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640Y1 - 피아노조율용 렌치 - Google Patents

피아노조율용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640Y1
KR970001640Y1 KR2019930020588U KR930020588U KR970001640Y1 KR 970001640 Y1 KR970001640 Y1 KR 970001640Y1 KR 2019930020588 U KR2019930020588 U KR 2019930020588U KR 930020588 U KR930020588 U KR 930020588U KR 970001640 Y1 KR970001640 Y1 KR 970001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cover
wrench
support a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408U (ko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2019930020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640Y1/ko
Publication of KR950012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0Tuning pins; 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아노조율용 렌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복합워엄기구와 내면치형을 보인 부분도.
제5도는 지지클램프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통형본체 2 : 지지아암
3 : 지지클램프 4 : 회전기구
5 : 나사축 6 : 덮개
7 : 복합워엄치차 8 : 회전노브
11 : 바닥구멍 21 : 장공
31 : 지지편 32 : 걸이구
33 : 손잡이 34 : 스프링
41 : 내면기어 42 : 팔각홈
43 : 축봉 61 : 격판
71 : 큰치형 72 : 작은치형
본 고안은 피아노의 현을 조율하기 위한 렌치에 대한 것으로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2-23702호 (이하 선 고안이라 함)의 개량고안인 것이다.
피아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을 한쪽에 고정하고 타단을 조절나사에 감아 조여 주므로써 팽팽히 긴장되어 있도록 한 현을 건반에 연결된 해머가 타격 하므로써 소리를 내는 악기이며, 일반적으로 이 현들은 연속되는 해머의 타격과 현의 자체 장력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긴장상태가 느슨해져 음정이 점차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주기적으로 현을 조절해 음정을 다시 맞추어 주는 조율작업이 필요 하며,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하나의 음의 보통 2-3개의 현을 동시에 울려 발생하므로 이들 2-3개의 현을 동일하게 조여주는 것이 중요하고, 또 음과 음사이의 간격인 음정을 정확하게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이 조율의 중요한 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조율을 달성하기 위해 조절나사를 돌려주기 위한 박스렌치와 조율사의 청각에 의존하는 것이 고작이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박스렌치를 써서 조절나사를 돌리는데 있어서 약 90-100㎏/㎜ 정도의 장력을 가진 현을 약 1°내외로 미세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힘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고도로 훈련된 숙련공이 아니면 미세조절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고, 또 조율사가 다른 사람일 경우, 또 동일한 조율사라 할지라도 당사자의 청각컨디션 정도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했던 것으로 바람직한 조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어의 감속비를 이용한 조율렌치와 현의 음을 정확하게 감지할수 있는 공지의 디지탈튜너를 여기에 일체로 결합하여 완성한 것이었으나 다음과 같은 미비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작은 힘으로도 조절나사를 돌릴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세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스퍼어기어를 조합연결하여 감속기능을 부여 하였는데 이는 단순한 스퍼어기어로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레버를 놓았을 때 현의 장력에 의해 약간씩 다시 반전하는 힘이 남아 정확한 조절에 다소 문제가 있었다.
둘째, 상기와 같은 감속비는 대략 200:1 내지 500:1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여러단계의 반복되는 스퍼어기어의 조합이 필요한바 결국 그 부피가 커지고 무거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좁은 피아노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운신하기에 부적당 한것이었다.
셋째, 조절나사를 돌려주기 위해서는 조율기가 어느 한곳에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기준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클램프를 구비 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나사레바를 풀었다 조였다 하는 조작을 매번 실시 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작업에 역행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선 고안의 미비점을 개선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조절나사를 돌렸을 때 회전노브를 놓더라도 현의 장력에 의해 역회전할수 없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다른 목적은 최소의 기어로써 원하는 감속비가 나올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나가서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 시켜 보다 자유스럽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렌치를 지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보다 간단히 조작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을 가진 지지아암이 일체화 되어 있는 원통형본체와 이 본체의 속에 내장되어지되 반대측으로 팔각홈이 마련된 축봉이 돌설 되어지고, 원형의 내주연을 따라 내면기어가 형성된 회전기구와 이 회전기구의 중앙에서 상기한 축봉과 동축상에 위치된 나사축과 이 나사축과 상기의 회전기구의 탈출을 막기 위해 상기 원형본체의 개방부에 덮어 고정한 덮개와 이 덮개의 내측 격판상에 소축으로써 가로로 축설되어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큰치형은 상기한 내면기어에 접하고, 이 큰치형의 끝면에서 원통면을 따라 형성된 작은치형은 상기한 나사축에 치합한 복합워엄치차와로 구성하여 덮개의 위로 연장된 상기 나사축의 끝단에 핀으로 고정한 회전노브를 돌리므로써 회전기구의 축봉이 감속회전하도록 한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로써 원통형본체(1)와 본체로 부터 연장되어진 지지아암(2)을 볼수 있고, 이 아암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클램프(3)를 결합하고 또 이동시킬수 있다.
원통형본체(1)의 속에는 단면도인 제2도에서 보듯이 회전기구(4)가 내장된다. 이 회전기구는 원통의 용기모양으로 되어 있어 안쪽내면을 따라 내면기어(41)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의 중앙에서는 끝단에 팔각홈(42)을 가진 축봉(43)이 돌설되어 있어 원통형본체의 바닥구멍(11)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 회전기구(4)의 속에는 중앙에 나사축(5)이 위치되는데 이는 상기한 축봉(43)과 동축상에 있게 되며, 이 나사축과 상기한 회전기구(4)는 원통형본체(1)의 개방측에서 덮고 나사로 고정한 덮개(6)에 의해 탈출이 방지되고, 또 이 덮개는 안쪽으로 격판(6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 격판에는 상기 나사축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소축(73)을 가진 복합워엄치차(7)가 축설되어 상기 내면기어와 나사축사이에 치합된다.
여기서 복합워엄치차(7)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큰치형(71)이 형성되어 있고, 또 큰치형의 끝에는 원통면을 따라 작은치형(72)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3도에서 보듯이 큰치형은 내면기어(41)에 치합되고, 작은치형은 나사축(5)에 치합된다.
이후, 덮개(6)의 중앙으로 돌설된 나사축(5)의 상단(51)에는 회전노브(8)를 핀(81)으로써 고정하여 이를 돌렸을 때 나사축(5)과 복합워엄치차(7)와 내면기어(41)를 통해 감속된채 축봉(43)이 회전될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아암(2)상의 지지클램프(3)는 ㄷ자형 지지편(31)과 이 지지편의 중앙에서 안쪽으로 위치한채 지지아암의 장공(21)에 끼워질 걸이구(32)와 상기 지지편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위치한채 상기 걸이구를 회동시킬 손잡이(33)로 구성하여 지지아암에 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되 상기 걸이구(32)와 손잡이(33)는 서로 나사결합하고, 손잡이(33)와 지지편(31)간에는 스프링(34)을 개입시켜 걸이구(32)가 항상 후측으로 당겨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내부 작동상태를 먼저 설명하자면 회전노브(8)를 돌리면 나사축(5)이 회전하므로 이 나사축(5)에 작은치형(72)으로 치합된 복합워엄치차(7)는 소축(73)을 지점으로 나사축(5)과 가로로 놓인채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는 복합워엄치차(7)는 그 큰치형(71)이 회전기구의 내면기어(41)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축봉(43)을 가진 회전기구(4)를 회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감속이 이우어진다. 더 자세히 말해서 나사축(5)과 복합워엄치차(7)의 작은치형(72)과의 관계를 보면 나사축(5)이 워엄의 역할을, 복합워엄치차(7)는 워엄기어 역할을 하므로 그 나사축의 피치와 리드수, 작은치형의 지름과 잇수에 따라 일차적인 감속이 이루어 지며, 다시 복합워엄치차(7)의 큰치형(71)과 내면기어(41)의 관계를 보면 앞서와 반대로 큰치형(71)이 워엄의 역할을, 내면기어(41)가 워엄기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큰치형의 피치와 리드수, 내면기어의 내경과 잇수에 따라 또다시 이차적인 감속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는 복합워엄치차(7)가 그 원통상에서 큰치형으로 인한 워엄기능과 작은치형으로 인한 워엄기어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두차례의 감속단계만으로도 큰 감속비를 얻을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복합워엄치차(7)는 감속비의 변화에는 관계없이 강도를 위해 하나, 둘 또는 셋이상 안정적인 배치상태로 여러개를 개입시킬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렌치는 그 감속비가 약 200:1 냐자 500:1정도 일때가 적당한데 제작당시 정해지는 것이고, 예컨데 감속비가 360:1 일 경우를 보면 회전노브(8)를 한바퀴돌렸을 때 회전기구(4)의 축봉(43)은 각도 1°가 회전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렌치를 이용해 피아노 현을 조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율하고자 하는 현의 조절나사를 본 고안 축봉(43)의 팔각홈(42)에 끼워지도록 하되 먼저 지지아암(2)의 각도를 적당히 움직여 그 장공(21)상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클램프(3)를 피아노의 덮개(도시하지 않았음)에 걸리도록 한다.
이를 지지점으로하여 회전노브(8)를 돌리면 상술한 과정대로 축봉(43)이 미세하게 회전되므로 축봉(43)의 팔각홈(42)에 끼워진 현의 조절나사역시 조금씩 회전될수 있어 현의 긴장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각으로된 조절나사의 회전상태와 지지아암(2)의 각도가 잘맞지 않아 지지클램프(3)를 피아노의 덮개의 걸수 없을 때에는 미리 조작노브(8)를 약간돌려 적당한 각도가 되었을 때 지지클램프(3)를 장공(21)의 길이범위내에서 움직여 준후, 피아노덮개 걸어주면 간단히 지지시킬수 있다.
위에서 자세히 설명한바와 같은 본 고안은 현의 조절나사에 끼워지는 축봉(43)과 조작노브(8)와의 동력전달과정이 워엄과 워엄기어의 치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돌려주던 회전노브를 놓는다 하드라도 현의 긴장도 때문에 다시 반전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고, 또한 감속을 위해 워엄과 워엄기어를 이용하되 특별히 제작된 복합워엄치차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단 2회의 감속절차 만으로도 대폭적인 감속이 이루어 질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필요한 치차의 수를 매우 간단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렌치자체의 부피와 무게를 소형, 경량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 것이며, 지지클램프를 지지아암의 장공내에서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또 단순히 끼워 걸도록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신속해질수 있는등 선 고안의 미비점을 모두 해소한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장공(21)을 가진 지지아암(2)이 일체와 되어 있는 원통형본체(1)와; 이 본체의 속에 내장되어지되 반대측으로 팔각홈(42)이 마련된 축봉(43)이 돌설 되어지고, 원형의 내주연을 따라 내면기어(41)가 형성된 회전기구(4)와; 이 회전기구의 중앙에서 상기한 축봉(43)과 동축상에 위치된 나사축(5)과; 이 나사축과 상기의 회전기구의 탈출을 막기 위해 상기 원형본체의 개방부에 덮어 고정한 덮개(6)와; 이 덮개의 내측 격판(61)상에 소축(73)으로써 가로로 축설되어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큰치형(71)은 상기한 내면기어(41)에 접하고, 이 큰치형의 끝면에서 원통면을 따라 형성된 작은치형(72)은 상기한 나사축(5)에 치합한 복합워엄치차(7)와;로 구성하여 덮개의 위로 연장된 상기 나사축(5)의 끝단에 핀(81)으로 고정한 회전노브(8)를 돌리므로써 회전기구(4)의 축봉(43)이 감속회전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조율용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합워엄치차(7)를 나사축(5)과 내면기어(41)의 사이에서 덮개의 격판(61)상에 가로로 축설하되 둘이상을 대향지게 배열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조율용 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아암(2)에 지지클램프(3)를 마련하되 ㄷ자형 지지편(31)과; 이 지지편의 중앙에서 안쪽으로 위치한채 지지아암의 장공(21)에 끼워질 걸이구(32)와; 상기 지지편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위치한채 상기 걸이구를 회동시킬 손잡이(33)로 구성하여 지지아암에 착, 분리시킬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조율용 렌치.
KR2019930020588U 1993-10-08 1993-10-08 피아노조율용 렌치 KR970001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588U KR970001640Y1 (ko) 1993-10-08 1993-10-08 피아노조율용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588U KR970001640Y1 (ko) 1993-10-08 1993-10-08 피아노조율용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08U KR950012408U (ko) 1995-05-17
KR970001640Y1 true KR970001640Y1 (ko) 1997-03-15

Family

ID=1936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588U KR970001640Y1 (ko) 1993-10-08 1993-10-08 피아노조율용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6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08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9448A (en) Drum tuning system
US7816594B2 (en) Tuning peg
JPS6336369Y2 (ko)
US4026182A (en) Tuning peg
US5998713A (en) Tuning peg
US4625614A (en) Tuning device
JPH09269770A (ja) 弦楽器用糸巻具
US20020026864A1 (en) Ukelele tuning machine
US5767427A (en) Fine tuner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s
KR970001640Y1 (ko) 피아노조율용 렌치
AU634688B2 (en) Tensioning mechanism for strapping tool
US4287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drum
JPS6053994A (ja) 弦楽器の調律装置
US5728955A (en) Tuning device
JPS5840757B2 (ja) ドラム調整用キ−兼シンバル保持具
EP3655945B1 (en) Percussion instrument
US6365811B1 (en) Drum head attachment and tuning assembly
US4191086A (en) Tuning device
KR920004286Y1 (ko) 소켓렌치
US5696341A (en) Guitar string tuning system
US494580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achine head
US4014239A (en) Guitar string tuning device
US1802937A (en) Internal-geared tuning peg
US3674909A (en) Pitch change limiting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005628A (en) Tuning key for stringed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