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56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56Y1
KR970001756Y1 KR2019940032738U KR19940032738U KR970001756Y1 KR 970001756 Y1 KR970001756 Y1 KR 970001756Y1 KR 2019940032738 U KR2019940032738 U KR 2019940032738U KR 19940032738 U KR19940032738 U KR 19940032738U KR 970001756 Y1 KR970001756 Y1 KR 970001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ixing
wall
support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914U (ko
Inventor
송웅부
Original Assignee
송웅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웅부 filed Critical 송웅부
Priority to KR2019940032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756Y1/ko
Publication of KR960019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 A47G1/1626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8Frameless picture hold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자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일예시도.
제2도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참고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부재 2 : 지지부재
3 : 벽면 4 : 화병
5 : 유리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림의 크기에 상응하는 높이를 이루도록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벽면에 그림을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그림의 크기가 서로 다르더라도 범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지지부재에 꽂을 꽂을 수 있는 화병을 마련하므로서 장식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그림등은 통상적으로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이루는 사진틀 또는 액자 등에 진열하고자 하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끼워 넣은 후 그림이 끼워진 액자를 벽에 걸거나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그림이나 사진등을 벽에 진열 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그림이나 사진등을 벽에 진열하기 위해서는 그림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액자(사진틀)를 구비하여야 하고, 액자를 구비하였다 하더라도 그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아니하고 길이와 폭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별도의 액자를 새로 구입하여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일정한 크기를 이루는 액자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그림만을 교환하여 교체가 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크기를 이루는 그림등은 그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또 다른 액자에 끼워서 진열 하여야만 하므로서 범용성이 결여되고 특히 전시장에 그림등을 전시하는 경우 전시된 그림에 꽂을 꽂을데가 없어 꽂을 바닥에 놓거나 그림이 부착된 벽면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꽂을 고정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벽면에 그림등을 진열하는 액자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그림의 크기와 폭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그림의 상, 하부를 고정하여 진열할 수 있게 하므로서 특히, 장식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전시용 액자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일예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제3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참고도로서, 본 고안은 벽에 판넬과 그림등을 진열할 수 있는 액자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그림(A)의 상, 하부를 지지고정하도록 2분할되는 고정부재(1)와 지지부재(2)를 이용하여 진열하고자 하는 그림(A)의 크기와 폭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그림의 상, 하부를 고정하여 벽면(3)에 진열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림(A)의 상부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와 그림(A)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로 이루어져 각각의 고정부재(1)와 지지부재(2)의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벽면(3)에 고정한 다음 벽면(3)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부재(1, 2)를 이용하여 그림(A)을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구(11)와, 그림의 상부측을 협지하도록 협지부(121)가 형성된 협지구(12)와, 사기 협지구(12)를 고정구(11)에 연결하는 지지간(13)으로 이루어지고, 그림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는 벽면(3)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21)와, 그림의 하부측을 협지하도록 협지홈(221)이 형성되는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에 고정브라켓(21)을 조립, 체결하는 체결부재(23)로 되어 있다.
지지부재(2)에 화병(4)을 설치하여 상기 화병(4)에 생화나 조화 등과 같은 꽃을 곶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2)에 설치되는 화병(4)은 화병(4)의 하부측을 원뿔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대(22)에는 화병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끼움부(222)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222)에 원뿔형으로 형성시킨 화병(4)을 끼우는 것만으로 지지부재(2)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5는 그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리를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벽면에 그림등을 진열할 수 있는 액자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그림의 상, 하부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그림을 벽면에 고정되게 진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진열하고자 하는 그림의 크기와 폭이 서로 상이 하더라도 그림의 상, 하부를 고정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의 간격 즉 그림의 크기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조정하는 것만으로 그림을 진열할 수 있다.
벽면에 진열되는 그림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꽃꽂이 화병을 설치하여 상기 화병에 생화나 조화 등과 같은 꽃을 꽂으면 새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장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그림의 상, 하부를 고정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주재(1)와 지지부재(2)를 그림(A)의 크기에 상응하는 높이를 이루도록 조정하는 것만으로 벽면(3)에 그림을 용이하게 진열이 가능하여 범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지지부재의 지지대에 꽃꽂이 화병(4)을 설치하여 상기 화병(4)에 생화나 조화 등과 같은 꽃을 꽂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특히 전시용 액자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성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벽면에 그림을 진열하는 액자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그림(A)의 상부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와 그림(A)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로 이루어져 벽면(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 2) 사이에 그림(A)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구(11)와, 그림의 상부측을 협지하도록 협지부(121)가 형성된 협지구(12)와, 상기 협지구(12)를 고정구(11)에 연결하는 지지간(13)으로 이루어지고, 그림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는 벽면(3)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21)와, 그림의 하부측을 협지하도록 협지홈(221)이 형성되는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를 고정브라켓트(21)에 조립, 체결하는 체결부재(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화병(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19940032738U 1994-12-02 1994-12-02 액자 KR970001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738U KR970001756Y1 (ko) 1994-12-02 1994-12-02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738U KR970001756Y1 (ko) 1994-12-02 1994-12-02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14U KR960019914U (ko) 1996-07-18
KR970001756Y1 true KR970001756Y1 (ko) 1997-03-15

Family

ID=1940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738U KR970001756Y1 (ko) 1994-12-02 1994-12-02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7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14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63840S (en) Display stand
US5593045A (en) Eyeglass and eyeglass frame display fixture and system
US5444929A (en)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a multiplicity of objects or pictures
USD433713S (en) Display panel
US4790089A (en) Picture frame
KR970001756Y1 (ko) 액자
USD320622S (en) Display stand for noting television schedules
USD442321S1 (en) Fluorescent lamp and screen
USD421655S (en) Flanged support post interfacing with side panel insert
CN210300443U (zh) 一种无钉双面画框
US6510638B1 (en) Picture frame
US4145826A (en) Display holder for displaying a plate or the like
USD341538S (en) Picture hanging bracket
US5857278A (en) Image support apparatus
CN214775116U (zh) 一种多功能室内饰品
USD327097S (en) Combined header and sign support housing for a display stand
JP2550314Y2 (ja) 額 縁
CN213696415U (zh) 一种双面用立体相框
USD282419S (en) Flower pot support
USD328142S (en) Display sign for automobiles or the like
KR890004992Y1 (ko) 사진틀을 끼워 고정할 수 있게된 수반
JPS6131529Y2 (ko)
JPH0126287Y2 (ko)
USD355677S (en) Advertising display
USD368848S (en) Curtain rod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