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96Y1 - 증류 정수기 - Google Patents

증류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96Y1
KR970004196Y1 KR2019940003771U KR19940003771U KR970004196Y1 KR 970004196 Y1 KR970004196 Y1 KR 970004196Y1 KR 2019940003771 U KR2019940003771 U KR 2019940003771U KR 19940003771 U KR19940003771 U KR 19940003771U KR 970004196 Y1 KR970004196 Y1 KR 970004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distillation
distillation chamber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012U (ko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최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숙 filed Critical 최상숙
Priority to KR2019940003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96Y1/ko
Publication of KR950025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증류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정수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기 2 : 플로트 스위치
3 : 가스배출공 4 : 수증기유출관
8 : 증류실 10 : 냉각핀
12 필터 13 : 냉각로
16 : 송풍기 18 : 냉각부
19 : 수위조절센서 21 : 집수조
본 고안은 물을 증류하여 물속에 포함된 여러가지 불순물들 예를 들면, 소독액으로 쓰는 염소, 벤젠이나 트리할로메탄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물질과, 스트론튬-90과 같은 방사성 물질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증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요즘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특히 식수원 오염 및 불완전한 정수처리로 인해 수돗물을 안심하고 마실 수 없는데까지 이르렀다. 이에 따라 가정집에서 자가 정수기를 구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중에는 다종 다양한 가정용 정수기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들중 대부분의 정수기는 여러가지 재질로 된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거나 자화 정수를 하는 방식의 것으로서, 이들은 일정기간마다 그 필터를 세척하거나 교체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필터의 종류 및 필터링 방식과 관련하여 고가인 점 등에서 불리하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필터링 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물을 증류하여 물속의 분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물을 공그할 수 있는 증류 정수기를 제공하되 과거 공업용 증류기의 이론을 가정용 정수기에 이용될 수 있도록 개량함을 목적으로 하여, 이를 실현하고자 가열기가 내장된 증류실과, 상기 증류실에서 증류된 물을 냉각 응축하기 위한 냉각 핀이 권설된 냉각로와, 그리고 수증기가 이 냉각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액화된 물을 집수하는 상기 증류실과 연통된 증류구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정수기에 대해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정수기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정수기에 있어서는 가열기(1) 및 물공급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플로트 스위치(2)가 내장되고, 일측벽 상부에는 휘발성 가스 배출공(3)을 가진 수증기 유출관(4)이, 그 반대측 측벽 상부에는 밸브(6)가 장착된 물공급관(7)이 각각 연통된 증류실(8)과;
상기 수증기 유출관(4)이 연장되어 그외주면에 냉각핀(10)이 권설되고 단부에 필터(12)가 장착된 냉각로(13) 및 이 냉각로(13)을 더욱 빠르게 냉각하기 위한 송풍기(16)를 가진 냉각부(18)와; 그리고
상기 증류실(8) 및 냉각부(18) 아래 위치하고 수위 조절센서(19) 및 물의 양을 외부에서 불 수 있는 유량계(20)를 가진 증류수 집수조(21);
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는 모터이고, 22는 드레인이며, 23은 증류수 인출밸브이고, 24, 25는 뚜껑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정수기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증류실(8)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플로트 스위치(2)에 의해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전기 히터 또는 가열코일과 같은 가열기(1)에 전원스위치를 수동 도는 자동으로 온(ON) 함으로써 물이 가열되기 시작하며, 얼마 후에 물이 증발되어 증류실(8) 상부의 수증기 유출관(4)을 통해 수증기가 흘러나간다.
이때, 원수(原水)에 녹은 염소나 벤젠, 트리할로메탄 등의 휘발성 물질이 물의 꿇는 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먼저 증발되어 상기 가스 배출공(3)을 통해 외부로 날아가 버리고, 비등점이 l00℃를 넘는 페놀이나 스트론튬-90 등은 증류실(8)에 남아 수증기만이 냉각로(13)를 따라 흘러가면서 냉각핀(10)에 의해 열교환 됨으로써 응축되어 액화된 증류수가 필터(12)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 번 불순물이 걸러져 집수조(21)로 흐르게 되며, 이것이 수위 조절 센서(19)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밸브(6)를 폐쇄시키거나 가열 전원을 끊음으로써 증류수 공급이 중단되고 또한 상기 집수조(21)내의 증류수가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물공급관(7)이 밸브(6)가 개방되고 가열기(1)가 수동 또는 자동조작에 의해 가동되기 시작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필터(12)의 재질로는 코코넛 활성탄이 바람직하고 그 보다 더 우수한 필터로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증류 정수기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증류실(8)에는 스트론튬-90이나 중금속등이 침전하여 퇴적되고, 집수조(21)에는 찌꺼기가 남거나 물때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24)(25)을 열과 드레인(22) 및 증류수 인출밸트(23)를 개방하여 물로 헹구어 내거나 세척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고안에서는 증류에 의해 일차로 불순물이 제거된 물이 필터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냄새 등이 걸러짐으로써 맛잇고 고순도의 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순도의 깨끗한 식수를 제공하고자 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Claims (1)

  1. 가열기(1) 및 물공급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플로트 스위치(2)가 내장되고, 일측벽 상부에는 가스 배출공(3)을 가진 수증기 유출관(4)이, 그 반대측 측벽 상부에는 밸브(6)가 장착된 물공급관(7)이 각각 연통된 증류실(8)과; 상기 수증기 유출관(4)이 연장되어 그 외주면에 냉각핀(10)이 권설되고 단부에 필터(12)가 장착된 냉각로(13) 및 이 냉각로(13)을 더욱 빠르게 냉각하기 위한 송풍기(16)를 가진 냉각부(18)와; 그리고 상기 증류실(8) 및 냉각부(18) 아래 위치하고, 수위 조절센서(19) 및 물의 양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유량계(20)를 가진 증류수 집수조(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 정수기
KR2019940003771U 1994-02-28 1994-02-28 증류 정수기 KR970004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771U KR970004196Y1 (ko) 1994-02-28 1994-02-28 증류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771U KR970004196Y1 (ko) 1994-02-28 1994-02-28 증류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012U KR950025012U (ko) 1995-09-15
KR970004196Y1 true KR970004196Y1 (ko) 1997-05-06

Family

ID=1937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771U KR970004196Y1 (ko) 1994-02-28 1994-02-28 증류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39B1 (ko) * 2002-09-26 2004-11-09 최원환 증류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012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5293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451211B1 (en) On premise water treatment method for use in a post mix beverage dispenser
US5662779A (en) Portab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N1030395A (zh) 净化污染水的方法及其装置
JP2009512549A5 (ko)
US20090152093A1 (en) Liquid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4581133A (en) Solvent reclamation apparatus
KR970004196Y1 (ko) 증류 정수기
US5628897A (en) Heated filter chamber with supporting collection chamber
US4261796A (en) Self-cleaning fractional water distiller
US20070209987A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s
CN101137582B (zh) 液体净化装置
US119808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and remineralization of water
US4230530A (en) Self-cleaning water distiller with intermittent overflow
US4239601A (en) Water distiller with volatile pollutants removal stage
AU598831B2 (en)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purifying contamined water
EP1181965B1 (en) Device for cleaning a fluid in the form of a vapor from a circuit
WO2005056153A1 (en) An improved self-cleaning water processing apparatus
CN219567736U (zh) 一种用于工业废水的脱盐处理装置
KR100428250B1 (ko) 필터없는 증류수기
US3256159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20085686A (ko) 열에너지 효율이 높은 수냉 증류식 정수장치.
KR200260640Y1 (ko) 증발식 정수기
GB1591656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A1114767A (en) Self-cleaning water distiller with volatile pollutants removal s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