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505Y1 - 전자제품의 받침구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505Y1
KR970004505Y1 KR2019930021164U KR930021164U KR970004505Y1 KR 970004505 Y1 KR970004505 Y1 KR 970004505Y1 KR 2019930021164 U KR2019930021164 U KR 2019930021164U KR 930021164 U KR930021164 U KR 930021164U KR 970004505 Y1 KR970004505 Y1 KR 970004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ctronic product
fitted
wal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882U (ko
Inventor
윤광준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1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505Y1/ko
Publication of KR950012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받침구
제1도는 종래 전자제품의 받침구의 체결상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받침구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받침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받침구 28 : 지지구
30 : 장식용홀더 34 : 체결보스
36 : 결합홈 42 : 지지구삽입공
44 : 후크편 46 : 체결리브
본 고안의 전자제품의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렌지 같은 전자제품의 베이스플이트(Base Plate)에 장착되는 받침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스크류같은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도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관을 보기 좋게한 전자제품의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 같은 각종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제품의 밑바닥이 설치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제품의 균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의 받침구를 다수개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종래의 받침구(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재질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몸체는 상면이 넒고 하면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몸체 중앙에는 스크류체결공(12)이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14)와는 스크류(16)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제품의 받침구(10)는 단순히 합성수지재의 단품으로서 외관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용도가 제품을 받쳐주는 것으로만 한정되고, 미적기능을 부여할 수 없어 전자제품 전체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받침구(10)구조에서는 전자제품에 받침구(10)를 장착하거나 또는 필요에 의해서 장착된 상태로 부터 받침구(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제품을 뒤집은 상태에서 받침구(10)를 체결하고 있는 스크류(16)를 조이거나 풀어야 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상의 장착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끼워져 전자제품의 하중을 받쳐주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상의 장착부 바깥쪽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제품에 미적 기능을 부여하는 장식용 홀더를 구비하므로써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할 때 그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장식용 홀더의 미적기능에 의하여 전자제품의 전체외관을 보기 좋게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제품의 받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받침구(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22)에 형성된 장착부(24)상의 장착공(26)에 끼위져 전자제품의 하중을 받쳐주는 지지구(28)와, 상기 지지구(2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제품에 미적기능을 부여하는 장식용홀더(30)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구(2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다소 큰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22)상에 형성된 장착부(24)가 끼워지는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의 중앙으로부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 중앙에 형성된 장착공(26)에 끼워지는 체결보스(34)가 돌설되는 한편, 몸체의 외주연 일정높이에는 장식용홀더(30)가 끼워지는 환형의 결합홈(3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체결보스(34)의 상단을 만곡지게 형성하여 장착공(26)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구(28)는 장식용홀더(30)보다 높게 형성하여 장착시 지지구(28)의 바닥면이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장식용홀더(3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38)과 내측벽(40)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이중원통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벽(40) 중앙에는 상기한 지지구(28)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구 삽입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38) 상단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후크편(44)이 돌설되며, 상기 지지구삽입공(42) 내벽에는 상기 지지구(28)의 외주연상에 형성된 결함홈(36)에 끼워지는 환형의 체결리브(4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장식용홀더(30)를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22)에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식용홀더(30)에 돌설된 후크편(44)과 대응하는 지점마다 후크편끼움공(48)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22)에 받침구(2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받침구(20)를 구성하는 지지구(28)상의 체결보스(34)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상에 형성된 장착공(26)에 밀어 넣으면 상기 체결보스(34)가 장착공(26)에 끼워져 결함됨과 동시에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가 지지구(28) 상면의 안착홈(32)에 안착되면서 지지구(28)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장식용홀더(30)의 내측벽(40)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구삽입공(42)을 상기 지지구(28)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시킨후, 장식용홀더(30) 전체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지지구삽입공(42) 내면상의 체결리브(46)가 상기 지지구(28)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36)에 끼워져 결합됨과 동시에 외측벽(38) 상단에 돌설된 각 후크편(44)이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각각의 후크편끼움공(48)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받침구를 구성하는 지지구와 장식용홀더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체결보스 및 후크편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므로 스크류같은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도 쉽게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장식용홀더가 사출성형방식에 의하여 제조됨에 따라 그 외관 및 색상등을 다르게 구현할수 있어 제품의 외관을 보다 보기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22)에 형성된 장착부(24)상의 장착공(26)에 끼워져 전자제품의 하증을 받쳐주는 지지구(28)와, 상기 지지구(2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제품에 미적기능을 부어하는 장식용홀더(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받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구(28)는 상부에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다소 큰 원기중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전자제품의 베이스플레이트(22)상에 형성된 장착부(24)가 끼워지는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의 중앙으로부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상의 장착부(24) 중앙에 형성된 장착공(26)에 끼워지는 체결보스(34)가 돌설되는 한편, 몸체의 외주연 일정높이에는 장식용홀더(30)가 끼워지는 환형의 결합홈(3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받침구.
  3. 제1항에 있어서, 장식용홀더(30)는 외측벽(38)과 내측벽(40)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이중원통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벽(40) 중앙에는 상기한 지지구(28)가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구삽입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38) 상단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후크편(44)이 돌설되며, 상기 지지구삽입공(42) 내벽에는 상기 지지구(28)의 외주연상에 형성된 결합홈(36)에 끼워지는 환형의 체결리브(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받침구.
KR2019930021164U 1993-10-15 1993-10-15 전자제품의 받침구 KR970004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164U KR970004505Y1 (ko) 1993-10-15 1993-10-15 전자제품의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164U KR970004505Y1 (ko) 1993-10-15 1993-10-15 전자제품의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82U KR950012882U (ko) 1995-05-17
KR970004505Y1 true KR970004505Y1 (ko) 1997-05-12

Family

ID=1936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164U KR970004505Y1 (ko) 1993-10-15 1993-10-15 전자제품의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5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82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0909A (en) Stool or table
US5526929A (en) Tool box with a cover, a base and a plate disposed between the cover and the base
US5158193A (en) Anti-slip structure for cups
US20010015281A1 (en) Electrical block
US2620255A (en) Adjustable shelf construction for refrigerator cabinets
KR970004505Y1 (ko) 전자제품의 받침구
US4566662A (en) Bath accessories, and decorative wall flanges thereof
US5838534A (en) Electronic appliance having an easy to disassemble fastener cap
US4930056A (en) Snap-on frame for light fixtures
KR930008027B1 (ko) 가구용 다리
US4553676A (en) Insulated container
US2264556A (en) Collar support
KR980000298A (ko) 조리기구의 넘침방지용 뚜껑
KR860003416Y1 (ko) 전자제품의 이어폰잭 고정장치
USD362198S (en) Molded utility meter lens with a bolt hole pattern lip
KR200206260Y1 (ko) 쟁반 받침대 설치구조
US3344949A (en) Tops for coffee percolator lids and the like articles
KR950010278Y1 (ko) 세탁기의 플라스틱 외상구조
KR920001251Y1 (ko) 외(外)날 링(Ring)이 부착된 전기면도기용 헤드
JPH0123370Y2 (ko)
KR920004318Y1 (ko) 콘센트 보강 플레이트
KR970000513Y1 (ko) 세탁기의 다리 취부구조
KR200308926Y1 (ko) 접시
KR900002955Y1 (ko) 장식등의 골격 조립장치
KR20000005951U (ko)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