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70Y1 -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 Google Patents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70Y1
KR970004870Y1 KR2019940025944U KR19940025944U KR970004870Y1 KR 970004870 Y1 KR970004870 Y1 KR 970004870Y1 KR 2019940025944 U KR2019940025944 U KR 2019940025944U KR 19940025944 U KR19940025944 U KR 19940025944U KR 970004870 Y1 KR970004870 Y1 KR 970004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urned
power management
output
multi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9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2055U (en
Inventor
윤안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5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870Y1/en
Publication of KR960012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0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70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None.

Description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상태 표시회로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in Power-Saving Monitors

제 1 도는 종래의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management status in a conventional power saving monitor.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management status in a power saving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상기 제 2 도의 표시 소자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3 is a table showing a driving state of the display elemen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H-Sync : 수평 동기 신호 V-Sync : 수직 동기 신호H-Sync: Horizontal Sync Signal V-Sync: Vertical Sync Signal

R1-R13 : 저항 Q1-Q5 : 트랜지스터R1-R13: resistor Q1-Q5: transistor

LED1-LED4 : 발광 다이오드 MB1,MB2 : 멀티 바이브레이터LED1-LED4: Light Emitting Diode MB1, MB2: Multi Vibrator

D1-D4 : 다이오드 C1-C3 : 콘덴서D1-D4: Diode C1-C3: Capacitor

이 고안은 전원 절약형(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 DPMS)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를 소정 칼라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ed Diode : LED)를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각각의 전원 관리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표시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in a 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DPMS) monitor, and more specifically, to display power management statuses corresponding to the usage status of a compute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in a power saving type monitor that displays each of the power management states easily by using an LED (Emitted Diode).

여기서, 상기 DPMS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컴퓨터 주변 장치인 모니터의 전원을 관리하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기능으로, 미합중국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제안하고 있다.Here, the DPMS is a function that can save power by managing the power of the monitor, which is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in response to the use state of the computer system, and is proposed by the United States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즉, VESA 제안에 따르면,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모니터에서는 컴퓨터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관리 상태를 수행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VESA proposal, the computer selectively supplies or blocks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to the monitor in order to realize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s in response to the use state of the computer system, and the monitor provides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computer. And a power management state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이때, 전원 관리 상태는 정상 상태(On State),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 서스팬드(Suspend)상태, 파워 오프 상태로 구분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management state is divided into a normal state, a standby state, a standby state, a suspend state, and a power off state.

여기서, 상기 정상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 출력이 모두 나타나고, 스탠바이 상태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난다. 또한, 서스팬드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나고, 파워 오프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 출력이 모두 나타나지 않는다.Here, in the steady state, both pulse outputs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ppear, and in the standby state, only the pulse output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ppears. In addition, in the suspend state, only the pulse output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ppears, and in the power off state, nei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nor the pulse output of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ppears.

이러한 전원 관리 상태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의 계속적인 경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상상태 → 스탠바이 상태 → 서스팬드 상태 →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These power management states sequentially transition from a normal state to a standby state to a suspend state and a power off state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passage of time when the computer system is not in use.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상기 각각의 전원 관리 상태를 LED색상으로 표시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the respective power management states can be displayed by displaying the LED color from the outside.

제 1 도는 이러한 종래의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management state display in such a conventional economy type monitor.

제 1 도를 보면,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모니터의 마이콤(1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마이콤(10)에서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하이, 로우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하이, 로우의 토글 신호를 트랜지스터(Q1)로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puter selectively supplies or cuts of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0 of the monitor in order to realize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s in response to the use state of the computer system. In operation 10), high and low toggle signals are output to the transistor Q1 at high, low, or predetermined intervals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input from the computer.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1)과 다이오드(D1)를 통한 24V라인과 병렬로 2칼라(예 : 그린, 황갈색)로 된 LED(LED1)가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is connected to the LED (LED1) of two colors (for example, green, yellowish brown) in parallel with the 24V line through the resistor (R1) and the diode (D1).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턴온/턴오프에 의해 상기 LED(LED1)는 그린색이 온되었다가 황갈색이 온되었다가 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턴오프를 토글하면 그린색과 황갈색이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면서 깜박거린다.Accordingly, the LED LED1 is turned on and then turned yellowish brown by turning on / off the transistor Q1. In addition, when the transistor Q1 toggles turn on / off, green and yellow brown repeatedly blink on and off.

그러나, 상기된 제 1 도는 2개의 LED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원 관리 상태를 표시하므로 DPMS 기능 수행시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의 구분이 정확하지 않아 이에 대한 식별이 어렵고, 또한, 주문형 IC 내부나 마이콤 내부에서 제어된 신호만으로 LED제어를 가능토록 되어 있어 일부 공용화된 회로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FIG. 1 shows two power management states by using two LEDs, so that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s are not accurately distinguished when performing DPMS functions. LED control is possible only by the signal controlled by the, so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applied to some common circuits.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수평,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전원 관리 상태를 판별하고, 전원 관리 상태를 4개의 LED를 사용하여 외부에 알려줌으로써,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일부 공용화된 회로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의 식별이 외부에서 용이하도록 한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This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power management state according to whethe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and the power management state to the outside using four LE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in a power saving monitor in which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is compatible with some commonly used circuits and facilitates external identification of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의 특징은,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첵크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원 관리 상태를 판별하는 동기 판별 수단과, 상기 동기 판별 수단에서 판별된 전원 관리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소정개의 표시 소자로 되어 상기 판별된 전원 관리 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표시 수단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in the power saving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nchronization discrimination that checks whether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re input and determines a corresponding power management state. Means and display means for turning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management state determined by the synchronization determining means, and displaying means for notifying the determined power management state to the outside.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wer management state display circuit in a power saving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도이다.2 is a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diagram in the power saving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를 보면, 수평 동기 신호(H-Sync)가 입력되면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용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A입력단이 연결된다.2, the A in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inverter transistor Q1 which is inverted and outputte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is input.

이때,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B입력단은 저항(R2)을 통해 A입력단과 접속되고 동시에 전원단(Vcc)에 접속되므로 항상 하이 신호가 B입력단에 입력된다.At this time, since the B in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connected to the A input terminal through the resistor R2 and simultaneousl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 high signal is always input to the B input terminal.

그리고,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클리어단과 전원단도 주전원단(Vcc)에 연결되고,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시정수 소자(C1, R3)도 전원단(Vcc)에 연결된다.The clear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are also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Vcc, and the time constant elements C1 and R3 for controlling the output time of the multivibrator are also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이때, 상기 전원단(Vcc)에는 제 1 LED(LED1)가 연결되어 주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LED (LED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lways maintains the on state unless the main power is off.

또한,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단(Q)은 다이오드(D1) 및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는 제 2 LED(LED2)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2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resistor R4, and the second LED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2. (LED2) is connected.

한편,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입력되면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용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A입력단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input, the A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inverter transistor Q2 which is inverted and output.

이때,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B입력단은 저항(R8)을 통해 A입력단과 접속되고 동시에 전원단(Vcc)에 접속되므로 항상 하이 신호가 B입력단에 입력된다.At this time, since the B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connected to the A input terminal through the resistor R8 and simultaneousl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 high signal is always input to the B input terminal.

그리고,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클리어단과 전원단도 주전원단(Vcc)에 연결되고,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시정수 소자(C2,R9)도 전원단(Vcc)에 연결된다.The clear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are also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Vcc, and the time constant elements C2 and R9 controlling the output time of the multivibrator are also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즉,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시정수 소자(C1,R3)는 제 2 LED(LED2)의 온/오프 타임을 조절하고,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시정수 소자(C2, R9)는 제 3 LED(LED3)의 온/오프 타임을 조절한다.That is, the time constant elements C1 and R3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adjust the on / off time of the second LED LED2 and the time constant elements C2 and R9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 Adjusts the on / off time of the third LED (LED3).

그리고,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단(Q)은 다이오드(D2) 및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에는 제 3 LED(LED3)가 연결된다.The output terminal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4 through the diode D2 and the resistor R10, and a third LED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4. (LED3) is connected.

한편, 상기 제 1,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반전출력단(Q)에는 공통으로 다이오드(D3), 저항(R12) 및 콘덴서(C3)를 통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13) 및 다이오드(D4)를 통해 전원단(Vcc)과 병렬로 제 4 LED(LED4)가 연결된다.Meanwhile, a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5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output terminal Q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vibrators MB2 through a diode D3, a resistor R12, and a capacitor C3 in common. The fourth LED LED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5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through a resistor R13 and a diode D4.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주 전원(Vcc)이 오프되지 않는한 주전원(Vcc)은 저항(R6)을 통해 항상 제 1 LED(LED1)를 점등 상태로 유지시킨다.This scheme configured in this way maintains the first LED LED1 always lit through the resistor R6 unless the main power supply Vcc is turned off.

이후 4단계의 전원 관리 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power management states of the four steps will be described in sequence.

1) 정상 상태1) steady state

정상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 파형이 모두 나타나므로, 트랜지스터(Q1,Q3)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H-Sync, V-Sync)를 반전시켜 제 1,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1, MB2)의 A입력단으로 출력하게 되고, 제 1,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1, MB2)의 출력(Q)은 하이가 된다.In the steady state, since the pulse waveforms of both the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and the vertical sync signal (V-Sync) are shown, the transistors Q1 and Q3 a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signals (H-Sync and V-Sync). The inversion is made to output to the A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vibrators MB1 and MB2, and the output Q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vibrators MB1 and MB2 becomes high.

이때,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이 하이이므로 다이오드(D1) 및 바이어스 저항(R4)을 통한 하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켜 제 2 LED(LED2)를 점등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Q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high, a high signal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bias resistor R4 turns on the transistor Q2 to turn on the second LED LED2.

또한,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도 하이이므로 다이오드(D2) 및 바이어스 저항(R10)을 통한 하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켜 제 3 LED(LED3)를 점등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output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also high, a high signal through the diode D2 and the bias resistor R10 turns on the transistor Q4 to turn on the third LED LED3.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1, MB2)의 반전 출력(Q)은 로우이므로 트랜지시터(Q5)는 턴오프되고 따라서, 주전원(Vcc)은 저항(R13)을 통해 제 4 LED(LED4)를 점등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inverting outputs Q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vibrators MB1 and MB2 are low,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ff, and thus, the main power supply Vcc is connected to the fourth LED through the resistor R13. Turn on (LED4).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는 제 3 도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LED(LED1-LED4)가 모두 점등된다.Therefore, in the normal state, all of the first to fourth LEDs LED1 to LED4 are turned on as in the third degree.

ii) 스탠바이 상태ii) standby state

스탠바이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 파형은 나타나지 않고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 파형만 나타나므로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은 로우이고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도 로우가 된다.In the standby state, since the pulse waveform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does not appear and only the pulse waveform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ppears, the output of the transistor Q1 is low and the output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 Q) also goes low.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이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므로 제 2 LED(LED2)는 오프된다.When the output Q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low,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so the second LED LED2 is turned off.

한편,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 파형은 나타나므로, 트랜지스터(Q3)는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반전시켜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A입력단으로 출력하고,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은 하이가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ulse waveform of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appears, the transistor Q3 inverts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and outputs it to the A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and the second multi The output Q of the vibrator MB2 goes high.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이 하이이므로 다이오드(D2) 및 바이어스 저항(R10)을 통한 하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켜 제 3 LED(LED3)를 점등시킨다.Since the output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high, a high signal through the diode D2 and the bias resistor R10 turns on the transistor Q4 to turn on the third LED LED3.

또한,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이 하이에서 로우로 바뀔 때 반전 출력(Q)은 로우에서 하이로 전환되므로 다이오드(D3) 및 저항(R12)에 의해 트랜지스터(Q5)는 턴온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Q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changed from high to low, the inverting output Q is changed from low to high, so that the transistor Q5 is formed by the diode D3 and the resistor R12. Is turned on.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제 4 LED(LED4)의 애노드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4 LED(LED4)는 오프된다.When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n, since the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fourth LED LED4, the 4 LEDs LED4 are turned off.

따라서,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제 3 도와 같이 제 1, 제 3 LED(LED1, LED3)는 점등되고, 제 2, 제 4 LED(LED2, LED4)가 모두 소등된다.Therefore, in the standby state, the first and third LEDs LED1 and LED3 are turned on as in the third degree, and both the second and fourth LEDs LED2 and LED4 are turned off.

iii) 서스팬드 상태iii) suspend status

서스팬드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 파형은 나타나지만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 파형은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반전시켜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A입력단으로 출력하게 되고,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은 하이가 된다.In the suspend state, the pulse waveform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appears but the pulse waveform of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does not appear. Therefore, the transistor Q1 inverts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It outputs to the A input terminal of one multivibrator MB1, and the output Q of 1st multivibrator MB1 becomes high.

이때,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이 하이이면 다이오드(D1) 및 바이어스 저항(R4)을 통한 하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켜 제 2 LED(ELD2)를 점등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output Q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high, a high signal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bias resistor R4 turns on the transistor Q2 to turn on the second LED ELD2.

한편,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 파형은 없으므로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은 로우이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이 로우이면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도 로우가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pulse waveform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output of the transistor Q3 is low. If the output of the transistor Q3 is low, the output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also low. do.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이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4)는 턴오프되므로 제 3 LED(LED3)는 오프된다.When the output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low,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ff, so the third LED LED3 is turned off.

또한,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이 하이에서 로우로 바뀔 때 반전 출력(Q)은 로우에서 하이로 전환되므로 다이오드(D3) 및 저항(R12)에 의해 트랜지스터(Q5)는 턴온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changed from high to low, the inversion output Q is changed from low to high, so that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n by the diode D3 and the resistor R12. Is turned on.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제 4 LED(LED4)의 애노드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제 4 LED(LED4)는 오프된다.When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n, since the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fourth LED LED4, the fourth LED LED4 is turned off.

따라서, 서스팬드 상태에서는 제 3 도와 같이 제 1, 제 2 LED(LED1, LED2)는 점등되고, 제 3, 제 4 LED(LED3, LED4)가 모두 소등된다.Therefore, in the suspended state, the first and second LEDs LED1 and LED2 are turned on as in the third degree, and both the third and fourth LEDs LED3 and LED4 are turned off.

iv)파워 오프 상태iv) power off state

파워 오프 상태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 파형이 모두 나타나지 않는다.In the power-off state, the pulse waveforms of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signals do not appear.

따라서, 트랜지스터(Q1, Q3)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제 1,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1, MB2)의 출력(Q)도 로우가 된다.Therefore, the outputs of the transistors Q1 and Q3 go low, and the outputs Q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vibrators MB1 and MB2 also go low.

이때,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Q)이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제 2 LED(LED2)가 오프되고,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Q)이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어 제 3 LED(LED3)가 오프된다.At this time, if the output Q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is low,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to turn off the second LED LED2, and if the output Q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is low, Transistor Q4 is turned off to turn off third LED LED3.

또한, 상기 제 1,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1, MB2)의 출력(Q)이 로우이므로 반전 출력(Q)은 하이가 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D3) 및 저항(R12)에 의해 트랜지스터(Q5)는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제 4 LED(LED4)의 애노드에 로우 신호가 인가되므로 제 4 LED(LED4)는 오프된다.In addition, since the outputs Q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vibrators MB1 and MB2 are low, the inverted output Q becomes high. Therefore, transistor Q5 is turned on by diode D3 and resistor R12. When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n, since the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fourth LED LED4, the fourth LED LED4 is turned off.

이때, 콘덴서(C3)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H-Sync, V-Sync)가 없을 때 제 4 LED(LED4)를 지연 동작시킴으로써 4 단계의 LED제어가 더욱 용이해진다.At this time, the condenser C3 delays the fourth LED (LED4) when there are no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V-Sync), thereby facilitating four-step LED control.

따라서,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제 3 도와 같이 제 1 LED(LED1)만 점등되고, 제 2 내지 제 4 LED(LED2-LED4)는 모두 소등된다.Therefore, in the power-off state, only the first LED LED1 is turned on as in the third degree, and all the second to fourth LEDs LED2-LED4 are turned off.

또한,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시정소 소자(C1, R3)를 이용하여 제 2 LED(LED2)의 온/오프 타임을 조절할 수 있고,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시정소 소자(C2, R9)를 이용하여 제 3 LED(LED3)의 온/오프 타임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 / off time of the second LED (LED2)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time-correcting elements C1 and R3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and the time-correcting element C2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 R9) may be used to adjust the on / off time of the third LED (LED3).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에 의하면, 수평,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트랜지스터 및 멀티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원 관리 상태를 소정개의 LED를 사용하여 외부에 알려줌으로써, 마이콤이 없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공용화된 회로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의 식별이 외부에서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wer management state display circuit of the power-saving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are input by using the transistor and the multivibrator, and to determine the power management stat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LEDs. By informing the outside, it is effective to make it easy to identify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s from the outside while being compatible with the common circuit in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without a microcomputer.

Claims (3)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첵크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원 관리 상태를 판별하는 동기 판별 수단과,Synchroniz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check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re input and determining a power management state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동기 판별 수단에서 판별된 전원 관리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의 전원관리 상태 표시회로에 있어서,A power management state display circuit of a monitor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turned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management state determined by the synchronization determining means, 상기 발광소자는 모니터의 전면 소정 부위에 4개의 LED로 구성되어 상기 동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 발광소자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의 현재 전원관리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표시 회로.The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osed of four LEDs on a predetermined front surface of the monit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urrent power management state of the monitor by turning on / off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ynchronization determining means.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in power-saving monito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판별 수단은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파형이 입력여부에 따라 턴온 여부가 결정되는데 제 1 트랜지스터(Q1)와,The synchroniz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pulse waveform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turned on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first transistor Q1;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턴온여부에 따라 출력단(Q) 및 반전 출력단(Q)의 출력신호를 각각 달리 나타내는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와,A first multi-vibrator MB1 differently representing output signals of the output terminal Q and the inverted output terminal Q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n;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MB1)의 출력 타임을 제어하는 제 1 시정수 회로소자(C1, R3)와,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 파형이 입력여부에 따라 턴온여부가 결정되는 제 2 트랜지스터(Q3)와,Whether the first time constant circuit elements C1 and R3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to control the output time of the first multivibrator MB1 and the pulse waveform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re inputted or not. A second transistor Q3 whose turn-on is determined by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3)의 턴온여부에 따라 출력단(Q) 및 반전 출력단(Q)의 출력신호를 각각 달리 나타내는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와,A second multivibrator MB2 which separately represents output signals of the output terminal Q and the inverted output terminal Q according to whether the second transistor Q3 is turned on;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출력타임(MB2)을 제어하는 제 2 시정수 회로소자(C2, R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회로.In the power saving typ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ime constant circuit device (C2, R9)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to control the output time (MB2)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Power Management Status Display Circu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표시수단은 주전원이 공급되면 항상 점등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LED1)와,The display means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LED1 which is always turned on when main power is supplied; 수평 동기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른 상기 제 1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출력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 3 트랜지스터(Q2)와,A third transistor Q2 that is turned on / off by an output of the first multi-vibrator according to whether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2)의 턴온여부에 따라 점등여부가 결정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와,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LED2 whose light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third transistor Q2 is turned on;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른 상기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MB2)의 출력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A fourth transistor Q4 turned on / off by an output of the second multivibrator MB2 according to whether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ted;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턴온여부에 따라 점등여부가 결정되는 제 3 발광 다이오드(LED3)와,A third light emitting diode LED3 whose light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fourth transistor Q4 is turned on; 상기 제 1 또는 제 2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반전 출력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 5 트랜지스터(Q5)와,A fifth transistor Q5 turned on / off by an inverting output of the first or second multivibrator,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만 점등되는 제 4 발광 다이오드(LED4)로 구성되는 전원 절약형 모니터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 표시 회로.A power management state display circuit in a power saving type monitor comprising a fourth light emitting diode (LED4) which is turned on only when the fifth transistor (Q5) is turned off.
KR2019940025944U 1994-09-30 1994-09-30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KR9700048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44U KR970004870Y1 (en) 1994-09-30 1994-09-30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44U KR970004870Y1 (en) 1994-09-30 1994-09-30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055U KR960012055U (en) 1996-04-17
KR970004870Y1 true KR970004870Y1 (en) 1997-05-21

Family

ID=1939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944U KR970004870Y1 (en) 1994-09-30 1994-09-30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870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04B1 (en) * 1998-09-04 2002-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Computer system having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system state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055U (en)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6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for use with computer peripheral device
JPH09135399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power saving mode display method
US5944830A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onitor by switching off heater power in power-off mode
CN104113972A (en) LED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KR970004870Y1 (en) Display unit of power management status on power saving monitor
JPH1120284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84162B1 (en) Low power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20030063918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S62141589A (en) Liquid crystal display circuit
KR100364835B1 (en) Liquid crystal protection circuit
KR200145519Y1 (en) Led indicator driving citcuit in dpms circuit
KR20000021543A (en) Method for supplying and breaking power source of monitor
KR100303484B1 (en) Power saving circuit
KR100234422B1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display unit
JPH07110658A (en) Control panel of monitoring device
KR19990080820A (en) Power status indicator in a computer system
KR970002882Y1 (en) Multi-mode display circuit for a multi-led
KR970009450B1 (en) Device for indicating mode of a monitor
KR100359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controlling for dissipating electricity of multi-input Monitor
KR20010083408A (en) Monitor power control circuit
KR960001093B1 (en) Power control unit for monitor of p.c.
KR950007838Y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data collision
KR10037004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video display system
KR960024824A (en) Ultra low power adapter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 control
CN117456832A (en) Intelligent indicator light screen capable of changing colors one by one based on using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