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1576A - 단일 방향성의 여러 개구를 가지는 귀착용 마이크로폰 - Google Patents

단일 방향성의 여러 개구를 가지는 귀착용 마이크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1576A
KR960701576A KR1019950704178A KR19950704178A KR960701576A KR 960701576 A KR960701576 A KR 960701576A KR 1019950704178 A KR1019950704178 A KR 1019950704178A KR 19950704178 A KR19950704178 A KR 19950704178A KR 960701576 A KR960701576 A KR 96070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using
midplane
compartment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노리스 엘우드
엘. 맥클렌던 챨스
Original Assignee
랜디 그라노베터
쟈브라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디 그라노베터, 쟈브라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랜디 그라노베터
Publication of KR96070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귀내에서 지지되며 하우징(11)내에 있는 마이크로폰(25)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화구(10), 마이크로폰 요소(28)가 케이싱(25)내에 결합된 음 흡수재로 형성된 지지 가스켓(51)이 마이크로폰 케이싱(25) 둘레에서 사이에 끼이며 하우징(11)과 마이크로폰 케이싱(25)사이에서 한 브리지를 형성한다. 스피커 요소(13)는 수화구(10)내네 포함될 수 있으며 음향학적으로 결합이 분리되어 피이드백을 피하도록 한다. 상기 수화구(10)는 전 듀플렉스로 동작되며 컴퓨터 모뎀, 전화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핸드 프리 통신과 직접적인 음성 명령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단일 방향성의 여러 개구를 가지는 귀착용 마이크로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요소에 대한 수평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적으로 분해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27)

  1. 귀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두개골 인접한 곳에서 발생되는 음만을 탐지하는 마이크로폰 요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귀구멍에 위치하기 위해 한 단부에서 구성되고 마이크로폰 격실을 포함하는 하우징, 마이크로폰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담긴 능동 마이크로폰 요소로 구성된 마이크로폰 격실내에 위치한 한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 요소가 케이스와 마이크로폰 격실을 가로지르는 한 중간평면내에 놓이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과 마이크로폰 격실이 주변 음파를 마이크로폰 요소로 보내기 위해 동직될 수 있는 음전송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들중 적어도 두개의 개수가 중간평면의 한 측면에 있는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중간평면의 맞은편 측면에서 하우징내에 위치하여 사용자 두개골의 근접위치와 비교할때 상당한 거리로부터의 공중 전송을 통하여 격실로 들어가는 먼 백그라운드 음을 나타내는음향파의 소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 및 마이크로폰 격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방향성 여러 개구를 가지는 이어 마이크로폰.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요소와 격실이 귀구멍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하우징부로부터 하우징의 대향된 단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귀구멍에서 지지되는 하우징부를 따라 방향이 정해지는 일차적인 기다란 축을 포함하고, 하우징이 사용하기 위한 위치에 있고 마이크로폰 케이싱을 통해 연장되는 때 귀구멍을 향해 방향이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개의 개구가 한 공통평면내에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5. 제4항에 공통평면이 마이크로폰 요소의 한 중심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6. 제1항에 있어서, 중간평면 한 측면에 있는 두개의 개구가 하우징의 대향된 측면에 있으며 마이크로폰 요소에 대하여 공통된 수직높이에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7. 제1항에 있어서, 중간평면의 한 측면에 있는 모든 개구의 총 개구크기가 중간평면의 반대측면에 있는 모든 개구의 총 개구크기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8.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중간평면의 한 측면에 형성되며 중간평면으로부터 한 공통거리에 있는 하우징의 대향된 측면 가까이에 위치하며, 세번째 개구가 중간평면의 한 대향된 측면에 있는 하우징의 한 중앙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9. 제8항에 있어서, 두 개구의 혼합된 개구크기가 세번째 개구의 개구크기와 대략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0.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마이크로폰 격실이 하우징의 상부벽을 대향된 수직측벽으로 연결시키는 각이진 측면벽으로 형성된 대향된 긴 가장자리들을 가지는 박스의 상부면을 갖는 장방형 박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개의 개구가 중간평면 한 측면상에서 적어도 세개의 개구 각각 사이의 대략 공통된 공간 분리거리로 그리고 능동 마이크로폰 소자로부터의 한 공통된 수직 높이로 마이크로폰 격실의 측면벽 가까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2. 제1항에 있어서, 귀구멍에 인접한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한 스피커 요소를 더욱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폰 요소가 하우징의 남아있는 단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3.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제위치에 놓여지는 때 귀구멍을 향하도록 향하여진 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이 사용자가 오디오 전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마이크로폰 요소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귀구멍에 직접 노출될 수 있도록 위치하며, 상기 오디오 전송과 스피커 요소의 수반되는 전송이 스피커 요소와 하우징 사이에 결합된 음절연수단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격리되어 하우징을 통해 마이크로폰 요소내로의 전송의 픽엎을 받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4. 제13항에 있어서, 격리수단이 스피커요소 둘레로 연장되며 하우징과 스피커요소의 원주위 사이에서 결합되어 하우징으로의 진동전송을 막도록 하는 크레톤(tm)으로 제조되는 진동흡수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5. 제12항에 있어서, 스피커 요소와 마이크로폰 요소에 결합된 전화 제어회로를 더욱더 포함하며, 상기 전화 제어회로가 사용자의 귀를 통해 제공되는 스피킹과 청취 모두를 기초로한 손을 대지않고 사용될 수 있는 전화 시스템의 일부로서 스피커 요소와 마이크로폰 요소를 위한 접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6. 제1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요소와 스피커 요소 각각으로 연결된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더욱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통신 무선 시스템의 일부로서 수화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7. 제12항에 있어서,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갖는 한 공통 주파수로 조정된 관련된 통신 및 전달회로를 더욱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마이크로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서 수화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수화구가 각 마이크로 셀 통신 위성 수신 및 송신 스테이션으로 직접 통신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8. 제1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요소를 컴퓨터에 관련된 한 모뎀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더욱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이 사용자의 음성이 아닌 바깥측 오디오 신호없이 직접 오디오 전송을 모뎀으로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19.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 결합된 크기조절(sizing)링을 더욱더 포함하며, 이 링은 귀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하우징 직경을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0. 스피커 엔드와 마이크로폰 엔드를 가지며, 상기 스피커 엔드가 동작중에 귀구멍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의 귀구멍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을 하며, 상기 스피커 단부와 마이크로폰 단부가 마이크로폰 격실을 형성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엔드를 둘러싸는 음향학적 절연벽에 의해 나뉘어지는 하우징, 사용자의 귀구멍을 향하도록 된음 프러젝션이 장착되며 하우징의 마이크로폰 엔드에서 오디오 픽엎의 민감도를 간섭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스피커 요소와 하우징 사이에 결합된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스피커 요소, 마이크로폰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담긴 능동 마이크로폰 요소로 구성된 마이크로폰 격실내에 위치한 한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 요소가 케이스와 마이크로폰 격실을 가로지르는 한 중간 평면내에 놓이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과 마이크로폰 격실이 주변 음파를 마이크로폰 요소로 보내기 위해 동작될 수 있는 음 전송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들중 적어도 두개의 개구가 중간평면의 한 측면에 있는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중간평면의 맞은편 측면에서 하우징내에 위치하여 사용자 두개골의 근접위치와 비교할때 상당한 거리로부터의 공중전송을 통하여 격실로 들어가는 먼 백그라운드 음을 나타내는 음향파의 소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 및 마이크로폰 격실, 마이크로폰 격실내 마이크로폰 케이스와 능동소자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처리를 위해 마이크로폰 요소로부터 오디오 회로로 신호출력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화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개의 개구가 한 공통평면내에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2. 제20항에 있어서, 공통평면이 마이크로폰 요소의 한 중심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3. 제20항에 있어서, 중간평면 한 측면에 있는 두개의 개구가 하우징이 대향된 측면에 있으며 마이크로폰 요소에 대하여 공통된 수직높이에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4. 제20항에 있어서, 중간평면의 한 측면에 있는 모든 개구의 총 개구크기가 중간평면의 반대측면에 있는 모든 개구의 총 개구크기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5. 제20항에 있어서, 두 개구가 중간평면의 한 측면에 형성되며 중간평면으로부터 한 공통거리에 있는 하우징의 대향된 측면 가까이에 위치하며, 세번째 개구가 중간평면의 한 대향된 측면에 있는 하우징의 한 중앙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6. 제25항에 있어서, 두 개구의 혼합된 개구크기가 세번째 개구의 개구크기의 대략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7. 개인 음성을 탐지되지 않을 백그라운드 잡음의 환경으로부터 고립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a)사용자의 귀 연골에 의해 지지되는 귀구멍에 내포된 스피커 요소와 마이크로폰 요소를 갖는 하우징을 위치시키며, b)스피커요소를 하우징으로부터 기계적으로 그리고 음향학적으로 고립시키어 하우징내로 전달된 음 진동 양을 제한하도록 하고, c)마이크로폰 요소를 하우징으로부터 기계적으로 그리고 음향학적으로 고립시키어 마이크로폰 요소내로 전달된 음 진동 양을 제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704178A 1993-04-02 1994-04-01 단일 방향성의 여러 개구를 가지는 귀착용 마이크로폰 KR960701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24693A 1993-04-02 1993-04-02
US08/042,246 1993-04-02
PCT/US1994/003574 WO1994023520A1 (en) 1993-04-02 1994-04-01 Unidirectional ear microphone with multiple open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576A true KR960701576A (ko) 1996-02-24

Family

ID=2192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178A KR960701576A (ko) 1993-04-02 1994-04-01 단일 방향성의 여러 개구를 가지는 귀착용 마이크로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692169B1 (ko)
JP (1) JP3600619B2 (ko)
KR (1) KR960701576A (ko)
AT (1) ATE244482T1 (ko)
AU (1) AU685797B2 (ko)
CA (1) CA2159207C (ko)
DE (1) DE69432896T2 (ko)
NO (1) NO953888L (ko)
NZ (1) NZ263991A (ko)
WO (1) WO1994023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659A (en) * 1992-05-11 1998-09-22 Jabra Corporation Ear microphone with enhanced sensitivity
AU4312796A (en) * 1995-01-06 1996-07-24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0871312A1 (en) * 1997-04-03 1998-10-14 Pan Communications, Inc. Two-way voice communication device
US6741718B1 (en) * 2000-08-28 2004-05-25 Gn Jabra Corporation Near-field speaker/microphone acoustic/seismic dampening communication device
CN1459211A (zh) * 2001-03-21 2003-11-26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声音接收装置的无吊杆听/讲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576A (en) * 1964-04-02 1965-07-27 Dahlberg Electronics In-the-ear hearing aid
CA1029668A (en) * 1975-06-23 1978-04-18 Unitron Industries Limited Hearing aid having adjustable directivity
US4463222A (en) * 1981-12-23 1984-07-31 Roanwell Corporation Noise canceling transmitter
US4860342A (en) * 1987-04-09 1989-08-22 Danner David L Computer-telepho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US4930156A (en) * 1988-11-18 1990-05-29 Norcom Electronics Corporation Telephone receiver transmitter device
AT395275B (de) * 1990-12-27 1992-11-10 Akg Akustische Kino Geraete Als richtmikrophon ausgebildeter telefonhandapparat
ATE211339T1 (de) * 1992-05-11 2002-01-15 Jabra Corp Unidirektionales ohrmikrophon und verfahren da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508622A (ja) 1996-09-10
WO1994023520A1 (en) 1994-10-13
AU685797B2 (en) 1998-01-29
AU6528794A (en) 1994-10-24
NZ263991A (en) 1996-06-25
NO953888L (no) 1995-11-23
EP0692169A1 (en) 1996-01-17
CA2159207A1 (en) 1994-10-13
EP0692169B1 (en) 2003-07-02
NO953888D0 (no) 1995-09-29
JP3600619B2 (ja) 2004-12-15
ATE244482T1 (de) 2003-07-15
DE69432896D1 (de) 2003-08-07
CA2159207C (en) 2005-02-01
DE69432896T2 (de) 2003-12-24
EP0692169A4 (en) 199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444A (en) Unidirectional ear microphone and method
US5373555A (en) Unidirectional ear microphone and gasket
WO1994023521B1 (en) Unidirectional ear microphone and gasket
US5280524A (en) Bone conductive ear microphone and method
AU715375B2 (en) Ear microphone with enhanced sensitivity
EP1729540A1 (en) Oscillation echo canceller system
EP0582404A2 (en) Telephonic headset structure for reducing ambient noise
US6975740B2 (en) Waterproof acoustic structure applicable in conjunction with speaker
US4528426A (en) Directional microphone assembly
US7190802B2 (en) Microphone enclosure for reducing acoustical interference
US5511132A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ir-borne and solid-born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EP1955573A1 (en) Speakerbox
KR960701576A (ko) 단일 방향성의 여러 개구를 가지는 귀착용 마이크로폰
JPH04501344A (ja) マイクロフォンの一指向性エンハンサ
US3585302A (en) Acoustic coupler
JPS6328558B2 (ko)
JPS6328557B2 (ko)
JPS645415Y2 (ko)
JPS58210793A (ja) 外耳道内双方向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