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933Y1 - 꿀벌사양용 먹이통 - Google Patents

꿀벌사양용 먹이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933Y1
KR970004933Y1 KR2019940026685U KR19940026685U KR970004933Y1 KR 970004933 Y1 KR970004933 Y1 KR 970004933Y1 KR 2019940026685 U KR2019940026685 U KR 2019940026685U KR 19940026685 U KR19940026685 U KR 19940026685U KR 970004933 Y1 KR970004933 Y1 KR 970004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e
food
entran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019U (ko
Inventor
김동순
Original Assignee
김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순 filed Critical 김동순
Priority to KR2019940026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933Y1/ko
Publication of KR960013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33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꿀벌사양용 먹이통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조개폐구 4 : 뚜껑
6 : 케이스 12, 14, 16 : 공급실
18 : 평판형 부구 22 : 돌기
26 : 돌출턱
본 고안은 꿀벌사양용 먹이통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경비를 절감하고, 또 공급된 액체상태의 먹이나 물등에 벌들이 빠져 죽는 일이 없도록 함은 물론 벌통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이물질이 먹이통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에도 본인은 선출원 실용신안제 94-10219호 및 이를 개량한 동 제 94-23490호 등과 같이 벌통의 출입구 전방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꿀벌사용용 먹이통을 고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먹이통내에 액체상태의 먹이나 물등을 충만시켜 두게 되면 벌들이 먹이나 물등에 빠져 죽는 일이 발생되고, 또 벌들에 의해 벌통의 내부에서 발생된 각종 이물질이나 사벌등이 벌통의 출입구를 통하여 배출되면 이와 마주보게 형성된 먹이통의 출입구를 통하여 먹이통 내부에 유입되므로 먹이나 물등이 쉽게 더럽혀져 먹이통을 자주 세척해 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인력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먹이의 손실이 많은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먹이나 물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량고안된 실용신안출원 제94-23490호는 뚜껑과 별도로 제작된 보조개폐구가 뚜껑의 상부 전방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로 부터 뚜껑과 보조개폐구가 2중으로 구성되어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고 또 뚜껑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먹이의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먹이통 내부의 각 공급실에 평판형 부구를 끼워 설치하고 출입구의 전방에는 돌출턱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상부 전후에는 각각 분리 제작된 뚜껑과 보조개폐구를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개폐구(2)와 뚜껑(4)이 결합된 케이스(6)의 후방 상부에 내부 출입구(8)와 개구부(10)를 형성하여서 된 통상의 꿀벌사양용 먹이통에 있어서, 수개로 구획된 각 공급실(12), (14), (16)내에 각각 평판형상으로 된 부구(18)를 헐겁게 끼우되 이 부구(18)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0)을 형성하고 각 공급실(12), (14), (16)의 저면으로 부터는 일측으로 치우치게 지지돌기(22)를 형성한다.
출입구(8)가 형성된 케이스(6)의 연장부(24)에는 그 단부로 부터 적정높이의 돌출턱(26)을 좌우로 형성한다.
케이스(6)의 연장부(24)와의 사이에 출입구(8)와 개구부(10)가 형성된 뚜껑(4)을 좌우 측판(28), (30)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돌기(32)에 결합 고정되게 하고, 뚜껑(4)의 후단 테두리부에는 결합편(34)을 형성하고 측판(28), (30)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 돌편(36), (38)은 보조개폐구(2)의 내측 안내홈(40), (42)에 결합되도록 하고 보조개폐구(2)의 내측 전방에는 결합홈(44)을 형성하여 뚜껑(4)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편(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46), (48), (50)은 미끄럼방지용 요철부
(52)는 보온재
(54), (56)은 격판
(58)은 개폐손잡이
(60)은 먹이
(62)는 고정공
(64)는 먹이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케이스(6)의 연장부(24)에 형성된 고정공(62)을 통하여 내부 출입구(8)가 벌통(도시않됨)의 출입구와 관통되게 밀착 고정시킨뒤 보조개폐구(2)를 이용하여 먹이통(64)의 내부 공급실(12), (14), (16)에 먹이나 물(60)등을 공급해 주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보조개폐구(2)가 케이스(6)의 상부 전방에 바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뚜껑과 보조개폐구를 2중으로 구성해주는데 비해 사용이 편리하고 제작경비가 훨씬 절감된다.
그리고 보조개폐구(2)를 통하여 액체상태의 먹이나 물(60)등을 충만시켜 주게 되면 각 공급실(12), (14), (16)에 별도록 끼워 설치된 평판형 부구(18)가 상승하여 수면위에 떠있게 되므로 출입구(8)를 통하여 먹이(60)를 공급받으러 들어온 부구(18)를 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액체상태의 먹이나 물(60)등에 빠져 죽는 일이 없게되고 또 공급된 먹이(60)가 거의다 소모되면 각 공급실(12), (14), (16)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22)에 의해 부구(18)와 케이스(6)의 저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벌들이 이 공간부를 통하여 먹이(60)를 완전히 소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벌통 내부에서 발생된 각종 이물질과 사벌이 벌들에 의해 벌통의 출입구로 버려지게 되더라도 이물질과 사벌이먹이통(64)의 연장부(24)에 형성된 돌출턱(26)에 의해 먹이통(64)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므로 먹이나 물(60)등이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어 자주 세척해 줄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또 먹이(60)의 손실이 없도록 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6)의 상부에 보조개폐구(2)를 결합하고 그 후방에는 케이스(6)내부로의 출입구(8)와 개구부(10)가 형성된 통상의 꿀벌사양통 먹이통에 있어서, 케이스(6) 내부의 각 공급실(12), (14), (16)에 평판형 부구(18)를 끼워 설치하고 출입구(8)의 후단 연장부(24)에는 돌출턱(26)을 형성하고 측판(28), (3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된 안내돌편(36), (38)은 보조개폐구(2)의 내측 결합홈(40), (42)가 결합되도록 한 꿀벌 사양용 먹이통.
KR2019940026685U 1994-10-10 1994-10-10 꿀벌사양용 먹이통 KR970004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685U KR970004933Y1 (ko) 1994-10-10 1994-10-10 꿀벌사양용 먹이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685U KR970004933Y1 (ko) 1994-10-10 1994-10-10 꿀벌사양용 먹이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19U KR960013019U (ko) 1996-05-17
KR970004933Y1 true KR970004933Y1 (ko) 1997-05-22

Family

ID=1939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685U KR970004933Y1 (ko) 1994-10-10 1994-10-10 꿀벌사양용 먹이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9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982B1 (ko) * 2007-03-23 2008-07-15 (주)비센 벌통용 급수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19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35783A (zh) 寵物飲水裝置
AU547068B2 (en) Beehive
KR102136410B1 (ko)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KR970004933Y1 (ko) 꿀벌사양용 먹이통
ZA849215B (en) Plastics comb and method for breeding more efficient and more resistant bees
US6352051B1 (en) Egg-laying tank for home aquarium with egg protection arrangement
KR102098390B1 (ko) 자동 사양 및 급수기가 장착된 벌통
KR200369756Y1 (ko) 양봉용 사양기
KR880002644Y1 (ko) 조립식 전복 양식통
KR200254919Y1 (ko) 꿀벌 물,당액공급급먹이통,
KR960010383Y1 (ko) 꿀벌 사양용 먹이통
KR900004879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223845Y1 (ko) 벌집통용 먹이통
CN215223868U (zh) 一种宠物狗粮器
KR890009137Y1 (ko) 양봉통의 저창형 서랍식 사양기
KR910006648Y1 (ko) 양봉용 사양기
CN209359326U (zh) 一种鹅节水型饮水槽
KR200150375Y1 (ko) 꿀벌사양용 먹이통
KR20220042909A (ko) 화분떡 공급용기
JPH0333267Y2 (ko)
JPH0226460U (ko)
KR0130886Y1 (ko) 양봉용 먹이통
SU1186177A1 (ru) Ульева надрамочна кормушка
KR200150376Y1 (ko) 꿀벌사양용 먹이통
IT201900002035A1 (it) Dispositivo per l’abbeveraggio di animali domesti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