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228B1 -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메탄올계 공비성조성물 - Google Patents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메탄올계 공비성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228B1
KR960015228B1 KR1019890702440A KR890702440A KR960015228B1 KR 960015228 B1 KR960015228 B1 KR 960015228B1 KR 1019890702440 A KR1019890702440 A KR 1019890702440A KR 890702440 A KR890702440 A KR 890702440A KR 960015228 B1 KR960015228 B1 KR 96001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anol
azeotrope
dichloro
composition
compo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658A (ko
Inventor
에이. 이. 랜드 얼
지이. 리차드 로버트
알. 생크랜드 이언
피이. 윌슨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제라드 피. 루우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189,932 external-priority patent/US4842764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189,915 external-priority patent/US4816174A/en
Application filed by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제라드 피. 루우니 filed Critical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70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23G5/02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 C23G5/028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23G5/02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 C23G5/028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C23G5/02809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and fluorine
    • C23G5/02825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and fluorine containing hydrogen
    • C23G5/02829Ethanes
    • C23G5/02832C2H3Cl2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09D9/005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containing 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36Azeotropic mixtures containing halogenated solvents
    • C11D7/5068Mixtures of halogenated and non-halogenated solvents
    • C11D7/5077Mixtures of only oxygen-containing solvents
    • C11D7/5081Mixtures of only oxygen-containing solvents the oxygen-containing solvents being alcohol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1, 1 -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메탄올계 공비성조성물
본 발명은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메탄올로 구성되는 공비성조성물(azeotrope-like composition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메탄올 및 니트로메탄으로 구성되는 공비성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증기탈지, 냉세척 및 용탈(defluxing)을 포함한 용매세척 적용에 유용하다.
탄화수소계 용매를 사용하는 증기탈지 및 용매세척은, 탈지공업 및 기타 고체표면세척, 특히 오염물의 제거가 어려운 복잡한 부품세척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증기탈지 및 용매세척은, 세척되어질 상온의 물체를 비등하는 용매의 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세척대상물에서의 용매응축결과, 용매가 기름기 및 기타 오물들을 씻어낸다.
액체 용매내에서 세척대상물을 단순히 헹구는 것에서와 같이, 용매의 최종 증발에 따라서 기름기 및 오물들이 세척대상물로부터 제거된다.
오물의 제거가 곤란하여 용매세척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온이 요구되는 경우나 또는 대용량 어셈블리 라인작업을 위해 금속부품 및 조립품들의 세척이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행하여져야 하는 경우, 통상적인 증기탈지기의 작업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세척되어질 부분을 비등용매조내에 담그어 오물덩이를 제거한 다음, 다시 상온의 깨끗이 증류된 용매조내에 담그고, 마지막으로 비등용매조 상의 용매증기에 노출시켜 용매증기가 세척부위에서 응축후 증발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때 마지막 세척전에 세척부위에 증류용매를 분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에 적합한 증기탈지기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085,918호(쉘리커 등)에는 비등섬프(boiling sump), 세척섬프(clean sump), 물분리기(water separator) 및 기타 보조장치가 구비된 증기탈지기가 개시되어 있다.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과 같은 탄화불소계 용매는 탈지적용에 유용한, 효과적이고 비독성이며 비가연성인 용제로서 근간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탄은 유지, 오일, 왁스 등에 대해 만족스러운 용해력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것은 전기모우터, 공기압축펌프, 중금속부품, 세공귀금속부품, 인쇄회로판, 자이로스코우프, 경보시스템, 항공 및 미사일 하드웨어, 알루미늄 부품 등의 세척에 대한 광범위한 사용이 알려져 왔다.
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탄과 같은 바람직한 탄화불소계 용매; 극성기능, 증가된 용해력과 같은 부가적인 소망 특성에 기여하는 부가성분;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공비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왔다. 공비조성물(azeotropic compositions)은 극소비등점을 나타내며 비등시 분류되지 않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더구나 앞서 언급한 탈지장치에 이러한 용매를 사용하면 최종 헹굼-세척을 위한 재증류물질이 생성된다.
따라서, 증기탈지 시스템 자체가 증류기로서 작용한다.
만약 용매조성물이 일정 비등점을 나타내는 공비조성물이 아닌 경우에는, 분류현상이 일어나며 바람직하지 못한 용매분류가 공정의 세척효과 및 안정성을 저해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조성물이 공비조성물 또는 공비성조성물이 아닌 경우, 용매혼합 조성물중 더욱 휘발성인 성분의 손쉬운 증발이 초래되어 오물에 대한 낮은 용해력, 금속과 플라스틱 및 탄성체 요소들에 대한 낮은 불활성, 증가된 가연성 및 독성의 바람직하지 못한 성질을 갖는 결과 조성물로서 변화될 수도 있다.
증기탈지 및 기타 세척에서의 새롭고 특별한 적용을 위한 대체물을 제공하는, 탄화불소에 기초한 새로운 공비조성물 또는 공비성조성물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근래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오존층과 연관하여 환경오염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현재 사용되는 탄화불소들을 대체할 수 있는, 성층권에 안정한 것으로서 판단되는 탄화불소류에 기초한 공비성조성물들이다. 완전 할로겐화된 종들에 비하여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FC-141b)과 같은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르카본류가 오존파괴 및 지구온실효과에 거의 기여하지 않으며 대기화학에 역영향을 주지않을 것임은 수리적 모델에 의하여 구체화 되었다.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함유 공비조성물의 발표문헌은 단지 하나뿐이다. 즉 Anon. Research Disclosures. Vol.162, P70(1977)인데, 여기에는 n-펜탄 및 이소펜탄이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함께 2원 공비물을 형성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936,387호에는 메탄올과 1, 2-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FC-141:이것은- FC-141b의 이성체임)의 공비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4,035,258호에는 에탄올과 1, 2-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의 공비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어떤 한 공비조성물의 존재가 당분야 숙련자로 하여금 그 관련성분들 사이 또는 중에서의 공비성(azeotropy)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줄수는 없는 것이다.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936,387호는 FC-141b과 이소프로판올이 공비조성물을 형성함에 반하여 FC-141b와 이소프로판올은 공비조성물을 형성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니트로메탄은 알코올을 함유하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혼합물에 의한 금속공격(metal attack)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안정제이다.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573,213호에는 1, 1, 2-트리클로로-l, 2, 2-트리플루오로에탄과 니트로메탄의 공비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혼합물에서 니트로메탄은 안정화 작용을 행하는 것으로 언급되었다.
본 발명은 상온에서 액체이고, 증류 또는 증발공정하에서 분류되지 않으며 증기탈지 및 탈융적용을 포함한 기타의 용매세척적용에 사용되는 용매로서 유용한, FC-141b에 기초한 새로운 공비성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적용에 유용한 환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새로운 용매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FC-141b(즉,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메탄올로 구성된 새로운 공비성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공비성조성물은 약 93-98중량%의 FC-141b 및 약 2-7중량%의 메탄올로 구성된다.
좀더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95.0-97.0중량%의 FC-141b 및 약 3.0-5.0중량%의 메탄올로 구성된다. 한편 가장 정량적인 순수공비물은 약 96.2중량%의 FC-l41b 및 약 3.8중량%의 메탄올로 구성되는데, 이는 765mmHg에서 약 29.8℃의 비등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FC-141b, 메탄올 및 니트로메탄(안정화제)로 구성되는 새로운 공비성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공비성조성물은 약 93-98중량%의 FC-141b, 약 2-7중량%의 메탄올 및 약 0.01-0.1중량%의 니트로메탄으로 구성된다. 좀더 바람직한 공비성조성물은 약 95.0-97,0중량%의 FC-141b, 약3-5중량%의 메탄올 및 약 0.01-0.1중량%의 니트로메탄으로 구성된다. 한편, 가장 정량적인 순수공비물은 약 96.1중량%의 FC-141b, 약 3.9중량%의 메탄올 및 약 0.01중량%의 니트로메탄으로 구성되는데, 이조성물은 760mmHg에서 약 29.4°±0.1℃의 비등점을 나타낸다.
추후 상세히 정의되듯이, 상기 범위의 모든 조성물들은 물론 그범위 밖의 어떠한 소정 조성물들은 공비성이다.
정밀한 또는 순수한 공비조성물이 결정된 것은 아니나, 전술한 범위내에 있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추후 더욱 상세히 정의되듯이, 순수공비물이 어디 존재하는가에 관계없이, 상기 범위내의 모든 조성물 및 그 범위밖의 소정 조성물들은 공비성이다.
본 발명의 공비성조성물들은 대체로 비가연성 액체임이 밝혀졌다. 즉, Tag Open Cup 시험방법-ASTMD1310-86에 의하여 시험되었을때 발화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증기상(Vapor phase)은 좁은 범위의 화염도(일반조건 공기중 9.9-15.2체적%)를 나타낸다.
기본 원리들로부터, 어떤 계(순수용액 또는 혼합물)의 열역학적 상태는 다음 4가지 변수, 즉, 압력, 온도, 액체조성 및 증기조성(P-T-X-Y)에 의하여 정의된다. 공비물은 정해진 P 및 T에서 X와 Y가 동일한, 두가지 이상의 성분들로 구성되는 독특한 특성의 계(system)이다.
실제로, 이것은 정해진 T(혼합물의 비등점) 및 P(대기압)에서 증류가 행하여질때, 증류동안 증기상(vapor phase) 용매세척에 있어서 혼합물의 성분들이 분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공비성조성물"이란 비등 또는 증발시 분류되지 않는 그의 일정비등 특성 또는 경향의 면에서 순수공비물처럼 작용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그러한 공비성조성물은 진짜공비들일 수도 있고 유사공비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조성물에 있어서, 비등 또는 증발하는 동안 생성된 증기의 성분은 원 액체조성물 성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비등 또는 증발동안 그 액체조성물이 변화한다 할지라도 그러한 변화는 매우 적으며 무시할 정도인 것이다. 이러한 성질은 비등 또는 증발동안 액체조성물이 상당한 정도 변화하는 비공비성 조성물과는 매우 대조적인 것이다.
어떤 혼합물이 본 발명이 의미하는 공비성조성물인가를 결정하기 위하여는, 혼합물이 각 성분들로 분리될것으로 기대되어지는 조건들하에서 샘플을 증류하기만 하면 된다. 만약 혼합물이 비공비성이라면, 최저비등성분이 먼저 증류되는 식으로, 여러 성분들로 분리될 것이다. 만약 혼합물이 공비성이라면 모든 성분들을 포함하며 일정비등점을 갖거나 또는 단일 물질처럼 작용하는, 최소한 한정된 양의, 최초 증류분(distillation cut)이 수득될 것이다.
혼합물이 비공비성, 즉, 공비시스템의 부분이 아니라면 그러한 현상은 일어날 수 없다. 만약 혼합물의 분류도(degree of fractionation)가 너무 크다면, 분류를 최소화하여 순수공비물에 더 가까운 조성물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물론, 증기탈지기내에서의 증류와 같은 공비성조성물의 증류에서는 순수공비물이 형성되고 응집될 것이다.
공비성조성물의 다른 특성은 어느정도 다른 비율로서 동일성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정 범위의 공비성조성물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모든 조성물들을 여기서는 공비성조성물이라 정의한다. 일예로서, 서로다른 압력에서, 주어진 공비물의 조성은 최소한 약간은 변화하며, 증류압력의 변화 역시 증류온도를 최소한 약간은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범위내에서 공비성을 정의하는 다른 방법은 FC-141b와 메탄올의 혼합물들이 여기서 밝혀진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의 비등점(29.8℃, 765mmHg)의 약 ±0.05℃ 범위내에서 비등하는가를 정하는 것이다.
또한 FC-14lb, 메탄올 및 니트로메탄의 혼합물들이 여기서 밝혀진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의 비등점(29.4℃, 760mmHg)의 ±0.1℃ 범위내에서 비등하는가를 정하는 것이다. 당분야 숙련자들이 잘 이해하고 있듯이, 공비들의 비등점은 압력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본 발명의 공비성조성물은, 침지나무 분무 또는 통상적인 탈지장치에 의한 것과 같은 당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고체표면을 본 조성물과 함께 처리함에 의하여 그 고체표면을 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비성조성물 성분들인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FC-141b), 메탄올 및 니트로메탄은 잘 알려진 물질들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의 용해력 또는 일정 비등특성에 역영향이 유입되는 것을 피하도록 충분한 고순도의 성분들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비등점 vs. 조성 곡선내의 극소점이 96.2중량%의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3.8중량%의 메탄올 영역내에 존재하며, 이는 공비물이 이 조성 근방에서 형성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등하는 액체혼합물의 온도는 ''Ebulliometric Measurements''[p14, Reinhold Publishing Corp.(1945)]에서 더블유. 쉐트스라브스키에 의하여 기술된 것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비등계측법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각각 정량된 양의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으로 채워진 두개의 비등계가 사용되었다. 비등계들은 대용량 밸러스트(ballast)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었으며,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압력변환기로 조절되는 건조공기의 공급에 의하여 그속에서의 압력이 ±0.05mmHg(7Pa) 범위내에서 유지되었다. 정확한 비등점 측정을 위하여는 정밀한 압력조절이 필요하다. 각각의 비등계는, 그속에 비등될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이 담겨지는, 전기가열 섬프(sump)를 포함하였다. 이 섬프에는 냉각기가 연결되었으며, 시스템은 전체 환류가열조건하에서 작동되었다.
비등액체와 증기의 슬러그는, 크트렐(cottrell)펌프를 통하여, 섬프(sump)로부터 정밀한 온도측정에 사용되는 구경측정 항온기를 포함한 더모웰을 걸쳐 펌핑되었다.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이 조절된 압력하에서 비등하도록 되어진 후, 정량된 양의 메탄올이 두 비등계중 하나내로 적정되었다. 단지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만을 함유하는 다른 비등계를 참조하여 비등점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온도 및 압력측정은 물론 정량적정 또한 컴퓨터화 데이타시스템으로 자동적으로 수행되었다. 각 조성물에 대하여 비등점 측정은 일반적으로 760mmHg 및 765mmHg 영역에서 수행되었다. 측정값은 정규 수정치 적용에 의하여 정확히 760mmHg 및 765mmHg에 대한 값으로 수정되었다. 그러한 비등점 측정오차는 ±0.002℃ 이내로서 믿어진다.
다음도표 1에는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메탄올의 다양한 혼합물들에 대한, 765mmHg로 수정된, 비등점 측정값들이 요약되어 있다. 이 데이타들로부터 약 3-5중량%의 메탄올 영역에서 극소비등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비록 혼합물이 3-5중량% 메탄올 영역에서 0.01℃이내 범위로서 일정하게 비등하지만, 정밀한 극소점의 최선개산값(best estimate) 은 3.8중량% 메탄올이다.
[도표 1]
액체 혼합물 비등점 특성
Figure kpo00001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메탄올 사이에 공비물이 존재함을 증류법에 의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냉수 냉각 자동액체 분리헤드를 갖춘 5-단 올더쇼유(5-plate Oldershaw) 증류관을 사용하였다. 3.7중량%의 메탄올 및 96.3중량%의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혼합물을 약 340g을 증류관에 채우고, 평형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약 1시간동안 완전 환류가열시켰다. 증류는 10 : 1의 환류비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최초 투입량의 약 40% 정도를 5개의 거의 동량의 오우버헤드 증류분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증류분의 조성 및 잔류액체의 조성을 기체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표 2에 요약 표기하였다. 데이타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조성물 측정에 관련된 오차범위내에서, 출발물질, 5개 증류분 및 잔류액체의 조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였는바, 이는 그 조성물이 공비물임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표 2]
Figure kpo00002
(비고)기압:741mmHg
본 조성물들은 다양한 증기탈지, 냉세척 및 탈융을 포함한 용매세척 적용에서 용제로서 유용하다.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과 같은 어떤 탄화불소와 혼합하여 저급알칸올과 같은 더욱 활성적인 용매류를 사용하는 것이 회로판 어셈블리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알루미늄합금 및 크롬 코우팅은 들른 아연 및 알루미늄같은 반응성 금속류를 공격하는 좋지못한 결과를 가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메탄올 및 니트로메탄 사이에 공비물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냉수 냉각 자동액체 분리헤드를 갖춘 5-단 올더쇼우 증류관을 사용하여 증류를 행하였다. 96.0중량%의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3.8중량%의 메탄올 및 0.2중량%의 니트로메탄으로 구성된 3성분 혼합물을 증류관에 채우고, 평형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약 1시간동안 완전 환류가열시켰다. 증류는 5 : 1의 환류비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최초투입량의 약 40%정도를 거의 동량의 5개 오우버헤드 증류분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증류분의 조성 및 잔류액체혼합물의 조성을 기체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다음도표 3에 요약 표기하였다. 도표의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듯이, 조성물 측정에 관련된 오차범위내에서, 출발물질, 5개 증류분 및 잔류액체혼합물의 조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였는 바, 이는 본 조성물이 공비물임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표 3]
Figure kpo00003
본 조성물은 다양한 증기탈지, 냉세척 및 탈융을 포함한 용매세척적용에서 용매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메탄올로 구성되며, 760mmHg에서 29.8℃ ±0.05℃의 비등점을 갖는 공비성조성물.
고체표면을 상기 제 1 항에 정의된 공비성조성물과 함께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표면 세척방법.
93-98중량%의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및 2-7중량%의 메탄올로 구성되는 공비성조성물.
1, 1-티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메탄올 및 니토로메탄으로 구성되며, 760mmHg에서 29.4±0.1℃의 비등점을 갖는 공비성조성물.
고체표면을 상기 제 6 항에 정의된 공비성조성물과 함께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표면 세척방법.
93-98중량%의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2-7중량%의 메탄올 및 0.01-0.1중량%의 니토로메탄으로 구성되는 공비성조성물.
KR1019890702440A 1988-05-03 1989-03-23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메탄올계 공비성조성물 KR960015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9,932 1988-05-03
US07/189,932 US4842764A (en) 1988-05-03 1988-05-03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and methanol
US07/189,915 US4816174A (en) 1988-05-03 1988-05-03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methanol and nitromethane
US189,915 1988-05-03
PCT/US1989/001181 WO1989010984A1 (en) 1988-05-03 1989-03-23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and methan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58A KR900700658A (ko) 1990-08-16
KR960015228B1 true KR960015228B1 (ko) 1996-11-04

Family

ID=2688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440A KR960015228B1 (ko) 1988-05-03 1989-03-23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메탄올계 공비성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14804B1 (ko)
JP (1) JP2629056B2 (ko)
KR (1) KR960015228B1 (ko)
CA (1) CA1329106C (ko)
DE (1) DE68912325T2 (ko)
HK (1) HK116094A (ko)
MY (1) MY103863A (ko)
WO (1) WO1989010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2120A1 (de) * 1990-01-25 1991-08-01 Hoechst Ag Neues azeotropartiges loesemittelgemisch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mit hilfe desselben
WO1991013969A1 (en) * 1990-03-13 1991-09-1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ilized constant-boiling, azeotrope or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trifluoroethane; 1,1-dichloro-1-fluoroethane; with methanol and/or ethanol
US5126067A (en) * 1990-06-05 1992-06-30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1,2-dichloroethylene and optionally an alkanol
US5039442A (en) * 1990-06-05 1991-08-13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methane and optionally alkanol
EP0542796B1 (en) * 1990-08-09 1996-09-25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ethanol; and nitromethane
FR2665907B1 (fr) * 1990-08-14 1994-04-08 Atochem Composition nettoyante a base de 1,1-dichloro-1-fluoroethane, de chlorure de methylene et de methanol.
FR2676066B1 (fr) * 1991-05-02 1993-07-23 Atochem Composition a base de 1,1-dichloro-1-fluoroethane, de 1,1,1,3,3-pentafluorobutane et de methanol, pour le nettoyage et/ou le sechage de surfaces solides.
FR2676067B1 (fr) * 1991-05-02 1993-07-23 Atochem Composition a base de 1,1,1,3,3-pentafluorobutane et de methanol, pour le nettoyage et/ou le sechage de surfaces solides.
BE1005163A3 (fr) * 1991-08-01 1993-05-11 Solvay Compositions contenant un ether fluore et utilisation de ces compositions.
BE1005181A3 (fr) * 1991-08-19 1993-05-18 Solvay Compositions comprenant un ether fluore et utilisation de ces compositions.
FR2700776A1 (fr) * 1993-01-27 1994-07-29 Atochem Elf Sa Composition de nettoyage stabilisée à base de 1,1-dichloro-1-fluoroéthane et de méthan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6387A (en) * 1972-02-04 1976-02-03 Phillips Petroleum Company Azeotrope of 1,2-dichloro-1-fluoroethane and methanol
US3960746A (en) * 1974-07-25 1976-06-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methanol, nitromethane and trichlorotrifluoroethane
US4070299A (en) * 1975-08-29 1978-01-24 Phillips Petroleum Company Azeotropic compositions
US4086180A (en) * 1976-05-27 1978-04-25 Phillips Petroleum Company Constant boiling admixtures
US5246617A (en) * 1988-01-20 1993-09-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zeotropic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and methanol/ethan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504871A (ja) 1991-10-24
CA1329106C (en) 1994-05-03
EP0414804B1 (en) 1994-01-12
EP0414804A1 (en) 1991-03-06
DE68912325D1 (de) 1994-02-24
MY103863A (en) 1993-09-30
KR900700658A (ko) 1990-08-16
JP2629056B2 (ja) 1997-07-09
WO1989010984A1 (en) 1989-11-16
HK116094A (en) 1994-11-04
DE68912325T2 (de)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2764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and methanol
US4836947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and ethanol
US4863630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and ethanol
US4894176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and methanol
US5288422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1,3,3,5,5,5-octafluoropentane, chlorinated ethylenes, and optionally nitromethane
US5219490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2,3,3-pentafluoropropane
US4816174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methanol and nitromethane
KR960015228B1 (ko) 1, 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메탄올계 공비성조성물
US4960535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and a mono- or di-chlorinated C2 or C3 alkane
US5073206A (en) Method of cleaning using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methanol and nitromethane
US4961870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1,2-dichloroethylene, and alkanol having 3 to 7 carbon atoms
US5219488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2-trifluoromethyl-1,1,1,2-tetrafluorobutane and ethanol or isopropanol
US4994201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methanol and cyclopentane
US5124063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methanol; and alkane having 5 or 6 carbon atoms
US5085797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a monochlorinated C3 alkane and optionally an alkanol
US5085798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cyclopentane and optionally an alkanol
US4965011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and nitromethane
US5039444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trifluoroethane, cyclopentane and optionally nitromethane
US5085796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ethanol and a mono- or di-chlorinated C2 or C3 alkane
US5064558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1,2-dichloroethylene, cyclopentane, methanol, nitromethane and optionally diisopropylamine
US4973362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methanol, nitromethane, 1,2-dichloroethylene and hexane
US5024781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methanol and a mono- or di-chlorinated C2 or C3 alkane
US5190685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ethanol and cyclopentane
JPH0559160B2 (ko)
US5145598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ethane, nitromethane and methanol or ethan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