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01Y1 -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01Y1
KR970006101Y1 KR2019940013672U KR19940013672U KR970006101Y1 KR 970006101 Y1 KR970006101 Y1 KR 970006101Y1 KR 2019940013672 U KR2019940013672 U KR 2019940013672U KR 19940013672 U KR19940013672 U KR 19940013672U KR 970006101 Y1 KR970006101 Y1 KR 970006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pipe
waste incinerator
wat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563U (ko
Inventor
최재희
Original Assignee
동아건설산업 주식회사
유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건설산업 주식회사, 유성용 filed Critical 동아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3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101Y1/ko
Publication of KR960000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01Y1/ko

Links

Landscapes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는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연돌파이프10 : 외통
13 : 연소가스하강안내관20 : 내통
21 : 공급수관22 : 노즐
A : 폐기물소각기B : 집수실
C : 집진기
본 고안은 폐기물 소각기에서 배출되는 연기에 섞여 있는 가스와 그으름 등을 통과시켜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전에 물을 비산시켜 연기에 섞여있는 유독가스와 그으름 및 분진 중금속등을 제거시켜 깨끗한 연기만 대기중으로 배출되게 한 폐기물 소각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유사한 종래의 폐기물소각기로는 본출원인의 선고안(실용신안출원제93-9978호)가 알려져 있으며 폐기물을 동력없이 소각하는데 탁월한 성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의 폐기물소각기는 본체의 벽면이 콘크리트 메쉬의 재료로 형성되어 벽면을 통해 외부 공기가 소각기 내부로 유입되므로서 별도로 산소를 공급한다거나 보조연료를 사용함이 없이 연소실에서 원활하게 연소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소각기내에 폐지 종류등을 연소할시에는 그으름이나 유독가스가 그의 발생하지 않고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그러나 생활폐기물인 P.P수지용 음료수병이나 스티로폴 가죽찌꺼기 등을 투여하면 유독가스와 함께 그으름이 많이 발생한다.
이 그으름과 유독가스를 제거하기 위해서 폐기물소각기의 본체와 결합하는 연통부분에 가열망을 설치한 분진 포집실로 정화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그으름이 많이 발생하고 화력이 높아지면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가열망이 쉽게 막혀 과열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폐기물소각기가 위험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소각기의 배출연통에 집수조와 집진기를 장치하여 폐기물소각기에서 배출되는 유독가스나 중금속물질 그으름등이 집수조를 지나 집진기에 유입되어 중앙의 내통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내통하단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급수에 의해 그으름이나 유독가스, 분진등이 제거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기물소각기(A)에 있어서 상단의 연통부(1)에는 연관(2)을 설치한 집수실(B)을 연접하고 집수실(B)배출측에는 집진기(C)를 결합하여 된 것이다.
폐기물소각기(A)상단의 연통부(1)에 고정되는 집수실(B)은 내면에 연관(2)를 다수횡설하고 차단막(3)으로 차단하여 수실(4)을 형성함에 있어 폐기물소각기(A)측의 유입연통관(5)의 구경은 집진기(C)측의 배출 연통관(6)의 구경보다 큰것을 설치한다.
이렇게 구경이 다르게 한 것은 집진기(C)측으로 흡인력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집진기(C)는 배출연통관(6)과 결합되는 외통(10)하단에 집수조(30)를 만들고 외통(10)에는 연통(40)과 플랜지 결합하는 내통(20)을 장치한다.
이 내통(20)의 하선단에는 공급수관(21)을 설치하여 경사각이 형성되게 노즐(22)을 다수 고정한후 집수조(30)에 설치되는 모우터펌프(50)와 파이프(51)로 연결시킨다.
제2도와 같이 공급수관(21)에 설치된 노즐(22)을 경사각으로 형성시켜 고정한 것은 공급수의 분사시 와류현상을 일으켜 연통(40)으로 배출될려는 연기속의 유독가스나, 그으름, 분진, 중금속등을 집수조(30)로 떨어지게 함과 더불어 집진기(C)상부에 들어온 연소가스를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으로 흡입유도하여 원활하게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
집진기(C)의 외통(10)과 내통(20) 사이에는 상.하 차단편(11)(12)을 설치후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을 원주방향으로 이의 상.하 차단편(11)(12)에 관통되게 고정한다.
외통(10)과 내통(20)이 결합되는 상단부위에는 중공 링형에 있어서 수개의 곳에 청소용분사노즐(60)을 고정하여 집수조(30)로부터 모우터펌프(50)로 물을 공급수관(51)(52)를 통해 이의 분사노즐(60)로 분사시킨다.
이 수개의 청소용 분사노즐(60)은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의 그으름등을 청소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또 집수실(B)의 수실(4)과 공급되는 물은 별도의 파이프(70)를 설치하여 수도배관과 연결하여서 필요시에 물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집수실(B)의 수실(4)과 집진기(C)의 내통(20)상단에 분사구(7)가 설치된 배관(7a)으로 집수실(B)에서 데워진 과열증기를 내통(20)으로 비산시켜 준다.
안전밸브(7b)는 집수실(B)과 집진기(C)를 연결한 배관(7a)중에 설치한다.
집진기(C)하단의 집수기(30)에는 배수밸브(31)와 급수밸브(32)를 설치하며 이 배수밸브(31)는 집수조(30)에 잔류물이 쌓이게 되면 배수밸브(31)를 열어 배수로(33)를 통해 정수조로 모아 다시 폐수를 정화시킨다. 이 정수조는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기물소각기(A)내에 소각물을 투입하여 접화시킨다.
그러면 폐기물소각기(A)내에서 폐기물이 소각되기 시작하면서 발생하는 그으름, 분진과 더불어 소각물질에 따라 발생되는 유독가스, 중금속물질등이 연기에 뒤섞여 상측의 연통부(1)로 유입된다.
연통부(1)에 유입된 그으름, 분진, 유독가스등은 집수실(B)내의 연관(2)으로 쉽게 유입된다.
그 이유는 집수실(B)의 입구측 유입연통관(5)의 구경이 배출연통관(6)의 구경보다 클뿐아니라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져 흡인력을 높게 하여 주어 많은량의 그으름 분진. 유독가스가 흡입된다.
이때 폐기물소각기(A)가 과열되어 불꽃이 집수실(B)에 도달하면 집수실(B)의 수실(4)내부의 물이 열을 흡수하여 불꽃은 소화되어 연기로 변하고 물은 온수화된다.
이와 같이 불꽃이 연관(2)을 통하여 연소되면서 배출연통관(6)을 통해 집진기(C)로 유입된다.
이렇게 집진기(C) 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연기는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을 통해 집진기(C) 아래로 유입됨과 동시에 내통(20) 측으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무게가 무거운 중금속이나 그으름등은 1차로 하단의 집수조(30)로 곧바로 떨어져 회수된다. 그리고 나머지의 가스와 그으름 및 연기가 내통(20)으로 유입되고 동시에 집진기(C)하단의 집수조(30)에서 모우터펌프(50)로 공급하는 공급수를 공급수관(21)의 노즐(22)을 통해 분사시키므로서 2차로 분진 및 가스를 제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분사되는 공급수는 노즐(22)이 공급수관(21)에서 제2도와 같이 경사각을 형성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해서 와류현상을 일으키며 상승되어지다 내통(20) 상단부위에 올라 갈수록 와류 현상이 약화되어짐과 아울러 비산된 공급수와 함께 유독가스 그으름 중금속등이 뒤섞이게 된다.
이과정에서 연기에 섞여 배출될려는 유독가스나 그으름 중금속등이 비산되는 공급수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집수조(30)에 모여지게 된다.
여기서 다시 상승할려는 연기는 집수실(B)에서 내통(20)으로 공급되는 온수가 분사구(7)를 통해 습증기화된 상태로 분사되어 3차로 유독가스를 중화시켜줌과 아울러 그으름을 다시 제거시켜주어 유독가스와 그으름이 거의 제거된 상태에서 무취무색의 순수한 연기만 배출된다.
이와같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에는 필연적으로 그으름이 묻게 되어 오랫동안 사용하면 배기가 잘되지 않고 막힐 염려가 있다.
이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폐기물소각기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집진기(C)도 사용되지 않음으로 이때는 주기적으로 연소가스 안내관(13)의 그으름을 모우터펌프를 가동하여 수개의 분사노즐로 분사하여 청소하여 준다.
이렇게 청소하려고 할때는 먼저 모우터펌프(50)에서 공급수관(21)으로 연결한 파이프(51)측에 설치된 차단밸브(54)를 잠근후 일측의 파이프(51)와 함께 설치된 상단파이프(52)의 배수밸브(53)를 열여준다.
그러면 내통(20)상단의 청소용 분사노즐(60)을 통해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아래로 분사시켜주어 내측면에 뭍어 있는 그으름을 씻어 아래의 집수조(30)로 씻어내려 준다.
이렇게 씻어내어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내부가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면 연기의 흐름은 다시 원활하게 된다.
이와같이 사용하다 집수조(30)에 그으름이나 중금속등이 침전되어 찌꺼기가 발생하면 하단의 배수밸브(31)를 열어 배수조(33)를 통해 일측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정화시설로 유입시켜 정화처리토록 한다.
그런후 집수조(30)에는 급수밸브(32)를 통해 일정한량의 물을 채워두어 집진기(C)의 사용시 다시 공급수로 사용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동력없이 사용하는 폐기물소각기에서 발생하는 그으름이나 유독가스, 중금속등을 처리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오염을 극소화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폐기물 소각기를 결합하는 연통부에 중.소규모의 생산공장 현장의 연통에 직접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매연 정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인 것이다.

Claims (4)

  1. 폐기물소각기(A)의 상단 연통부(1)에 연관(2)를 횡설한 집수실(B)를 연결설치하고, 집수실(B)배출측에는 연통(40)과 연결한 내통(20)이 설치된 집진기(C)를 결합하여 되는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집진기(C)를 내통(20)과 외통(10)을 결합하면서, 내통(20)과 외통(10)사이 공간부에 연소가스하강안내관(13)을 다수 세로로 설치하여 집수실(B)을 통과한 연기가 집진기(C)의 아래로 유입되게 하는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집진기(C)의 내통(20)하선단에 공급수관(21)을 설치하며 이에 경사각으로 노즐(22)을 수개고정하여 공급수가 와류 현상을 일으키며 분사되도록하는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폐기물소각기(A)의 상단 연통부(1)에 연결설치되는 집수실(B)내에 연관(2)을 횡설하고 그 사이 공간에 수실(4)을 형성하여 배관(7a)과 배출연통관(6)을 집진기(C)로 연관하도록 하는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KR2019940013672U 1994-06-13 1994-06-13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KR970006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672U KR970006101Y1 (ko) 1994-06-13 1994-06-13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672U KR970006101Y1 (ko) 1994-06-13 1994-06-13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63U KR960000563U (ko) 1996-01-17
KR970006101Y1 true KR970006101Y1 (ko) 1997-06-19

Family

ID=1938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672U KR970006101Y1 (ko) 1994-06-13 1994-06-13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1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180A (ko) * 2000-12-08 2002-06-19 김태용 열분해식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63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985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970006101Y1 (ko) 폐기물소각기의 집진장치
US6453829B1 (en) Incinerator assembly having waste smoke treating device
KR100299675B1 (ko) 열매체보일러
KR100462525B1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200371234Y1 (ko) 소각보일러의 배기가스 재 연소장치
KR102136530B1 (ko) 매연정화장치
KR200157672Y1 (ko) 소각기
WO2001014795A1 (en) Gas reforming combustional incinerator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00704176B1 (ko) 재연소 소각보일러
CA2234264A1 (en) E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JPH10185135A (ja) 塩化水素とダイオキシン類を発生する難燃性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焼却処理法並びに焼却炉
KR200324846Y1 (ko) 매연 방지형 소각보일러
CN202532495U (zh) 包括有烟气处理装置的焚化炉
KR0160064B1 (ko) 소각장치
KR200268314Y1 (ko) 연소로의 폐가스 정화 및 온수 공급기능을 동시에 갖는열회수장치
KR950009071A (ko)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의 소각장치(燒却裝置)
KR200241215Y1 (ko) 농업용 폐비닐을 소각하여 열풍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
KR100279908B1 (ko) 소각장치
KR101804883B1 (ko) 폐기물 소각로시스템
CN2370284Y (zh) 改进的焚烧炉
KR200213577Y1 (ko) 쓰레기 소각로
KR960009442Y1 (ko) 폐유용 난로
KR200263272Y1 (ko)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