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294B1 -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 Google Patents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294B1
KR970004294B1 KR1019930031077A KR930031077A KR970004294B1 KR 970004294 B1 KR970004294 B1 KR 970004294B1 KR 1019930031077 A KR1019930031077 A KR 1019930031077A KR 930031077 A KR930031077 A KR 930031077A KR 970004294 B1 KR970004294 B1 KR 97000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lector
scoring
uni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20085A (en
Inventor
홍재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294B1/en
Publication of KR95002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0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2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If high fidelity karaoke mode is selected, control part(4) receives the signal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1)(2) on the first selecting part(3)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analog/digital converting part(18) on signal converting part(19) to operate marking function, and outputs the signal for control each part respectively. Saving part(5) saves appointed values according to the marking of control part(4), displaying part(6) displays the marking result by OSD function or digitron etc, according to the marking of control part(4).

Description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Scoring device for song accompaniment

제1도는 본 발명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oring apparatus for a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에 따른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나타낸 파형도.2A and 2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the magnitudes of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FIG.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따른 에너지를 나타낸 파형도.3A and 3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energy according to FIGS. 2A and 2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9,10 : 제1,제2,제3,제4스위치3,11 : 제1,제2선택부1,2,9,10: 1st, 2nd, 3rd, 4th switch 3, 11: 1st, 2nd selection part

4 : 제어부5 : 저장부4 control unit 5 storage unit

6 : 표시부7 : 하이 파이 구동부6 display unit 7: hi-fi driving unit

8 : 감산부12 : 마이크8 subtraction part 12 microphone

13 : 로우 패스 필터14 : 증폭기13 low pass filter 14 amplifier

15 : 전 증폭부16 : 선택부15: preamplifier 16: selector

17 : 샘플 및 홀드부18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7: sample and hold unit 18: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19 : 신호 변환부19: signal conversion unit

본 발명은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Video Record Play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이 파이(Hi-fi) 가라오케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노래한 것에 대한 결과를 채점하기에 적합한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record player for song accompaniment, and in particular, a song suitable for scoring a result of a user singing using a hi-fi karaoke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 player. A scoring apparatus for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s.

종래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는 통상적인 비디오 기록 재생기에 마이크(Mic)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신호 증폭 기능과 전체 오디오 신호에 대한 에코(Echo) 기능을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The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 is constructed by adding a microphone signal amplification function for amplifying a microphone signal and an echo function for the entire audio signal to a conventional video recording player.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에 노래 반주용 영상과 음악이 녹재된 테이프를 삽입하여 재생 모드를 실행시키면, 반주용 영상과 음악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이에 맞추어 노래를 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layback mode is executed by inserting a tape of song accompaniment video and music into the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 the accompaniment video and music are output, so that the user will sing accordingly.

예를 들어, 하이 파이 가라오케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에 사용되는 테이프의 한쪽 채널(Channel)에는 반주가 기록되어 있고 다른쪽 채널에는 반주와 노래가 기록되어 있는데, 그 테이프를 사용하여 하이 파이 가라오케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를 동작시킬 경우, 사용자는 해당 반주에 따라 노래할 수 있다.For example, an accompaniment is recorded on one channel of a tape used for accompaniment to a hi-fi karaoke song accompaniment, and an accompaniment and song is recorded on the other channel. When the accompaniment video record player is operated, the user can sing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노래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뿐, 그 노래 결과에 대한 채점은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rawback 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that the user only sings in accordance with the song accompaniment, and the scoring of the song result is not mad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록된 노래에 의한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의한 음성 신호에 대한 에너지(Energy)를 계산하여 그 두 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해서 사용자가 부른 노래의 결과를 채점할 수 있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the user can calculate the energy (Energy) for the audio signal of the recorded song and the voice signal of the song that the user sings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two energy us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oring apparatus for a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 capable of scoring the result of a so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채점의 시작 시기와 그 채점의 끝나는 시기를 결정하며, 하이 파이 가라오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부와, 제1선택부의 신호에 의해 각 부를 제어하며, 채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제어부의 채점에 따른 소정의 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어부의 채점에 따라 그 채점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채점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하이 파이 구동하는 하이 파이 구동부와, 하이 파이 구동부의 각 신호를 인가받아 감산 작용하여 노래에 따른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하는 감산부와, 제어부와 하이 파이 구동부 사이에 접속되어 하이 파이 구동부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2선택부와, 사용자의 노래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와, 마이크의 출력을 전단 증폭하는 전 증폭부와, 전 증폭부와 감산부의 출력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선택부와, 선택부와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어 선택부의 신호를 디지탈(Digital)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start time of a scoring and an end time of the scoring, and controls each part by a signal of the first selector for selecting a hi-fi karaoke mode and a signal of the first selector.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scoring func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predetermined values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rading result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 unit so that a user can know the grading result, A hi-fi drive unit for driving Hi-Fi by a signal, a subtraction unit for receiving and subtracting each signal of the Hi-Fi drive unit to output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song, and a signal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Hi-Fi driver unit A second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microphone, a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user's song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 preamplifier for shea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a selector for selectively passing the output of the preamplifier and the subtractor,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selector and the controller to convert the selector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conversion unit.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로, 채점의 시작 시기와 그 채점의 끝나는 시기를 결정하며, 하이 파이 가라오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제2스위치(1)(2)로 된 제1선택부(3)와, 제1선택부(3)의 신호에 의해 각 부를 제어하며, 채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4)와, 제어부(4)의 채점에 따른 소정의 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5)와, 제어부(4)의 채점에 따라 그 채점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채점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예를 들어, OSD(On Screen Display)(6)와, 제어부(4)의 신호에 의해 하이 파이 구동하는 하이 파이 구동부(7)와, 하이 파이 구동부(7)의 각 신호를 인가받아 감산 작용하여 가수의 노래 등에 따른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하는 감산부(8)와, 제어부(4)와 하이 파이 구동부(7) 사이에 접속되어 하이 파이 구동부(7)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제4스위치(9)(10)으로 된 제2선택부(11)와, 사용자의 노래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12)와, 마이크(12)의 출력을 전단 증폭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LPF)(13), 증폭기(14)로 된 전 증폭부(15)와, 전 증폭부(15)와 감산부(8)의 출력을 인가받아 시분할 방식 등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선택부(16)와, 선택부(16)와 제어부(4) 사이에 접속되어 선택부(16)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샘플(Sample) 및 홀드부(Hold)(17),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8)로 된 신호 변환부(1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oring apparatus of a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start time of a scoring and the end of the scoring, and to select a hi-fi karaoke mode. A first selector (3)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witches (1) and (2), a control unit (4) for controlling each unit by a signal from the first selector (3), and performing a scoring function; A storage unit 5 for storing predetermined values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 unit 4,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rading result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 unit 4 so that a user can know the grading result (for example, On-screen display (OSD) 6, the high-fi drive unit 7 for driving the high-fi drive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4, and each signal of the high-fi drive unit 7 is applied and subtracted to the singer's song A subtractor 8 for outputting only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4, the controller 4, and the hi-fi driver 7. A second selector 11 formed of third and fourth switches 9 and 1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lectively pass the signal of the hi-fi driver 7 and convert the user's song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 preamplifier 15 comprising a microphone 12 to be outputted and a low pass filter LPF 13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12, an amplifier 14, and a preamplifier A selector 16 that receives the output of the 15 and the subtractor 8 and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time division method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selector 16 and the controller 4 to selector 16. Is composed of a sample (Sample) and a hold section (17) for converting a signal of th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signal converter (19) consisting of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8).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2A도, 제2B도, 제3A도 그리고 제3B도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제1선택부(3)의 제1스위치(1)를 온/오프하여 채점의 시작 시기와 그 채점의 끝나는 시기를 결정하며, 예를 들어 그 제1스위치(1)를 온하는 것이 채점의 시작 시기이며, 그 제1스위치(1)를 오프하는 것이 채점의 끝나는 시기로 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2B, 3A, and 3B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first switch 1 of the first selection unit 3 is turned on / off to start scoring. The timing and the end of the scoring are determined. For example, turning on the first switch 1 may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scoring, and turning off the first switch 1 may be the end of the scoring. .

여기서, 제1스위치(1)의 온/오프 기능을 서로 반대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on / off function of the first switch 1 may be reversed.

다음, 제2스위치(2)를 온/오프하므로써 하이 파이 가라오케 모드를 선택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4)는 제1선택부(3)의 제1,제2스위치(1)(2)의 신호를 각각 인가받게 되어 신호 변환부(19)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8)의 신호를 받아 채점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Next, the hi-fi karaoke mode is selected by turning on / off the second switch 2,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4 controls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 and 2 of the first selector 3. Are respectively applied to perform a scoring function by receiving signals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8 of the signal converter 19, and output a signal for controlling each part.

이어, 저장부(5)는 제어부(4)의 채점에 따른 소정의 값들을 저장하고 표시부(6)는 제어부(4)의 채점에 따라 OSD 기능 또는 디지트론 등을 이용하여 그 채점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채점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storage unit 5 stores predetermined values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ler 4, and the display unit 6 displays the grading results by using an OSD function or a digitron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ler 4. Allows the user to know the scoring result.

그리고, 하이 파이 구동부(7)는 제어부(4)의 신호에 의해 하이 파이 구동하여 하이 파이 L(Light) 신호와 하이 파이 R(Right) 신호를 출력하고 감산부(8)는 하이 파이 구동부(7)의 각 출력 신호를 인가받아 감산작용하여 가수의 노래 등에 따른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hi-fi driver 7 outputs the hi-fi L (Light) signal and the hi-fi R (Right) signal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 and the subtractor 8 receives the hi-fi driver 7 Each output signal of) is applied and subtracted to output only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singer's song.

또한, 제2선택부(11)의 제3,제4스위치(9)(10)는 제어부(4)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이 파이 구동부(7)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반주 부분에 따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9 and 10 of the second selector 11 are selectively driven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 to selectively pass the signal of the hi-fi drive 7 to the accompaniment portion. To output an audio signal.

이어, 마이크(12)는 사용자의 노래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 증폭부(15)의 로두 패스 필터(13)는 마이크(12)의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며, 증폭기(14)는 로우 패스 필터(13)의 신호를 이후 채점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증폭한다.Subsequently, the microphone 12 converts the user's song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low pass filter 13 of the preamplifier 15 low pass filters the signal of the microphone 12, and the amplifier 14 is low. The signal of the pass filter 13 is amplified to a size sufficient for later scoring.

다음, 선택부(16)는 증폭부(15)와 감산부(8)의 출력을 인가받아 시분할(Time division)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이후 디지탈 신호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selector 16 receives the outputs of the amplifier 15 and the subtractor 8 and selectively passes them through a time division method so that they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여기서, 시분할이란 시간을 세분하여 복수의 일을 조금씩 순번대로 실행하는 것으로서, 외관상으로는 복수의 일이 동시에 실행된다.Here, the time division is to divide a time and execute a plurality of jobs in order one by one. Apparently, a plurality of jobs are executed simultaneously.

이어, 신호 변환부(19)의 샘플 및 홀드부(17)는 선택부(16)의 신호를 샘플링하며 일정 기간 동안 홀딩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8)는 샘플 및 홀드부(17)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에 인가한다.Subsequently, the sample and hold unit 17 of the signal converter 19 samples the signal of the selector 16 and holds 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8 performs the signal of the sample and hold unit 17.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4.

그리고, 제2A도는 마이크(12)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신호의 파형도이고 제2B도는 감산부(8) 출력신호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2A is a waveform diagram of an audio signal applied through the microphone 12, and FIG. 2B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ubtractor 8. FIG.

다음, 제3A도는 제2A도에서 얻어진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고 제3B도는 제2B도에서 얻어진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Next, FIG. 3A shows the energy obtained from FIG. 2A and FIG. 3B shows the energy obtained from FIG. 2B.

또한, 제어부(4)는 하기의 (1)식에 의하여 음성신호와 오디오 신호 각각의 에너지를 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 obtains energy of each of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w(n)=1,0≤n≤N-1w (n) = 1,0≤n≤N-1

=0,위의 경우가 아니면= 0, unless

여기서, 제2A도에서 얻어진 에너지(E1(n))는 제3A도와 같고, 제2B도에서 얻어진 에너지(E2(n))는 제3B도와 같다.Here, the energy E1 (n) obtained in FIG. 2A is the same as in FIG. 3A, and the energy E2 (n) obtained in FIG. 2B is in FIG. 3B.

이와 같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에 대해 얻어진 에너지 값들은 저장부(5)에 저장된다.The energy values obtained for the audio signal and the voice signal applied in this way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

다음, 오디오신호와 음성신호 각각에 대한 에너지값을 저장부(5)로부터 독출하여 하기 (2),(3)식과 같이 모두 더한다.Next, the energy values for each of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5 and added together as shown in Equations 2 and 3 below.

그런 다음 오디오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음성신호의 합값을 정규화(Normalized)시키기 위하여 E1(n)을 하기 (4)식과 같이 변환시킨다.Then, in order to normalize the sum value of the voice signal based on the audio signal, E1 (n) is converted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의 에너지값(E2(n))과 비교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의 에너지값 E1(n)을 변환시킨 후, 하기 (5)식에 의하여 에러율을 찾아낸다.After converting the energy value E1 (n) of the audio signal to be compared with the energy value E2 (n) of the audio signal in this manner, the error rate is foun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상기 (5)식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러율(Er)은 오디오 신호에 비례한 음성신호의 에너지차의 합이 된다. 여기서, 에러율은 1을 초과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에러율이 검출되면, 하기 (6)식에 의해 최종 채점 결과값을 검출하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5), the error rate Er is the sum of the energy differences of the audio signals in proportion to the audio signals. Here, the error rate cannot exceed one. When the error rate is detected in this way, the final scoring result value is detec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S=60+40(1-Er)(6)S = 60 + 40 (1-Er) (6)

(S는 정수임)(S is an integer)

따라서, 제어부(4)는 검출된 채점결과 값을 표시부(6)로 출력하여 채점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자막정보 등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표시부(6)는 제어부(4)로부터 인가되는 채점결과 값을 반주용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도시되지 않음)상에 자막정보로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디지트론상에 자막정보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ler 4 outputs the detected scoring result value to the display unit 6 and displays the scoring result as caption information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scoring result. Here, the display unit 6 may display the scoring result value applied from the controller 4 as caption information on a monitor (not shown) on which an accompaniment video signal is displayed or as caption information on a digitron. It can be configured as a circu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재생기에 있어서, 반주용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의 에너지를 사용자가 부른 노래의 채점결과를 검출해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er, the energy of the accompaniment audio signal and the user's voice signal is detected and displayed by detecting the scoring result of the song sung by the user. Satisfaction can be met.

Claims (6)

채점의 기간을 결정하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부(3)와; 상기 제1선택부(3)의 신호에 의해 채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채점에 따른 소정의 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5)와; 상기 제어부(4)의 채점에 따라 그 채점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채점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6)와; 상기 제어부(4)의 신호에 의해 하이 파이 구동하는 하이 파이 구동부(7)와; 상기 하이 파이 구동부(7)의 각 신호를 인가받아 노래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부(8)와; 상기 제어부(4)와 하이 파이 구동부(7) 사이에 접속되어 하이 파이 구동부(7)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2선택부(11)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2)와; 상기 마이크(12)의 출력을 전단 증폭하는 전 증폭부(15)와; 상기 전 증폭부(15)와 감산부(8)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선택부(16)와; 상기 선택부(16)와 제어부(4) 사이에 접속되어 선택부(16)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19)로 된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A first selector (3) for determining a period of scoring and for selecting a mode; A controller (4) for performing a scoring function by the signal of the first selector (3); A storage unit 5 for storing predetermined values according to the scoring of the controller 4; A display unit 6 for displaying the grading result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control unit 4 so that a user can know the grading result; A hi-fi drive unit 7 for driving high-fidelity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4; A subtractor 8 which receives each signal of the hi-fi driver 7 and outputs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song; A second selector (11)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unit (4) and the hi-fi driver (7) to selectively pass signals from the hi-fi driver (7); A microphone 12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preamplifier 15 for shea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12; A selector 16 for selectively passing the outputs of the preamplifier 15 and the subtractor 8; And a signal converter (19) connected between the selector (16) and the controller (4) to convert the signal of the selector (16) into a digit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부(3)는 채점의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제1스위치(1)와; 하이 파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위치(2)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lector (3) comprises: a first switch (1) for determining a period of scoring; And a second switch (2) for selecting the hi-fi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선택부(11)는 제어부(4)와 하이 파이 구동부(7) 사이에 접속되어 하이 파이 구동부(7)의 하이 파이 L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스위치(9)와; 상기 제어부(4)와 하이 파이 구동부(7) 사이에 접속되어 하이 파이 구동부(7)의 하이 파이 R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4스위치(10)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The third switch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lector 11 is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ler 4 and the hi-fi driver 7 to selectively pass the hi-fi L signal of the hi-fi driver 7. 9); A scoring apparatus for a song accompaniment video recording player comprising a fourth switch 10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unit 4 and the hi-fi driving unit to selectively pass the hi-fi R signal of the hi-fi driving unit 7.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 증폭기(15)는 로우 패스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13)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13)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4)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reamplifier (15) comprises: a low pass filter (13) for low pass filtering; And an amplifier (14) for amplifying the signal of the low pass filter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16)는 전 증폭부(15)와 감산부(8)의 출력을 시분할 방식으로 통과시키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2. A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elector (16) passes the outputs of the preamplifier (15) and the subtractor (8) in a time division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19)는 선택부(16)의 신호를 샘플링하며 일정 기간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부(17)와; 상기 샘플 및 홀드부(17)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8)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용 비디오 기록 재생기의 채점 장치.2. The signal convert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ample and hold unit (17) for sampling and holding a signal of the selector (16)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18) f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sample and hold unit (17) into a digital signal.
KR1019930031077A 1993-12-29 1993-12-29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KR970004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077A KR970004294B1 (en) 1993-12-29 1993-12-29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077A KR970004294B1 (en) 1993-12-29 1993-12-29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085A KR950020085A (en) 1995-07-24
KR970004294B1 true KR970004294B1 (en) 1997-03-26

Family

ID=1937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077A KR970004294B1 (en) 1993-12-29 1993-12-29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29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085A (en)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596A (en)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ong accompaniment
JPH0659900U (e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core evaluation display device
JPH06130890A (en) Karaoke device
EP107305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mpling and storing audio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US7122731B2 (en)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970004294B1 (en) Score counting device in video karaoke
KR200255782Y1 (en) Karaoke apparatus for practice on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s
KR930000450B1 (en) Information indic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ssette player
KR01696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ing practice of karaoke machine
KR0184392B1 (en) Total song titles showing method of cdg player
JP2833138B2 (en) Karaoke equipment
KR200274171Y1 (en) Apparatus for sing training
KR100278811B1 (en) Song practice devices
JP2931113B2 (en) Karaoke equipment
CN1601600A (en) Song Words coloring method in karaoke system
JPS6352377A (en) Tape reproducing circuit
KR0132260Y1 (en) Scoring device for laser disc player
JP2674219B2 (en) Scoring device
KR970008612B1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karaoke tv system
JPH0438355B2 (en)
KR19980058817A (en) Song accompaniment device with voice signal selection
KR950009692A (en) Automatic scoring system of laser disc player (LDP)
KR19990085927A (en) Song practice devices
KR19980026697A (en) Karaoke voice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KR19990069982A (en) Portable audio system to display song ly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