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75B1 -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 Google Patents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75B1
KR970005875B1 KR1019930029511A KR930029511A KR970005875B1 KR 970005875 B1 KR970005875 B1 KR 970005875B1 KR 1019930029511 A KR1019930029511 A KR 1019930029511A KR 930029511 A KR930029511 A KR 930029511A KR 970005875 B1 KR970005875 B1 KR 97000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ement
paper sludge
weight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772A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한솔제지 주식회사
구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제지 주식회사, 구형우 filed Critical 한솔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875B1/ko
Publication of KR95000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C04B18/243Waste from paper processing or recycling paper, e.g. de-inking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3Crack resista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제1도는 메탈래스를 갖는 비교예 2에 따른 시공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실시예 7~14에 따른 시공 단면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제지공정중에서 발생되는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및 제지슬러지를 사용하여 기존 콘크리트의 단점인 단열, 경량 및 방음성를 개선함과 동시에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균열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현재 제지슬러지는 환경오염 문제가 전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그 처리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 거의 대부분의 제지회사는 이들 제지슬러지의 안전하고 확실한 재활용처를 찾지 못하고 이를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소극적인 방법으로 제지슬러지를 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콘크리크는 시멘트, 골재(모래·자갈) 및 첨가제를 적당량의 물과 혼합하여 자연 양생시켜서 만든다, 여기서 언급한 골재나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콘크리트 시공시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첨가되는 물질로는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강제, 양생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지연제 및 촉진제,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한 유동화제, 그리고 단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발포제(유기성·무기성)나 포움제품,시공원가를 줄이기 위해 플라이애쉬 등이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첨가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들은 균열현상이 일어나며, 단열 및 흡음효과가 나쁘며, 콘크리트 구성요소들의 높은 비중에 기인되어 경량성이 떨어지고, 결로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시멘트와 발포제를 사용한 기포콘크리트나, 시멘트(또는 플라이애쉬)와 함께 스티로폴을 사용한 폴콘크리트, 자갈을 사용하지 않고 모래와 시멘트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통미장이나 벽체미장 및 시멘트와 함께 환합하여 사용하는 골재인 모래나 자갈의 혼합 비율이 적은 콘크리트에서 균열 현상이 심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에선 금속망이나 금속섬유, 아크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등의 고분자 섬유를 균열방지제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 섬유는 분산성이 나쁘고 가격이 비싸며 균열방지 효과가 미약하여 근본적인 균열에 대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일반적인 콘크리트는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의 특성상 단열 및 흡음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구조물의 주성분인 시멘트, 모래 및 자갈 등은 비중이 높아서 구조물에 많은 하중을 주기 때문에 고층건물을 시공시 많은 단점이 있다. 일례로 포틀랜드 시멘트의 비중은 대개 3.15 정도이며, 모래의 비중은 2.56 정도로 매우 높다.
이와같은 콘크리트 균열현상은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인 요인에 기인되어 일어나지만, 가장 큰 요인은 건조수축 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는 양생 도중에 대기와 노출된 면으로 모세관 현상을 통해서 구조물 내부의 수분이 증발한다. 이때 대기와 노출된 면은 내부에 비해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수축 현상이 빨리 일어난다. 이러한 노출면의 빠른 수축은 건조가 덜 일어난 내부 콘크리트의 반발로 인해서 표면에 인장응력을 받게 된다.
이때 구조물의 표면에 있는 콘크리트 결정 구조간의 결합에너지가 이러한 인장응력을 능가하지 못하면 콘크리트는 균열핵을 생성하게 되며, 이 핵으로 인해 균열현상이 점점 전파되어서 균열부위가 확대되어 나간다. 특히 이러한 균열현상은 건조가 급격히 일어나는 하절기나 태양광선에 노출이 심한 부위에서 심하게 일어난다.
발명이 해결하려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균열현상을 방지하고, 경량, 단열, 방음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시공원가를 줄이기 위해서 제지공정 중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선 이러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중, 제지슬러지가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기존 콘크리트이 물성을 개선시키며, 시공원가를 줄일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제지슬러지를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사용하여 균열방지, 경량성, 단열성, 방음성을 지닌 우수한 콘크리트를 제공하고, 둘째 폐기물인 제지슬러지를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재활용하므로써 천연자원을 절약하고, 매립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방지하고, 매립 비용을 절약하는 제지슬러지의 재활용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지슬러지를 경량, 방음, 단열성을 가지는 균열방지제로 콘크리트에 사용할 때 적용이 가능한 분야로는 기포콘크리트 등의 바닥 단열재 분야. 방통미장과 백체미장 등의 모르타르 첨가제 및 기타 콘크리트 첨가제로의 적용분야가 다양하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이러한 경량, 단열, 흡음성을 가지면서 균열방지 효과를 지닌 제지슬러지를 시멘트 콘크리트의 시공시 첨가제로 사용했을 때, 기존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시멘트와 제지슬러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지슬러지는 수분함량을 바람직하게는 0.10~99.9 중량 %로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제지슬러지를 건조기 및 해리(또는 분쇄)기를 통하여 건조·해리(또는 분쇄)하여 시멘트에 미리 혼합한 레미탈 형태로 만들어서 시공시 작업효율을 높이고, 균일한 배합비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적용된 제지슬러지의 물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금속섬유나 고분자섬유등을 첨가시켜서 제지슬러지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제지슬러지를 건조기 및 해리(또는 분쇄)기를 통하여 건조·해리(또는 분쇄)한 것과 이들 금속섬유나 고분자 섬유 및 시멘트를 미리 혼합하여 레미탈 형태로 만들어서 시공시 작업효율을 높이고, 균일한 배합비를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시멘트 콘크리트에 사용되어지는 제지슬러지는 회분함량이 0.1~99.5 중량%, 유기물 및 목재섬유분이 0.5~9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지슬러지는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건조무게비로 0.01~30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지슬러지의 무게비가 0.01 중량% 미만이면 제지슬러지 첨가의 목적인 균열방지, 경량성, 단열성, 흡음성 등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무게비가 300 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제지슬러지는 콘크리트의 균열방지제, 단열재, 흡음제, 경량효과 증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지슬러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현상을 방지하고, 단열성 및 흡음성을 개선하며 구조물의 경량화를 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물성을 우수하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는 골재인 모래나 자갈, 단열재, 발포재, 보강재(금속, 무기물, 유기물, 고분자 섬유 등), 유동화재, 지연제, 양생을 촉진하기 위한 촉진제, 장기간 보존을 위한 방부제, 방향제, 제지슬러지의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제거제,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플라이애쉬 등의 무기충진제 등을 필요에 따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지슬러지를 분쇄, 해리 건조시켜 함수율이 0.01~30 중량%로 만든 것과 시멘트를 미리 혼합하여 레미탈로 만들어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금속섬유, 고분자 섬유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멘트와 제지슬러지를 포함하는 모르타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지슬러지를 콘크리트 균열방지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시멘트와 제지슬러지를 이용하여 균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통용 콘크리트 용도를 제공한다.
작용
본 발명에선 이러한 균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지공정중 보류되지 않고 떨어져 나온 무기물을 포함한 미세한 목재섬유로 구성된 제지슬러지를 콘크리트의 균열방지제로 사용하였다.
제지슬러지의 주성분인 미세한 목재섬유는 극성기인 수산기를 가지는 셀룰로오즈 구조로 되어 있어서, 물분자나 극성기를 가진 분자와의 친화력이 강하기 때문에 대기중에 노출되더라도 장시간 동안 물분자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성은 시멘트 콘크리트가 양생시 일어나는 결정수 및 결정내의 수산기 형성에 필요한 수분을 장기간 공급하여 결정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목재섬유는 시멘트 콘크리트내에서 가교결합을 하고 있으며, 셀룰로오즈 구조내의 수산기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정에 존재하는 수산기 및 물 분자와의 수고결합 및 콘크리트 구조와 셀룰로오즈 구조간에 반델바알스 결합을 유발함으로써 구조물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수소결합과 반델바알스 결합은 콘크리트 구조간의 인력을 증대시켜서 시멘트 콘크리트의 최대 단점인 균열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재섬유의 유연성은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급격한 열 변화나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하여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지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목재섬유는 비중이 가볍고 단열효과가 좋으며 섬유 구조내의 미세한 기공으로 인한 우수한 흡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균열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콘크리트에 제지슬러지를 적용한 것을 비교해서 제지슬러지가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경량성, 열전도율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다음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실시예 6에서는 기포콘크리트에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것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사용한 기포제는 동물성 단백질과 황화제일철 주성분으로 하는 경일기포(주)의 A-MIX 기포제를 사용하였으며, 시멘트는 포오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제지슬러지는 수분 향량이 60 중량%이며, 회분 함량이 40 중량%인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시멘트 : 320kg
A-MIX 기포제 : 1kg
물 : 192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1
시멘트 : 280kg
제지슬러지 : 20kg
A-MIX 기포제 : 1kg
물 : 87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2
시멘트 : 240kg
제지슬러지 : 40kg
A-MIX 기포제 : 1kg
물 : 182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3
시멘트 : 200kg
제지슬러지 : 60kg
A-MIX 기포제 : 1kg
물 : 177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4
시멘트 : 160kg
제지슬러지 : 80kg
A-MIX 기포제 : 1kg
물 : 172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5
시멘트 : 120kg
제지슬러지 : 100kg
A-MIX 기포제 : 1kg
물 : 167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6
시멘트 : 80kg
제지슬러지 : 120kg
A-MIX 기포제 : 1kg
물 : 162kg
를 혼합비로 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아파트의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시공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비교예 2 및 실시예 7~ 실시예 14에서는 방통용 콘크리트에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것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사용한 재료중 시멘트는 보통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모래는 한강 미사리의 자연산인 8mm이하의 중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3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제1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균열방지용 메탈 래스(Mea시-Lath)를 그 위에 설치한 후,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7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0.1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8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0.2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9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0.3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10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0.4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11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0.6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12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0.8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13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1.0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실시예 14
시멘트 : 1 중량비
모래(중사) : 3 중량비
제지슬러지(함수율 60%) : 2.0 중량비
의 혼합비에 물을 가하여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슬럼프 값을 15cm로 조정하여, 비교예 2와는 다른 방법인 제2도와 같이 8cm 두께의 단열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보일러관을 깔고 그 위에 시공하였다.
상기한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를 300cm×300Cm×10cm의 크기로 시공하여 35일 동안 양생시키면서 균열현상을 관찰하였다.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의 혼합시료를 KS F 2403 및 KS F 2404에 준하여 지름 10cm ×높이 20cm의 강철 몰드에 넣어서 공시체를 제작 하였으며, 방통용 콘크리트의 양생방법은 가능한 한 방통시공과 같은 조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기중에서 양생시켰다.
그리고 경량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슬럼프 값 15cm의 양생되기 전의 콘크리트에 관한 생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단열효과를 보기 위하여 30cm×30cm×5cm의 물드에서 상기 시료를 28일간 양생시킨 후, 건조시켜서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된 기포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구조물은 35일 동안의 자연양생 후 균열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났지만,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실시예 1~6의 경우는 30일간의 자연양생 후 균열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표면성도 양호했다.
그리고 비교예 1 및 실시예 1~6의 구조물에 대한 열전도율, 비중, 압축강도는 아래(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물성값
상기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존의 콘크리트 보다 단열성이 좋고 경량성임을 알수 있고, 제지슬러지의 함량이 증가시 단열성이 좋고 경량화 되는 반면에 압축 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의 비교예 2 및 실시예 7~14에 따라 제조된 방통용 콘크리트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는 35일 동안의 자연 양생시킨 후 균열현상을 관찰할 결과 균열방지 효과를 주기 위해 메탈래스(Metal Lath)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모서리 부분과 파이프가 모이는 부분등에서 현저하게 균열이 일어났지만, 메탈 레스(Metal Lath)를 사용하지 않고 제지슬러지만을 첨가제로 사용한 실시예 7~14의 경우는 35일간의 자연 양생 후에도 균열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표면성도 매우 양호했다.
그리고 비교예 2 및 실시예 7~14의 콘크리트에 대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밀도(생밀도), 열전도율 및 압축강도에 대한 결과는 아래(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물성값
상기의(표 2)에 나타난 결과는 (표1)에 나타난 결과와 마찬가지로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콘크리트는 기존의 콘크리트 보다 경량성 및 단열성이 좋은 반면에 제지슬러지의 함량을 증가시에는 압축 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비교예 1~2 및 실시예 1~14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사용된 제지슬러지는 슬러지 내의 목재섬유가 콘크리트 내에서 콘크리트와 가교결합을 형성함에 기인되어서 균열방지 효과가 뛰어나고, 미세한 목재섬유와 무기물로 구성된 제지슬러지가 수용액 상태에서 쉽게 해리함에 기인되어서 표면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를 제공함을 알수 있다.
그리고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콘크리트는 목재섬유의 뛰어난 단열성(0.032 kcal/㎡h℃) 및 경량성(0.04 g/㎤)에 기인되어 기존의 콘크리트 보다 단열성이 좋고 가벼운 특성을 지님을 알수 있다.
그리고 제지슬러지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단열성이 좋고 경량화되는 반면에 목재섬유 자체의 유연성 때문에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압축강도가 규정치 이상되게 제지슬러지 사용량을 조절하므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강도를 중요시 여기지는 않지만, 균열방지,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를 중시하는 기포콘크리트 등의 바닥단열부분, 벽체 및 천장미장이나 벽이나 천장 등의 뿜칠용 모르타르에 첨가제로 사용한다면 첨가량을 좀더 증가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만일 압축강도가 중요시 되는 부위에 제지슬러지를 작용시에는 여러 가지의 유·무기물 보강제를 첨가하면 제지슬러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특히 고분자섬유나 금속섬유를 제지슬러지와 혼용하여 사용하면 이들의 단점을 서로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제지슬러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할 결우 가장 큰 효과는 첫째 제지 공정중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제지슬러지를 건조 공정 등의 다른 가공을 거치지 않고 간단한 분쇄(또는 해리)공정을 통해서 바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직접 적용시키는 방법은 제지슬러지가 다른 소재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가질수 있게 해 준다.
그리고 건조 및 분쇄(또는 해리)공정을 거친 제지슬러지는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시멘트와 미리 배합하여서 레미탈 형태로 제품화 하면 작업성 능률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시공시 균일한 배합비를 유도하여 콘크리트의 균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효과로는 제지슬러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첨가제로 사용하면 시멘트나 골재를 일부분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시 경비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세번째 효과로는 물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제지슬러지를 첨가제로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성에 있어서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를 가진다.
제지슬러지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기존의 구조물이 가지는 최대의 단점인 균열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 및 흡음 효과가 증대되며, 구조물이 경량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제지슬러지의 적용 분야는 골재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전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시멘트와, 모래 및 또는 자갈을 포함하는 방통 콘크리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균열방지제로서 분쇄·해리한 제지슬러지를 건조 무게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중량부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통 콘트리트용 조성물.
  2. 제1항에있어서, 상기한 콘크리트용 조성물은 상기한 제지슬러지를 분쇄·해리·건조시켜서 함수율이 0.01~30중량%로 만든 것과 시멘트를 미리 혼합하여 레미탈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통 콘트리트용 조성물.
  3. 시멘트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균열방지제로서 분쇄·해리한 제지슬러지를 건조 무게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중량부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통 콘트리트용 조성물.
KR1019930029511A 1993-08-19 1993-12-24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KR97000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511A KR970005875B1 (ko) 1993-08-19 1993-12-24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247U KR950005695U (ko) 1993-08-19 1993-08-19 우유병과 결합되는 꼭지
KR93-16247 1993-08-20
KR1019930029511A KR970005875B1 (ko) 1993-08-19 1993-12-24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72A KR950005772A (ko) 1995-03-20
KR970005875B1 true KR970005875B1 (ko) 1997-04-21

Family

ID=60821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247U KR950005695U (ko) 1993-08-19 1993-08-19 우유병과 결합되는 꼭지
KR1019930029511A KR970005875B1 (ko) 1993-08-19 1993-12-24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247U KR950005695U (ko) 1993-08-19 1993-08-19 우유병과 결합되는 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5000569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96B1 (ko) * 2009-07-09 2010-02-18 장현진 제지애시를 이용한 다기능성 결합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72A (ko) 1995-03-20
KR950005695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rayanan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aerated concrete: a review
Marthong Sawdust ash (SDA) as partial replacement of cement
EP2870117B1 (en) Lightweight concrete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Madrid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sawdust and lime-mud concrete masonry units
KR100921164B1 (ko) 내력 벽면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yousef et al. Experimental study of new insulation lightweight concrete block floor based on perlite aggregate, natural sand, and sand obtained from marble waste
Dakwale et al.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 using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Wongkvanklom et al. Strength, thermal conductivity and sound absorption of cellular lightweight high calcium fly ash geopolymer concrete.
KR970005875B1 (ko)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균열방지제
CN109437802B (zh) 一种硫铝酸盐水泥装配式一体化内墙及其制备方法
Mulgund et al. Light weight concrete
KR19980019861A (ko) 분사식 무기질 흡음·내화피복재
Wang et al. Investigation of the adaptability of paper sludge with wood fiber in cement-based insulation mortar
KR100516758B1 (ko) 고강도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Cheng et al. Thermal and Waterproof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with Nano SiO 2 Aerogel and Organosilicon Waterproofing Agent
Hussein et al. Steel fiber addition in eco-friendly zero-cement concrete: proportions and properties
Kapush et al. The Use of Chrysotile Asbestos in Concrete to Solve Economic Problems of Transport Infrastructure
Dhavale et al. Cellular Light Weight Concrete using Glass Fiber
CN106284825A (zh) 一种轻质自保温墙材及其制造方法
Sharma et al. Reuse of natural material for making light weight concrete
Jaafar et al. Investigating the Ability of producing Sustainable Blocks using Recycled Waste
Cojocaru et al. Perlite concrete: a review
CN109467372B (zh) 一种硫铝酸盐水泥发泡保温板及其制备方法和一种装配式一体化保温墙及其制备方法
Arnaud et al. Characterization of cementitious mortar with addition of fibers from waste paper
KR20040080665A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