내에 일정공간으로 구분된 해동실이 구비되고 그 구분된 해동실에는 해동 히터와 전용팬 그리고 전용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해동 냉장고의 전원전압으로는 110V 혹은 220V의 전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사용자에 의해 해동실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이 해동냉장고의 일정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컴이 전용댐퍼를 동작시켜 해동실내로 순환되는 냉가를 차단시키게 되고 또한 해동히터를 동작시켜 해동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이와 동시에 전용팬을 동작시켜 해동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된다. 따라서 냉동식품이 순환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서서히 해동되게 된다.
그러나 상시와 같은 종래 해동냉장고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전압변동률이 클 경우 예컨대, 한국의 상용전압 V,의 전압분포를 갖게 됨으로 이러한 전압분포를 갖는 상용전압을 사용할 경우 상기 해동히터의 발열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해동히터에서 발생되는 발열량 Q는,
식(1)에 의해 적용되게 됨으로 과전압이 인가되거나 혹은 저전압이 인가될 경우는 발열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과전압이 인가될 경우 해동히터가 과열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과열된 열에 의하여 해동실내의 냉동식품이 탄화되거나 혹은 저전압이 인가될 경우 열이 제대로 방출되지 못하게 되어 해동실내의 냉동식품이 정상적으로 해동되지 못하게 됨으로 이로 인하여 냉동식품의 해동시간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그에 따라 전력소비도 증대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전압범위를 마이컴이 체킹하고 그 체킹한 데이타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한 다음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해동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됨으로써, 전압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해동히터의 발열량 변화에 따라 냉동식품의 상태가 변이되게 되는 일이 없도록 됨은 물론 정격전압에 의해 해동히터가 동작됨으로 해동조건의 최적성도 향상되도록 된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작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마이컴이 초기화되어 해동실의 현재온도를 체킹한 후 그 체킹한 온도데이터를 판단하여 소정온도 이하일 경우는 해동동작을 중지하고 소정온도 이상일 경우는 해동동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동동작의 진행에 의해 사용자가 냉동식품의 크기를 설정하게 되면 전압감지부를 통하여 현재 정격전압이 시스템에 인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의하여 감지된 전압을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 정격전압이면 해동동작을 계속 진행하며, 정격전압이 아닐 경우는 그 판단된 전압범위에 따라 해동동작 보정기능을 수행시키는 단계, 상기 해동동작 보정기능이 수행된 후 그 보정된 전압에 의해 해동히터를 동작시켜 해동동작을 수행 하도록 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해동냉장고의 제어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AC의 정원전압을 일정전압으로 강압한 다음 그 강압된 일정전압을 정류하여 정격전압 예컨대 5V의 정압으로 공급되도록 된 전원공급부(1), 이 전원공급부(1)로 부터 AC 전압을 검출하여 반파정류한 다음 그 정류된 검출전압을 전압분배작용에 따라 분압시키도록 된 전압감지부(2), 이 전압감지부(2)로부터 출력된 검출전압을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하여 해동히터(3)의 동작제어를 수행시키도록 된 마이컴(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1)에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을 일정비로 강압하도록 된 트랜스(5)의 1차측에 과전압방지용 퓨우즈(6)가 연결되어 있고, 트랜스(5)의 2차측에는 전파 정류하도록 된 다이오드(D1~D4)들이 휘이스토운 브리지회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오드(D1,D2)와 다이오드(D3∼D4)의 사이에는 캐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패시터(C1)의 일단에는 정격전압 예컨대 +5V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레귤레이터(7)의 입력측이 연결되어 있고, 이 레귤레이터(7)의 출력측에는 마이컴(4)의 Vcc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마이컴(4)의 Vcc 단에는 캐패시터(C2)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8)에는 정류용 다이오드(D5)의 앤노드단자가 상기 전원공급부(1)의 트랜스(5) 이차측에 연결되어 있고, 이 다이오드(D5)의 캐소오드단자에는 저항(R1)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저항(R1)의 또다른 단자에는 일정전압레벨, 예컨대 +5V 정도로 신호제한하도록 된 신호제한기(9)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R1)과 신호제한기(9)의 입력측 사이에는 캐폐시터(C3)와 저항(R2)이 병렬 연결되어 있고, 신호 제한기(9)의 출력측 단자에는 마이컴(4)의 port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패시터(C1∼C3)들과 저항(R2)의 일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마이컴(4)에는 해동히터(3)와 전용팬(10) 그리고 압축기(11)들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의 구성을 가진 장치로 실현되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작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장고 시스템의 전원스위치(도시안됨)을 온(on)시키면 압축기 (11)등이 동작되어 냉각사이클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전원전압은 전원공급부(1)의 트랜스(5) 일차측에 입력되게된다. 그리고 이 트랜스(5)에서 상기 전원전압을 일정 권수비에 의해 강압시킨 다음 그 강압된 전압을 다이오드들(D1∼D4)과 전압감지부(2)의 다이오드(D5)에 입력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다이오드(D1∼D4)에 의해 정류된 다음 그 정류된 전압이 레귤레이터(7)에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류전압은 캐폐시터(C1)에 의해 평활되게 된다.
한편, 입력된 정류전압을 레귤레이터(7)에서 정격전압범위 즉, 5V로 증폭된 다음 그 증폭된 정격전압은 마이컴(4)의 Vcc단에 인가된다. 또한 마이컴(4)이 상기 동작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초기화되어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냉장고 시스템의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마이컴(4)이 해동실(도시안됨) 주변에 적절히 설치된 온도센서(도시안됨)로 부터 그 체킹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해동실의 현재온도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된 결과 해동실내의 현재온도가 10℃ 이하이면 해동동작을 중지한다. 즉, 해동히터(3)라든가 전용팬(10)의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그러나 그 판단된 결과 해동실의 현재온도가 10℃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마이컴(4)이 디스플레이보드(도시안됨)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동실(도시안됨)에 넣어진 냉동식품의 부피가 큰 크기(H)의 것인지 아니면 중간크기(M) 의 것인지 혹은 작은 크기(L)의 것인지를 설정해 주도록 요구한다. 또한 사용자가 냉동식품의 크기를 키보드(도시안됨)를 통해 설정하면 마이컴(4)은 이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각 처리루틴을 수행시키게 된다. 예컨대, 냉동식품의 크기가 중간(M) 크기로 설정되었다면 마이컴(4)이 전압감지부(2)를 통하여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으로 입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강압된 AC 전압이 전원공급부 (1)의 트랜스(5) 이차측으로부터 전압감지부(2) 다이오드(D5)의 앤노드단에 인가되게 되고 이 다이오드(D5)에서 입력된 AC 전압을 정류한 다음 저항(R1)을 거쳐 신호제한기(9)의 입력단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류전압은 저항(R1)과 저항(R2)에 의해 분압되게 되어 신호제한기(9)에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 신호제한기(9)에서 입력된 감지전압을 일정레벨 예컨대 5V 이하로 신호제한 한 다음 그 신호제한된 감지전압을 마이컴(4)의 port단으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마이컴(4)에서 이 입력된 감지전압이 정격전압인지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 정격전압일 경우는 해동동작 즉 해동히터(3)와 전용팬(10)을 동작시켜 냉동식품은 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그 판단된 결과 과전압일 경우는 마이컴(4)이 과전압의 해동동작 보정기능 예컨대 해동히터(3)의 발열온도를 감소시키거나 해동히터(3)의 동작전압을 제한하도록 하여 해동히터(3)의 발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으로 해동조건을 개선시킨 다음 해동동작 즉 해동히터(3)와 전용팬(10)을 동작시켜 냉동식품의 해동을 시작한다. 또한 마이컴(4)이 판단한 결과 저전압일 경우는 마이컴(4)이 저전압의 해동동작 보정기능 예컨대 해동히터(3)의 발열온도를 증가시키거나 해동히터(3)의 동작전압을 정격전압으로 증폭하도록 하여 해동히터(3)의 발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으로 해동조건을 개선시킨 다음 해동동작 즉 해동히터(3)와 전용팬(10)을 동작시켜 냉동식품의 해동을 시작한다.
한편, 상기 해동히터(3)가 해동동작을 시작한 후 10분이 경과되었는지를 마이컴(4)이 내부 타이머(도시안됨)를 이용하여 계속 체킹,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한 결과 10분이 경과되었을 경우는 해동실내의 온도센서 로부터 해동실내의 온도가 25℃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 판단된 결과 해동실내의 온도가 25℃에 도달되었을 경우는 마이컴(4)이 해동히터(3)를 off시키고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해동히터(3)가 off된지 5분이 경과되었는지를 계속 체킹, 판단한다. 또한 마이컴(4)이 판단한 결과 해동히터(3)가 off된지 5분이 경과하였을 경우는 다시 해동히터(3)을 on시키고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해동동작의 총 소요시간이 40분을 경과하였는지 계속 체킹, 판단한다.
그리고 마이컴(4)이 판단한 결과 해동동작의 총 소요시간이 40분을 경과하였을 경우는 해동동작을 중지하고 벨을 울려 사용자에게 중간크기 냉동식품의 해동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경보한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냉동식품의 크기를 중간크기(M)로 설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냉동식품의 크기가 큰크기(H)일 경우는루프로, 작은 크기(L)일 경우는루프로 마이컴(4)이 동작제어하도록 하여 그 제어조건에만 차이가 있을뿐 상기 중간크기(M)와 같은 단계로 해동동작을 수행시키도록 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전압범위를 마이컴이 체킹하고 그 체킹한 데이터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한 다음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냉동식품의 상태가 변이되게 되는 일이 없도록 됨은 물론 정격전압에 의해 해동히터가 동작됨으로 해동조건의 최적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동작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마이컴이 초기화되어 해동실의 현재온도를 체킹한 후 그 체킹한 온도데이터를 판단하여 소정온도 이하일 경우는 해동을 중지하고 소정온도 이상일 경우는 해동동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동동작의 진행시 사용자가 냉동식품의 크기를 설정하게 되면 전압감지부를 통하여 현재 정격전압이 시스템에 인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의하여 감지된 전압을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 정격전압이면 해동동작을 계속 진행하며 정격전압이 아닐 경우는 그 판단된 전압범위에 따라 해동동작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해동동작 보정기능이 수행된 후 그 보정된 전압에 의해 해동히터를 동작시켜 해동동작을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동작 보정단계가 마이컴에 의해 입력전원 전압을 판단하여 전원전압이 고전압일 경우 고전압 해동동작 보정기능을 수행하고, 저전압일 경우 저전압 해동동작 보정기능을 수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9920007466A 1992-05-01 1992-05-01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KR97000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7466A KR970007505B1 (ko) 1992-05-01 1992-05-01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7466A KR970007505B1 (ko) 1992-05-01 1992-05-01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84A KR930023684A (ko) 1993-12-21
KR970007505B1 true KR970007505B1 (ko) 1997-05-09

Family

ID=1933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466A KR970007505B1 (ko) 1992-05-01 1992-05-01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5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84A (ko) 199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602A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heater with external heat source
US8309894B2 (en) Triac control of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heaters in room air conditioners
KR101154585B1 (ko) 전력 제어용 개루프 제어 방법 및 장치
US4514989A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protecting an electric motor driven compressor in a refrigeration system
EP0268329B1 (en) Microwave oven
EP3447896A1 (en) Motor control systems
US3939666A (en) Stile and mullion heater control
US20100132385A1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440412A (zh) 一种压缩机电加热带的控制方法、控制系统与空调器
US4735058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850670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970007505B1 (ko) 해동냉장고의 제어방법
CN113776230A (zh) 一种天然气制热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及其系统
AU747039B2 (en) Apparatus for regulating length of compressor cycles
JPH09264590A (ja) 空気調和機
KR90000650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100364776B1 (ko) 냉장고
KR100509017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파워소자보호방법
KR970001280B1 (ko)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0565572B1 (ko) 냉장고
KR100339355B1 (ko) 냉장고
KR100264884B1 (ko) 김치저장고의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KR100379458B1 (ko) 냉장고
JPH0217787B2 (ko)
KR0133017B1 (ko) 히터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