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270B1 - Multi-function telephon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270B1
KR960016270B1 KR1019930024527A KR930024527A KR960016270B1 KR 960016270 B1 KR960016270 B1 KR 960016270B1 KR 1019930024527 A KR1019930024527 A KR 1019930024527A KR 930024527 A KR930024527 A KR 930024527A KR 960016270 B1 KR960016270 B1 KR 96001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put
memory
values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2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270B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o display the mode input stand-by state by detecting whether the mode input key is pushed when a multi-functional telephone is in ARS stand-by state; to judge to which mode the mode inputted by the dial button corresponds; to display the previous value stored in a memory at each corresponding mode; to compare the value inputted from the corresponding mode with the previous value displayed; to return to the third step if the inputted values are equal to the previous value, and otherwise to display the values inputted from the corresponding mode; and to store the values inputted from the corresponding mode in the memory by sensing the completion of the mode input if the mode input key is pushed again.

Description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 및 회로Multiple mode setting method and circuit of multifunction telephone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응답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mode setting circuit of a conventional answering machine.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ulti-mode setting circuit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mode setting method of a multifunction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원부20 : 모드입력키10: power supply 20: mode input key

30 : 메모리40 : 전화선30: memory 40: telephone line

50 : DTMF신호 검출부60 : 마이콤50: DTMF signal detection unit 60: micom

70 : 다이알 버튼80 : 다이알 신호 발생기70: dial button 80: dial signal generator

90 : 구동부100 : 디스플레이부90: driving unit 100: display unit

본 발명은 다기능전화기 및 자동응답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기존의 다이알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 국선 링숫자, 수신메세지 녹음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telephone and an answering machine, and in particular, a multi-mode telephone setting method and circuit for setting a password, trunk line number, incoming message recording time, etc. using a conventional dial button without operating a switch.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다기능전화기 중 유,무선자동응답전화기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응답용 테이프에 있는 응답용 메시지(Message)를 호출자에게 송출한 후, 호출자로부터의 메시지를 녹음하도록 응답 녹음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호출자와 대화하고 있을때 즉, 통화중에 호출자와의 대화를 녹음하는 통화 녹음 기능을 대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 국선 링 숫자의 입력 및 변경,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설정 등 다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of a multifunction telephone has a response recording function to record a message from the caller after sending a message to the caller in the semiconductor memory or the answering tape. In addition, it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call recording function for recording a conversation with a caller when the user is talking to the caller. In addition, it has a function to set multiple modes such as password input and change, CO line number input and change, and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setting.

그러나, 종래의 자동응답전화기에서는 해당하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nswering machine, each mode is set or changed using a corresponding switch.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응답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mode setting circuit of a conventional answering machine.

제 1 도를 참조하면, 링숫자 스위치(2),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스위치(3), 비밀번호 스위치(4), 다이알 버튼(11)은 키패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ring number switch 2, the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switch 3, the password switch 4, and the dial button 11 are provided on the keypad.

사용자는 링숫자 스위치(2),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스위치(3), 비밀번호 스위치(4)를 이용하여 각 해당하는 스위치에서 링숫자,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비밀번호를 선택하여 마이콤(8)에 입력한다. 마이콤(8)은 전화기의 통화에 따른 모든 상태를 체킹하기 위한 것으로, 링숫자 스위치(2),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스위치(3), 비밀번호 스위치(4)로부터 입력되는 각 모드를 메모리(5)에 저장한다.The user selects the ring number, the received message recording time, and the password from the corresponding switch using the ring number switch (2), the received message recording time switch (3), and the password switch (4). . The microcomputer 8 checks all the states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telephone. The microcomputer 8 stores each mode inputted from the ring number switch 2, the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switch 3, and the password switch 4 into the memory 5. Save it.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 모드설정회로에서는 각 모드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원하는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 해당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설정해야 할 모드가 많을수록 스위치의 수가 증가하므로 기구의 디자인이 복잡해질 뿐 아니라 전화기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서 모드 선택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multi-mode setting circui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operate each corresponding switch in order to set the desired mode by providing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mode.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modes to be set increases, the number of switches increases, so that the design of the mechanism is complicated and the price of the phone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de selection range is limi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witc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기능전화기에 있어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다이알 버튼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중 모드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ode setting method for setting a multi-mode using a dial button without operating a switch in a multifunction telephon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most suitable for realizing a multi-mode setting method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은, 상기 다기능전화기가 자동응답 대기상태인 경우 모드입력키가 눌려졌는지를 검출하여 모드입력 준비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과정 ; 상기 제 1 과정 수행 후 다이알 버튼에 의해 입력된 모드가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제 2 과정 ; 상기 제 2 과정에서 해당모드가 판단되면, 각 해당모드에서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3 과정 ; 상기 제 3 과정 수행 후 각 해당 모드에서 입력된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전값을 비교하기 위한 제 4 과정 ; 상기 제 4 과정에서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이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같은 경우, 상기 제 3 과정으로 복귀하고, 같지 않을 경우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5 과정 ; 및 상기 제 5 과정 수행 후 재차 상기 모드입력키가 눌러지면 모드입력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에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 6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mode setting method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detecting whether a mode input key is pressed when the multi-function telephone is in an auto answer standby state and displaying a mode input ready state;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ich mode the mode inputted by the dial button corresponds to 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displaying a value previously stored in a memory in each corresponding mode when the corresponding mode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comparing the input previous value with the displayed previous value in each corresponding mode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A fifth process for returning to the third process if the values input in each corresponding mode in the fourth process are the same as value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nd displaying values input in each corresponding mode if they are not the same; And a sixth process of detecting that the mode input is completed when the mode input key is pressed again after performing the fifth process and storing the values input in the corresponding mode in the memory.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는, 전화기를 구동하는 메인 프로그램과, 다중 모드에서 이전의 모드값과 새로운 모드값들을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다중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준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입력키 ;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및 다중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알 버튼 ; 상기 다이알 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알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DTMF(Dual Tone Muulti-Frequency ; 이하 DTMF라 함)형의 다이알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알 신호 발생부 ; 상기 다이알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DTMF신호를 출력하여 16진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DTMF신호 검출부 ; 다중 모드에 대한 코드를 설정하여 상기 DTMF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16진 데이타를 분석하여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각 해당모드에서 상기 다이알 버튼에 의해 입력된 값들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값과 다른 새로운 값인 경우 상기 메모리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 ; 및 상기 마이콤을 통해 모드입력 준비상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모드값과 상기 다이알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새로운 모드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mode setting circuit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rogram for driving the phone, and a memory for updating and storing old mode values and new mode values in the multi mode; A mode input key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is ready for inputting the multi-mode by a user; Dial button for entering telephone number and multi-mode by user; A dia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TMF (Dual Tone Muulti-Frequency) type dial signal by using dial data output from the dial button; A DTMF signal detector for outputting a DTMF signa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al signal generator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hexadecimal data; By setting codes for multiple modes, the hexadecimal data outputted from the DTMF signal detection unit is analyzed to determine which mode, and the values input by the dial button in each corresponding mode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values stored in the memory.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o store a new value in the memory when another new value is presen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ode input preparation state through the micom, a previous mod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a new mode value input through the dial butt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ulti-mode setting circuit of an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에 도시된 블럭도의 구성은, 전화기를 구동하는 메인 프로그램과, 다중 모드에서 이전의 모드값과 새로운 모드값들을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와, 사용자에 의해 다중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준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입력키(20)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및 다중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알 버튼(70)과, 다이알 버튼(70)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알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DTMF형의 다이알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알 신호 발생부(80)와, 다이알 신호 발생부(80)로부터 전화선(40)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서 DTMF신호를 검출하여 16진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DTMF신호 검출부(50)와, 다중 모드에 대한 코드를 설정하여 DTMF신호 검출부(50)에서 출력되는 16진 데이타를 분석하여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각 해당 모드에서 다이알 버튼(70)에 의해 입력된 값들이 메모리(30)에 이전의 값과 다른 새로운 값인 경우 상기 메모리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60)과, 마이콤(6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전원부(10)와, 마이콤(60)을 통해 모드입력 준비상태와, 메모리(30)에 저장된 이전의 모드값과 다이알 버튼(70)을 통해 입력되는 새로운 모드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0)와, 디스플레이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90)로 이루어진다.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2 includes a main program for driving a telephone, a memory 30 for updating and storing old mode values and new mode values in multiple modes, and multiple modes input by a user. Inputs a mode input key 20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it is ready for operation, a dial button 70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multiple modes by the user, and dial data output from the dial button 70; To detect the DTMF signa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al signal generator 80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al signal generator 80 through the telephone line 40 to convert the hexadecimal data into hexadecimal data. By setting the code for the multi-mode with the DTMF signal detection unit 50, the hexadecimal data output from the DTMF signal detection unit 50 is analyzed to determine which mode corresponds to each. In this mode, when the values input by the dial button 70 are new value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values in the memory 30, the microcomputer 60 for controlling to store the new values in the memory and the microcomputer 60 are driven. Display the mode input ready stat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microcomputer 60 to generate the voltage for the previous mode, the previous mode value stored in the memory 30 and the new mode value input through the dial button 70. The display unit 100 for driving, and the driving unit 90 for driving the display unit 100.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 200 내지 제 230단계는 다기능전화기가 자동응답 대기상태인 경우 모드입력키가 눌려졌는지를 검출하여 모드입력 준비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과정이고, 제240, 제330, 제420단계는 다이알 버튼에 의해 입력된 모드가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과정이고, 제250, 제340, 제450단계는 해당모드가 판단되면, 각 해당모드에서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과정이고, 제260 및 270, 제350 및 360, 제460 및 470단계는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플레이된 이전값을 비교하기 위한 과정이고, 제280, 제370, 제480단계는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이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같은 경우 각 해당모드에서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과정으로 복귀하고, 같지 않을 경우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과정이고, 제290 내지 제320, 제380 내지 제410, 제490 내지 제520단계는 재차 모드입력키가 눌러지면 모드입력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메모리에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을 저정하기 위한 과정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mode setting method of a multi-function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s 200 to 230 detect whether the mode input key is pressed when the multi-function phone is in the auto-answer standby state. Steps 240, 330, and 420 are processes for determining which mode the mode inputted by the dial button corresponds to, and steps 250, 340, and 450 ar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mode. If it is determined, the process for displaying the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in each corresponding mode, and steps 260 and 270, 350 and 360, 460 and 470 are the values entered in each corresponding mode and the displayed previous value stored in the memory. Steps 280, 370, and 480 are for comparing values, and if the values input in the corresponding modes are the same as the value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the corresponding values are previously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modes.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if it is not the same, it is a process for displaying the values input in the respective modes, and the steps 290 to 320, 380 to 410, and 490 to 520 are again performed. When the mode input key is pressed, it detects that the mode input is completed and saves the values input in the corresponding mode in the memory.

그러면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제 2 도와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여기서는 다기능전화기로 유,무선자동응답전화기를 예로든다. 전원부(10)는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켜 마이콤(60)으로 인가한다.Here is an example of a wired / wireless answering machine as a multifunction telephone. The power supply unit 10 generates a predetermined voltage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60.

이하 마이콤(6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마이콤(60)에는 다중 모드에 대한 코드를 설정해 둔다. 제200단계에서는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6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code for the multiple mode is set in the microcomputer 60. In operation 200, the mai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0 is performed.

제210단계에서는 자동응답전화기가 자동응답 대기상태인가를 체크하여 자동응압 대기상태가 아니면 제200단계로 복귀하고, 자동응답 대기상태이면 모드입력키(20)가 눌러졌는가를 체크한다(제220단계).In step 210, it is checked whether the answering machine is in the auto answer standby state and returns to step 200 if it is not in the auto answer standby state. In step 210, it is checked whether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step 220). ).

제220단계에서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제200단계로 복귀하고,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진 경우 구동부(9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모드입력 준비상태임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제230단계).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0)는 7세그먼트로 구성된다.When the mode input key 20 is not pressed in step 22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0, and when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the display unit 100 is operated by the driver 90 to prepare for mode input. The state is visually displayed (step 230). The display unit 100 is composed of seven segments.

제240단계에서는 제230단계 수행 후 다이알 버튼(70)에서 눌러진 모드가 링숫자 입력모드인가를 체크하여 링숫자 입력모드가 아닌 경우 제330단계로 이행하고, 링숫자 입력모드인 경우 이전에 메모리(30)에 저장된 링숫자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제250단계).In operation 240, after the operation 230 is performed, it is checked whether the mode pressed by the dial button 70 is the ring number input mode. If the operation is not the ring number input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30. The ring number stored in the display unit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operation 250).

제260단계에서는 다이알 버튼(7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된 이전의 링숫자와 다른 새로운 링숫자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동일한 링숫자가 입력된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270단계), 20초가 경과한 경우 본 흐름도를 종료하고,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250단계로 복귀한다. 그리고, 이전의 링숫자와 다른 링숫자가 입력된 경우 새로운 링숫자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제280단계).In operation 260, the dial button 70 checks whether a new ring numb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ing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is input, and if 20 seconds has elapsed when the same ring number is input (270). Step 20) If 20 seconds have elapsed, the flowchart ends. If 20 seconds has not elapsed, the flow returns to step 250. When a ring numb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ing number is input, the new ring numb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00 (operation 280).

제290단계에서는 제280단계 수행 후 다시 모드 입력키(20)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하여,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300단계),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290단계로 복귀하고, 20초가 경과한 경우 제310단계를 이행한다. 그리고, 제290단계에서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진 경우 메모리(30)에 새로운 링숫자를 저장한다(제310단계).In operation 290, after the operation 280 is performed, if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again, if the mode input key 20 is not pressed, it is checked whether 20 seconds have elapsed (operation 300) and 20 seconds have not elapsed. If no, return to step 290, and if 20 seconds elapses, step 310 is performed. When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in step 290, a new ring number is stored in the memory 30 (step 310).

제320단계에서는 제310단계 수행 후 메모리(30)에 새로운 링숫자가 저장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표시한 후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In operation 320, after the operation 310 is performed, the display unit 100 indicates that the new ring number is stored in the memory 30 and then ends the flowchart.

제330단계에서는 제240단계에서 링숫자 입력모드가 아닌 경우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입력모드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입력모드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제410단계로 이행하고,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입력모드가 눌러진 경우 이전에 메모리(30)에 저장된 수신메시지 녹음시간을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제340단계).In step 330, if it is not the ring number input mode in step 2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input mode is pressed. If the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input mode is not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0 and the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is determined. When the input mode is pressed, the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step 340).

제350단계에서는 다이알 버튼(7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된 이전의 수신메시지 녹음시간과 다른 새로운 수신메시지 녹음시간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동일한 수신 메시지 녹음시간이 입력된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360단계), 20초가 경과한 경우 본 흐름도를 종료하고,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340단계로 복귀한다. 그리고, 이전의 수신메시지 녹음시간과 다른 수신메시지 녹음시간이 입력된 경우 새로운 수신메시지 녹음시간을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제370단계).In operation 350, the dial button 70 checks whether a new received message recording tim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ceived message recording ti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is input, and 20 seconds have elapsed when the same received message recording time is input. If 20 seconds have elapsed, the flowchart is terminated, and if 20 seconds have not elapsed, the flow returns to step 340. In addition, when a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is input, the new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step 370).

제380단계에서는 제370단계 수행 후 다시 모드 입력키(20)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하여,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390단계),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380단계로 복귀하고, 20초가 경과한 경우 제400단계를 이행한다. 그리고, 제380단계에서 모드 입력키(20)가 눌러진 경우 메모리(30)에 새로운 수신 메시지 녹음시간을 저장한다(제400단계).In operation 380, after performing operation 370, it is checked whether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again. If the mode input key 20 is not pressed, it is checked whether 20 seconds have elapsed (operation 390). If no, return to step 380, and if 20 seconds have elapsed, perform step 400. In operation 380, when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a new received message recording time is stored in the memory 30 (operation 400).

제410단계에서는 제440단계 수행 후 메모리(30)에 새로운 수신메시지 녹음시간이 저장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표시한 후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In operation 410, after the operation 440 is performed, the display unit 100 indicates that the new reception message recording time is stored in the memory 30, and then ends the flowchart.

제420단계에서는 제330단계에서 수신메시지 녹음시간 입력버튼이 아닌 경우 다이알 버튼(70)에 의해 비밀번호 입력모드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 비밀번호 입력모드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430단계), 20초가 경과한 경우 자동응답전화기를 자동응답 대기상태로 두고(제440단계),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230단계로 복귀한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모드가 눌러진 경우 이전에 메모리(30)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제450단계).In step 420, if it is not the incoming message recording time input button in step 3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ssword input mode is pressed by the dial button 70, and if the password input mode is not pressed, it is checked whether 20 seconds have elapsed. In step 430, when 20 seconds have elapsed, the answering machine is left in the auto answer standby state (step 440). If 20 seconds has not elap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30. When the password input mode is pressed, the password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operation 450).

제460단계에서는 다이알 버튼(7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된 이전의 비밀번호와 다른 새로운 비밀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470단계), 20초가 경과한 경우 본 흐름도를 종료하고,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450단계로 복귀한다. 그리고, 이전의 비밀번호와 다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새로운 비밀번호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제480단계).In operation 460, the dial button 70 checks whether a new passwor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sswor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is input, and checks whether 20 seconds have elapsed when the same password is input (operation 470). If 20 seconds have elapsed, the flowchart ends. If 20 seconds has not elapsed, the flow returns to step 450. If a passwor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ssword is input, the new passwor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step 480).

제490단계에서는 제480단계 수행 후 다시 모드 입력키(20)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하여,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20초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제500단계), 2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490단계로 복귀하고, 20초가 경과한 경우 제510단계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490단계에서 모드입력키(20)가 눌러진 경우 메모리(30)에 새로운 비밀번호를 저장한다(제510단계).In step 490, after the operation 480 is performed again, the mode input key 20 is checked again. If the mode input key 20 is not pressed, it is checked whether 20 seconds have elapsed (step 500). If no,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90, and if 20 seconds elaps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10. When the mode input key 20 is pressed in step 490, the new password is stored in the memory 30 (step 510).

제520단계에서는 제510단계 수행 후 메모리(30)에 새로운 비밀번호가 저장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표시한 후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In operation 520, after the operation 510 is performed, the display 100 indicates that the new password has been stored in the memory 30, and then ends the flowchart.

여기서, 다이알 신호 발생부(80)는 다이알 버튼(70)에서 출력되는 다이알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듀알톤 다중주파수(DTMF)형의 다이알 신호를 발생시켜 전화선(40)을 통해 DTMF검출부(50)로 송출한다. DTMF검출부(50)는 다이알 신호 발생부(80)의 출력신호로부터 DTMF신호를 검출하여 16진 데이타로 변환되어 마이콤(60)으로 인가하고, 마이콤(60)은 DTMF검출부(50)에서 출력되는 16진 데이타를 분석하여 해당모드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모드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 기능표시를 하기 위한 데이타를 구동부(90)로 송출한다. 또한 상술한 메모리(30)는 전원이 오프될 경우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al signal generator 80 inputs dial data output from the dial button 70 to generate a dial tone multi-frequency (DTMF) type dial signal to the DTMF detector 50 through the telephone line 40. Send it out. The DTMF detector 50 detects the DTMF signal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dial signal generator 80, converts the DTMF signal into hexadecimal data,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60. The microcomputer 60 is output from the DTMF detector 50. The data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mode, and the data for displaying the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100 for the corresponding mode is sent to the driving unit 90.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mory 3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nonvolatile memory to prevent the loss of data stored therei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 및 회로에서는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다이알 버튼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mode setting method and circuit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ode is set using a dial button without operating a switch, so that the user can not only solve the inconvenience but also change the mode as the user desir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t.

Claims (3)

다기능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전화기가 자동응답 대기상태인 경우 모드입력키가 눌려졌는지를 검출하여 모드입력 준비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과정 ; 상기 제 1 과정 수행 후 다이알 버튼에 의해 입력된 모드가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제 2 과정 ; 상기 제 2 과정에서 해당모드가 판단되면, 각 해당모드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3 과정 ; 상기 제 3 과정 수행 후 각 해당 모드에서 입력된 값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전값을 비교하기 위한 제 4 과정 ; 상기 제 4 과정에서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이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같은 경우, 상기 제 3 과정으로 복귀하고, 같지 않을 경우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5 과정 ; 및 상기 제 5 과정 수행 후 재차 상기 모드입력키가 눌러지면 모드입력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에 각 해당모드에서 입력된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 6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A multifunction telephone, comprising: a first step of detecting whether a mode input key is pressed when the multifunction telephone is in an auto answer standby state and indicating that the mode input is ready;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ich mode the mode inputted by the dial button corresponds to 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displaying a previous value stored in a memory in each corresponding mode when the corresponding mode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comparing the input previous value with the displayed previous value in each corresponding mode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A fifth process for returning to the third process if the values input in each corresponding mode in the fourth process are the same as value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nd displaying values input in each corresponding mode if they are not the same; And a sixth process of detecting that the mode input is completed when the mode input key is pressed again after performing the fifth process, and storing the values input in the corresponding mode in the memory. How to set the mode. 전화기를 구동하는 메인 프로그램과, 다중 모드에서 이전의 모드값과 새로운 모드값들을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다중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준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입력키 ;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및 다중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알 버튼 ; 상기 다이알 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알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듀얼톤 다중주파수형의 다이알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알 신호 발생부 ; 상기 다이알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기 듀얼톤 다중주파수신호를 검출하여 16진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DTMF신호 검출부 ; 다중 모드에 대한 코드를 설정하여 상기 듀얼톤 다중주파수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16진 데이타를 분석하여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각 해당모드에서 상기 다이알 버튼에 의해 입력된 값들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값과 다른 새로운 값인 경우 상기 메모리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 ; 및 상기 마이콤을 통해 모드입력 준비상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모드값과 상기 모드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새로운 모드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A main program for driving the telephone, and a memory for updating and storing old and new mode values in multiple modes; A mode input key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is ready for inputting the multi-mode by a user; Dial button for entering telephone number and multi-mode by user; A dia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ual tone multi-frequency dial signal by receiving dial data output from the dial button; A DTMF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the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al signal generator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hexadecimal data; By setting codes for the multi-mode, the hexadecimal data output from the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detection unit is analyzed to determine which mode, and in each mode, the values input by the dial button are stored in the memory.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o store a new value in the memory when the new value is different from the value of the microcomput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ode input ready state through the micom, a previous mod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a new mode value input from the mode input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회로.3. The multi-mode setting circuit of claim 2, wherein the memory is a nonvolatile memory.
KR1019930024527A 1993-11-17 1993-11-17 Multi-function telephone KR960016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527A KR960016270B1 (en) 1993-11-17 1993-11-17 Multi-function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527A KR960016270B1 (en) 1993-11-17 1993-11-17 Multi-function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270B1 true KR960016270B1 (en) 1996-12-07

Family

ID=1936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527A KR960016270B1 (en) 1993-11-17 1993-11-17 Multi-function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27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942B1 (en) Dialing method of country code and local code
KR960016270B1 (en) Multi-function telephone
KR19980084987A (en) How to register multiple alarms in communication terminal
KR950011074B1 (en) The pager
KR0141255B1 (en) Method for storing "call"of keyphone system
KR100617549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Indicator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0226473B1 (en) Telephone memory
JPH0625079Y2 (en) Paging receiver
JP2601094B2 (en) Facsimile machine with dial-in function
KR19980058135A (en) Automatic telephone number search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0127249Y1 (en) Telephone with a network circuit self-diagnosis function
KR0127248Y1 (en) Telephon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JPS61262346A (en) Telephone set equipment
JPH06205095A (en) Device with character input function
KR10071284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Using a Speed Key with Number and Text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9990000864A (en) Character Key Dialing Method
JP2624871B2 (en) Facsimile machine
KR100245925B1 (en) Phone number display and auto dialing method
KR0173561B1 (en) Abbreviated dialing method of telephone terminal unit
KR0182432B1 (en) A pager
JPH0329227B2 (en)
KR19990079296A (en) How to print numeric information during a call
JP2000224289A (en) Telephone set
KR19990012750A (en) How to Speed Dial on Your Mobile Phone
KR19990018650A (en) Alarm pattern setting and alarm occurrence method of radio call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