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24762A -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24762A
KR960024762A KR1019940038288A KR19940038288A KR960024762A KR 960024762 A KR960024762 A KR 960024762A KR 1019940038288 A KR1019940038288 A KR 1019940038288A KR 19940038288 A KR19940038288 A KR 19940038288A KR 960024762 A KR960024762 A KR 96002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d
parameters
user
fuzzy inference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20608B1 (ko
Inventor
김영상
양승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608B1/ko
Publication of KR96002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11/4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for obtaining a characteristic which is both proportional and time-dependent, e.g. P. I., P. I. 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6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the criterion being a learning criterion
    • G05B13/027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the criterion being a learning criterion using fuzzy logic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7/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mathematical models
    • G06N7/02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mathematical models using fuzzy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 시스템의 진동 주기와 진폭을 구하기 위하여 진동 실험을 수행하는 계전기(relay)와; 상기 진동 주기와 진폭을 적용하여 PID 파라메터와 단위 응답 특성을 설정한 후, 설정된 단위 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는 경우에 PID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PID 제어를 수행하는 PID 제어부와; 설정된 단위 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지 않는 경우에, 퍼지추론에 의하여 초기의 PID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퍼지 추론부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여, 제어계의 안정성과 속응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의 사양을 만족시키며 제어게의 돌발적인 변화를 예측,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PID 자기동조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PID 자기동조 제어 방법에 따른 개략적 흐름도이다.

Claims (10)

  1. PID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와; 계전기와 대상 시스템을 연결하고 진동실험을 하여 진동 주기와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주기와 진폭을 적용하여 초기의 PID 파라메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PID 파라메터로써 단위 응답실험을 하여 단위 응답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설정된 단위 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는 경우에, PID 파람터를 적용하여 PID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설정된 단위 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지 않는 경우에, 퍼지추론에 의하여 PID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변경된 PID 파라메터로써 단위 응답실험을 하여 단위 응답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다시 설정된 단위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는 경우에, PID 제어를 시행하는 단계와; 다시 설정된 단위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지 않는 경우에, 상기 퍼지 추론에 의하여 PID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과정 이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에 의하여 PID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단계가, 예정한 회수동안 사용자의 사양에 적합한 I와 D의 파라메터를 찾지 못하면 최종적으로 P 파라메터를 변화시키면서 적합한 PID 파라메터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와 D의 파라메터를 갖는 단계가, 적분시간과 미분시간을 변경하면서 I와 D의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이, 기준 학습데이터와 삼각형의 소속함수를 적용하여 적합한 미분 시간과 적분 시간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학습데이터가, 사용자가 제시한 사양과 그에 적합한 미분, 적분 시간이 경우의 수 별로 조합되어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종조 제어방법.
  6. 대상 시스템의 진동 주기와 진폭을 구하기 위하여 진동 실험을 수행하는 계전기(relay)와; 상기 진동 주기와 진폭을 적용하여 PID 파라메터와 단위 응답 특성을 설정한 후, 설정된 단위 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는 경우에 PID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PID 제어를 수행하는 PID 제어부와; 설정된 단위 응답 특성이 사용자의 사양에 맞지 않는 경우에, 퍼지 추론에 의하여 초기의 PID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퍼지 추론부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추론부가, 예정한 회수동안 사용자의 사양에 적합한 I와 D의 파라메터를 찾지 못하면 최종적으로 P 파라메터를 변화시키면서 적합한 PID 파라메터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와 D의 파라메터를 찾는 단계가 적분시간과 미분시간을 변경하면서 I와 D의 파라메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추론부가, 기준 학습데이터와 삼각형의 소속함수를 적용하여 적합한 미분 시간과 적분 시간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학습데이터가, 사용자가 제시한 사양과 그에 적합한 미분, 적분 시간이 경우의 수 별로 조합되어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자기동조 제어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38288A 1994-12-28 1994-12-28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KR012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88A KR0120608B1 (ko) 1994-12-28 1994-12-28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88A KR0120608B1 (ko) 1994-12-28 1994-12-28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762A true KR960024762A (ko) 1996-07-20
KR0120608B1 KR0120608B1 (ko) 1997-10-30

Family

ID=1940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288A KR0120608B1 (ko) 1994-12-28 1994-12-28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9882B (zh) * 2013-09-02 2016-08-17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器参数的调整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0608B1 (ko) 199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ldkamp et al. Simple and conditioned adaptive behavior from Kalman filter trained recurrent networks☆
KR950009484A (ko) 전방향 신경망을 구비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신경망 학습방법
DE50108251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und vorhersage von strömungsparametern turbulenter medien
Huang et al. The source of the often observed property of initial convergence followed by divergence in learning and repetitive control
KR940002712A (ko) 프로세싱 시스템에 있어서의 개선된 외부 메모리 접근 제어
KR960024762A (ko) 퍼지 추론을 적용한 pid 자기동조 제어방법 및 장치
Kosko Structural stability of unsupervised learning in feedback neural networks
KR970066884A (ko) 제어장치의 작동방법
KR960009118A (ko) 집적회로 시뮬레이터 및 집적회로 시뮬레이션방법
KR960700857A (ko) 레이저 출력 제어 방식(Laser Output Control System)
JP7118319B2 (ja) 推論装置、更新方法、及び更新プログラム
KR960001985A (ko) 마이콤의 프로그램 변경방법
KR970016999A (ko) 시뮬레이터의 노드지정에 의한 시뮬레이션제어방법
JP2002369566A (ja) 速度制御装置
Pandey et al. A Study on PI and Fuzzy PI Controllers
KR960030051A (ko) 안전 시스템의 모드 변경 인식방법
Innocenti et al. Human operator modelling during discontinuous performance
KR930005643A (ko) 저주파 치료기의 시간조절장치 및 방법
KR970002521A (ko) 피아이디(pid) 제어기의 이득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950020145A (ko) 피엘씨(plc)시스템의 입출력 어드레스 자동변경장치 및 그 방법
KR960015121A (ko) 퍼지추론을 이용한 피아이디(pid) 이득의 자기 동조 방법
KR970011579A (ko) 그릴오븐렌지에 부착된 타이머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JPH0644294A (ja) 信号発生装置と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制御装置
KR970076145A (ko) 분산 제어 시스템용 공정모델 예측 제어 장치 및 방법
KR970028213A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학습효율 향상을 위한 에어콘의 각성공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