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58Y1 - A toy vehicle - Google Patents

A to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58Y1
KR970000158Y1 KR2019890017377U KR890017377U KR970000158Y1 KR 970000158 Y1 KR970000158 Y1 KR 970000158Y1 KR 2019890017377 U KR2019890017377 U KR 2019890017377U KR 890017377 U KR890017377 U KR 890017377U KR 970000158 Y1 KR970000158 Y1 KR 970000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rotary
studs
connectors
t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3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09740U (en
Inventor
하트만 버그린 이브
Original Assignee
레고 에이/에스
고르프레드 키르크 크리스티얀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고 에이/에스, 고르프레드 키르크 크리스티얀센 filed Critical 레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900009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74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5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7/00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 A63H7/02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 A63H7/04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moving together with a toy vehicle or together with wheels rolling on the ground, i.e. driven by vehicle or whee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6Movable parts other than toy figures, driven by the whee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자동차 완구Car toys

제1도는 자동차 완구의 실시예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utomobile toy.

제2도는 제1도를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iew from the opposite side.

제3도 및 제4도는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시킨 부분이 다양한 완구 조립 부재와 함께 조립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mbined parts to be rotated are assembled together with various toy assembly member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3, 4, 5 : 바퀴 6 : 회전부2, 3, 4, 5: wheel 6: rotating part

7, 8 : 회전 궤도 10 : 판7, 8: rotational track 10: plate

11, 12 : 연결구 13, 14 : 연결스터드11, 12: connector 13, 14: connection stud

15 : 돌출관 16, 17, 18 : 완구부재15: protrusion tube 16, 17, 18: toy member

본 고안은 바퀴와 하나의 바퀴에 의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nd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one wheel.

이러한 종류의 상이한 여러가지 자동차 완구의 실시예가 알려져 있는데, 이 실시예는 보통 자동차 완구의 네 바퀴에 맞닿는 한 쌍의 마주보는 원판을 포함하므로, 원판은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그 원판에는 때때로 동물 그림과 같은 그림들이 마련되므로, 어린이가 바닥 위에서 자동차 완구를 잡아당기면 그림이 회전하게 된다.Various different embodiments of this kind of toy are known, and this embodiment usually includes a pair of opposing discs which abut against the four wheels of the toy, so that the discs can rotate together as the wheels rotate. The discs are sometimes provided with pictures, such as animal pictures, so that when the child pulls the toy on the floor, the picture rotates.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기존의 것보다도 더욱 활동적으로 가지고 놀고 싶도록 고무시켜주는 종류의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nd of automobile toy that inspires children to play with it more actively than the existing one.

이러한 목적은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6항의 특징 부분이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완구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이는 회전 가능한 결합부위에 그림이 그려져 있는 상이한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자동차가 바닥에서 움직일 때 회전하고 있는 구조와 그림을 보면서 시각적인 즐거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6항에서 기재된 완구 부재는, 예를 들면 상표 DUPLO하에 시판되는 어떠한 종류의 것일 수도 있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n automobile toy constructed as described in the characterizing part of the claim 6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which is made possible for children to use the vehicle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different structures with pictures drawn on rotatable joints. As you move on the floor, you can get visual pleasure while watching the rotating structure and pictures. The toy member described in claim 6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is, for example, a trademark DUPLO. It may be of any kind sold under the market.

자동차는 회전 가능한 결합부가 한개의 바퀴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자동차는 모든 바퀴가 회전 가능한 결합부를 지지하는 네개의 바퀴가 있는 것이 좋고, 상기 결합부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만약, 회전 궤도가 원형과 다른 것이라면, 회전 가능한 결합부의 운동은 더욱 복합적으로 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The motor vehicle may be designed such that the rotatable coupling can only be rotated by one wheel. However, the motor vehicle preferably has four wheels for supporting all of the rotatable coupling parts, and the coupling parts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f the rotational trajectory is different from the circular, the motion of the rotatable coupling can be more complex.

기계적인 연결 수단을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치할 수 있는데, 이 연결 수단은 제2 회전 궤도와 이격되어 마주보고 있는 판의 측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The mechanical connecting means can be arranged as described in claim 8, which is preferably arranged on the side of the plate facing away from the second rotational track.

또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한 바와 같은 연결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는데, 이 연결 수단은 회전 가능한 결합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좋다.Moreover, although the connection means as described in Claim 9 of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can also be provided, this connection means is good to point to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a rotatable coupling part.

상기 연결 수단들은 어떠한 형식이라도 좋지만,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좋다. (전술한 상품명 참조)The connecting means may be in any form, but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Refer to the brand name mentioned above)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술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자동차 완구의 실시예는 네개의 바퀴(2,3,4,5)가 있는 자동차 완구(1)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자동차 완구는 상측부와 단부에 결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세트에 속하는 다른 부재들을 그 자동차 완구 위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여러 대의 자동차 완구를 일렬로 함께 연결시킬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automobil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ncludes an automobile toy 1 having four wheels 2, 3, 4, 5. Preferably, since the vehicle toy is provided with coupling means at the upper side and the end, other members belonging to the assembly set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toy, and several automobile toys can be connected together in a lin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완구는 일반적으로 부호 6으로 나타낸 회전부(6)와 결합되는데, 이 회전부(6)는 각각의 바퀴(3,4) 및 (2,5)에 맞닿기에 적합한 두개의 회전 궤도(7,8)를 각각 갖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궤도는 원형이며, 회전부(6)는 자동차 완구(1)를 바닥 위에서 잡아당길 때 상기 바퀴(3,4,2,5)에 의해 회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궤도(7)는 링(9)위에 마련되어 있는 반면에, 회전 궤도(8)는 판(10) 상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다. 이들 링 및 판은, 부호 11로 표시한 연결구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특수 연결구는 부호 12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 연결구에는 본 고안에 따라 네개의 연결 스터드(13) 형의 기계적인 연결 수단이 마련된다. 이 스터드의 상호거리 및 위치는 조립 완구 세트에 속하는 다른 완구 부재의 보조 연결 수단에 해당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otor vehicle toy is associated with a rotary part 6, generally indicated by the symbol 6, which is adapted to engage each of the wheels 3, 4 and 2, 5 respectively. It has the rotational tracks 7 and 8 of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rajectory is circula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otary part 6 is rotated by the wheels 3, 4, 2 and 5 when pulling the toy 1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1, the trajectory 7 is provided on the ring 9, while the rotary track 8 is provided along the rim on the plate 10. These rings and plates ar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or mean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1. The special connector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2, which is provided with mechanical connecting means of the type of four connection studs 13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utual distances and positions of these studs correspond to auxiliary connecting means of other toy members belonging to the assembled toy set.

제2도는 제1도와 마찬가지이지만, 여기서는 자동차 완구를 반대쪽에서 도시하였기 때문에 판(10)의 바깥쪽을 볼 수 있다. 이 판의 바깥 쪽에는 복수개의 연결스터드(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연결 스터드는 연결 스터드(13)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정방형의 격자형(格字形) 기본 단위에 따라 배치된다. 또한, 연결구(12)의 아래 측면이 보이는데, 이 아래 측면은 몇개의 측벽과 결합하여 판(10)의 상측부에서 연결 스터드(13)에 의하여 연결 스터드들이 마련되어 있는 조립 부재에 결합시키기에 알맞도록 된 돌출관(15)에 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부(6)는 자동차 완구의 바퀴에 맞닿는 대신에 인접한 조립 부재에 대하여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FIG. 2 is the same as FIG. 1, but here the outside of the plate 10 can be seen because the vehicle toy is shown from the opposite side. A plurality of connecting studs 14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late, which are similar to the connecting studs 13 and are arranged according to a square lattice basic unit. In addition, a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2 is shown, which is adapted to engage several side walls and to engage the assembly member provided with connecting studs by the connecting studs 13 at the upper side of the plate 10. It is comprised by the protruded pipe 15. Therefore, the rotating part 6 can be firm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assembly member instead of abutting the wheel of the automobile toy.

어린이들에게 특히 재미있는 효과는, 제2도와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 기존의 연결 가능한 추가의 몇가지 완구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Particularly interesting effects for children can be obtained by means of some additional connectable toys exist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described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제3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독특한 모양의 완구 부재인 얼굴(16) 형상의 조립 블록이 연결구(12)에 결합되고, 모자 역할을 하는 상자형 연결 완구 부재(17)가 얼굴(16)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 자동차 완구를 바닥에서 잡아당길때 어린이가 만든 구조가 회전하게 되므로, 어린이는 그것이 정지되어 있을 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구조를 터득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본 완구는 더욱 재미있으며, 어린이들은 정지 상태에서처럼 변형된 구조가 어떻게 보이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을지라도 부재(16,17)를 서로 교환하면 어린이들은 회전시 그 변형된 구조가 어떻게 보이는지 알기 위하여 더욱 흥미를 느끼게 된다.As shown in FIG. 3, an assembling block in the shape of a face 16, which is a uniquely shaped toy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 and a box-shaped connecting toy member 17 serving as a hat is formed on the face 16. It is coupled to the top. Pulling this toy off the floor causes the child-made structure to rotate, so the child learns the structure differently than when it is stationary. This makes the toy more interesting, and even though children can easily imagine how the deformed structure looks like in a stationary state, when the members 16 and 17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 children are more interested to see how the deformed structure looks when rotating. Will feel.

제4도는 조립 세트에 속하는 다른 완구 부재와 협동할 수 있도록 판(10) 상에 연결 수단을 마련한 결과로서, 상기 판(10)의 바깥 쪽에 어떠한 부재들을 배치할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완구 부재는 보통 레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부재인 레일(18) 및 인형(19)의 형태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인형의 손은 레일(18)을 잡기에 알맞도록 된 손가락(20)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레일은 한쌍이 연결 스터드(14)에 부착된다. 상기 인형은 상이한 여러 방식으로 레일 위에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인형의 발(21) 아래쪽은 큰 U자 형태의 오목부로 되어 있어서 연결 스터드(13) 또는 (14)를 수용하기에 알맞게 되어 있으므로 그 인형을 판(10)에 설치하거나 그 판에 직립으로 또는 앞으로 굽힌 자세로 부착시킬 수 있다. 물론, 인형은 연결구(12)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구(11)는 인형의 손가락(20)에 맞는 파지용 손잡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더 좋다. 따라서, 인형은 회전부(6)의 안쪽의 아암(arms)에 단독으로 부착될 수 있다.4 shows what members can be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plate 10 as a result of the provision of the connecting means on the plate 10 so as to cooperate with other toy members belonging to the assembly set. Such a toy member is shown in the form of a rail 18 and a doll 19 which are usually members that can be used as a rail, the hand of which is shaped like a finger 20 adapted to hold the rail 18. And the rail is attached to a pair of connecting studs 14.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oll can be placed on rails in many different ways.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doll's foot 21 is a large U-shaped recess, which is suitable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stud 13 or 14, so that the doll is installed on the plate 10 or placed upright on the plate. Alternatively, it can be attached in a forward bent position. Of course, the doll can be installed in the connector 12, the connector 11 is better to have a grip shape for the grip 20 to fit the finger 20 of the doll. Thus, the doll can be attached alone to the arms inside the rotating part 6.

따라서, 바퀴 위에 다양한 구조물들을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으며, 바퀴의 회전은 부가적으로 어린이들에게 그 다양한 가능성을 시도해 보도록 고무하여준다. 이러한 효과들은 이 완구를 사용하면 매우 간단한 수단에 의해 기지의 방법으로 회전된다는 사실과 더불어 그 완구가 어린이들에게 매우 유익한 것이 되게 한다.Therefor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of installing various structures on the wheels, and the rotation of the wheels additionally encourages children to try the various possibilities. These effects, together with the fact that the use of these toys are rotated in a known manner by very simple means, make them very beneficial to the children.

Claims (5)

바퀴(2,3,4)를 갖추고 있고, 측면 대 측면의 관계로 연결되고 자동차 완구(1)가 바닥에서 당겨질 때 바퀴(2,3,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바퀴(2,3,4)상에 놓이는 한쌍의 링형 회전 궤도(7,8)를 갖춘 회전부(6)를 포함하는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6)가, 모듈식 정방형 패턴으로 배열되고 완구 조립 세트에 포함되는 완구 부재(16,17,18)상의 대응 연결 수단과의 마찰식 결합에 의해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연결 스터드(14)를 갖춘 판(10)을 하나 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Wheels 2, 3, 4, which are connected in a side-to-side relationship and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wheels 2, 3, 4 when the vehicle toy 1 is pulled from the floor; 4) An automobile toy comprising a rotary part 6 having a pair of ring-shaped rotary tracks 7 and 8 placed thereon, wherein the rotary parts 6 are arranged in a modular square pattern and included in the toy assembly set. An automobile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plate (10) with mechanical connecting studs (14) configured to operate together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corresponding connecting means on the members (16, 17, 18). 제1항에 있어서, 회전 궤도(7,8)중 적어도 하나가 기계식 연결 스터드(14)를 갖춘 한쪽 판(10)을 형성하는 판의 림을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2. A to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otary tracks (7, 8) is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plate forming one plate (10) with a mechanical connecting stud (14). 제1항에 있어서, 회전 궤도(7,8)가 연결구(11,12)에 의해 연결되고, 이들 연결구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12)가 회전 궤도(7,8)의 평면을 교차하는 평면에 그 표면을 갖는 기계식 연결 스터드(13)를 갖춘 하나의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The rotary tracks 7, 8 are connected by connectors 11, 12, and at least one connector 12 of these connectors intersects the plane of the rotary tracks 7, 8. An automobile toy characterized by having one surface with a mechanical connecting stud (13) having the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회전부(6)가 모듈식 정방형 패턴으로 배열되고 완구 조립 세트에 포함되는 완구 부재(16,17,18)상의 대응 연결 수단과의 마찰식 결합에 의해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연결 스터드 및 돌출관(13 및 15)을 더 포함하고, 회전 궤도(7,8)가 연결구(11,12)에 의해 연결되고 이들 연결구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12)가 회전 궤도(7,8)의 평면을 교차하는 평면에 그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The mechanical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otating parts (6) are arranged in a modular square pattern and configured to work together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corresponding connecting means on the toy members (16, 17, 18) included in the toy assembly set. It further comprises studs and protruding tubes 13 and 15, wherein the rotary tracks 7, 8 are connected by connectors 11, 12 and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s 12 is connected to the rotary tracks 7, 8. Car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rface in a plane intersecting the plane of the.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스터드(13,14)가 돌출 커플링 스터드 및 대응 리세스로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5. The vehicle to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studs are formed as protruding coupling studs and corresponding recesses, respectively. 6.
KR2019890017377U 1988-11-29 1989-11-24 A toy vehicle KR970000158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665388A DK164802C (en) 1988-11-29 1988-11-29 TOYS TROLLEY
DK6653/88 1988-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740U KR900009740U (en) 1990-06-01
KR970000158Y1 true KR970000158Y1 (en) 1997-01-09

Family

ID=814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377U KR970000158Y1 (en) 1988-11-29 1989-11-24 A toy vehicle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JP (1) JPH0717359Y2 (en)
KR (1) KR970000158Y1 (en)
CN (2) CN1043881A (en)
AU (1) AU622951B2 (en)
BR (1) BR8906002A (en)
DE (1) DE8914031U1 (en)
DK (1) DK164802C (en)
ES (1) ES1012231Y (en)
FR (1) FR2639556B3 (en)
IT (1) IT218853Z2 (en)
PT (1) PT8116Y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4038C2 (en) * 1995-07-01 2003-06-05 Lego As Billund Toy cars
DK137697A (en) * 1997-11-28 1999-05-29 Lego As A toy set comprising a vehicle and rail elements as well as a vehicle for such a toy set
US7140944B2 (en) 2005-01-24 2006-11-28 Mattel, Inc. Connecting toy
CN104338329A (en) * 2013-07-31 2015-02-11 李席纬 Assembly structure of construction toy
DE202013104622U1 (en) * 2013-10-14 2014-08-28 Finkbeiner - Feines Kunsthandwerk Vertriebsgesellschaft Mbh decorative items
USD841101S1 (en) 2015-01-26 2019-02-19 Mega Brands Inc. Construction set element
USD781964S1 (en) 2015-01-26 2017-03-21 Mega Brands Inc. Construction set element
USD835726S1 (en) 2015-01-26 2018-12-11 Mega Brands Inc. Construction set element
USD835727S1 (en) 2015-01-26 2018-12-11 Mega Brands Inc. Construction set element
USD834105S1 (en) 2017-06-01 2018-11-20 Mattel-Mega Holdings (Us), Llc Construction set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2836Y1 (en) * 1968-08-12 1970-12-15
JPS61170388A (en) * 1985-01-22 1986-08-0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Recovery of cellulase
JPH045195Y2 (en) * 1986-10-09 1992-02-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8116U (en) 1990-05-31
IT8922124U1 (en) 1991-05-20
FR2639556B3 (en) 1990-11-09
DK164802C (en) 1993-01-11
PT8116Y (en) 1992-10-30
CN2187968Y (en) 1995-01-25
IT8922124V0 (en) 1989-11-20
KR900009740U (en) 1990-06-01
DK665388D0 (en) 1988-11-29
ES1012231U (en) 1990-07-16
FR2639556A3 (en) 1990-06-01
BR8906002A (en) 1990-06-19
CN1043881A (en) 1990-07-18
DE8914031U1 (en) 1990-02-01
JPH0717359Y2 (en) 1995-04-26
ES1012231Y (en) 1991-02-01
AU622951B2 (en) 1992-04-30
AU4544789A (en) 1990-06-07
JPH02109698U (en) 1990-09-03
DK665388A (en) 1990-05-30
IT218853Z2 (en) 1992-11-05
DK164802B (en) 199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158Y1 (en) A toy vehicle
US5919072A (en) Construction toy set for assembling a steerable toy vehicle
US6561866B1 (en) Moveable and sectional block toy
JPH0428636Y2 (en)
US4685892A (en) Toy construction set
AU620060B2 (en) A toy wash
JP4740410B2 (en) Assembled jungle gym
US5823843A (en) Spherical element combination for construction toy set
EP0104716B1 (en) Modular toy
EP1025889A2 (en) Doll walker with activity toy
US4696656A (en) Reconfigurable toy
US3740895A (en) Amusement device
US5791964A (en) Ratchet drive for construction toy set
KR101905706B1 (en) toy for kid having mechanical element
CN217489729U (en) Toy steam car capable of changing into number 6
JPH0426152Y2 (en)
JPH0238798Y2 (en)
JPS601757Y2 (en) vehicle toy
JP3087065U (en) Toys
JPH0311037Y2 (en)
JPH063395U (en) Walking toys
JPH022387Y2 (en)
KR200230035Y1 (en) Hoop
JPH0346791Y2 (en)
WO1998034705A1 (en) Gear system for construction to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