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062Y1 - 폐수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062Y1
KR970004062Y1 KR2019940006879U KR19940006879U KR970004062Y1 KR 970004062 Y1 KR970004062 Y1 KR 970004062Y1 KR 2019940006879 U KR2019940006879 U KR 2019940006879U KR 19940006879 U KR19940006879 U KR 19940006879U KR 970004062 Y1 KR970004062 Y1 KR 970004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ixed
pipe
plat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824U (ko
Inventor
한진주
Original Assignee
한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주 filed Critical 한진주
Priority to KR2019940006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062Y1/ko
Publication of KR950026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폐수정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수정화통 2 : 레일
3 : 원통격판 4 : 원통격판
5 : 원통격판 6 : 레일
7 : 폐수실 8 : 폐수실
9 : 정수실 10 : 슬러지실
11 : 지지관 12 : 회전관
13 : 횡관 14 : 종관
15 : 전극판 16 :접점편
17 : 지지대 18 : 고무판
19 ; 지지틀 20, 21 : 바퀴
22 : 체인기어 23 : 모우터
24 : 체인기어 25 : 체인
26 : 바켓트 27 : 관축
28 : 구멍 29 : 체인기어
30 : 모우터 31 : 체인기어
32 : 체인 33 : 견인간
34, 35 : 지지판 36 : 삼각판
37 : 구멍 38 : 삼각판
39 : 수직판 40 : 요입부
41 : 고무판 42 : 연통관
43 : 구멍 44 : 폐수유입관
45 : 폐수조 46 : 연결파이프
47 : 펌프 48 : 콤프레셔
49 : 공기폐수믹싱기 50 : 연결파이프
51 : 가압펌프 52 : 연결파이프
53 : 슬러지저장조 54 : 파이프
55 : 정화수조 56 : 파이프
57 : 순간개폐작동기
본 고안은 각종 산업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폐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종류의 폐수정화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폐수조와 침전조를 거치게하여 정화시키게 되므로 설치면적을 많이 요하게 되면서 정화시간을 많이 요하게 되어 대량폐수정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화효율도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수정화통에 유입된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가압부상방법으로 제거하고, 소량의 무게를 지닌 못, 금속입자물 등의 이물질은 무게에 의한 침전방법으로 침전시켜 공기에 의한 순간개폐작동기에 의하여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슬러지제거 및 정화할 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인 구조의 수폐수정화장치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2)을 형성한 폐수정화통(1)내에는 원통격판(4)과 레일(6)을 형성한 원통격판(5)을 폐수정화통(1)의 바닥에 고착하고,
원통격판(5)의 중앙에 고착한 지지판(11)에는 수개의 종판(14)이 고착된 횡관(13)을 고착한 회전관(12)을 유착하고, 상기의 회전관(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15)을 고정하여 지지대(17)의 접점편(16)과 접촉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폐수정화통(1)과 원통격판(4)의 사이에는 하방에 고무판(18)을 고정한 원통격판(3)을 회전가능하게 위치시켜 지지틀(19)과 서로 고정시키고,
지지틀(19)에 유착한 바퀴(20)(21)는 폐수정화통(1)의 레일(2) 및 원통격판(5)의 레일(6)에 접촉시켜 바퀴(20)에 고정한 체인기어(22)는 지지틀(19)에 고정한 모우터(23)의 체인기어(24)와 체인(25)으로 연결하여 지지틀(19)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지틀(19)에는 바켓트(26)가 고착되고 구멍(28)이 뚫린 관축(27)을 유착하여 일단부는 원통격판(5)에 위치되게 하고, 타단부에 고정한 체인기어(29)는 지지틀(19)에 고정한 모우터(30)의 체인기어(31)와 체인(32)으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틀(19)에 고정한 견인간(33) 및 지지판(34)(35)에는 중앙에는 구멍(37)이 뚫린 삼각판(36)과 수직판(39)이 고착된 삼각판(38)을 고착하여 폐수가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폐수정화통(1)의 바닥에는 요입부(40)를 형성하고 지지판(35)에는 고무판(41)을 고정하여 상기의 고무판(41)이 폐수정화통(1)의 바닥에 접촉되어 회전시 금속입자물을 요입부(40)에 담기도록 하고,
지지틀(19)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원통격판(3)에는 구멍(43)이 뚫린 연통관(42)을 고정하여 폐수실(7)과 폐수실(8)을 연통시키고,
폐수유입관(44)으로 유입되는 폐수(45)와 지지관(11)은 펌프(47)를 개재시켜 연결파이프(46)로 연결하고, 콤프레셔(48)가 연결된 공기폐수믹싱기(47)와 폐수실(8)은 가압펌프(51)를 개재시켜 연결파이프(50)로 연결하여 공기를 미싱시킨 폐수는 연결파이프(52)를 통하여 연결파이프(46)내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러지실(10)은 슬러지저장조(53)와 파이프(54)로 연결하고, 정화수저장조(55)와 정수실(9)은 파이프(56)로 연결하고, 요입부(40)에는 순간개폐작동기(47)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58은 PH측정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점편(16)에 전류를 가하여 회전관(12)을 회전시켜 횡관(13)과 종관(14)를 회전시키고, 모우터(23)를 작동시키면 모우터(23)의 체인기어(24)와 체인(25)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체인기어(22)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틀(19)에 유착된 바퀴(20)는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틀(19)의 바퀴(20)(21)는 레일(2)(6)을 따라 360°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지지틀(19)에 고정된 원통격판(3) 및 견인간(33), 지지판(34)(35), 삼각판(36)(38), 수직판(39)도 회전하게 된다.
다음 펌프(47)를 작동시켜 폐수유입관(44)을 통하여 폐수조(45)의 폐수를 지지관(11)으로 유입시키게 되면, 제2도와 같이 폐수는 횡관(13)과 종관(14)을 통하여 폐수실(7)에 유출된다.
폐수실(7)에 유출된 폐수는 연통관(42)의 구멍(43)을 통하여 폐수실(8)에 유입케 되는데 폐수실(8)에 유입되는 폐수는 가압펌프(5)에 의하여 공기폐수믹싱기(49)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콤프레셔(48)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역마찰에 의하여 혼합되게 되며 공기와 역마찰로 혼합된 폐수는 엄청난 기포와 마찰력을 동반하여 다시 지지관(11)으로 유입되어 횡관(13) 및 종관(14)을 거쳐 폐수실(7)로 유출케되며,
상기와 같이 공기폐수믹싱기(49)를 거쳐 폐수실(7)로 유출되는 폐수는 공기와 약품의 엄청난 믹싱효과로 폐수실(7)의 수면에는 기포와 함께 많은 불순부유물이 뜨게 된다.
수면에 뜨는 불순부유물은 관축(27)에 고착되어 모우터(3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바켓트(26)에 뜨져 바켓트(26)의 회전에 의하여 제4도와 같이 관축(27)의 구멍(28)으로 유입되어 관축(27)을 통하여 불순부유물은 슬러지실(10)에 모여 파이프(54)를 거쳐 슬러지저장실(53)에 모이게 되고, 정수실(9)에 채워지는 정화수는 파이프(56)를 통하여 정화수저장조(55)에 채워지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작동에 있어서 폐수실(7)에 유입되는 폐수에 무게 있는 금속입자나 슬러지등 무게에 의하여 폐수실(7)에 깔아 앉은 이물질은 지지판(41)의 하방에 고정된 고무판(41)에 쓸여 요입부(40)에 모이게 되며, 요입부(40)에 모인 이물질은 순간 개폐작동기(57)를 작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그리고 지지틀(19)에 고착된 견인간(33)에는 지지판(35)과 구멍(37)이 뚫린 삼각판(36), 수직판(39)이 고착된 삼각판(38)이 설치되어 폐수가 많이 출렁거림을 방지하게 되므로 폐수가 많이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정화작용에 지장을 받을 염려가 없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공기폐수믹싱기(49)에 의하여 불순부유물의 발생을 촉진시켜 360°방향으로 돌면서 회전되는 바켓트(26)에 의하여 불순부유물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무게가 무거운 금속입자나 슬러지는 폐수실(7)의 바닥에 형성한 요입부(40)에 모이게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틀(19)에는 폐수의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삼각판과 수직판을 설치하여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폐수의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므로 폐수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레일(2)을 형성한 폐수정화통(1)내에는 원통격판(4)과 레일(6)을 형성한 원통격판(5)을 폐수정화통(1)의 바닥에 고착하고,
    원통격판(5)의 중앙에 고착한 지지관(11)에는 수개의 종관(14)이 고착된 횡관(13)을 고착한 회전관(12)을 유착하고, 상기의 회전관(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15)을 고정하여 지지대(17)의 접점편(16)과 접촉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하고, 폐수정화통(1)과 원통격판(4)의 사이에는 하방에 고무판(18)을 고정한 원통격판(3)을 회전가능하게 위치시켜 지지틀(19)과 서로 고정시키고,
    지지틀(19)에 유착한 바퀴(20)(21)는 폐수정화통(1)의 레일(2) 및 원통격판(5)의 레일(6)에 접촉시켜 바퀴(20)에 고정한 체인기어(22)는 지지틀(19)에 고정한 모우터(23)의 체인기어(24)와 체인(25)으로 연결하여 지지틀(19)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지틀(19)에는 바켓트(26)가 고착되고 구멍(28)이 뚫린 관축(27)을 유착하여 일단부는 원통격판(5)에 위치되게 하고, 타단부에 고정한 체인기어(29)는 지지틀(19)에 고정한 모우터(30)의 체인기어(31)와 체인(32)으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틀(19)에 고정한 견인간(33) 및 지지판(34)(35)에는 중앙에 구멍(37)이 뚫린 삼각판(36)과 수직판(39)이 고착된 삼각판(38)을 고착하여 폐수가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하고, 폐수정화통(1)의 바닥에는 요입부(40)를 형성하고 지지판(35)에는 고무판(41)을 고정하여, 상기의 고무판(41)이 폐수정화통(1)의 바닥에 접촉되어 회전시 금속입자물을 유입부(40)에 담기도록하고, 지지틀(19)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원통격판(3)에는 구멍(43)이 뚫린 연통관(42)을 고정하여 폐수실(7)과 폐수실(8)을 연통시키고, 폐수유입관(44)으로 유입되는 폐수조(45)와 지지관(11)은 펌프(47)를 개재시켜 연결파이프(46)로 연결하고, 콤프레셔(48)가 연결된 공기폐수믹싱기(49)와 폐수실(8)은 가압펌프(51)를 개재시켜 연결파이프(50)로 연결하여 공기를 미싱시킨 폐수는 연결파이프(52)를 통하여 연결파이프(46)내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하고,슬러지실(10)은 슬러지저장조(53)와 파이프(54)로 연결하고 정화저장수조(55)와 정수실(9)과 파이프(56)로 연결하고, 요입부(40)에는 순간개폐작동기(57)를 설치하여 된 폐수정화장치.
    폐수유입관(44)으로 유입되는 폐수조(45)와 지지관(11)은 펌프(47)를 개재시켜 연결파이프(46)로 연결하고, 콤프레셔(48)가 연결된 공기폐수믹싱기(49)와 폐수실(8)은 가압펌프(51)를 개재시켜 연결파이프(50)로 연결하여 공기를 믹싱시킨 폐수는 연결파이프(52)를 통하여 연결파이프(46)내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하고,
    슬러지실(10)은 슬러지저장조(53)와 파이프(54)로 연결하고 정화저장수조(55)와 정수실(9)과 파이프(56)로 연결하고, 요입부(40)에는 순간개폐작동기(57)를 설치하여 된 폐수정화장치.
KR2019940006879U 1994-03-30 1994-03-30 폐수정화장치 KR970004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879U KR970004062Y1 (ko) 1994-03-30 1994-03-30 폐수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879U KR970004062Y1 (ko) 1994-03-30 1994-03-30 폐수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824U KR950026824U (ko) 1995-10-18
KR970004062Y1 true KR970004062Y1 (ko) 1997-04-29

Family

ID=1938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879U KR970004062Y1 (ko) 1994-03-30 1994-03-30 폐수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0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824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872B1 (ko) 스컴 제거 장치
KR100486851B1 (ko)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CN108623091A (zh) 一种印染纺织污水处理系统
CN112960792B (zh) 一种低碳环保的污水处理装置
CN208440458U (zh) 一种自动清理的膜生物反应器
CN207294445U (zh) 一种高效集成的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10905866U (zh) 高浓度含盐废水处理工艺中的搅拌澄清池
CN210065478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曝气池
KR970004062Y1 (ko) 폐수정화장치
KR920005952B1 (ko) 오수정화조의 여과재 순환 정화장치
KR200168720Y1 (ko) 유속과압력을일정하게유지한원형침전지의슬러지침강·제거장치
CN113023852B (zh) 旋转填料自清洗油泥渣水分离池
CN108751611A (zh) 高效印染废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208632333U (zh) 高效印染废水处理系统
EP0326731B1 (en) Sewage treatment plant
KR200257303Y1 (ko)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KR100472600B1 (ko) 임펠러형 표면세척장치를 구비한 원통형 여과시스템
RU2055816C1 (ru) Септик
CN219174334U (zh) 一种具有浮渣清除装置的厌氧反应器
CN214496047U (zh) 一种污水处理多级过滤装置
JP2614554B2 (ja) 水処理装置
CN214088168U (zh) 一种用于油气田废水处理的纳米气浮装置
CN219136612U (zh) 含油废水处理设备
JPS629996Y2 (ko)
KR200188553Y1 (ko) 센드세퍼레이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