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46B1 - Moving radio telephone - Google Patents

Moving radio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46B1
KR970002346B1 KR1019920022118A KR920022118A KR970002346B1 KR 970002346 B1 KR970002346 B1 KR 970002346B1 KR 1019920022118 A KR1019920022118 A KR 1019920022118A KR 920022118 A KR920022118 A KR 920022118A KR 970002346 B1 KR970002346 B1 KR 970002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
receiver
analog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13017A (en
Inventor
박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346B1/en
Publication of KR94001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Abstract

An information message, stored in a memory(401) as voice data will be converted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t a VSELP decoder(208) through a SW5, and will be transmitted from a modem transmitter thru SW2, SW8, SW4, and SW3 to a FM transmitter. In case the listener of the information message of the user leaves reply message, a DTMF signal will be transmitted. In case the DTMF signal is inputted, a control system(205) stops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message and in case the counter part does not transmit the DTMF signal, it will judge whether the counter part is finished with the communication or not.

Description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Absence guidance device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제1도는 종래에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the related art.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 구체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FIG. 3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모뎀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modem of FIG.

제5도는 제3도의 메모리장치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FIG. 5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memory device of FIG.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메세지 녹음모드 설정흐름도.6 is a flow chart for setting a guide messag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메세지 확인보드 설정흐름도.7 is a flow chart setting guide message confirmatio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메세지 송출 및 상대방 메세지 녹음모드 설정흐름도.8 is a flow chart for setting a missed announcement message and a counterpart messag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방 메세지 재생모드 설정흐름도.9 is a flowchart of setting a counterpart message playback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부재시 상대방으로부터 걸려 오는 전화요구에 대해 자동으로 안내메세지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상대방의 응답메세지를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이동무선전화기에서 부재중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sed guidance device for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nd in particular, to automatically provide a guide message for a call request from a counterpart when a user is absent, to store a response message of the counterpart accordingly, and to be transferred to a user l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sed guidance device in a wireless telephone.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이동무선전화기에는 자동차등에 장착되는 카폰,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휴대폰 등이 있다.Mobile radio telephones generally used include a car phone mounted on a car, a mobile phone that a user can carry, and the like.

최근의 이동무선전화기는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에도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안내메세지를 송출하거나, 상대방의 전달메세지를 자체내에 기록하는 자동 응답가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Recent mobile radiotelephones are designed to automatically send guide messages as needed even when the user is absent or to have an automatic response capable of recording a delivery message of the other party in itself.

제1도는 종래의 자동응답장치를 가진 이동무선전화기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radio telephone having a conventional answering machine.

제1도에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는 점선으로 표시한 인용번호 100블럭의 내부회로이다. 안내메세지는 제1메모리(10)에 특정 파라메터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상대방의 응답 또는 메세지는 제2메모리(4)에 저장된다.In FIG. 1, the circuit for performing the auto-response function is an internal circuit of reference block 100 indicated by a dotted line. The guide message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10 in the form of a specific parameter, and the counterpart's response or message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4.

제1도의 자동응답동작을 살펴본다. 사용자의 부재시 상대방에게서 전화가 왔을 경우에 제어장치(7)는 저장된 내용을 송출하라는 데이타를 음성합성기(11)에 보낸다. 이 데이타를 받은 음성합성기(11)는 제1메모리(1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파라메터(진폭, 주파수, 음색정보등)를 LPC(Linear Predictive coding)방식으로 합성하여 제1저역통과여파기(12)에서 고주파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여 무선송신기(1)를 통해 상대방에게 메세지를 전달한다. 상대방은 이 메세지에 응답하여 음성이나 DTMF를 보낸다. 상대방의 음성은 제2저역통과여파기(2)에서 고주파 잡음이 제거되어 음성분석합성기(3)로 전달되며 음성분석합성기(3)에서는 전달된 음성을 ADM(Adaptive Delta Modulation)으로 분석하여 제2메모리에 저장한다.The automatic response operation of FIG. 1 will be described.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n the absence of the user, the control device 7 sends data to the voice synthesizer 11 to transmit the stored contents. The voice synthesizer 11 receiving this data synthesizes certain parameters (amplitude, frequency, timbre information, etc.) already stored in the first memory 10 by the LPC (Linear Predictive coding) method to generate the first low pass filter 12. ) To remove the noise of the high-frequency component to deliver a messag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radio transmitter (1). The other party sends a voice or DTMF in response to this message. The other party's voice is transmitted to the speech analysis synthesizer 3 by removing the high frequency noise from the second low-pass filter 2, and the speech analysis synthesizer 3 analyzes the transmitted speech by ADM (Adaptive Delta Modulation) and stores the second memory. Store in

그런데 상기 제1메모리(10)에 저장된 특성 파라메터 값들을 사용자 임의대로 바꿔줄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을 바꾸기 위해서는 음성을 진폭, 주파수, 음색정보등의 특성 파라메터 값으로 바꾸어 주는 소정의 장치를 이용해야만 제1메모리(10)에 저장이 가능하다. 즉, 종전의 발명 기술은 제1메모리(10)에 이미 정하여진 몇가지 메세지 한도내에서 밖에 안내방송할 수 없기 때문에 때로 불편할 때가 많다. 그리고 안내 방송시에는 음성합성기(11)에서 음성을 합성하고 상대방 음성의 녹음 및 재생은 음성분석합성기(3)에서 분석합성하는 이원화된 체계를 가지고 있어 회로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haracteristic parameter values stored in the first memory 10 cannot be changed at will by the user, the first memory can be changed only by using a predetermined device that changes the voice into characteristic parameter values such as amplitude, frequency, and tone information. 10 can be stored. That is, the conventional invention technology is often inconvenient because it can only guide broadcast within some message limits already defined in the first memory 10. In the announcement broadcast, the voice synthesizer 11 synthesizes a voice and the voice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the other party's voice have a dual system in which the voice analysis synthesizer 3 analyzes and synthesizes the vo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 박상윤 외 1인에 의해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91-8596호(명칭 :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Representative prior arts that solve these problems are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91-8596 (name: Missing Guidance Device for Mobile Radiotelephones), which was invented by Park Sang-yoon and others and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상기한 종래 출원 발명은 사용자 음성녹음, 안내방송, 상대방 음성녹음, 상대방 음성재생을 동일한 ADM방식의 음성분석합성기에 의해 수행되고, 안내방송을 사용자 임의대로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에 있어 편리함은 물론, 안내방송 및 상대방 음성녹음이 하나의 음성분석합성기 및 메모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회로구성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lication, the user's voice recording, guide broadcasting, counterpart voice recording, and counterpart voice reproduction are performed by a voice analysis synthesizer using the same ADM method, and the guide broadcast can be changed as desired by the user. Since the broadcasting and the other party's voice recording are made by a single voice analysis synthesizer and a memo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그러나 상기 종래 출원발명의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에 적합할 뿐, 듀얼모드, 즉 아날로그와 디지탈 모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missed guidance device of the mobile radiotelepho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the analog method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be used in dual mode, that is, analog and digital mod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부재시에 자동응답기능을 가지는 이동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lephone having an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in the absence of a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응답시 상대방의 호출시에 송출되는 안내메세지를 사용자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는 이동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lephone which can change a user's guidance message sent at the time of the call of the other party in an automatic respons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응답 가능하며, 사용자 임의대로 안내메세지 변경이 가능하며, 디지탈 방식 및 아날로그 방식에 모두 적용가능한 이동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automatic answering, to change a user's information message arbitrarily, and to be applicable to both digital and analog method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 하나의 안테나에 접속되며 송신과 수신을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송신할 때는 송신출력으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고 수신할 때에는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며 R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며 송신할 신호를 입력하여 RF 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일 때에는 아날로그 복조수단을 통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RF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일 때에는 모드전환하여 디지탈 복조수단 및 채널디코더를 통하여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입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의 음성신호일 때는 아날로그 변조수단을 통하여 송출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디지탈 모드의 음성데이타일 때는 모드전환하여 채널인코더 및 디지탈 변조수단을 통하여 송출하는 송신부를 가지는 모뎀과; 상기 모뎀 수신부의 출력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수신기에 직접 인가하고, 상기 수신부의 출력이 디지탈 음성데이타일 때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수신기에 전달하는 음성신호 발생부와; 상기 오디오 송신기 및 또는 음성신호 발생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음성신호 변환부와;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대방이 송출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신호수신기와; 사용자의 안내메세지 및 상대방의 응답메세지에 따른 데이타의 독출 및 서입이 가능한 메모리장치와; 입력되는 상대방 신호의 모드에 따라, 상기 모뎀의 모드전환동작, 상기 메모리장치의 독출동작 또는 기입동작,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 및 음성신호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DTMF 신호 수신기로부터 DTMF 신호를 수신하며 그에 따른 동작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uplexer which is connected to one antenna to u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common, and to protect the receiver from the transmission output when transmitting and to supply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r when receiving; A wireless receiver connected to the duplexer and receiving an RF signal; A wireless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duplexer for inpu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ting the RF signal; A receiver for outputting an analog voice signal through an analog demodulation means when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receiver is in an analog mode, and outputting digital voice data through a digital demodulation means and a channel decoder when the RF signal is in an analog mode; And a modem hav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n analog modulation means when the input signal is an audio signal in an analog mode, and switching the mode through a channel encoder and a digital modulation means when the input signal is voice data in a digital mode. A voice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modem receiver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directly applying the signal to an audio receiver, and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modem receiver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analog voice signal into an audio receiver; A voice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from the audio transmitter and / or a voice signal generator into digital voice data; A DTMF signal receiver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voice signal generator to receive a DTMF signal transmitted by the other party; A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data according to a user guide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of a counterpart;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other party's signal input,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of the modem, the read operation or the write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the voice signal generator and the voice signal converter, and controls the DTMF signal from the DTMF signal receiver And a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 따르면, 본 분야의 통상지식인에 있어서 본 발명이 이해될 것이며 충분히 실시가능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회로의 구성 및 그 기능은 본 발명의 특징을 흐리지 않기 위하여 설명을 약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nd ful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the construction and function of well-known circuits in general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o as not to obscur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로, 듀얼모드에 동작가능한 부재중 안내장치를 가지는 이동무선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radiotelephone having an out-of-office guide device operable in dual mode.

제2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나의 안테나(ANT)에 접속되며 서로 차폐되는 수신용 Rx단 및 송신용 Tx단을 가지는 듀플렉서(201)와, 상기 듀플렉서(201)의 Rx단에 연결되며 R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202)와, 상기 듀플렉서(201)의 Tx단에 연결되며 RF 신호를 송신할 신호를 입력하여 RF 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203)와, 사용자에게 가청음을 들려주기 위한 오디오 수신기(209) 및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오디오 송신기(210)와, 상기 무선수신기(202)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일 때에는 아날로그 복조수단을 통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RF 신호가 디지탈 모드일 때에는 모드전환하여 디지탈 복조수단 및 채널디코더를 통하여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기와, 입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의 음성신호일 때는 아날로그 변조수단을 통하여 송출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디지탈 모드의 음성데이타일 때는 모드전환하여 채널인코더 및 디지탈 변조수단을 통하여 송출하는 송신부를 가지는 모뎀(204)과; 상기 모뎀(204) 수신부의 출력이 아날로그 음성신호일 때는 오디오 수신기(209)에 직접 인가하고, 상기 수신부의 출력이 디지탈 음성데이타일 때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수신기에 전달하는 음성신호 발생부(208)와; 상기 오디오 송신기(210) 및 또는 음성신호 발생부(208)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음성신호 변환부(207)와;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208)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대방이 송출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수신기(211)와; 사용자의 안내메세지 및 상대방의 응답메세지에 따른 데이타의 독출 및 서입이 가능한 메모리장치(206)와; 입력되는 상대방 신호의 모드에 따라, 상기 모뎀(204)의 모드전환동작 및 상기 메모리장치(206)의 독출동작 또는 기입동작을 제어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208) 및 음성신호 변환부(207)를 제어하며, 상기 DTMF 수신기(211)로부터 DTMP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205)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a duplexer 201 having a reception Rx terminal and a transmission Tx terminal connected to one antenna ANT and shielded from each other, and an RF signal connected to the Rx terminal of the duplexer 201 A wireless receiver 202 for receiving, a wireless transmitter 203 connected to the Tx terminal of the duplexer 201 and inputting a signal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to be transmitted as an RF signal, and an audio receiver for listening to an audible sound to a user 209 and an audio transmitter 210 for inputting a user's voice, and when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receiver 202 is in an analog mode, an analog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an analog demodulation means, and the RF signal is in a digital mode. Is a mode for switching the mode and outputting digital voice data through the digital demodulation means and the channel decoder, and the analog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is an audio signal in analog mode. Tank means for transmitting input signals and the transmission modem 204 has a transmitting unit that via a channel encoder and a digital modulating means when the mode transition to the audio data in the digital mode in which the through and; When the output of the modem 204 receiver is an analog voice signal, it is directly applied to the audio receiver 209. When the output of the receiver is digital voice data,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converts the analog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voice signal to the audio receiver. )Wow; A voice signal converter 207 for converting analog voice signals input from the audio transmitter 210 and / or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into digital voice data; A DTMF receiver 21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and receiving a DTMF signal transmitted by the other party; A memory device 206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data according to a user's guide message and a counterpart's response messag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of the modem 204 and the reading operation or the writing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206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counterpart signal inputted, and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and the voice signal are set according to the set mode. A control unit 20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version unit 207 and receive a DTMP signal from the DTMF receiver 211 and perform operation control accordingly.

상기 모뎀(204)의 수신부는 아날로그 복조수단 및 디지탈 복조수단을 가지며, 송신부는 아날로그 변조수단과 디지탈 변조수단을 가지며, 제어장치(205)에 제어되며 모드전환(아날로그 모드에서 디지탈 모드로 또는 디지탈 모드에서 아날로그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 복조수단 및 변조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 FM(Frequen cy Modulation) 수신기 및 송신기가 있다. 또한 상기 디지탈 변조수단 및 복조수단의 일례로서, π/4-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송신기 및 수신기가 있다. 상기 π/4-DQPSK 수신기는 입력되는 RF 디지탈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출력하는 장치이고, 상기 π/4-DQPSK 송신기는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변조(modulation)하여 송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π/4-DQPSK 수신기 및 송신기에 관한 내용은 발명자 박상윤에 의해 발명되고 본건 출원인에게 양도된 국내 특허출원번호 92-1898(제목 : π/4-DQPSK 송신방법 및 장치)에 상세히 개시된 바 있다.The receiver of the modem 204 has an analog demodulation means and a digital demodulation means, and the transmitter has an analog modulating means and a digital demodulating means,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205 and is switched mode (analog mode to digital mode or digital mode). To analog mod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nalog signal demodulation means and the modulation means are a frequency (Frequen cy Modulation) receiver and a transmitter. Further examples of the digital modulation means and demodulation means include a π / 4-DQPS (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 π / 4-DQPSK receiver is a device for demodulating the input RF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voice data, and the π / 4-DQPSK transmitter is a device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digital voice data. to be. The π / 4-DQPSK receiver and transmitter are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92-1898 (Title: π / 4-DQPS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vented by the inventor Park Sang-yun and assigned to the present applicant.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208) 및 음성신호 변환부(207)는 입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이면 이를 바이패스(bypass)시키고, 디지탈 모드이면 디지탈 음성부호기를 통하여 각각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208)는 디지탈 모드의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 모드의 음성신호로 변화하여, 상기 음성신호 변환부(207)는 아날로그 모드의 음성신호를 디지탈 모드의 음성데이타로 변환하게 된다.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and the voice signal converter 207 bypass the input signal if the input signal is an analog mode, and generate analog voice signals and digital voice data through a digital voice encoder, respectively, in the digital mode. Let's do it. That is,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converts the voice data in the digital mode into the voice signal in the analog mode, and the voice signal converter 207 converts the voice signal in the analog mode into voice data in the digital mode. .

상기 디지탈 음성부호기의 대표적인 예로, VSELP 디코더(Vector Sum Excite d Linear Prediction Decoder)를 들 수 있다. 상기 VSELP 디코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거슨(A.Gerson)등에 의해 발명되고 모토롤라사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4,8 17,157(제목 : 개선된 벡터 여진원을 가지는 디지탈 음성부호기(DIGITAL SPEECH CODER HAVING IMPROVED VECTOR EXCITATION SOURCE)를 참조하기 바란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digital voice encoder, a VSELP decoder (Vector Sum Excite d Linear Prediction Decoder) may be mention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SELP decoder is described in US Patent No. 4,8 17,157, invented by A.Gerson et al. (Title: DIGITAL SPEECH CODER HAVING IMPROVED VECTOR) EXCITATION SOURCE).

상기 메모리장치(206)는 독출동작(read operation) 및 기입동작(write opera tion)이 가능한 메모리장치(일례로, 디램)를 가지며, 사용자의 안내메세지 및 또는 상대방의 응답메세지를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동작을 갖게 된다.The memory device 206 has a memory device (for example, DRAM) capable of a read operation and a write operation, and stores or outputs a user's guide message and / or a response message of the other party. Will have

상기 제어장치(205)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이를 분석하여 상대방의 RF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인지 또는 디지탈 모드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모뎀(204), 음성신호 발생부(208) 및 음성신호 변환부(207)를 제어하여 통화가능하게 한다. 또한 자동응답시에는 모뎀(204), 음성신호 발생부(208), 음성신호 변환부(207) 및 메모리장치(206)를 제어하여, 저장된 안내메세지 송출 및 상대방의 응답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205 analyzes the incoming call from the other party to determine whether the other party's RF signal is in analog mode or digital mode, and accordingly, the modem 204,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and the voice signal. The conversion unit 207 is controlled to make a call. In addition, during the automatic response, the modem 204, the voice signal generator 208, the voice signal converter 207, and the memory device 206 are controlled to send the stored guide message and to receive and store the response message of the other party. do.

제3도는 본 발명에 다른 상기 제2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구체화시킨 블럭도이다.3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block diagram embodied using a switching element.

제3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나의 안테나(ANT)에 접속되어 송신과 수신을 공통으로 하도록 하고 송신할 때는 송신 출력으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고 수신할 때는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는 듀플렉서(201)와, 상기 듀플렉서(201)의 Rx단에 연결되어 RF 음성신호(Analog Mode) 또는 음성데이타(Digital Mode)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202)와, 상기 듀플렉서(201)의 Tx단에 연결되며 음성신호(analog Mode) 또는 음성데이타(Digital Mode)를 입력받아 RF 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203)와, 상기 무선수신기(202)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가 디지탈 모드일 때는 π/4-DQPSK 수신기를 통하여 변조한 후 채널 디코더를 통하여 음성데이타를 출력하고 상기 RF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때에는 FM 수신기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입력신호가 디지탈 모드일 때에는 채널인코더 및 π/4-DQPSK 송신기를 통하여 변조하여 상기 무선송신기(203)에 송신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일 때에는 FM 송신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된 모뎀(204)과, 상기 모뎀 수신부의 출력이 아날로그 모드일 때는 오디오 수신기(209)로 음성신호 경로를 바꾸어 주고, 디지탈 모드일 때는 음성데이타를 VSELP-디코더에 연결시켜 주는 SW1과, 상기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바꾸어 주는 VSELP-디코더(208)와, 아날로그 모드일 때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모드일 때는 VSELP-디코더(215)에서 복원된 음성신호를 오디오 수신기(209)로 전달하는 SW2와, 상기 SW2에서 공급받은 음성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오디오 수신기(209)와,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필터링하여 SW4로 보내는 오디오 송신기(210)와, 디지탈 모드일 때는 음성신호를 VSELP 인코더로 아날로그 모드일 때는 음성신호를 SW3에 전달하는 SW4와, 디지탈 모드일 때 상기 SW4에서 받은 신호를 음성데이타로 바꾸어 주는 VSELP 인코더(207)와, 아날로그 모드일 때는 SW4에서 음성신호를 디지탈 모드일 때에는 상기 VSELP 인코더(207)를 통과한 음성데이타를 모뎀(204)의 송신부에 전달하는 SW3과, 오디오 수신기(209)의 입력신호를 받아 DTMF톤(tone)이 들어왔을 때 이를 해독하여 제어장치(205)에 데이타를 전달하는 DTMF 수신기(211)와, 모뎀을 제어하고 SW1, SW2, SW3, SW4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모드에 적합하게 제어하고 메모리장치(206)의 데이타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고 DTMF 수신기(211)의 데이타를 받아들이는 제어장치(205)와, 데이타의 독출 및 기입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장치(205)에 제어되는 메모리장치(206)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3, a duplexer 201 is connected to one antenna ANT to mak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mon, and protects the receiver from the transmission output when transmitting and supplies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r when receiving; A wireless receiver 202 connected to the Rx terminal of the duplexer 201 and receiving an RF voice signal or an analog data, and a Tx terminal of the duplexer 201 and an audio signal Mode or voice data (Digital Mode) and the RF transmitter 203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and when the RF signal input from the radio receiver 202 is a digital mode modulated through the π / 4-DQPSK receiver A receiver for outputting voice data through a post channel decoder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through an FM receiver when the RF signal is in analog mode, and a channel encoder and π / when the input signal is in digital mode. A modem 204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modulating through a 4-DQPSK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to the wireless transmitter 203 and transmitting to the wireless transmitter through an FM transmitter when the input signal is in an analog mode, and the output of the modem receiver is In the analog mode, the audio signal path is switched to the audio receiver 209. In the digital mode, SW1 connects the voice data to the VSELP decoder, and the VSELP decoder decodes the digital voice data a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voice signal. 208 and SW2 for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restored in the VSELP-decoder 215 to the audio receiver 209 in the analog mode, and filtering the audio signal supplied from the SW2. an audio receiver 209 for filtering and delivering to the user, and an audio transmitter for receiving and filtering the voice of the user and sending the same to the SW4 ( 210), SW4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o the VSELP encoder in the digital mode, and SW3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SW3 in the analog mode, and a VSELP encoder 207 for conver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W4 into the voice data in the digital mode; In analog mode, SW4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transmitter of the modem 204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passed through the VSELP encoder 207 in the digital mode,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audio receiver 209. DTMF receiver 211 which decodes when a tone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205, controls the modem, controls SW1, SW2, SW3, and SW4 appropriately for analog or digital mode, A control device 205 for controlling data input / output operations of the 206 and receiving data from the DTMF receiver 211 and a memory device 206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data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205. It becomes bait.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모뎀(204)의 구성블럭도이고, 제5도는 제3도의 메모리장치(206)의 구성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modem 204 of FIG. 3,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the memory device 206 of FIG.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메세지 녹음모드 설정흐름도이다.6 is a flow chart for setting a guide messag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메세지 확인모드 설정흐름도이다.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guide message confirmation mod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안내메세지 송출 및 상대방 메세지 녹음모드 설정흐름도이다.8 is a flow chart for setting the missed announcement message and the other party messag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방 메세지 재생모드 설정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of setting a counterpart message playback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제3도의 자동응답기능을 살펴본다. 이때 여러가지 동작과정이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은 동작 모드를 지정하여 제어장치의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겠다. 따라서 하기의 동작설명은 하기의 표 1 및 제3도-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질 것이다. 표 1에서, 각 모드에서 X로 표시한 스위치는 해당모드의 동작에 관계없는, 즉 비고려상태(don't care)를 나타내며, 1-2 또는 1-3 등으로 표시한 스위치는 입력단자 1과 출력단자 2 또는 출력단자 3의 접속을 나타낸다.The automatic response function of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At this time, there are various operation process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by specifying an operation mode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refore, the following operation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s 1 and 3 to 9 below. In Table 1, the switch marked with X in each mode is independent of the operation of the mode, i.e., a don't care, and the switch marked 1-2 or 1-3 indicates input terminal 1 And output terminal 2 or output terminal 3 connection.

먼저 제6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안내메세지를 녹음하는 모드 ①을 살펴 본다. 이때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송신기(210)와 VSELP 인코더(207)에서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되어 메모리(401)에 저장된다. 모드 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장치에서 행하는 스위치 제어동작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6, the user looks at the mode ① for recording a guide message. At this time, the user's voice is converted into digital voice data by the audio transmitter 210 and the VSELP encoder 207 and stored in the memory 401. The switch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to perform mode ① is shown in Table 1.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안내메세지의 내용을 확인하는 모드 ②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때에는 메모리(401)의 음성데이타를 SW5 및 VSELP 디코더(208)를 통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SW2를 거쳐 오디오 수신기(209)에 입력하게 되면 녹음된 안내메세지가 재생된다. 모드 ②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장치에서 행하는 스위치 제어동작은 표 1과 같다.Next, the mode ② in which the user checks the contents of the guide mess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t this time, when the voice data of the memory 401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through the SW5 and VSELP decoder 208 and input to the audio receiver 209 via the SW2, the recorded guide message is reproduced. Table 1 shows the switch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to perform mode ②.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때 안내메세지를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메세지를 기록하는 자동응답모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때 상대방의 전화신호가 아날로그 모드로 입력될 때는 모드 ③, 디지탈 모드가 입력될 때는 모드 ④를 수행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8, an auto-answer mode for transmitting a guide message and recording a response message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when the other party's telephone signal is input in analog mode, mode ③ and mode ④ are performed when digital mode is input.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게 된다. 자동응답모드의 설정은 사용자가 설정하게 된다.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장치(205)는 수신된 상대방의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인지 디지탈 모드인지 판단하게 되고, 아날로그 모드일 때는 표 1의 모드 ③을, 디지탈 모드일 때는 표 1의 모드 ④를 수행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여 메모리장치(401)에 안내메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When a call comes in, it checks whether auto answer mode is set. The auto answer mode is set by the user. When the auto answer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205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an analog mode or a digital mode. The mode ④ in Table 1 is used in the analog mode, and the mode ④ in Table 1 is used in the digital mode. By controlling the switch to perform the control to output a guide message to the memory device (401).

상기 모드 ③일때의 안내메세지 송출은, 메모리(401)에 저장된 음성데이타를 SW5를 통하여 VSELP 디코더(208)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SW2, SW8, SW4, SW3을 통하여 모뎀 송신부에서 FM 송수신기에 전달되어 송출된다.In the above mode ③, the announcement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VSELP decoder 208 to the analog voice signal through the SW5, SW2, SW8, SW4 and SW3 from the modem transmitter to the FM transceiver via SW5. It is sent out.

또한 상기 모드 ④일 때의 안내메세지 송출은, 메모리(401)에 저장된 음성데이타가, SW5, SW6, SW3을 거쳐 모뎀(204) 송신부의 채널인코더 및 π/4-DQPSK 수신기에 전달되어 상대방에게 송출된다.In the mode ④, the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401 is transmitted to the channel encoder and the π / 4-DQPSK receiver of the transmitter 204 of the modem 204 via SW5, SW6, and SW3 to the counterpart. do.

사용자의 안내메세지를 들은 상대방이 응답메세지를 남기고자 할 때는 DTMF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제어장치(205)는 상대방의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안내메세지의 송출을 중지하고 상대방 모드에 따라 모드 ⑤ 내지 모드 ⑥을 수행하며, 상대방이 DTMF 신호를 송출하지 않을때는 상대방이 전화를 종료했는지(전화를 끊었는지)를 판단하여 통화종료를 결정하게 된다.When the other party hears the user's guide message and wants to leave a response message, the other party transmits the DTMF signal. When the DTMF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input, the control unit 205 stops the transmission of the guide message. ⑥ If the other party does not transmit DTMF signal, it determines whether the other party terminated the call (hanging up).

상기 모드 ⑤는 상대방의 아날로그 음성신호 메세지를 SW1, SW2, SW8, SW4를 통하여 VSELP 인코더(207)에서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SW7를 통하여 메모리(401)에 저장하는 동작이다. 또한 상기 모드 ⑥은 상대방의 디지탈 음성데이타 메시지를 SW1, SW6, SW7을 통하여 메모리(401)에 저장한다. 모드 ⑤ 또는 모드 ⑥은 수행중에 제어장치(205)는 상대방 메세지가 끝나는지를 체크하고 있다가, 상대방 메세지의 종료시에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 상기 모드 ③-모드 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장치에서 행하는 스위치 동작조건은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다.In the mode ⑤, the analog voice signal message of the counterpart is converted into digital voice data by the VSELP encoder 207 through SW1, SW2, SW8, and SW4 and stored in the memory 401 through SW7. In addition, the mode ⑥ stores the digital voice data message of the counterpart in the memory 401 through SW1, SW6, and SW7. In mode (5) or mode (6), the control unit 205 checks whether the counterpart message is over during execution, and terminates the call at the end of the counterpart message. The switch operating conditions performed in the control device to perform the mode ③-mode ⑥ are shown in Table 1 above.

다음에 제9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전화기에 녹음된 상대방 메세지를 재생하는 모드 ⑦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대방 메세지 재생모드가 지정되면, SW1을 통하여 메모리(401)에 저장된 상대방 메세지가 VSELP 디코더(208)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SW2를 거쳐 오디오 수신기(209)에 입력되어 재생된다. 상기 모드 ⑦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장치에서 행하는 스위치의 동작조건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Next, referring to FIG. 9, the mode ⑦ in which the user plays the other party's message recorded on the telephone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when the other party message reproduction mode is designated, the other party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401 through SW1 is converted into an analog voice signal by the VSELP decoder 208 and inputted to the audio receiver 209 via SW2 to be reproduce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witch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to perform the mode ⑦ are shown in Table 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사용자 부재시 자동응답 가능하고, 사용자 임의대로 안내메세지 변경이 가능하며, 디지탈 방식 및 아날로그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무선전화기의 제공이 달성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sponding in the absence of a user, to change a guide message arbitrarily, an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digital and analog manner.

또한 별도의 특정회로의 제작 없이, 종래의 회로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각 구성수단간의 스위칭 동작만으로 상기한 동작들이 가능해지므로, 제어장치(205)의 구성 또는 대단히 용이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re possible only by the switching oper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means and configuring the system using a conventional circuit, without the production of a specific specific circui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205 is greatly facilitated.

또한 메모리에 안내메세지를 저장할 때에, 데이타 축약기능을 갖는 VSELP 방식을 채택하여 안내메세지를 저장함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타량이 감소되는 장점도 아울러 갖게 된다.In addition, when storing the announcement message in the memory, by adopting the VSELP method having a data reduction function to store the announcement message, the amount of data to be stored in the memory also has the advantage.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제6도-제9도에 도시하나 제어수순은 제어장치에 의하지 않고서도, 마스크롬등의 ASIC 소자나 게이트 어레이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며, 씨랭귀지(C-language)등의 프로그래밍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화하여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6 to 9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 procedure may be implemented using an ASIC device such as a mask ROM, a gate array, or the like without using a control device, and C-language. It may be achieved by programming using a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무선전화기의 부재중 안내장치는 사용자 부재시 상대방의 전화호출시 자동응답하여 송출되는 안내메세지의 내용을 사용자 임의대로 바꿀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VSELP(Vector Sum Exited Linear Perdiction) 방법을 채택하여 기억해야할 양을 축소시켰으며 또한 듀얼모드 이동무선전화기(Analog, Digital겸용)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ssed guidance device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contents of the guidance message sent by the automatic response when the other party calls the user in the absence of the us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VSELP (Vector Sum Exited) By adopting the Linear Perdiction method, the amount to be memorized is reduced, and it can be usefully applied in dual mode mobile phones (Analog and Digital).

Claims (1)

이동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하나의 안테나에 접속되어 송신과 수신을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송신할 때는 송신출력으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고 수신할 때에는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며 R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며 송신할 신호를 입력하여 RF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일 때에는 아날로그 복조수단을 통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RF 신호가 디지탈 모드일 때에는 모드전환하여 디지탈 복조수단을 통하여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입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모드의 음성신호일 때는 아날로그 변조수단을 통하여 송출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디지탈 모드의 음성데이타일 때는 모드전환하여 디지탈 변조수단을 통하여 송출하는 송신부를 가지는 모뎀과; 상기 모뎀 수신부의 출력이 아날로그 음성신호일 때는 오디오 수신기에 직접 인가하고, 상기 수신부의 출력이 디지탈 음성데이타일 때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수신기에 전달하는 음성신호 발생부와; 상기 오디오 송신기 및 또는 음성신호 발생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음성신호 변환부와;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대방이 송출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신호수신기와; 사용자의 안내메시지 및 상대방의 응답메시지에 따른 데이타의 독출 및 서입이 가능한 메모리장치와; 입력되는 상대방 신호의 모드에 따라, 상기 모뎀의 모드전환동작과 상기 메모리장치의 독출 또는 기입동작 및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 및 음성신호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DTMF 신호수신기로부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A mobile radio telephone, comprising: a duplexer connected to one antenna to us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common, and to protect the receiver from a transmission output when transmitting and to supply a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r when receiving; A wireless receiver connected to the duplexer and receiving an RF signal; A wireless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duplexer and transmitting an RF signal by inputting a signal to transmit; When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s an analog mode, an analog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an analog demodulation means, and when the RF signal is a digital mode, a mode is switched and the digital signal is inputted through a digital demodulation means. A modem hav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n analog modulation means when the signal is an audio signal in an analog mode and switching the mode when the input signal is voice data in a digital mode; A voice signal generator for directly applying to the audio receiver when the output of the modem receiver is an analog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analog voice signal into an audio receiver when the output of the modem receiver is digital voice data; A voice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from the audio transmitter and / or a voice signal generator into digital voice data; A DTMF signal receiver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voice signal generator to receive a DTMF signal transmitted by the other party; A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data according to a user guide message and a counterpart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other party signal input,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of the modem and the read or write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and the voice signal generator and the voice signal converter are controlled, and the DTMF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TMF signal receiver. A mobile radio telephone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control.
KR1019920022118A 1992-11-23 1992-11-23 Moving radio telephone KR9700023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118A KR970002346B1 (en) 1992-11-23 1992-11-23 Moving radio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118A KR970002346B1 (en) 1992-11-23 1992-11-23 Moving radio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17A KR940013017A (en) 1994-06-24
KR970002346B1 true KR970002346B1 (en) 1997-03-03

Family

ID=1934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118A KR970002346B1 (en) 1992-11-23 1992-11-23 Moving radio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34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17A (en) 199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498B1 (en) Dual mode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 echo canceller employed in both analog and digital modes
US6658267B1 (en) Interoperable am/fm headset wireless telephone device
JP2546535B2 (en) Mobile phone
JPH06232957A (en) Voic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445460B1 (en) Portable telephone
JPH06216811A (en) Voice communication equipment containing echo canceller
JP3426727B2 (en) Dual 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580903B2 (en) Circuit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voice and other sounds in digital mobile radio devices
KR970002346B1 (en) Moving radio telephone
US20010031650A1 (en) Method for optimizing a user signal in a voice terminal, and a voice terminal
US20050059434A1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effect for mobile phone
KR940002147B1 (en) Automatic announcement system in mobile telephone
KR1003425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ording voice signals of mobil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2568030Y2 (en) Telephone system
KR1002385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 using a cellular phone in a radio telephone
JPH10271061A (en) Digital radio telephone set
JP398199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812224B2 (en) Memory calling type telephone device
KR20010087677A (en) Automatic response method for a cellular phone
JP2002223280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JPH0262148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ystem
JPH05103074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H07143223A (en) Digital radio telephone system
WO2000035109A1 (en) Connection-separation free recording phone unit for wire-wireless and cellular phone
JPH07240786A (en) Voic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