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95Y1 - 폭발신호 지연 장치 - Google Patents

폭발신호 지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95Y1
KR970000495Y1 KR2019930024685U KR930024685U KR970000495Y1 KR 970000495 Y1 KR970000495 Y1 KR 970000495Y1 KR 2019930024685 U KR2019930024685 U KR 2019930024685U KR 930024685 U KR930024685 U KR 930024685U KR 970000495 Y1 KR970000495 Y1 KR 970000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hock tube
primer
insertio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092U (ko
Inventor
이석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오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오재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2019930024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95Y1/ko
Publication of KR950015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0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6Relative timing of multiple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폭발신호 지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폭발신호 지연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폭발신호 지연장치의 본체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도폭선과 뇌관 그리고 쇼크 튜브의 장착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폭선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폭발신호 지연 장치간의 연결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7도는 선행기술의 기폭신호 전달구조를 보인 설명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연 장치를 이용한 벤치 발파의 예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도폭선 삽입공
3 : 도폭선 4 : 뇌관
5 : 뇌관 장착홀 6 : 쇼크 튜브 고정공
7 : 첨장약 8 : 쇼크 튜브
9 : 절개부 10 : 협지턱
11 : 걸림턱 12 : 쐐기홈
13 : 예비홀
본 고안은 비전기식 발파현장에서 발파시 기폭신호 전달용으로 사용되는 도폭선의 연결선 중간에 설치하여 폭발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는 폭발신호 지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폭선의 지연 연결장치는 도폭선의 폭발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다음의 도폭선에 전달하고, 1/1000초 단위로 폭발시간을 지연 조절하여 1회의 폭발량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폭약을 사용하는 경우, 저소음, 저진동 상태를 실현하거나, 원하는 상태의 폭발현상으로 제어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발파의 제어에 있어서 전기뇌관을 사용하는 경우 각 발파약에 들어가는 폭약기폭용 단발뇌관(지연뇌관)을 사용하여 전기뇌관의 전선을 직렬, 병렬, 직병렬등으로 뇌관 각선과 보조모선, 발파모선에 연결하여 발파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뇌관은 발파 단차 구성이 제한되는 문제와 전기적 불안전 요소등으로 인하여 기피되고 있으며, 비 전기식 발파가 여러 용도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 전기식 발파에는 비전기식 뇌관만을 기폭신호 전달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도폭선만을 기폭신호 전달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비전기뇌관과 도폭선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비전기식 뇌관 발파에서는 발파표면의 지연장치로 TLD(Trunk Line Delay)가 사용되고 있으며, 비전기 뇌관과 도폭선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폭선과 비전기 뇌관사이에 TLD를 사용하고 있으나, 도폭선을 연결선으로 사용하는 발파에서는 TLD를 사용할 경우 연결이 불편하고 기폭신호의 전달방향이 단일 방향으로 되어 있어 불편한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미국 특허 4,187,780호의 도폭선과 뇌관 접속 블록(Detonating Cord and Blasting Cap Connector Block)이나, 미국 특허 5,192,828호의 도폭선과 무탄성인 뇌관 접속블록 및 코드 래치(Detonating Cord and Blasting Cap Connector Block having a resilient free and Cord Latch)에서는 도폭선 끝을 쐐기홈에 끼워야 하며, 쐐기홈에서 빠지거나 불확실한 체결의 경우 되돌아온 폭발신호의 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들을 제7도로 보인 바와 같이 폭발신호의 전달이 연결장치에서 2회의 방향 전환을 하게 되므로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제7도로 보인 바와 같이 기폭측은 도폭선의 폭력이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뇌관을 기폭시키고 뇌관이 기폭되어 쇼크 튜브를 기폭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전달과정에서 문제가 없으나, 수폭측은 쇼크튜브가 뇌관에 신호를 전달하여 지연장치를 거쳐 뇌관이 기폭되어 도폭선을 기폭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뇌관의 기폭방향이 기폭신호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되어 있어 도폭선의 기폭이 뇌관의 기폭방향을 따라 진행되고 뇌관의 후미에서 도폭선이 절단되면서 정방향의 진행이 중단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방향으로 진행된 도폭선의 기폭이 되돌아와 정방향으로 절단되어 증단된 부위이후에 연결시켜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은 제7도에서와 같이 수폭측에서는 연결장치내에서 도폭선의 폭발신호가 역방향으로 돌아서 절단된 이후 부분에 다시 연결시켜 주는 과정에서 연결 접촉상태가 유동이 생길때 기폭신호의 전달 실패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영국 특허 1,537,682호의 미리세컨드 지연접속구(Millisecond Delay Connector)는 도폭선을 연결장치에 끼워 넣은후 도폭선의 끝을 쇼크 튜브와 묶어서 연결시켜 도폭선의 기폭신호를 쇼크튜브에 전달하는 불편한 절차를 거쳐야하며, 또한 미국 특허 5,171,935호의 저에너지 기폭 시스템 방법과 그 표면 연결(Low energy blasting initiation system method and surface connection thereof)에 있어서도 도폭선의 연결선에 사용시 쇼크튜브와 도폭선을 묶는 절차에 있어서 특별한 연결방법을 강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미국 특허 4,716,831호의 도폭선 접속구(Detonating Cord Connector)는 역방향으로 연결시 지연 작용은 물론 기폭신호의 전달 마저도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제안들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폭신호의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도폭선을 연결선으로 사용하는 발파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폭발신호 지연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연결방향에 불구하고 지연작용은 물론 기폭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도폭선의 기폭신호를 쇼크 튜브에 전달하는 절차를 간소화할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폭선 지연 연결장치내에 비전기식 뇌관이 도폭선과 평행하게 밀접되어 있고, 쇼크 튜브와 도폭선이 평행하게 밀접되어 있는 상태로 있는 것이어서, 도폭선이 연결장치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폭발신호의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쐐기와 예비홀에 의하여 도폭선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의 능률을 제고하고 이탈의 우려를 불식시킬수 있으며, 쇼크튜브의 양끝에 동일한 연결장치가 대칭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폭선에 연결사용시 한쪽은 기폭측이 되고 다른 한쪽은 수폭측이 되어 기폭신호의 연결이 어느 방향이든 진행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어서 연결방향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성을 얻을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될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내지 제5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된 사출품으로 된 본체(1)를 관통하며 쇼크 튜브(8)의 출몰이 가능한 절개부(9)를 갖는 도폭선 삽입공(2)이 형성되어 있고, 이의 후단에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폭선(3)과 평행하여 뇌관(4)의 몸체 길이만큼 연결장치의 2/3길이 정도되는 뇌관장착홀(5)을 형성하고, 도폭선(3)과 맞닿아 장착하기위한 협지턱(10)을 갖는 비전기 뇌관(4)의 쇼크 튜브 고정공(6)을 도폭선(3)과 평행하게 설치한다음 도폭선(3)을 상기 도폭선 삽입공(2)에 삽입하고 이어서 뇌관(4)과 쇼크 튜브(8)를 각각 뇌관장착홀(5)과 쇼크 튜브 고정공(6)에 고정하되 도폭선(3)의 선단부를 걸림턱(11)에 끼워 돌리고 그 선단이 본체(1)상면에 형성된 쐐기홈(12)이나 예비홀(13)에 끼워 지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도폭선(3) 지연 연결장치는 장치내에 비전기식 뇌관(4)이 도폭선(3)과 평행하게 밀접되어 있고, 쇼크 튜브(8)와 도폭선(3)이 평행하게 밀접되어 있는 상태로 있는 것이어서, 도폭선(3)이 연결장치의 삽입홈에 삽입되면 폭발신호의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5도로 보인 바와 같이 도폭선(3)을 도폭선 삽입공(2)에 넣고 걸림턱(11)에 걸어 움직이지 않도록 꺾은후 그 선단을 쐐기홈(12)에 끼워 넣으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어서 설치작업이 신속 정확하게 완료될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쐐기홈(12)에 끼워진 도폭선(3)은 쉽게 이탈될 우려는 적으나, 완벽한 이탈 방지를 위하여 도폭선(3)의 끝을 매듭지어 놓거나 예비홀(13)에 끼울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뇌관(4)을 장착시 도폭선 삽입공(2) 상부의 절개부(9)로 쇼크 튜브(8)를 상방을 통하여 삽입할수 있으므로 비전기 뇌관(4)을 삽입시 쇼크 튜브(8)의 끝에서 부터 삽입하는 불편을 제거할수 있게 되어 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본 고안에 의한 연결장치는 제6도로 보인 바와 같이 쇼크 튜브(8)의 양끝에 동일한 연결장치가 대칭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폭선(3)에 연결사용시 한쪽은 기폭측이 되고 다른 한쪽은 수폭측이 되며, 기폭측 연결장치내에서는 뇌관(4)과 쇼크 튜브(8)를 모두 기폭시키나 여기서는 뇌관(4)의 역할은 무시되고 쇼크 튜브(8)의 기폭에 의하여 수폭측 연결장치에 전달되어 연결장치 뇌관(4)의 지연장치(15)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 된후 뇌관(4)이 폭굉되어 도폭선(3)을 기폭시켜 폭굉을 계속 연결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특히 연결장치는 제6도의 가 또는 나 어느방향으로 부터 시작되더라도 기폭신호의 연결이 진행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어서, 어느 쪽이 기폭측 또는 수폭측이 되더라도 지연 연결의 기능상에 이상이 전혀 없어 연결시 연결방향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성이 있는 것이다.
즉, 제6도의 가 방향에서 기폭신호가 전달되면 도폭선(3)을 통하여 전달된 폭발신호는 c-d사이에서 도폭선(3)과 근접된 쇼크 튜브(8)로 전달되고 쇼크튜브(8)를 통하여 나방향의 연결장치 내 내관(4)의 지연자치(15), 즉, 제2도의 지연장치(15)를 점화하고 다시 기폭약(14)과 첨장약(7)이 기폭되어 제6도의 a'-b'사이에서 뇌관(4)과 근접된 다음 도폭선(3)으로 기폭신호를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반대로 나의 방향에서 기폭신호가 전달되면 나방향의 도폭선(3)이 c'-d'구간에서 쇼크 튜브(8)를 기폭시키고 쇼크 튜브(8)를 통하여 가방향의 비전기 뇌관(4)이 일정시간 지연후 기폭되어 a-d구간에서 근접된 도폭선(3)을 기폭시켜 폭발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어서 결국 본 고안에서는 폭발신호의 전달방식이 신호의 진행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면서 연결시켜 주는 것이어서 연결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할수 있게 되는 설치작업상의 간편성이 확보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폭발신호 지연 장치를 이용한 벤치 발파 패턴을 제8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는 쇼크 튜브식 비전기 뇌관(4), 연결용 도폭선(3), 본 고안에 의한 지연장치를 이용한 벤치 발파패턴의 한예를 나타낸 것으로, 50㎳의 지연 시간을 갖는 폭발신호 지연장치와 25㎳의 폭발신호 지연장치를 이용하여,
0㎳에 첫번째 3개공
25㎳에 두번째 3개공
50㎳에 세번째 3개공
75㎳에 네번째 3개공
100㎳에 다섯번째 3개공
125㎳에 여섯번째 3개공
의 순서로 지연되면서 벤치 발파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본 발파에서 25㎳, 50㎳의 두가지 연결 장치로 6단차 발파를 나타내었으나 연결수에 따라서 무한 단자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는 양방향형 도폭선 연결이 가능한 본 고안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본체(1)를 관통한 도폭선 삽입공(2)이 형성되어 있고, 도폭선(3)과 평행하여 뇌관(4)의 몸체 길이만큼 연결장치의 2/3길이 정도되는 뇌관장착홀(5)을 형성하고, 도폭선(3)과 근접하여 장착하기 위한 비전기 뇌관(4)의 쇼크 튜브 고정공(6)을 도폭선삽입공(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어서 뇌관(4)과 쇼크 튜브(8)를 각각 뇌관장착홀(5)과 쇼크 튜브 고정공(6)에 고정하여 설치하도록되어 있으며, 도폭선(3)을 상기 도폭선삽입공(2)에 삽입할 경우 비전기식 뇌관(4)의 첨장약(7)부위에 도폭선(3)이 평행하게 밀접되고, 쇼크 튜브(8)가 도폭선 삽입공(2) 쪽에 치우쳐 장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신호 지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폭선 삽입공(2) 상방으로 쇼크 튜브(8)의 출입이 가능한 절개부(9)를 형성하고, 쇼크 튜브 고정공(6)과 도폭선 삽입공(2) 사이에 협지턱(10)을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신호 지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도폭선 삽입공(2)의 후단에 걸림턱(11)을 형성하고 본체(1)의 상방에 멈춤턱이 있는 쐐기홈(12)을 형성하여 도폭선(3)의 선단부를 걸림턱(11)에 끼워 돌리고 그 선단이 본체(1) 상면에 형성된 쐐기홈(12)과 예비홀(13)에 끼울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신호 지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폭발신호 지연장치가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형태로 된 폭발신호 지연장치.
KR2019930024685U 1993-11-23 1993-11-23 폭발신호 지연 장치 KR970000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685U KR970000495Y1 (ko) 1993-11-23 1993-11-23 폭발신호 지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685U KR970000495Y1 (ko) 1993-11-23 1993-11-23 폭발신호 지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092U KR950015092U (ko) 1995-06-17
KR970000495Y1 true KR970000495Y1 (ko) 1997-01-24

Family

ID=1936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685U KR970000495Y1 (ko) 1993-11-23 1993-11-23 폭발신호 지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092U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3943B1 (en) Non-electric blasting assembly
US4821645A (en) Multi-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in a blast initiation system
CA2188776C (en) Molded article having integral displaceable member or members and method of use
CA1057577A (en) Non-electric double delay borehole downline unit for blasting operations
US5171935A (en) Low-energy blasting initiation system method and surface connection thereof
US4290366A (en) Energy transmission device
CA2590045A1 (en) Reliable propagation of ignition in perforation systems
AU2005243096B2 (en) Direct load, detonator-less connector for shock tubes
US4426933A (en) Non-electric blasting assembly
RU2070313C1 (ru) Корпус детонационного реле низк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инициирования взрыва
NO134110B (ko)
KR970000495Y1 (ko) 폭발신호 지연 장치
US5162606A (en) Modular blasting system
US4953464A (en) Multi-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in a blast initiation system
KR0126994Y1 (ko) 비전기식뇌관 기폭신호 다발연결장치
US5086702A (en) Modular blasting system
USRE33202E (en) Energy transmission device
KR970001775B1 (ko) 비전기식 폭발신호 지연연결구
KR100368429B1 (ko) 비전기식 발파 시스템
AU687051B2 (en) Initiation system
WO1994025820A1 (en) Initiation system
IL137467A (en) A mechanical element that disconnects a shattering ch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