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981B1 - 리모콘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981B1
KR960013981B1 KR1019930026237A KR930026237A KR960013981B1 KR 960013981 B1 KR960013981 B1 KR 960013981B1 KR 1019930026237 A KR1019930026237 A KR 1019930026237A KR 930026237 A KR930026237 A KR 930026237A KR 960013981 B1 KR960013981 B1 KR 96001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remote control
matrix circuit
sign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169A (ko
Inventor
김양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981B1/ko
Publication of KR95002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리모콘 장치의 내부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내부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리모콘 IC MT1-MT3 : 매트릭스 회로
D1-D12 : 다이오드
본 발명은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조작 키의 수효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가정용 전기 및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일정한 거리에서 해당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리모콘 기능을 채용하고 있다.
제1도는 상기한 리모콘 기능을 위한 리모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다수의 신호출력단자 (K0-K3)와 다수의 신호입력단자(Ko0-Ko7)를 갖춘 리모콘 IC이고, 2는 수평라인이 상기 신호출력단자(K0-K3)에 접속됨과 더불어 수직라인이 상기 신호입력단자(Ko0-Ko7)에 접속되고 그 수평라인과 수직라인의 교차점에 접점스위치가 설치된 매트릭스 회로, 3은 적외선 데이터 출력부, 4는 발진기이다.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회로(2)의 임의의 접점이 눌러지게 되면, 리모콘IC(1)는 신호출력단자(K0-K3)와 신호입력단자(Ko0-Ko7)의 신호 입출력 관계로 선택된 접점을 인식한 후에 그에 따른 소정의 코드 데이터를 적외선 데이터 출력부(3)를 통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접점의 수가 신호출력단자(Ko-K3)와 신호입력단자(Ko0-Ko7)의 수를 곱한 개수(상기 예에서는 4×8=32개)로 설정되게 된다.
그러나, 최근 각종 전자기기나 전기기기 등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각종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구성으로 된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기능에 따른 선택키를 충분히 마련함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리모콘 장치에 갖추어시는 선택키의 수효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리모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장치는 다수의 신호출력단자와 다수의 신호입력단자를 갖춘 리모콘 IC와, 수평라인이 상기 신호출력단자에 접속됨과 더불어 수직라인이 상기 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되고 그 수평 및 수직라인이 교차점에 접점스위치가 설치된 매트릭스 회로부를 구비한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수평라인이 상기 신호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수직라인의 일단이 상기 신호입력단자에 다이오드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수직라인이 다른 단이 병렬로 하나의 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된 매트릭스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리모콘 IC는 상기 신호입력단자의 입력신호 레벨을 근거로 선택된 매트릭스 회로부를 판별하고, 상기 신호출력단자와 신호입력단자의 신호입력 관계로 해당 매트릭스 회로부의 선택키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입력단자를 1개 추가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조작키를 추가할 수 있게 되므로 조작키의 수효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로, 제2도에서는 제1도에서의 적외선 데이터 출력부(3)와 발진기(4) 및 밧데리(BAT)등은 그 표시를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요부 구성만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에서 참조번호 20은 다수의 신호출력단자(OP1-OP4)와 다수개의 신호입력단자(IP1-IP3)를 갖춘 리모콘 IC이고, MT1-MT3은 각각 매트릭스 회로, D1-D12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이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회로(MT3)은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수평라인이 리모콘 IC(20)의 신호입력단자(OP1-IP4)에 각각 대응되게 접속됨과 더불어 수직라인은 리모콘 IC(20)의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에 각각 대응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매트릭스 회로(MT2,MT3)는 상기 매트릭스 회로(MT3)와 마찬가지로 수평라인이 리모콘 IC(20)의 신호출력단자(OP1-OP4)에 접속되면서 수직라인의 일단이 리모콘 IC(20)의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에 접속되는 한편, 그 수직라인의 일단이 병렬로 각각 신호입력단자(IPI)(IP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 IC(20)는 신호입력단자(IP1,IP2)로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매트릭스 회로(MT1-MT3)중 어느 매트릭스 회로의 조작키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신호출력단자(OP1-OP4)과 신호입력단자(IP31-IP34)의 신호입출력 관계를 근거로 해당 매트릭스 회로의 선택된 키를 판별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동작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매트릭스 회로(MT3)의 임의의 조작키를 선택하게 되면, 리모콘 IC(20)의 신호입력단자(IP1,IP2)는 모두 로우레벨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리모콘 IC(20)는 신호출력단자(OP1-OP4)와 신호입력 단자(IP3₁-IP3₄)의 신호입출력 관계로 매트릭스 회로(MT3)의 어떤 키가 선택되었지를 판별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매트릭스 뢰로(MT1 또는 MT2)의 임의의 조작키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매트릭스 회로(MT1,MT2)와 접속된 리모콘 IC(20)의 신호입력단자(IP1,IP2)가 하이레벨로 됨과 더불어, 그에 따른 레벨 신호가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로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 IC(20)는 신호입력단자(IP1,IP2)의 레벨 관계로 선택된 매트릭스 회로를 판단함과 더불어, 해당 매트릭스 회로의 선택키를 신호출력단자(OP1-OP4)와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의 신호 입출력 관계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콘 IC에 신호입력단자(IP1,IP2)를 1개 추가할 때마다 다수의 선택키(본 실시예에서는 16개의 선택키)를 추가할 수 있게 되므로, 최근 리모콘 기능을 채용하고 있는 각종 장치의 다기능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회로를 2개 추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추가되는 매트릭스 회로의 수에 제한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의 조작키의 수효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리모콘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다수의 신호출력단자(OP1-OP4)와 다수의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를 갖춘 리모콘 IC(20)와, 수평라인이 상기 신호입력단자(OP1-OP4)에 접속됨과 더불어 수직라인이 상기 신호입력단자(IP3-IP3₄)에 접속되고 그 수평 및 수직라인의 교차점에 접점 스위치가 설치된 매트릭스 회로부(MT3)를 구비한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수평라인이 상기 신호출력단자(OP1-OP4)에 접속되고, 수직라인이 일단이 상기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에 다이오드(D1-D4)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수직라인의 다른 단이 병렬로 하나의 신호입력단자(IP1)에 접속된 매트릭스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리모콘 IC(20)는 상기 신호입력단자(IP1)의 입력신호 레벨을 근서로 선택된 매트릭스 회로부를 판별하고, 상기 신호출력단자(OP1-OP4)와 신호입력단자(IP3₁-IP3₄)의 신호입력 관계로 해당 매트릭스 회로부의 선택키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KR1019930026237A 1993-12-02 1993-12-02 리모콘 장치 KR96001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237A KR960013981B1 (ko) 1993-12-02 1993-12-02 리모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237A KR960013981B1 (ko) 1993-12-02 1993-12-02 리모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69A KR950023169A (ko) 1995-07-28
KR960013981B1 true KR960013981B1 (ko) 1996-10-10

Family

ID=1936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237A KR960013981B1 (ko) 1993-12-02 1993-12-02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9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69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800B2 (en) Method for inputting different characters by multi-directionally pressing a single key more than one time
USRE41017E1 (en) Circuit layout arrangement for key switch signal recognition
KR880700602A (ko) 전화 라인 스위치
KR960013981B1 (ko) 리모콘 장치
US4125794A (en) Electronic touch key
US425180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n input keyboard
US3740745A (en) Ring core keyboard entry device
KR950001260Y1 (ko) 마이콤의 리모콘 입력포트를 이용한 프론트 키 구성 회로
RU1786656C (ru) Квазисенсор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200157688Y1 (ko) 전자교환기용 링보드의 링릴레이 구동회로
KR100297435B1 (ko) 리모콘의슬라이드식스위칭회로
KR20010051566A (ko) 멀티 비트 키 스위치를 구비한 키보드
SU1159128A2 (ru) Устройство пуска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SU1422395A1 (ru) Сенсор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950003902Y1 (ko) 겸용 포트 인테페이스 회로
US3440493A (en) Error detection circuit
KR19990001332A (ko) 리모콘의 키코드 확장장치
KR910020687A (ko) 전자기기에서의 단일 키 다기능 모드 전환 방법
KR20020080646A (ko) 키 신호 입력 장치
KR100237943B1 (ko) 자력을 이용한 신호발생장치
KR970004895B1 (ko) 헤드폰 스테레오용 리모트 제어회로
KR19990010099U (ko) 범용칩을 이용한 키 감지장치
KR940003247Y1 (ko) 신호계 절환 회로
KR100385119B1 (ko) 무선 원격 제어 수신기를 가지는 키 보드 및 원격 제어를 위한 키 기능을 재설정하는 방법
KR940000960Y1 (ko) 전화의 통화 통제 조절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