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161A -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161A
KR960015161A KR1019940025716A KR19940025716A KR960015161A KR 960015161 A KR960015161 A KR 960015161A KR 1019940025716 A KR1019940025716 A KR 1019940025716A KR 19940025716 A KR19940025716 A KR 19940025716A KR 960015161 A KR960015161 A KR 96001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roduct
mode
control sig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7017B1 (ko
Inventor
유경걸
주필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017B1/ko
Publication of KR96001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상이한 전자제품들을 하나의 제품군으로 하여 제어장치가 총괄적으로 각 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에어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메뉴를 보면 모드, 제품, 기능들을 선택하면, 제어장치가 이를 인지하여 각 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세트업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장치는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제품 및 기능을 인지하고 해당하는 제품의 기능 정보를 해당 제품의 리모콘 송신기로 수신하여 학습한 후 학습된 결과를 등록한다. 그리고 동작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제어장치는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제품 및 기능을 인지하고 이미 학습하여 등록하고 있는 해당 기능의 제어 신호를 제품으로 출력하여 원하는 제품의 기능의 동작을 제어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각각 독립적으로 리모콘 송신기를 사용하는 제품들을 단일의 제어장치를 통해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중 에어마우스의 구성도,
제3도는 제1도 중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흐름도.

Claims (7)

  1. 다수개의 전자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택키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키의 상태에 따라 모드, 제품 및 기능을 선택하는 무선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에어마우스와, 온스크린수단을 구비하며, 온스크린 수단을 통해 모드, 제품 및 기능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에어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표시중인 메뉴 상의 커서를 이동하는 텔리비젼과, 상기 텔리비젼 및 가전제품들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리모콘수신수단, 리모콘 학습 수단 및 제어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텔리비젼의 메뉴들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에어마우스의 무선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메뉴의 항목을 인지한 후 해당 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가 세트업 모드시 상기 에어마우스의 무선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제품 및 기능의 메뉴 항목을 감지하고 리모콘수단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신호를 학습하여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로 등록하며, 동작제어모드시 상기 에어마우스의 무선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제품 및 메뉴 항목을 감지하고 등록된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을 통해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에어마우스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마우스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텔리비젼과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텔리비젼의 온스크린 형태로 메뉴를 표시하는 온스크린제어부와, 에어마우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전자제품의 동작제어를 위한 에어마우스 정보를 읽어 선택된 기능 정보를 수행하며 온스크린을 제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와, 세트업 모드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신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학습하여 저장하는 리모콘신호학습부와, 상기 텔리비젼 및 전자제품들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동작제어모드시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3. 다수개 전자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택키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키의 상태에 따라 모드, 제품 및 기능을 선택하는 무선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에어마우스와, 온스크린수단을 구비하며, 온스크린수단을 통해 모드, 제품 및 기능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에어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표시중인 메뉴 상의 커서를 이동하는 텔리비젼과, 상기 텔리비젼 및 가전제품들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리모콘수신수단, 리모콘 학습수단, 제1제어신호발생수단 및 제2제어신호발생수단들을 구비하며, 상기 텔리비젼의 메뉴들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에어마우스의 무선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메뉴의 항목을 인지한 후 해당 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가 세트업 모드시 상기 에어마우스의 무선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제품 및 기능의 메뉴 항목을 감지하고 리모콘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신호를 학습하여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로 등록하며, 동작제어모드시 상기 에어마우스의 무선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제품 및 메뉴 항목을 감지하고 등록된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들을 통해 제1제어신호 및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발생수단이 상기 제어장치와 수평 위치되는 전자제품들과 유선을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발생수단이 상기 제어장치와 대향되어 위치된 전자제품들 측으로 무선형태의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에어마우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표시수단과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수단의 온스크린 형태로 메뉴를 표시하는 온스크린제어부와, 상기 에어마우스 인턴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전자제품의 동작제어를 위한 에어마우스 정보를 읽어 선택된 기능정보를 수행하며 온스크린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세트업 모드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신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학습하여 저장하는 리모콘신호학습부와, 상기 제어장치와 수평 위치되는 상기 전자제품들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동작 제어모드시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제1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제1제어신호발생부와, 동작제어모드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무선 형태의 제2제어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제어장치와 대향 위치되는 전자제품 측으로 출력하는 제2제어신호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전원제어 및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키신호를 무선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6. 모드메뉴, 제품메뉴 및 기능메뉴를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메뉴들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전자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드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분석과정에서 세트업 모드일 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 항목의 제품 기능은 선택한 후 수신되는 리모콘신호를 학습하여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분석과정에서 동작제어모드일 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 항목의 제품 기능을 선택한 후, 등록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방법.
  7. 모드메뉴, 제품메뉴 및 기능메뉴를 표시하는 텔리비젼과 상기 메뉴들을 선택하는 에어마우스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전자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드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분석과정에서 세트업 모드일 시 상기 텔리비젼을 제어하여 제품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제품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텔리비젼을 제어하는 기능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품 및 기능 선택 후 수신되는 리모콘신호를 학습하여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과정 수행 후 세트업 모드 종료인가 판단하며, 모드 수행 중일시 상기 세트업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 제어모드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분석과정에서 동작제어모드일 시 상기 텔리비젼을 제어하여 제품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제품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텔리비젼을 제어하여 기능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품 및 기능 선택후 학습된 리모콘신호를 해당 제품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과정 수행 후 동작제어모드 종료인가 판단하며, 모드 수행 중일시 상기 동작제어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텔리비젼 동작이 필요한 기능제어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텔리비젼 동작 불필요시에만 텔리비젼의 전원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선택된 제품의 기능들을 동작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서비스 상태에서 입력수단의 출력유무를 검사하며 입력이 있을시 또 다른 기능 선택인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다른 기능 선택일시 상기 동작제어모드 과정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 종료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25716A 1994-10-07 1994-10-07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4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16A KR0147017B1 (ko) 1994-10-07 1994-10-07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16A KR0147017B1 (ko) 1994-10-07 1994-10-07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161A true KR960015161A (ko) 1996-05-22
KR0147017B1 KR0147017B1 (ko) 1998-09-15

Family

ID=1939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716A KR0147017B1 (ko) 1994-10-07 1994-10-07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518A (ko) * 1997-02-20 1998-10-26 브릭크만 게오르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장치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에 의해 유용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0675733B1 (ko) * 1999-12-16 2007-01-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99B1 (ko) * 2001-10-25 2004-05-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마우스를 이용한 전자 렌지 제어 장치
KR100429601B1 (ko) * 2001-10-25 2004-05-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마우스를 이용한 전자 렌지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518A (ko) * 1997-02-20 1998-10-26 브릭크만 게오르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장치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에 의해 유용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0675733B1 (ko) * 1999-12-16 2007-01-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7017B1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169B1 (ko) 사용자 제어 정의 기능을 가지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
EP181655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in home network system
US9350850B2 (en) Using HDMI-CEC to identify a codeset
CN100501792C (zh) 使用遥控器设备和软遥控器来控制设备的系统和方法
KR20050005869A (ko) 사용자 예약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0437454C (zh) 遥控器和控制菜单的方法
US11868588B2 (en) Selecting a picture of a devic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KR960016608A (ko)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06683A (ko)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8094875B1 (en) Performing optical recognition on a picture of a remot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EP3054651B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KR960015161A (ko)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EP3418882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bility of voice control and method of instructing voice control timing
KR101946886B1 (ko)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JPH08275255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バスシステムにおけるリモート機器制御方法
KR0135110B1 (ko) 전자제품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533898A (zh) 受控设备的无线控制学习系统、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970011443B1 (ko) 가정자동화용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JP2855310B2 (ja) コンピュータ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0135852B1 (ko) 원격 접촉입력 제어기를 구비한 운용데이타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317986A (ja) 双方向リモコン装置
KR101280444B1 (ko) 감시장치 및 그 원격제어방법
KR101550306B1 (ko) 터치 패턴에 따른 실행모드를 위한 스크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5379A (ko) 적외선 리모컨 데이터코드변환 장치와 통합 적외선 리모컨
KR970032231A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