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471Y1 - Tent with a heater - Google Patents

Tent with a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471Y1
KR970002471Y1 KR2019940006675U KR19940006675U KR970002471Y1 KR 970002471 Y1 KR970002471 Y1 KR 970002471Y1 KR 2019940006675 U KR2019940006675 U KR 2019940006675U KR 19940006675 U KR19940006675 U KR 19940006675U KR 970002471 Y1 KR970002471 Y1 KR 970002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room
tent
burner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6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24955U (en
Inventor
김건호
Original Assignee
김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호 filed Critical 김건호
Priority to KR2019940006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471Y1/en
Publication of KR940024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9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471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Tent with boiler room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의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에 설치되는 버너 고정기.3 is a burner fixture installed in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도는 본 고안 텐트의 내부를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의 다른 실시예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7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의 다른 실시예 저면도.7 is a bottom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8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의 다른 실시예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독립 보일러실의 텐트 부착 상태도.9 is a tent attached state of the independent boiler roo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0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을 구성하는 천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th constituting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1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인 독립 보일러실의 텐트 부착 상태도.Figure 11 is a tent attached state of the independent boiler roo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보일러실의 일부 절결 사시도.1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oiler room shown in FIG.

제 13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보일러실에 설치되는 버너고정체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rner fixed body installed in the boiler room shown in FIG.

제 14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보일러실의 또다른 버너 고정 상태도.14 is another burner fixed state diagram of the boiler room shown in FIG.

제 15도는 본 고안 보일러실의 또다른 설치 사시도.15 is another install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boiler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텐트 2 : 보일러실1: tent 2: boiler room

3 : 환기구 4, 6 : 지지대3: ventilation holes 4, 6: support

5, 7 : 지지홀 8 : 버너5, 7: support hole 8: burner

9 : 온기 주머니 10 : 버너 고정기9: warm pocket 10: burner fixture

11 : 고정다리 12 : 열판11: fixed leg 12: hot plate

13 : 지퍼 20 : 독립 보일러실13: zipper 20: independent boiler room

21 : 방화 및 방수 가공포 22 : 단열제 코팅21: fireproof and waterproof fabric 22: insulation coating

26 : 차양 30 : 고정망26 Shades 30 Fixed Net

31 : 고정끈 32 : 고정 헝겊31: fixing strap 32: fixing cloth

33 : 버너 고정체 34 : 열발산체33: burner fixture 34: heat dissipating body

40 : 열발산기 41 : 고리40: heat dissipator 41: ring

본 고안은 버너의 열을 이용하여 야외용 텐트의 난방이 가능하도록 텐트에 보일러실을 취부시킨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에 관한 것으로 야외에서도 춥지 않게 취침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in which a boiler room is mounted in a tent so that the tent of the outdoor tent can be heated by using the heat of the burner.

기존의 야외용 텐트는 바람이나 비를 피할 수 있는 구조로만 되어 있어 춥지 않은 계절에는 야외에서 텐트를 치고 취침하는데 별 문제가 없으나 기온이 내려가는 추운 계절에는 추위 때문에 텐트를 치고 취침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게 된다.Existing outdoor tents are designed to avoid wind and rain, so it is not a problem to hit and sleep in tents in the cold season, but it is difficult to hit and sleep in tents in cold season when the temperature goes down.

따라서 종래에는 추운계절에 야외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할 경우 슬리핑 백(Sleep bag)을 이용하거나 두꺼운 담요등을 이용하여 보온을 하는 실정이나 이 경우 충분한 보온이 되지 않아 동상에 걸리거나 심한 경우 동사할 우려가 있으며 다음 숙영 장소로의 이동시 슬리핑 백이나 담요등은 큰짐이 되는 것이었다.Therefore, when camping with a tent outdoors in the cold season, it is a situation to use a sleeping bag or a thick blanket to keep warm, or in this case, there is not enough heat to cause frostbite or severe verbs. There was a sleeping bag or a blanket when moving to the next camping place.

그리고 일부 사람은 추위를 참지 못하여 텐트내에 취사용 버너를 켜고 취침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경우 텐트내의 산소 부족으로 질식사할 우려가 크고 또난 버너가 넘어져 화재가 발생할 우려도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some people could not stand the cold and turn on the burner in the tent and go to bed, but in this case, there is a high risk of asphyxiation due to lack of oxygen in the tent, and the burner may fall down and cause a fire.

이같이 야영할때 필수 자재인 텐트는 추운 계절일수록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텐트에 버너로 난방을 할 수 있는 보일러실을 취부시켜 텐트 내부의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추운 계절에도 취침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Since tents, which are essential materials for camping, are less effective during cold season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difficult to sleep in cold seasons by installing a boiler room that can be heated by a burner to the existing tents. It was not.

본 고안의 목적은 텐트의 일측면에 보일러실을 취부시켜 버너로써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보일러실을 텐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므로써 필요한 경우에만 착탈시켜가며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boiler room on one side of the tent to enable heating as a burner,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boiler room detachably in the tent, so that the heating is detachable only when necessary This is to make it possible.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텐트의 일측면에 일정 공간을 형성시키는 보일러실을 취부시키고 상기 보일러실의 상부에서 텐트 내부로 온기 주머니를 고정시켜 보일러실에서 버너에 의해 발생된 더운 공기가 온기 주머니로 순환되게 하므로써 텐트 내부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to install a boiler room to form a certain space on one side of the tent and to fix the warm air bag from the top of the boiler room to the inside of the tent to circulate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burner in the boiler room to the warm air bag By doing so, the inside of the tent is heated.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통상의 텐트(1)에 있어서, 텐트(1)의 출입구(25)가 설치되는 측면 이외의 일측면에 보일러실(2)을 취부시킨 것으로 여기서 보일러실(2)은 지지홀(5)에 삽입되는 지지대(4)에 의하여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iler room (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ent (1) other than the side where the entrance (25) of the tent (1) is installed.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by the support (4) inserted into.

여기서 텐트(1)는 지지홀(7)에 고정되는 지지대(6)에 의하여 설치 완성되어지는 것으로 텐트(1)의 외관이나 형상(터널형, 돔형등)에는 관계없이 그 일측면에 보일러실(2)에 취부된다.Here, the tent 1 is installed and completed by the support 6 fixed to the support hole 7, and regardless of the appearance or shape (tunnel type, dome type, etc.) of the tent 1, the boiler room ( It is attached to 2).

보일러실(2)은 텐트(1)의 일측면에 텐트(1)를 구성하는 재질과 같은 재질의 천을 박음질하여 형성시키되 보일러실(2)의 상부에는 온기 주머니(9)를 형성시킨후 상기 온기 주머니(9)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의 내부로 돌출되어 텐트(1)의 내부 일측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어진다.The boiler room 2 is formed by sewn a cloth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tent 1 on one side of the tent (1), but the warmth bag (9)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iler room (2) The pocket 9 is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interior of the tent 1 as shown in FIG. 4 and to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tent 1.

이때 텐트(1) 내부로 형성된 온기 주머니(9)의 끝은 봉합시켜 온기 주머니(9) 내부의 공기가 텐트(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warmth bag 9 formed into the tent 1 is sealed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warmth bag 9 from flowing into the tent 1.

그리고 보일러실(2)의 외측 하방으로 환기구(3)를 설치하여 보일러실(2)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그 일측에는 제11도 및 제11도와 같이 차양(26)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빗물등이 보일러실(2) 내부로 투입되지 못하게 한다.And the ventilation port 3 is installed below the outside of the boiler room 2 so that the air flows smoothly into the inside of the boiler room 2, and the shade 26 is install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S. 11 and 11 to the outside. Prevents rainwater from entering the boiler room (2).

보일러실(2)의 내부에는 버너(8)를 위치시키되 버너(8)는 고정다리(11)와 열판(12)을 갖춘 버너 고정기(10)에 의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거나 제12도와 같이 고정끈(3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망(30)과 제13도의 버너 고정체(33)를 고정시키는 고정헝겊(32)을 보일러실(2) 바닥에 형성시켜 버너(8)를 고정시키도록 한다.The burner 8 is positioned inside the boiler room 2, but the burner 8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the burner holder 10 having the fixed leg 11 and the hot plate 12 or fixed as shown in FIG. 12. A fixing cloth 32 for fixing the fixing net 30 fixed by the string 31 and the burner fixing body 33 of FIG. 1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iler room 2 to fix the burner 8. .

여기서 버너 고정기(10)는 고정다리(11)를 땅에 박아 버너(8)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열판(12)에 의해 버너(8)의 불꽃이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게 막아주고 뜨거운 공기만 발산시켜 주게 한다.Here, the burner holder 10 drives the fixed leg 11 to the ground to prevent the burner 8 from flowing and prevents the flame of the burner 8 from rising upward by the hot plate 12 and radiates only hot air. To give.

또한 몸체(35)의 삽입구(36)(37)에 고정다리(38)와 열발산체(34)가 고정된 다리(39)를 끼워 이루어지는 버너 고정체(33)는 고정헐겊(32)에 고정다리(38)가 끼워져 고정되며 몸체(35) 내부에 버너(8)를 고정시켜 사용한다.In addition, the burner fixing body 33 formed by inserting the leg 39 on which the fixing leg 38 and the heat dissipating body 34 are fixed to the insertion openings 36 and 37 of the body 35 is fixed to the fixing helmet 32. Leg 38 is fitted to be fixed and used to fix the burner (8) in the body (35).

이때 버너 고정체(33)를 이용하는 경우는 버너(8)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이고 버너(8)의 크기가 일정치 않을 경우는 고정망(30)으로 버너(8)를 감싸 고정끈(31)으로 완전하게 고정시켜 준다.At this time, when the burner fixing body 33 is used, the size of the burner 8 is constant, and when the size of the burner 8 is not constant, the fixing strap 31 is wrapped around the burner 8 with the fixing net 30. To fix it completely.

여기서 고정헝겊(32)은 매직 테이프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한다.Here, the fixing cloth 32 is removable by using a magic tape.

그리고 보일러실(2)이 취부된 쪽의 텐트(1) 내부에는 지퍼(13)를 형성시켜 텐트(1) 내부에서 지퍼(13)를 열고 보일러실(2)에 위치된 버너(8)의 불꽃을 조절할 수도 있고 버너(8)를 사용치 않을 경우 물품을 보관하는 다용도실로 보일러실(2)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n, a zipper 13 is formed in the tent 1 on the side where the boiler room 2 is mounted to open the zipper 13 in the tent 1, and the flame of the burner 8 located in the boiler room 2 is opened. If the burner (8)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use the boiler room (2) as a utility room for storing goods.

텐트(1) 외부에서 보일러실(2)의 버너(8)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밑면의 지지대(4)를 상부로 들어 버너(8)를 조절하거나 제11도의 개방구(27)를 열어 조절한다.If you want to adjust the burner 8 of the boiler room 2 from the outside of the tent 1, as shown in FIG. 2, lift the bottom support 4 to the top to adjust the burner 8, or Open and adjust the opening 27 of the figure.

상기된 구성은 텐트(1)에 보일러실(2)이 취부되어 착탈 불가능한 것으로 기존에 시판된 텐트에도 난방을 할 수 있도록 보일러실을 착탈시키는 것에 대하여 제5도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살펴본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oiler room so that the boiler room 2 is attached to the tent 1 and is not detachable.

즉 소형 텐트와 같이 지지대(4)를 이용하여 터널식 독립 보일러실(20)을 제작하여 기존 텐트(1)의 일측면에 상기 독립 보일러실(20)을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That is, the tunnel-type 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support 4 as a small tent,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to one side of the existing tent 1 by a coupling means.

여기서 결합수단은 일반 끈이나 고무줄을 이용하여 텐트(1)와 독립 보일러실(20)을 결합시키되 텐트(1)와 독립 보일러실(20)이 밀착되면 된다.Here, the coupling means is to combine the tent 1 and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using a general cord or rubber band, but the tent 1 and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should be in close contact.

또한 독립 보일러실(20)에는 공기 유통을 도와주는 환기구(3)가 설치되며 환기구(3)에는 비,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차양(26)을 설치한다.In addition,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opening (3) to help the air distribution and the ventilation opening (3) is installed a shade 26 to avoid rain and wind.

본 고안의 보일러실(2)이나 독립 보일러실(20)은 텐트(1)의 원단보다 보온성이 좋고 방화 가공된 원단을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Boiler room 2 or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if the thermal insulation than the fabric of the tent (1) using a fire-proof fabric.

즉 보일러실(2)을 구성하는 천은 뜨거운 온기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고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0도에서와 같이 내측을 방화 및 방수 가공 처리한 방화 및 방수 가공포(21)로 형성시키고 외측은 단열제로 코팅 처리한 단열제 코팅(22)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다.That is, the cloth constituting the boiler room 2 is formed of a fireproof and waterproof fabric (21) which is fireproofed and waterproofed inside, as shown in FIG. 10,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discharge of hot warmth and minimize the risk of fire. The outer side is formed by a heat insulating coating 22 coat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maximize the heat insulating effect.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대한 작용효과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거 살펴본다.It looks at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Figures 1 to 4.

텐트(1)는 지지홀(7)에 지지대(6)를 삽입시킴으로써 그 형상을 갖추게 되고 지지대(6)는 여러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간단히 결합된다.The tent 1 has its shape by inserting the support 6 into the support hole 7 and the support 6 is simply composed of several nodes.

그리고 보일러실(2)도 지지대(4)를 지지홀(5)에 삽입시키면 간단히 정해진 형상이 갖추어지게 된다.And the boiler room 2 also has a predetermined shape simply by inserting the support 4 into the support hole (5).

따라서 텐트(1)의 일측면에 보일러실(2)이 취부되어 있더라도 텐트(1) 설치시와 동일하게 지지대(4)를 이용하여 보일러실(2)을 완성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boiler room 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ent 1, the boiler room 2 can be completed by using the support 4 as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tent 1.

텐트(1)와 보일러실(2)의 해체시에는 지지대(3)(6)만 제거시키게 되면 간단히 접어서 가방에 넣을 수 있으므로 보일러실(2)을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When dismantling the tent (1) and the boiler room (2) only if the support (3) (6) can be simply folded and put in the bag, so even if the boiler room (2) is installed does not occupy a large volume.

여기서 텐트(1)와 보일러실(2)의 형상이나 그 설치 및 제거방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떠한 형태라도 텐트(1)의 일측면에 보일러실(2)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다.Here, the shape of the tent 1 and the boiler room 2 or the method of installation and removal thereof are not important, and if the boiler room 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ent 1 in any form,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t escape

상기된 바와 같이 텐트(1)와 보일러실(2)의 조립이 끝난 상태에서 텐트(1)내에 난방을 하고자할 경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실(2) 하측이 지지대(4)를 들어준후 버너(8)를 위치시키고 상기 버너(8)는 버너 고정기(10)로 고정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nt 1 and the boiler room 2 have been assembled, the heater 1 is provid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boiler room 2 as shown in FIG. After lifting, the burner 8 is positioned and the burner 8 is fixed by the burner holder 10.

버너 고정기(10)는 고정다리(11)를 이용하여 버너(8)가 이동되지 않도록 버너(8) 주변에 박아 주면 된다.The burner holder 10 may be driven around the burner 8 so that the burner 8 is not moved by using the fixing leg 11.

여기서 버너 고정기(10)를 사용하는 이유는 불의의 사고로 버너(8)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열판(12)으로 버너(8)의 불꽃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가 발생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burner holder 10 is used is to prevent the burner 8 from falling over due to an accidental accident while preventing the flame of the burner 8 from rising to the hot plate 12, thereb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a fire. This is to prevent.

상기된 버너 고정기(10) 이외에 제13도에 도시된 버너 고정체(33)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burner holder 10 described above, the burner holder 33 shown in FIG. 13 may be used.

버너 고정체(33)는 몸체(35)에 뚫린 삽입구(36)에 열발산체(34)가 고정된 다리(39)를 끼우고 몸체(35) 내부에 버너(8)를 위치시킨후 몸체(35)를 고정헐겊(32)에 고정다리(38)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The burner fixing body 33 inserts the leg 39 having the heat dissipating body 34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 36 bored in the body 35 and positions the burner 8 inside the body 35, and then the body ( 35 is fixed to the fixed leg 38 to the fixing pan 32.

버너 고정체(33)는 버너(8)의 크기가 일반 등산용 버너(8)와 같이 그 크기가 고정 되어 있을 경우 용이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Burner fixture 33 is easy to use because the size of the burner 8 can be easily fixed when the size of the burner 8 is fixed, such as a general climbing burner (8).

그리고 제14도와 같이 열발산기(40)를 버너(8)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의 버너(8)를 이용할 경우는 열발산기(40)를 결합시킨 버너(8)를 고정망(30) 내측에 위치시킨후 고정끈(31)을 당겨 묶어 주므로써 버너(8)를 고정시킬 수 있다.And when using the burner 8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 the heat dissipator 40 to the burner 8 as shown in FIG. 14, the burner 8 to which the heat dissipator 40 is coupled is fixed to the net 30. The burner 8 may be fixed by positioning the inner side and pulling and binding the fixing string 31.

즉 보일러실(2)에는 버너(8)를 위치시키되 버너 고정기(10), 버너 고정체(33), 고정 헝겊(32)을 이용하여 이동되지 않게 고정시킴으로써 버너(8)가 넘어지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burner 8 is placed in the boiler room 2, but the burner holder 10, the burner holder 33, and the fixing cloth 32 are fixed so as not to be moved. Prevent accidents.

한편 보일러실(2)의 상부에 연결된 온기 주머니(9)는 텐트(1) 내부의 일측에 끈이나 고무줄등을 이용하여 걸어주게 되고 온기 주머니(9)의 윗부분은 막혀 있게 된다.Meanwhile, the warmth bag 9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iler room 2 is hanged by using a string or a rubber band on one side of the tent 1, and the upper part of the warmth bag 9 is blocked.

따라서 보일러실(2)의 내부에 위치된 버너(8)를 작동시키면 버너(8)는 환기구(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료를 연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을 발산하므로써 보일러실(2) 내부의 공기를 덮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urner 8 located inside the boiler room 2 is operated, the burner 8 burns fuel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ilation port 3, and thus emits heat. The air inside is covered.

보일러실(2) 내부의 덮혀진 공기는 위로 올라가 텐트(1) 내부에 고정시킨 온기 주머니(9)로 이동하게 되어 온기 주머니(9) 내부가 따뜻한 공기로 가득차게 된다.The covered air inside the boiler room 2 is moved up to the warmth bag 9 fixed inside the tent 1 so that the warmth bag 9 is filled with warm air.

온기 주머니(9)에 따뜻한 공기가 차면 텐트(1)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텐트(1) 내부의 공기도 따뜻하게 덮혀지게 되므로써 결과적으로 텐트(1)를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When warm air is filled in the warmth bag 9, heat is exchanged with the air inside the tent 1 so that the air inside the tent 1 is also warmly covered, thereby heating the tent 1.

따라서 추운 겨울철에도 보일러실(2)에 버너(8)를 피우게 되면 텐트(1) 내부의 공기가 따뜻하게 되어 추운 계절에도 야영에 문제가 없게 된다.Therefore, if the burner (8) in the boiler room (2) in the cold winter, the air inside the tent (1) is warm, there is no problem in camping even in the cold season.

한편 본 고안의 온기 주머니(9)는 표면적을 최대한 넓혀 열교환 면적을 넓힘으로써 텐트(1) 내부의 공기가 가능한 빠르게 덮혀지고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rmth bag 9 of the present invention widens the surface area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area so that the air inside the tent 1 can be covered as quickly as possible and maintain a high temperature.

그리고 온기 주머니(9)는 텐트(1)의 상부에 고정되므로 텐트(1) 내부의 활동에는 별 문제가 없으며 또한 보일러실(2)이 취부된 쪽의 텐트(1) 일측에는 지퍼(13)를 설치하여 텐트(1) 내부에서도 보일러실(2)의 버너(8)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And since the warm bag (9)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tent (1) there is no problem in the activity inside the tent (1) and also the zipper (13) on one side of the tent (1) on the side where the boiler room (2) is mounted It was installed so that the burner 8 of the boiler room 2 could be operated even in the tent 1.

또한 보일러실(2)의 사용이 필요없는 계절에는 보일러실(2)을 다용도실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ason when the use of the boiler room 2 is not necessary, the boiler room 2 can be used as a utility room.

상기된 보일러실(2)은 텐트(1)에 취부되어 시판되므로 기존의 텐트에는 적용 불가능하다.Since the boiler room 2 is mounted on the tent 1 and is commercially available, it is not applicable to an existing tent.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된 보일러실(2)을 이용한 독립보일러실(20)을 일실시예로 제시하여 기존 텐트에도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dependent boiler room 20 using the above-described boiler room 2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to enable heating to an existing tent.

이를 제5도 내지 제9도와 제11도 및 제15도에 의거 살펴본다.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5 to 9, 11, and 15.

독립 보일러실(20)은 텐트(1)와는 별개인 구조로써 지지대(4)를 이용하여 터널형 형태를 갖추게 된다.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a structure separate from the tent (1) to have a tunnel type using the support (4).

독립 보일러실(20)의 설치는 텐트(1)와 동일하게 할수도 있고 제15도와 같이 고리(41)를 이용하여 지지대(4)에 걸어 줄수도 있으며 이는 필요에 의하여 가장 간편한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Installation of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can be the same as the tent (1) or can be hooked to the support (4) by using the ring 41 as shown in Figure 15, which can be used in the most convenient way if necessary .

독립 보일러실(20)의 하부에는 차양(26)이 형성된 환기구(3)가 설치된다.The lower part of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3 in which the shade 26 is formed.

이러한 독립 보일러실(20)은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의 일측면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면 되는 것으로,Such 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to be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tent 1 by using a coupling means, as shown in Figure 9 and 11,

끈이나 고무줄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텐트(1)와 독립 보일러실(20)이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면 된다.By using a coupling means such as a string or a rubber band, the tent 1 and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may be combined to closely contact each other.

그리고 독립 보일러실(20) 내부에 버너 고정기(10), 버너 고정체(33), 고정망(30)등을 이용하여 버너(8)를 고정시킨 후 버너(8)를 점화시키면 된다.The burner 8 may be ignited after fixing the burner 8 by using the burner holder 10, the burner holder 33, the fixed net 30, and the like in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그러면 독립 보일러실(20)의 내부 온기가 텐트(1)의 일측면으로 전달되어 텐트(1) 내부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충분히 텐트(1)를 난방시킬 수 있다.Then, the internal warmth of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transmitted to one side of the tent 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ent 1 can be sufficiently heat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tent 1.

그리고 독립 보일러실(20)은 난방이 필요없는 계절에는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 텐트에도 간단히 적용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리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is convenient for us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carried in seasons without heating and can be simply applied to existing tent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텐트의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추운 계절의 양영시 효과적으로 이용되어진다.As discus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heating of the tent and is effectively used during the cold season's swimming.

Claims (5)

텐트(1)의 일측면에 취부되고 지지대(4)에 의해 그 형상이 고정되는 보일러실(2)과, 상기 보일러실(2)의 상부에서 텐트(1)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고 텐트(1) 내부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온기 주머니(9)와, 상기 보일러실(2)의 하측 외부에 설치되는 환기구(3)와, 텐트(1) 내부에서 보일러실(2)을 개방시킬 수 있는 지퍼(13)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A boiler room 2 mounted on one side of the tent 1 and fixed in shape by a support 4, connec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tent 1 at the top of the boiler room 2, and the tent 1 Warm bag (9)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inside, a ventilator (3) installed on the outside outside the boiler room 2, and a zipper (13) to open the boiler room (2) inside the tent (1) Tent with a boiler roo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보일러실(2)은 텐트(1)의 일측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독립 보일러실(20)로 구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The t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iler room (2) is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boiler room (20) so as to be detachable by one side and the coupling means of the tent (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일러실(2)을 이루는 천은 내측이 방화 및 방수 가공 처리된 방화 및 방수 가공포(21)로 이루어지고 외측이 단열재로 코팅 처리된 단열제 코팅(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The fabric constituting the boiler room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abric of the boiler room (2) is made of a fireproof and waterproof fabric (21) with fire protection and waterproof processing on the inside and a heat insulation coating (22) on the outside with a heat insulation. Tent mounted boiler roo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일러실(2)과 독립 보일러실(20)의 환기구(3)에는 차양(26)을 설치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The t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 awning (26) is provided at the ventilation port (3) of the boiler room (2) and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일러실(2)과 독립 보일러실(20)의 내측 하부에는 버너(8)를 감싸는 고정망(30)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망(30)은 상측에는 버너(8)를 고정시키는 고정끈(3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망(30)의 주변에 버너 고정체(33)의 고정다리(38)를 매직 테이프로 고정시키는 고정 헝겊(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실이 취부된 텐트.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ixed net 30 surrounding the burner 8 is attach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oiler room 2 and the independent boiler room 20, the fixed net 30 is on the upper side A fixing strap 31 for fixing the burner 8 is provided, and a fixing cloth 32 for fixing the fixing leg 38 of the burner fixing body 33 with magic tape is provided around the fixing net 30. Tent with a boiler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KR2019940006675U 1994-03-29 1994-03-29 Tent with a heater KR9700024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675U KR970002471Y1 (en) 1994-03-29 1994-03-29 Tent with a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675U KR970002471Y1 (en) 1994-03-29 1994-03-29 Tent with a 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955U KR940024955U (en) 1994-11-17
KR970002471Y1 true KR970002471Y1 (en) 1997-03-24

Family

ID=1938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675U KR970002471Y1 (en) 1994-03-29 1994-03-29 Tent with a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47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955U (en)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5415A (en) Environmentally heated and cooled pre-fabricated insulated concrete building
US4705717A (en) Tent liners/walls for cold weather operations
CA2629424A1 (en) Air conditioned tent assembly
KR101487714B1 (en) Outdoor Camping Tent Equipped with Heating Facilities
KR101934230B1 (en) single indoor tent capable of heating and cooling
KR101546349B1 (en) Portable boiler tent
KR970002471Y1 (en) Tent with a heater
ES2271441T3 (en) ROOM STRUCTURE WITH PNEUMATIC SUPPORT AND WATERPROOF WALLS THAT ALLOW VENTILATION.
KR100944374B1 (en) A portable warm and adiabatic tent
US20100200034A1 (en) Ventilable Portable Structure Assembly
KR20120040836A (en) Fishing tent for having front cap
KR102238246B1 (en) Sleeping Bag
KR200172547Y1 (en) Tent
JP3740920B2 (en) Simple house / tent chimney
US20240164984A1 (en) Insulated sauna tent for therapeutic use
CN219061128U (en) Bonfire tent
JP2585458B2 (en) Moisture / hot air discharge and hot air circulation device and building using it
KR200255862Y1 (en) Multi-function parasol tent
KR101614779B1 (en) A heating for tent
KR200162240Y1 (en) Tent with a space
KR101517559B1 (en) A fitting structure of the heating device for tent
KR102386507B1 (en) Tent for indoor
KR102030503B1 (en) Tent
KR200287739Y1 (en) A outdoor chair of heater type
KR102117605B1 (en) Air-tunn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