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788B1 -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788B1
KR960013788B1 KR1019890700165A KR890700165A KR960013788B1 KR 960013788 B1 KR960013788 B1 KR 960013788B1 KR 1019890700165 A KR1019890700165 A KR 1019890700165A KR 890700165 A KR890700165 A KR 890700165A KR 960013788 B1 KR960013788 B1 KR 96001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ow control
valve
groove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939A (ko
Inventor
엘.아스라니아 제리
Original Assignee
마스터 메디칼 코포레이숀
제리 엘. 아스라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118,438 external-priority patent/US4789000A/en
Application filed by 마스터 메디칼 코포레이숀, 제리 엘. 아스라니아 filed Critical 마스터 메디칼 코포레이숀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88/001903 external-priority patent/WO1988009893A1/en
Publication of KR89070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0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liding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유량제어밸브의 분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4도는 회전식 유량제어부재의 제어면의 평면도.
제5도는 직선으로 표시한 유량제어가 이루어지는 요홈을 보여주는 제4도의 선 5-5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6도는 유량제어부재와 유입구이음부 및 유출구이음부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상세도.
제7a도-제7c도는 유량제어부재의 여러 가지 위치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을 따르고 대체가능한 실시예의 분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제9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은 부분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서 도시되고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
제16도는 착탈가능한 뒷판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18a도는 유동 위치에서 이 실시예의 밸브를 보여주는 제18도에 유사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유량제어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20도와 제20a도는 제19도의 선 20-20을 따라 잘라 두 다른 위치에서의 유량제어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21도는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뒷판 및 커버를 포함하는 유량제어밸브의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유량제어밸브의 분해사시도.
제23도는 제21도에 유사한 사시도로서 커버를 제거한 도면.
제24도는 유량제어밸브의 측부 단면도.
제25도는 유량제어밸브와 연결튜브를 뒤에서 본 분해도.
제26도는 제21도에 유사한 사시도로,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
제27도는 유량제어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8도는 제27도의 유량제어밸브의 단면도.
제29도와 제3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31도는 유량제어부재의 확대사시도.
제32도는 제31도의 선 32-32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33도는 제31도에서 도시된 유량제어부재의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단면도.
제34도와 제35도는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제36도는 제34도와 제35도에 도시된 유량제어부재으로부터 수정된 형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37도와 제38도는 제36도의 선 37-37과 선 38-38을 따라 투시한 단면도.
제39도와 제40도는 밸브의 다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41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42도는 제41도에서 도시된 회전가능한 유량제어부재의 확대사시도.
제43도는 가열전에 조립된 위치에 있는 밸브를 보여주는 유입구이음부를 통한 부분적 횡단면도.
제44도는 제43도에 유사한 것으로, 조립체가 가열된 후의 도면.
제45도는 제44도에 유사한 도면으로, 유량제어부재가 극저속으로 유량의 흐르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제46도는 제45도의 46-46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47도는 완성된 밸브의 종단면도로 차단(off) 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량제어밸브 14, 302, 802 : 하우징
16, 216 : 밸브챔버 20, 216 : 유입구이음부
20, 220 : 유입구이음부 22, 222 : 유출구이음부
26 : 출구포트 30, 575 : 돌출부
40, 232 : 유량제어부재 50 : 개구부
60, 160, 745 : 요홈 112 : 뒷판
142 : 허브 162, 954 : 랜드
245 : 러그 376, 812 : 스커트
470 : 슬롯트 504, 632 : 다이알
520, 522 : 단부 554, 556 : 측부
635 : 키이 642 : 돌출플랜지
741 : 립 744, 860 : 유동통로
760 : 씰링밴드 767 : 경사면
768 : 립 812 : 회전축
850 : 제1요홈 855 : 교차부
905 : 단부벽 916 : 스플라인
921 : 플랜지 970, 972 : 차단점
본 발명은 정맥내 주사액 및 근육 주사액의 유량을 조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맥내 주사액을 환자에게 주사하는 중에 기선 택한 유속을 유지하기 위한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맥내 주사에 의한 유체의 중력식 주사방법은 보통의 의료행위이다. 대표적인 정맥주사액은 혈액, 혈장, 포도당 및 등장염 용액을 포함한다. 정맥주사는 일반적으로 환자보다 높게 설치한 정맥주사액 용기와 함께 실행된다. 전통적으로 상기 용기는 스파이크의 삽입에 의해 깨지는 씰(seal)구조를 가지고 있고, 유체는 스파이크에 연결된 가요성튜브와 드립챔버(drip chamber)를 통하여 주사바늘에서 환자에 공급되다. 드립챔버의 목적은 튜브를 통하는 유속 혹은 방울의 속도를 결정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사속도는 일반적으로 보통의 중력식 주사를 위해 튜브와 연결되는 롤로 클램프 혹은 외부핀치밸브의 사용에 의해 조정된다.
주사가 실시될 때 처음, 튜브와 주사바늘에서 튜브를 통하여 유체가 흐름에 의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주사바늘이 환자의 팔 혹은 손목같은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어 유체의 주사가 개시된다. 주사위치가 환자의 팔뚝일 때, 팔뚝이 정맥주사용 아암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선호된다. 정맥주사액을 주사하는 간호사들은 정맥주사용 튜브를 조정하는데 핀치밸브나 롤러 클램프를 사용하고, 드립챔버를 통과하는 주사액방울의 수를 계수한다. 적당한 유속이 핀치밸브에서 튜브를 점진적으로 열거나 닫아주는 시행착오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과정은 적정유속의 초기설정과 계속적인 관찰을 하기 위해, 간호사의 주의 및 시간을 요한다. 간호사가 드립챔버를 통과하는 유체방울수를 계수함에 의해 유속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시예이다. 상기 설명된 통상적 과정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할 뿐아니라 가끔 부정확하다. 온도변화는 정맥주사용 튜브의 팽창수축을 유발하여 유속을 변하게 한다. 튜브는 계속하여 셋팅이 조절되어야 하고, 계속 죄고있는 상황하에서 초기설정 상태를 상실하고 접히게 된다. 상기 설명된 일반적인 롤러 클램프 혹은 핀치밸브는 튜브에서 미끄러져 나와 환자를 위험하게 만들수도 있다.
독립된 한 테스트는 통상의 핀치밸브와 롤러 클램프는 오직 약 25%의 정확도내에서 유동이 유지되어 계속조절되어야 함을 알려준다. 따라서, 통상의 핀치밸브와 롤러 클램프를 사용하여 허용가능한 정확도를 가진 주사속도로 조절하는 것은 간호사가 주재하면서 계속 주의를 하더라도 극히 곤란한 것임을 알려준다.
상기 설명한 문제들을 교정하려는 노력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다. 여러 가지 형태의 유량제어장치가 개발되어 왔고, 또 종래 기술에서 Stewart에게 주어진 미국 특허 제3,785,378호는 다중요홈을 가지는 단부면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원형부재를 가진 정맥주사액의 주사를 위한 밸브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다중요홈의 내측단부는 상기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유량제어부재는 연속적으로 또 선택적으로 요홈과 연결하여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유동포트(flow port)를 바꿀 수 있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또다른 연구는 Seagle외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진 미국 특허 제3,877,428호에서 발견되는데, 상기 특허는 환자에 투여하는 유체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주사제어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제어장치는 정맥주사용 튜브를 따라 부착할 수 있고, 제어장치의 입구와 출구사이에 모세관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회전가능한 유량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유량제어판은 입구와 출구포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유동경로의 유효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어서 유량이 영(zero)일때와 최대일때의 두 상태사이에서 유량을 조절가능하다.
다소 유사한 연구로서 미국 특허 제3,880,401호에 의하면 상기 특허는 밸브유동통로에 의해 유동을 제어하고 차단하기 위해, 유동제어구멍에 관해 유동제어밸브 플러그의 축방향상대운동에 영향을 주는 스크류나사에서 서로에 관해 움직일 수 있는 내부와 외부요소부품을 가진 유량제어밸브를 발표했다.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공통으로 양도된 종래 미국 특허 제4,294,246호와 제4,361,147호는 종래 기술에 비해 실질적으로 중요한 특징을 가지는 장치이다. 유동통로가 후우징내 구비되었고, 상기 유동통로는 정맥주사액의 공급원과 주사바늘에서 구성이 끝나는 공급튜브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장치에서 유량제어핀은 밸브씨이트에 관해 유로내에서 축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최대유동위치로부터 유동차단위치로 유동을 제어하도록 밸브씨이트에 관해 위치 설정이 가능한 가변면적 유동노치(notch)와 유동통로를 형성한다. 선호된 실시예에서, 유동제어핀의 위치설정은 캠 팔로우어(cam follower)를 형성하는 유동제어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캠에 의해 이루어진다. 캠은 전범위에 대해서 장치상의 다이알에 의해 수동제어되어,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제어가 가능해진다. 상기 시스템은 유동제어장치, 정맥주사액의 공급원, 드립챔버 및 주사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와 시스템은 특히 정확도가 극히 높고, 전기적 유량제어장치와도 함께 작동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장치, 특히 바로전에 설명된 장치는 종래기술의 핀치밸브와 롤러 클램프에 비해 실질적으로 개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적용예 또는 일부 의료시설에는 경제성이 없다. 따라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정확하고, 저가로 의료업계에 공급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정맥주사액의 유동제어가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과 장점을 얻고 또 유동이 영에서 부터 최대로 이루어지는 여러 설정치를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유지 및 제어가 가능한 독특한 정맥주사액용 유동제어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량제어장치는 입구와 출구포트를 가진 제1의 플라스틱재로 하우징을 포함한다. 가변면적의 유동통로를 가진 유동제어부재가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다이알장치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유동제어부재는 선택적으로 유동통로에 의해 입구와 출구포트를 연결하여 유동 조절범위내에서 최대유동위치로부터 유동정지위치까지 유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하우징 입구와 출구는 정맥 주사액의 공급원을 주사바늘에 부착하는 정맥주사액 튜브내에 연결된다. 유량제어부재는 씰링(sealing) 효과가 좋고, 열수축 작용이 최소화되도록 선택된 제2의 플라스틱재료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서는 하우징 혹은 뒷판 부재가 밸브부재에 선택적으로 부착가능하여 의료적 용도를 위해 부가적으로 지지표면을 구성한다. 안전커버도 밸브부재에 연결되어, 밸브부재가 무자격에 의해 조작되거나 우발적으로 조절되지 못하도록 보호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 및 기타의 사항들이 첨부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1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도면이다. 유량제어밸브(10)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뒷판(12)을 포함하고, 상기 뒷판에 원통형의 밸브챔버(16)를 형성하는 환상의 하우징(14)이 고정되어 있다. 뒷판(12)은 편리한 모든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선호적으로 환상의 하우징(14) 넘어 축방향으로 또 종방향으로 확장가능하며, 밸브를 조정할 때, 사용자에 의해 쉽게 고정가능하고 일치하는 표면으로 구성된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환상의 하우징(14) 상부에 확장구성되는 뒷판의 주변부가 제거되어, 외부의 밸브몸체는 원통형이 되는 것이다.
유입구이음부(20)과 유출구이음브(22)은 뒷판(12)의 후면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종래기술의 정맥주사액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이음부는 각기 적당한 정맥주사액 용액의 용기에 연결되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사바늘에 연결된다. 유입구이음부(20)은 유입포트(24)를 통하여 밸브챔버(16)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유출구이음부(22)은 출구포트(26)를 통하여 밸브챔버(16)와 연결되나, 유입포트(24)와 유출포트(26)는 밸브챔버(16)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작은 돌출부(30)가 하우징(14)의 내부에서 뒷판(12)의 교차부에 구성되어, 정지장치(stop)로 작용한다. 뒷판 유입구이음부(20) 및 유출구이음부(22) 및 하우징(14)은 선호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형 부재로 형성되고, 성형가능하고, 강성을 가지며, 경도를 가지고, 내열성이고, 의료적으로 허용가능하며,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안정하며, 고온에서라도 허용오차내에 있을 수 있는 플라스틱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플라스틱중 대표적인 것은 싸이로 인더스트리즈 앤드 폴리카보네이트사(Cyro Industries and polycarbonate)에서 제조하는 에이비에스수지(ABS), 엑스티(XT)폴리머등과 같은 것이다.
특별히, 재료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서 재료는 후프응력에서 변형하거나 흐르지 않아야 한다. 이들 특성을 가진 또다른 유사한 재료가 플라스틱 분야의 전문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원형가스켓(32)은 뒷판(12)에 바로 인접한 위치를 점유하는 밸브챔버(16)의 후방내에 수용가능한 직경을 가진다. 원형 가스켓(32)을 소요 위치에 유지하고, 밸브 챔버(16)내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돌출부(30)와 상호대응하는 노치(notch : 34)를 가지고 있다. 원형프트(35)는 뒷판에서 유입포트(24)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원형포트(36)는 원형 가스켓(32)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뒷판의 유출포트(26)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원형 가스켓(32)은 하우징(14)보다 연성이 더 큰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하우징(14)과 원형 가스켓(32)은 쇼오와 경도(shore hardness)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대표적으로, 부품들 중의 하나는 쇼오와 경도가 A스케일에 있고, 다른 하나는 쇼어와 경도가 D스케일에 있게된다. 부가하여 원형 가스켓(32)은 최대화씨 165도의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두드러지게 수축하지 않아야 하고, 또 압력을 받을때에도 영구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가스켓(32)의 탄성력과 재료특성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가스켓(32)의 면에서 씰링작용이 이루어져 추가로 씰링부재가 필요없거나, 적어도 다른 부재의 사용을 감소시킨다. 대표적으로 가스켓(32) 재료로는 가소성 PVC, LDP, Gaflex, 쉘케미칼(Shell Chemical)사에 의해 제조되는 Krayton, C-Flex, 네오프렌, 실리콘고무, 실리콘등이 있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40)는 밸브면(44)을 가진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허브(42)로 구성되어 있다. 허브(42)는 밸브챔버(16)내에 수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밸브면(44)은 가스켓(32)의 외부표면과 접하게 된다. 중앙의 회전축(48)은 밸브챔버(16)내에 축방향을 향하는 개구부(50)내에 수용되고, 가스켓(32)내의 개구부(52)와 일직선이 되게 위치하여, 유량제어부재(40)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한다. 다이알(54)은 회전식 유량제어부재(40)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한다. 다이알(54)은 회전식 유량제어부재(40)의 외부표면에 고정되고 돌출부(56)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고한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사용자는 하우징(14)에 관해 유량제어부재(40)를 회전시키기가 편리해진다. 다이알(56)은 하우징(14)의 주변부상에 확장구성되어, 회전식 유량제어부재(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밸브기능은 밸브면(44)에서 이루어진다. 밸브면(44)은 각도가 약 330도에서 350도 범위에 대해 확장구성되는 원호모양의 요홈(60)이 구성된다. 대향위치의 요홈(60)의 단부들(64, 65)이 랜드(62)의 중간위치에 구성되어, 랜드(62)가 가스켓(32)내의 유입포트(35)를 막고 있을 때, 제7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제어밸브의 차단위치서 유동이 차단된다. 요홈(60)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깊이를 가지는 유동영역 A가 약 180도 범위에서 구성된다.
유동영역 A의 다른 영역에 확장구성되는 요홈의 유동영역 B는 랜드(62)가 단부(65)를 향하여 접근함에 따라 유동단면적이 감소된다. 요홈의 유용영역 B는 랜드에 접근함에 따라 유동단면적은 감소되고, 유동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유동저항이 증가가 가능한 여러 가지 형상의 감소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량제어부재(40)는 다이알(54)에 의해 회전되어, 유입포트(24)와 유출포트(26)가 요홈(60)의 유동영역 A와 연결된다. 밸브의 상기 위치에서 유동은 최대가 된다. 제7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를 통과하는 유동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유동영역 A내의 유동통로를 통과하고, 유동내의 공기를 제거하기위해 유동을 최대로 만든다.
요홈(60)의 유동영역 B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면구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요홈(60)의 폭은 균일하지만, 요홈(60)의 깊이가 점점 감소한다. 요홈(60)의 유동영역(B)는 균일한 깊이와 감소되는 폭을 가지는 구조, 또는 어떤 경우에 깊이와 폭이 모두 감소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통로와 노치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동은 입구포트(24)로부터 유동영역 B를 통하여 출구포트(26)까지 안내되어 유량제어가 이루어지고, 또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제어부재(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유량은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모든 범위의 유량에 대해 유동범위전체에 걸쳐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형태의 유량제어밸브의 장점은 조작의 정확성, 기능반복가능성 및 조작의 단순성에 있다. 서로 다른 그룹의 플라스틱재료의 선택에 있어서, 하나는 운동부재용으로, 다른 것은 하우징 혹은 씰링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상기 플라스틱 재료에 씰링작용이 이루어져 밸브내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부품들 사이에 부가적으로 O-링 혹은 다른 씰링장치가 있어야 하는 필요성을 최소화시켜, 밸브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상기 밸브는 유체누출(leakage)문제가 존재하고 유체누출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다. 그중 하나는 유니트로부터 유체가 이탈하는 외부누출이고, 유니트내에 존재하지만 유니트의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내부누출이 있다. 밸브작동시 실리콘 유체가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첨가되어도 좋다.
제8도에서 제13도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적당한 강성과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된 하우징(114)로 구성되는 본 발명을 따르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하우징(114)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뒷판(112)로 구성되고, 뒷판(112)의 상부에 일반적으로 원봉형인 허브(142)가 구성되며, 상기 허브(142)에 의해 원통형 밸브챔버(116)을 형성한다. 유입구이음부(120)과 유출구이음부(122)은 대향되게 위치하는 입구포트(124)와 출구포트(126)에서 밸브챔버(116)와 연결된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140)는 밸브챔버(116)의 후방에 구성되는 개구부(129)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수용되는 회전축(48)을 중심으로 밸브챔버(116)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허브(142)를 포함한다. 선호적으로 두가지 성분의 비교적 강성의 플라스틱과 연성의 플라스틱재 사이에 유체가 누출하지 않는 적당한 씰링을 형성하도록 하우징(114)과는 달리 회전식 유량제어부재(140)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적당한 비교적 연성의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다. 하우징(114)과 회전식 유량제어부재(140)가 제조되는 재료는 제1도에서 제7도에 나타난 특징을 가지고, 차등적인 쇼어와 경도도 필수적이다. 허브(142)는 지지기능개선을 위해 지지부분을 형성하거나, 톱니형태를 가지고 원형인 다이알(154)을 구비하고 있다.
입구포트(124)와 출구포트(126) 사이의 유량조정은 원통형 배럴 혹은 허브(142)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16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160)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적을 가지고, 유량제어부재(140)의 표면을 거의 180도의 각도 혹은 그이상으로 확장구성되는 유동영역 A를 가지게 된다. 유동영역 B에서의 유동영역 A와의 교차부에서 최대 단면적을 가지고 단부(164)를 향해 점차로 감소하는 단면적이 구성된다. 랜드(162)은 요홈(160)의 대향단부들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다.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160)의 단면적은 유동영역 A에서 가장 크고, 유동영역 B에서는 단면이 점점 감소한다. 다이알(154)를 회전시키면, 유동이 유입포트(124)에서 랜드(162)가 유입포트(124)로 폐쇄되므로 완전히 유동이 차단되고, 또 모은 유동범위에 대해 연속적으로 최대 유속으로부터 감속이 가능하다. 하우징(114)과 회전식 유동제어부재를 위해 서로 다른 경도와 다른 특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요홈(160)으로부터 유체누출이 없는 개량된 씰링기능이 이루어지고, 또 누출된 유체를 바이패스(bypass)시켜 모든 유체를 정확하게 공급하며 요홈내에 유체를 완전히 포함되게 하므로 정확하고 일정한 유동기능이 이루어진다.
제13도에서 제16도에는 본 발명을 따른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또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214)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챔버(216)와 연결되는 유입구이음부(220)와 유출구이음부(222)로 구성되는 허브(242)를 포함한다. 또, 하우징(214)는 선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소 경질의 플라스틱으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일반적으로 환상모양이고 탄성중합체인 씰링부재(232)가 허브(242)내에 위치된다. 씰링부재(232)는 회전 가능한 유량제어부재(232)보다 연성의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씰링부재(232)는 대표적으로 상기 연성재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반면, 하우징(214)과 유량제어부재(240)는 설명된 바와 같이 강하고 경한재료로 제조된다. 씰링부재(232)는 유입구이음부(220)와 유출구이음부(222)에 각기 대향하는 구조로 일치하게 구성되는 입구포트(224)와 출구포트(226)가 구성된다. 하우징(214)의 내부에 있는 돌출부(230)는 씰링부재(232)내의 노치(234)와 함께 작동하여, 회전과 비틀림이 방지되고 하우징내에 정상적인 상호일치가 이루어진다.
회전가능한 유량제어부재(240)는 탄성의 씰링부재(232)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허브(242)를 포함한다. 유량제어부재(240)는 개구부(250)에 삽입되도록 압축되고, 다음에 유량제어부재(240)를 소요위치에 고정하도록 확장구성되는 경사구조의 헤드(231)를 가진 회전축(248)에 의해 유량제어부재(240)의 후방에서 개구부(250)에 고정된다. 원형의 다이알(254)이 유니트상의 표면에 위치되고, 상기 표면은 유량을 조절하기위한 지지면이 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260)가 허브(292)의 환상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표면은 요홈(260)의 대향단부들의 중앙에 랜드(262)를 가진다. 요홈(260)은, 일반적으로 제8도에서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유량제어기능의 요홈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부가적으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허브(242)가 유입구이음부(220)와 유출구이음부(222)에 대해 다이알(254)이 회전함에 따라 유동이 차단상태로 부터 최대상태로 조정된다.
제1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42)의 뒷면(212)에는 상기 뒷면(212)로 부터 외부를 향해 대향하는 구조로 한쌍의 러그(lug)(245)가 구비된다. 각각의 러그(245)는 반경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윙(247)를 가지고 있다. 러그(245)은 하우징(214)과 일체화되어 있다.
사용자가 유속조절을 할 때 하우징(214)를 고정하기위해 부가적인 고정표면을 필요로 할 경우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백플레이트(211)이 하우징(200)의 뒤에 부착가능하다. 백플레이트(211)은 일반적으로 하우징(214)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고 또 유입구이음부(220)와 유출구이음부(222)의 단부 또는 단부이상으로 확장구성되는 충분한 길이의 장방형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백플레이트(211)의 반대면은 밸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또다른 앞쪽으로 확장구성되고 지지표면을 구성하는 또다른 플랜지(266, 268)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착검대 모양의 슬롯트(270, 272)가 하우징(214)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러그(245)가 착검대 모양의 슬롯트(245)의 광폭부분에 삽입되고, 하우징(214)가 회전되어 하우징(214)를 백플레이트에 고정시킨다. 고정개구부(274, 276)가 백플레이트(211)의 대향상태의 단부에 구비되어 백플레이트(211)과 유량제어밸브가 정맥주사용 스탠드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유량제어밸브의 또다른 선호되는 실시예가 제17도, 제18도 및 제18A도에 도시되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유량제어밸브는 하우징(302)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0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밸브챔버(316)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챔버(316)는 측부(305)를 가지는 계단구조이고, 상기 측부(305)는 밸브챔버(316)의 단부한쪽에서 소직경부(306)를 가지고, 개방구조의 단부 다른한쪽은 측부(305)를 가지게 계단이 형성된 밸브챔버(316)를 형성하는 대직경부(308)를 형성한다.
유입구이음부(320)은 밸브챔버(316)의 후방에서 소직경부(306)와 연결되는 유입포트(324)를 형성한다. 유출구이음부(322)는 측부(305)에 인접한 영역에서 밸브챔버(316)와 대직경부(308)과 연결되는 출구포트(326)를 형성한다. 제1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포트(324)와 출구포트(326)는 하우징에서 약 180도로 떨어져 대향하게 위치된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340)는 밸브챔버(316)내에서 억지끼워맞춤상태이지만, 밸브회전이 가능한 소직경부(306)의 원통형부분과 대직경부의 내부원통형부분(309)을 가진 몸체를 가진다. 다이알(354)이 하우징(302)상에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02)는 환성형이고 플랜지구조를 가지는 스커트(376)가 구성되고, 상기 스커트(376)는 내향구조의 립(367)를 가지며, 상기 립(367)은 하우징(302)상의 플랜지(366)와 결합한다. 제18도와 제18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립(367)은 하우징(302)를 소요위치에 고정시켜 조립된 밸브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플랜지는 하우징(302)상의 돌출부와 함께 작동하여 양방향회전에 있어서 회전 정지기능 또는 회전제한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302)는 강성이고, 경질인 플라스틱재료, 이를테면 에이비에스(ABS)수지, 엑스티(XT) 혹은 이와 동등한 재료로서 솔벤트(solvent)에 의해 접착가능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하우징(302)는 반-강성(semi-rigid)재료 이를테면, PVC, LDP, C-Flex 혹은 강성재료인 유량제어부재에 대해 씰링효과가 우수하고, 간단차변화에 적응가능하며, 이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진 재료가 선호된다. 선호되는 재료의 특성은 앞서 설명되었다.
밸브기능은 회전식 유량제어밸브(340)의 외표면에 형성된 나선형 경사면(380)에 의해 수행된다.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요홈(360)이 밸브몸체부재의 외표면에 구비된다. 키이홈(key way-like groove)모양의 요홈(360)이 하우징(302)에 구성되고, 회전식 유량제어부재(340)의 대직경부(308)과 교차하는 경사면(380)를 지나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나선형모양의 경사면(380)의 작은 나사형 경사면(380)의 소폭부분은 요홈(360)의 바로 인접한 부분에 랜드(362)를 형성하고, 상기 요홈(360)은 하우징(302)의 측부(305)와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경사면(380)의 나머지부분은 나선형 구조를 가지며, 제17도에서와 같이 상기 나사형 구조는 회전식 유량제어부재의 개방형 단부를 향해 경사면을 이루고, 다른 단부에서 요홈(360)과 교차한다.
작동시, 유량제어밸브는 요홈(360)이 출구포트(326)와 정렬되었을 때, 제18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유동이 일어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위치에서 유체는 유입포트(324)를 통하여 밸브의 후방에 위치하는 밸브챔버내의 유동공간(350)을 따라 내려가 요홈(360)을 통하여 출구포트(326)로 빠져 나가게 된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340)가 유동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정맥주사액은 유입포트(324)로부터 측부(305)와 나선형 경사면(380)으로 형성된 통로를 거쳐 출구포트(326)로 흐를 것이다. 유량제어부재가 좀더 회전하면, 유동통로의 크기가 감소되고, 유동통로길이는 증가되어 유량이 변화하게 된다. 요홈(260)이 약 4시방향에 위치되었을 때, 랜드(362)는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유동이 차단된다.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구성이 쉽고, 플라스틱 성형기술로도 제조가능하다는 것이다. 강성의 단단한 플라스틱 하우징과 연성재료의 회전식 유량제어부재를 이용한 구성은 구성부품사이의 값비싸고 복잡한 씰링구성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상기 밸브는 유량제어부재의 회전범위 전체에 걸쳐 모든 유량을 제어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400)가 제19도와 제20도에 도시되었다. 실시예(400)에서는 하우징(402)가 일반적으로 원추대 모양의 밸브챔버(416)를 구비한다. 플랜지(466)가 밸브챔버(416)의 개구부에 구성되며, 밸브 몸체상의 플랜지(466)와 돌출부(430)가 체결되어 함께 작동한다. 유입구이음부(420)은 후방의 밸브챔버(416)와 연결되는 유입포트(424)를 형성한다. 유출구이음부(422)은 중간회전위치에서 밸브챔버(416)와 연결되어 출구포트(426)를 형성한다.
유량제어기능은 유량제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유량제어부재에는 내부몸체(40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몸체(401)는 일반적으로 원추대 모양이고 밸브챔버(416)와 억지끼워맞춤상태이다. 내부몸체(401)는 밸브챔버(416)의 후벽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구성이 끝나서, 유동공간(450)가 밸브챔버(416)의 후면에 구성된다.
경사유동통로(451)가 밸브몸체(402)의 내부표면에 구성된다. 경사유동통로(451)는 거의 밸브챔버(416)와 출구포트(426)의 교차점에서 출발하여 나선형으로 밸브챔버(416)의 내부주위를 거의 300도 회전하는 구조이다. 경사유동통로(451)는 출구포트(426)와의 교차점에서 최대 단면적을 가지고, 경사유동통로(451)의 단부(464)에 접근하면서 단면적이 감소한다. 경사유동통로(451)에는 측벽의 한쪽 혹은 양쪽에서 경사가 구비된다. 요홈의 바닥벽은 요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깊이가 감소하게 된다. 축방향의 슬롯트(470)가 잘린 원추형의 회전식 유량제어부재의 외부표면에 구성되어 최대유동이 발생하는 위치를 형성한다.
최대유동이 발생하는 위치는 슬롯트(470)이, 제20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포트(426)와 연결되는 6시방향의 위치에서 형성된다. 제20A도에 있어서, 유체는 유입포트(424)를 통하여 유동공간(450)를 따라 슬롯트(470)를 통과하여 출구포트(426)로 유동이 일어난다. 시계방향으로 유량제어부재를 회전시키면 슬롯트(470)가 나선형의 경사유동통로(451)의 깊이가 더작은 부분과 연결되어 유동제어가 이루어진다. 경사유동통로(451)가 없는 밸브챔버(416)의 원추대면(433)이, 제2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포트(426)와 접하는 위치에서 유동은 차단된다.
상기 실시예는 전 범위의 유량제어시 유동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고, 최대유동위치 및 유동차단위치가 구성되며, 단순하고 효과적인 유량제어부재를 구성한다.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요소에 있어서, 하우징은 연성의 반-강성재료로 하고, 다른 요소는 씰링이 가능하도록 강성재질의 플라스틱로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성 재료는 에이비에스(ABS)수지 또는 엑스티(XT)등이고 플라스틱 성형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진 LDP, PVC 혹은 이와 유사한 재료가 사용가능하다.
제21도에서 제2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500)를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인 유량제어밸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착된 여러 가지 장착부품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500)는 앞서 설명한 밸브와 유사한 형태로 기본 구성의 유량제어밸브(502)와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하우징(505)을 통과하는 유량제어를 위해 회전식 다이알(504)과, 유입구이음부(506) 및 유출구이음부(508)로 구성된다.
유량제어밸브(502)는 콤팩트(compact)하면서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설계되고, 어떤 경우, 유량제어밸브(502)의 콤팩트한 크기에 의해 정맥주사 위치에서 주사바늘은, 경미하게 당겨질 수 있는 정맥주사 확대세트의 예와 같이, 크기와 중량면에서 사용하는데 잇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예의 경우, 밸브는 한손으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의료종사들이 밸브를 한손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 다른 작업을 수행가능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자가 지지요소로서 부가적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백플레이트(510)가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의 백플레이트(510)는 적당한 플라스틱재료로부터 하나의 유니트로 성형가능하다. 백플레이트(510)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후방표면(512)과 전방으로 확장구성되는 측벽들(514, 516)로 구성된다. 측벽들(514, 516)은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하우징(505)의 직경보다 작게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측벽들(514, 516)의 중간위치에는 하우징(505)용 소켓(515)가 구성되고, 상기 소켓(515)은 원형의 하우징(505)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지며, 외부로 발산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방식에 의해 하우징(502)이 백플레이트(510)내에 위치되고, 하우징과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가능하다. 조립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알(504) 직경이 백플레이트(510)의 폭을 초과하므로, 조작자는 백플레이트(510)를 손안에 놓고 유니트를 편리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조작자는 밸브조정을 위해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으로 다이알(504)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백플레이트의 대향위치의 단부들은 (520, 522)에서 오목한 구조를 가지므로 정맥주사액배관(521, 523)의 유입 및 유출작용을 적합하게 한다. 상향으로 확장구성되는 돌출부(530)는, 제21도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510)의 상부의 좌측변부에 구성된다. 돌출부(530)는 유량제어밸브(500)가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버로 작용할 때 구속해제기능의 부품으로 작용한다. 만약 원한다면 하부의 대향측부들(514, 516)은 커버에 맞는 구멍(532, 534)을 구비한다.
백플레이트(510)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커버(550)는 예를 들어, 소아 환자의 경우와 같이, 밸브의 셋팅을 의도적으로 혹은 우발적으로 건드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안전장치를 구비하려할 때 부착된다. 커버(550)는 일반적으로 측부(554, 556)로 구성되는 평평한 커버플레이트(552)를 포함한다. 수용된 유량제어밸브(502)의 다이알(504)를 포함하기에 적합하도록, 커버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소켓(560)을 형성한다. 측부(554, 556)의 아래단부는 커버플레이트(552)의 하부에서 수직연결상태를 이루고, 백플레이트(5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구멍(532, 534)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확장구성되는 핀 또는 축(562)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550)는 적당한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측부(554, 556)는 외부로 충분히 구부러져서, 구멍(532, 534)과 결합가능하다. 따라서, 조립되었을 때,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552)는 백플레이트(510)에 회전가능하여 개방위치에 놓이거나 또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위치가 되도록 상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측부(554, 556)의 내부에 위치하는 랫치(558)는 백플레이트(510)의 변부와 맞물려 커버플레이트(552)를 밀폐위치로 고정시킨다. 돌출부(575)는, 제2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552)의 상부우축변부에서 상향으로 확장구성된다. 따라서,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기위해 백플레이트(510)상의 돌출부(530)와 커버플레이트상의 돌출부(575)는 대향되게 힘을 받아 커버를 개방하기 용이해진다. 지시계(580)가 커버플레이트(552)에 구비되어, 간호사가 밸브의 셋팅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백플레이트(510)와 커버플레이트(552)는 일체형으로 성형가능하고, 커버플레이트(55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얇은 플라스틱막의 회전가능한(live) 힌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7도와 제28도에서, 부호(600)으로 표시된 밸브의 선택적 형태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하우징(602)는 일반적으로 각기 유입구이음부(606)와 유출구이음부(608)를 가지는 밸브챔버(604)를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다. 환상의 플랜지(610)가 하우징(602)의 주위로 확장구성되어 회전식 유량제어부재(618)가 수용가능하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618)의 회전에 의해 유량제어가 가능하고, 표면에 가변단면적이 구성된 요훈(620)가 형성된다. 유량제어부재(618)은 하우징(602)보다 연성의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져, 우수한 씰링기능이 이루어지고 수축작용이 적은 것이 선호된다. 유량제어부재(168)의 키이홈(628)과 개구부(626)는 동심축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별도로 상기 개구부(626)가 다디알(632)에 구성된 회전축(630)을 수용가능하게 한다. 다이알(632)이 제조되는 플라스틱재료의 강성은 유량제어부재(618)보다 크고, 키이홈(628)에 결합되는 다이알(632)의 키이(635)에 의해 다이알(632)은 유량제어부재(618)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하다. 돌출플랜지(642) 형태를 가지는 환상의 체결부재(640)는 플랜지(610)와 서로 맞물려 고정상태의 조리체를 구성한다. 환상형태의 다이알(632)은 수동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경사구조의 톱니모양으로 구성된다.
플랜지(610)는 수직으로 확장구성되어 포인터(655)에서 구성이 끝나는 정지부재(650)로 구성된다. 다이알(632)과 연결된 유량제어부재(618)의 회전운동은 돌출플랜지(642)가 정지부재(650)에 접촉함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양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한방향으로 유량이 증가하고 다른 방향에서 유량이 감소하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적당한 부호가 다이알(632)의 표면에 표시되어 유량셋팅 상태를 나타내고, 이때 다이알(632)의 표면은 포인터(655)와 함께 작동가능하게 된다.
제29도에서 제3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700)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700)에서, 밸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모양으로 구성되는 하우징(70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702)은 단부(705)에서 폐쇄상태를 이루는 밸브챔버(704)를 형성한다. 유입구이음부(710)은 밸브챔버(704)와 연결되는 유입포트(712)를 형성한다. 유출구이음부(711)은 유입구이음부(710)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출구포트(718)를 형성한다.
밸브유량제어부재(720)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니트를 수동회전하도록 너얼링(knurling) 구조의 원형이 외곽림(725)을 가지는 손잡이(724)가 구성된다. 원통형의 회전축(726)는 손잡이(724)로부터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상기 손잡이(724)는 외측단부에 일반적으로 Y자 모양의 Y형 돌출부(729)로 구성되며, 상기 외축단부는 원통형의 유량제어부재(730)와 액슬조립체의 적합한 정렬기능을 용이하게 한다. 유량제어부재(730)은 개방구조의 상단부(734)와 폐쇄상태의 하단부(736)를 가진 원통형 몸체(732)를 가진다. 제3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폐쇄상태의 하단부(736)는 돌출부(726)의 단부에 위치하는 Y형 돌출부(729)의 Y자 모양과 일치하는 Y형 요홈(738)이 구성된다. 따라서, 유량제어부재(730)이 원통형 회전축(726)위에 위치되고 구성 부품들이 압착되면, Y형 돌출부(729)의 Y형 요홈(738)에 안착하여 구성부품간의 정확한 조립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구성부품간에는 상대회전운동이 방지된다.
유량제어부재내부의 원통형내벽(740)에는 오목부(742)가 축방향으로 구성되고, 립(741)가 원통형 회전축(726)의 외부표면에 구성되어, 구성부품간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구성부품간의 상대회전운동을 억제한다.
밸브의 하우징(702)은 강성의 플라스틱재료, 예컨대, 에이비에스수지(ABS), 엑스티(XT)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재료는 솔벤트에 의해 접착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며 변형 및 휨에 저항할 수 있는 특성을 가졌다. 적당한 재료중 하나로서, 에이비에스수지(ABS) 형태의 상표명 카돈(Kadon)이 시판중에 있다. 유사하게, 회전축(726)과 일체형의 다이알(724)로 구성된 회전식 유량제어부재(730)는 강성이고 경질의 플라스틱재료로부터 제조되어진다. 유량제어부재(730)의 재료는 반-강성재료 예컨대 PVC, LDP, C-Flex 혹은 이 분양의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진 다른 유사한 재료가 선호되고, 상기 유량제어부재(730)의 재료는 허용공차내에서 변형이 발생하고 강성 재료의 하우징(702)와 적합한 씰링작용을 유지하는 재료이다.
밸브기능은 유동통로(744)와 제31도의 확대도에서처럼 유량제어부재(730)의 외부표면에 구성된 유량제어기능의 요홈(745)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동통로(744)는 일반적으로 U자형 또는 V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유동통로(744)의 단부에서 유량제어기능의 요홈(745)와 연결되고 상기 요홈(745)은 제3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랜드(746)에서 구성이 시작하여 유량제어부재(730)주위에 형성된다. 요홈(745)과 유동통로(744)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요홈(745)의 단면적은 최대단면적으로부터 감소한다.
조작시, 유동통로(744)의 일부가 유입포트(712)와 일치되고, 유동통로의 반대쪽 다른 부분이 출구포트(718)과 일치될 때, 유동은 최대가 된다. 밸브의 상기 위치에서, 유체는 유입포트(712)를 통하여 유동통로(744)을 통과하고 다음에 출구포트(718)로 유동하여 최대유동상태를 유지한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720)가 유동제어위치로 회전될 때, 정맥주사액은 유입포트(712)로부터 요홈(745)과 유동통로(744)를 통과하고 다음에 출구포트(718)로 유동하게 된다.
유량제어부재(730)가 더욱 회전함에 따라, 요홈(745)의 원주방향부분이 유동통로내에 놓이게 되고, 유동통로내의 요홈의 원주방향부분은 유동제어기능에 영향을 주게된다. 랜드(746)가 유입포트(712)와 접촉하는 위치로 드럼이 회전될 때, 밸브는 유동이 차단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702)는 환상의 씨이트(751)내에 수용되는 드럼의 내측단부주위에 O-링(750)을 포함한다. 밸브몸체와 드럼으로 구성된 다이알을 포함한 부품은 다이알의 하면에서 플랜지들(751)과 함께 뚝소리를 내며 결합가능하고, 상기 하면은 밸브몸체내의 개구부 주위에서 외향의 립(732)와 결합된다. 다이알의 외축표면에는 유동제어위치를 나타내는 지시계(760)가 구성된다. 상기 지시계(760)는 기준부호(762)와 함께 작동하고, 상기 기준부호(762)는 밸브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씰링특성을 가지는 연성재료의 유량제어부재(730)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씰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밸브챔버의 내부표면과 유량제어부재(730)는 억지끼워맞춤상태에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가끔 억지끼워맞춤은 회전을 방해하고, 밸브의 매끄러운 동작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상기 형태의 부품은 허용 오차가 작아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702)이나 유량제어부재(730)에서의 몰딩작업상의 불량은 조립시 부품간 간단차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의 유량제어부재(730)은, 제3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밴드(760)로 구성된다. 상기 제33도는 확대 도시된 상태에 있다. 도시된 형태의 유량제어부재(730)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단부벽(736)과 측벽(732)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씰링밴드(760)는 유동통로(744)와 요홈(745)으로부터 양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씰링밴드(760)는 축방향으로 전체 유량제어부재(730) 길이의 약 3분지 1정도에 이르는 길이로 확장구성된다. 씰링밴드(760)는 위치(765)에서 반경방향의 내부로 오목하고, 위치(766)에서 외부로 볼록한다. 씰링밴드(760)의 외부표면은 상향으로 확장구성되는 경사면(767)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767)은 립(768)을 형성하며, 상기 립(768)은 요홈(745)의 축방향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요홈(745)과 유동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증가된 두께를 가지는 뱅크(760)는 요홈으로부터 유체누출을 방지하여 씰링효과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씰링밴드(760)는 유량제어부재(730)의 축방향전체길이까지 확장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유연한 작동과 적정한 점착성이 이루어진다. 또, 씰링밴드(760)는 구성부품의 수축에 대해 보상이 이루어지고 몰딩과정에 일어나는 부품의 편심에도 적응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800)가 제34도에서 제40도에서 도시되었다. 상기 실시예(800)의 유량제어부재(820)에 형성된 요홈과 유동통로는 유량제어부재(820)이 360도를 회전함에 따라 드럼이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34도에서 제40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800)에 있어서, 유동제어는 유량제어부재(820)이 약 180도 이상의 범위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360도 전체 범위에 이르는 유량 제어부재(820)의 표면이 유동통로의 역할을 하게된다. 미소한 조정치는 유동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유량제어부재(820)의 표면구성에 의해 유동량범위가 원주길이 증가로 더욱 확대되어, 구성되는 유니트의 작동이 더욱 용이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흐름조절 범위가 전체 360도에 걸쳐 연장되기 때문에 다이알상의 적당한 표시량이 확대되어, 표시량을 쉽게 읽을 수 있고 여러 가지 유동량을 표시가능하게된다.
제34도에서 제40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를 따르는 밸브는 제29도에서 제33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즉 다시 설명하면 단부벽(805)에 의해 단부 한쪽이 폐쇄상태를 이루고, 단부의 다른쪽은 개방상태의 밸브챔버(804)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하우징(802)으로 구성된다. 유입구이음부(812)와 유출구이음부(814)가 밸브챔버(804)가 밸브챔버(804)에 연결되고, 유출구이음부(812)가 유입구이음부(814)로부터 약 180도 떨어져 위치한다.
회전식 밸브부재(810)는 사용자에 의한 용이한 수동회전을 위해 밸브부재(810)의 외측변부에 너얼링(knurling) 형태로 일체화되는 것이 선호되는 다이알(814)와 회전축(812)으로 구성된다. 원통형의 유량제어부재(820)은 회전축(812)과 함께 회전하고 밸브챔버(804)에 결합된다. 앞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하우징(802)는 강성이고 경질인 플라스틱재료, 이를 테면, 에이비에스수지(ABS), 엑스티(XT)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가 선호되고, 동일한 재료로 다이알(814)과 회전축(812)이 제조된다. 유량제어부재(820)은 PVC, LDP, C-Flex 같은 반강성 플라스틱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가 선호된다. 유량제어부재(820)에 있어서, 위치(815)에는 요홈이 적합하게 만들어지고, 회전축(812)와 유량제어부재(820)가 조립될 때 조립되는 구성부품들이 정상적으로 정렬되어, 상대회전운동이 방지되고, 이를 위해 회전축(812)상에는 요홈이 수용되어 함께 작동하는 스플라인(spline) 또는 돌출부(816)가 구성된다.
다이알 조립품은 환상의 플랜지구조를 가진 스커트(812)가 구성가능하고, 상기 스커트(812)는 유량제어부재가 소요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우징상의 원형의 플랜지(822)와 체결가능한 내향구조의 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알 조립품은 하우징(802)에 대해 다이알 및 유량제어부재(820)의 상대회전운동이 가능하지만 조립된 구성품간의 분해가 방지되는 구성을 가진다.
유량제어부재(820)의 형상에 의해 포트들이 180도만큼만 떨어져 있더라도 유량제어부재(820)가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제어정도가 증가되고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유량제어부재(820)의 외부표면에는 랜드(854) 근처에서 구성이 시작되고 원주방향을 향하는 제1요홈(850)이 구성된다. 제1요홈(850)은 유량제어부재(820)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상기 요홈의 단면적은 최외곽의 단부(852)로부터 제1요홈(850)이 축방향의 교차부(855)와 만나는 교차위치(853)까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제1요홈(850)은 여러 가지 단면형상, 예컨대, V형, U형등이 가능하고 교차위치(853)으로부터 최외곽의 단부(852)까지 점진적으로 단면이 감소가능하다. 제1요홈(850)내에서, 유동은 축방향의 교차부(855)에 의하여 유동통로(860)를 향해 축방향을 향한다. 유동통로(860)는 교차부(855)에 의하여 유량제어부재(820)의 외부표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며, 이때 상기 외부표면은 제1요홈과 평행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동통로(860)는 랜드(854) 부근에 위치한 요홈단부(860)에서 구성이 끝난다. 유입포트(812)는 제1요홈(85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일직선이 되게 정렬되고, 출구포트(814)는 유동통로(860)와 일직선에 놓이도록 입구포트(812)로부터 축방향으로 유량제어부재의 변위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입포트(812)와 인접한 유량제어부재(820)의 랜드(854)가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밸브내의 유동이 차단된다. 제36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유량제어부재(820)가 조금씩 회전함에 따라, 유입포트(812)는 제1요홈(850)과 연결되도록 이동되어져, 제39도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교차부(855)를 가로질러 제1요홈(850)을 따라 이동하는 유동은 유동통로(860)를 향하고, 상기 유동통로(860)는 출구포트(814)과 연결된다.
밸브가 시계방향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유입포트(812)와 제1요홈이 만나는 지점은 제1요홈을 따라 요홈 깊이가 증가하는 위치에 있고 따라서, 유동은 제1요홈을 통과하고 교차부(855)를 거쳐 유동통로(860)로 흐르면서 유속이 증가하게 한다.
상기 유입포트(812)와 제1요홈이 만나는 지점에서 유입포트(812)는 제1요홈(850)의 단부와 연결상태에 있고, 제4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밸브내에는 최대유동이 흐르게 된다. 유입포트(812)로부터 출구포트(814)는 유동통로(860)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위치에서, 유량제어밸브내에는 정맥주사액의 최대유동이 이루어져서, 빠른 주사액투여가 이루어진다.
다이알의 외부표면은 폐쇄위치로부터 최대유동에 해당하는 여러 가지 유속에 대한 증가분을 나타내는 적당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유량제어가 다이알의 전체 360도 회전범위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밸브의 셋팅 작업은 더욱 정확해진다. 또,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이알표면에 추가로 눈금이 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유량제어가 이루어지는 모든 유량범위 즉 유동의 개시부터 최대유동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유동통로(860)는 유동이 이루어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앞서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밸브는 움직이는 부품이 작아서 정확하고 기능 반복성이 좋다. 구성부품들은 플라스틱 성형기술에 의해 제조하기 용이하고,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진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되는 유량제어부재(820)과 밸브챔버(804)의 내면에는 씰링기능이 이루어진다.
제41도에서 제47도에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9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900)에서 유량제어부재와 유로통로는 유량제어부재(820)가 360도 회전범위에 걸쳐 유동이 제어가능하도록 제34도에서 제40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된다. 제41도에서 제47도에서 도시된 실시예(900)에 의해 정맥주사시 요구되는 미세하고도 극저속의 유동이 가능해진다.
정맥주사액의 주사에서, 가끔 저속유량이 요구되고 특히 케이브이오(keep vein open) 셋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장기입원환자 혹은 다른 어떤 물리적상태에 있는 환자의 정맥은 접히거나 위축되는 현상이 흔히 있다. 따라서, 상기 환자에게 극저속의 정맥주사를 실시하는 것이 관행이다. 정맥주사에 의해 환자의 정맥은 개방상태에 놓이게 되고, 주사액의 신속한 투여가 이루어지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케이브이오(KVO) 셋팅시 유동량은 전형적으로 시간당 5씨씨(CC.) 범위내에 있다. 상기 저속의 유동량은 종래기술을 따르는 중력식의 투여장치에서는 실현불가능 했다. 지금까지, 정밀하고 초저속의 상기 유동은 약간의 신뢰성을 가지고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용적형 펌프에 의해 가능했을 뿐이다. 상기 장치는 값비싸고 모든 의표시설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롤러 클램프나 종래의 투약제어장치같은 장치에서는 시간당 5cc 범위내에서 반복적으로 저속유량과 정확성을 얻을 수 없었다.
제41도에서 제4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따르는 밸브는 일반적으로 제34도에서 제40도에서의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단부벽(905)에 의해 하단부는 폐쇄상태를 이루고 단부벽의 반대편은 개방구조의 밸브챔버를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902)으로 구성된다. 유입구이음부(912)과 유출구이음부(914)가 유입포트(912)와 출구포트(918)에서 각기 밸브챔버와 연결된다. 유입구이음부(912)과 유출구이음부(914)은, 제4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약 180도 떨어져 위치된다.
다이알(91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회전을 더 용이하게 하기위해 다이알(910)의 주변주위에 너얼링(knurling) 구조로 다이알(910)과 일체화된 다이알 외곽부(918)과 회전축(911)으로 구성된다. 유량제어부재(920)은 유니트로서 회전축(911)과 함께 회전하고 밸브챔버내에서 하우징(902)와 결합된다. 회전식 유량제어부재(920)를 하우징(902)의 내부형상과 물리적특성에 일치시키는 방법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902)는 적당한 강성을 가지고, 경질인 플라스틱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다양한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재료들이 이 분양의 전문가들에게 알려져 있으며, 에이비에스수지(ABS), 엑스티(XT)등과 같은 정밀한 성형이 이루어지고 강성을 가진 것이 선택된다. 유량제어부재(902)는 어느정도 냉간유동특성(cold flow characteristics)를 나타내는 탄성중합체의 열가소성재료(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s)로 알려진 종류의 재료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종류의 재료는 폴리에틸렌 PVC와 LDP 및 상표명 C-Flex로 시판되고 있는 플라스틱들을 포함한다. 이들 재료의 대표적인 것인 산토프렌(Santoprene)이다. 유량제어부재(920)에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요홈이 구성되고, 조립완료시 상기 구성부품들을 소요위치에 놓이고 유량제어부재(920)내에 수용되도록 회전축(911)에는 회전축(911)과 함께 작동하는 스플라인(916)이 구성된다. 다이알(910)는 유량제어부재(920)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플랜지(922)와 결합되어, 조립품의 분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유량제어부재(920)에 관해 다이알(910)과 유량제어부재(92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내향구조의 립이 구성된 플랜지(921)를 포함한다.
유량제어부재(920)의 외부표면은 유량제어가 가능하도록 유입구이음부(912)와 유출구이음부(91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요홈이 구성된다. 유량제어부재(92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제4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제어부재(920)의 외부표면은 랜드(954)의 인접부에서 시작하는 원주방향의 제1요홈(950)이 구성된다. 제1요홈(950)은 유량제어부재(9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제1요홈(950)의 시작부분(952)로부터 교차부(955)와 교차점까지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제1요홈(950)은 예컨대, V자형성, U자형상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단면으로 구성되어있다. 제1요홈(950)은 교차부(955)를 가로질러 유동통로(960)와 축방향으로 연결된다. 유동통로(960)는 제1요홈(950)과 평행하고 드럼(920)의 외부표면을 따라 교차부(955)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어 랜드(954)부근의 통로단부(962)에서 구성이 끝나다. 유입포트(916)가 제1요홈(950)과 축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4도에서 제40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유량제어기능 혹은 메터링은 실제로 360도 범위에 걸쳐 이루어진다.
유량제어부재(920)가 제47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유입포트(916)는 랜드(954)과 바로 일치되고, 밸브내에서는 유동이 차단된다. 다이알(910)이 제4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약간 회전되면, 유입포트(916)는 차단점(970)과의 결합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차단점(970)은 랜드영역(954)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차단점(970)은 열-성형 상태이고, 유입포트(916)의 단면형상과 정확히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유사한 차단점(972)이 유량제어부재(920)의 반대측에 있고, 출구포트(918)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차단(off) 위치에서, 차단점(970)는 유입포트(916)와 정확히 결합하고, 유사한 차단점(972)는 출구포트(914)와 바로 결합된다. 다이알(910)이 약간 회전하면, 차단점(970)은 제45도와 제46도에서 도시된 위치로 움직여, 소량의 유체가 유입포트(916)로부터 틈새를 통해 제1요홈(950)으로 유동하게 된다. 밸브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차단점(970,972)은 유입포트(916,918)의 결합위치에서 더욱 벗어나게 된다.
제42도와 제4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점(970,972)은 유량제어부재(920)의 표면상에서 일반적으로 작은 돌출부 형태로 구성된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는 유량제어부재(920)의 랜드(954)의 재성형 공정(remolding process)에 의해 제위치에 형성된다.
차단점의 모야은 유입포트(916)과 출구포트(918)의 윤곽선과 정확히 일치되게 형성된다. 차단(off) 위치에서, 제4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점과 포트는 결합하여 양호한 씰링기능이 이루어진다. 차단점들이 상호대응되는 포트들과의 결합위치로부터 약간 움직였을 때, 제45도와 제4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유동이 가능하여 초저속의 케이브이에이(KVA) 유동상태가 이루어진다. 밸브를 더욱 회전시키면, 유입포트(916)가 제1요홈(950) 또는 교차부(955)와 일치되어, 제34도에서 제4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최대유동 및 정상유동제어가 이루어진다.
소요위치에 있는 차단점의 형상은 조립된 밸브에 열을 공급함에 의해 얻어진다.
제4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구성부품이 조립되었을 때 유량제어부재(920)와 하우징(902)는 0.001인치에서 0.002인치 범위에서 억지끼워맞춤상태로 결합된다. 제43도의 가열되기전 조립된 상태에서 유량제어부재(920)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인해 밸브챔버에 밀착되게 위치된다. 조립후 밸브는 가열공정을 거친다. 대표적으로 화씨 140도에서 화씨 180도의 범위에서 1/2시간에서 2시간동안 가열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902)은 비교적 강성의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되고, 유량제어부재(920)는 열가소성의 탄성중합체(thermoplastic elastomers)로 알려진 종류의 연성재료로부터 성형된다. 특히 조립된 밸브가 장시간 가열되면 유량제어부재(920)의 탄성중합체재료는 치수가 안정화되고, 상기 가열공정에 의해 약간의 크리프(creep) 특성 또는 플로우(flow)를 나타낸다.
가열공정에 의해 유량제어부재(920)과 하우징(902)이 밀착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부품들 각각의 형상과 일치되어 미소한 모든 간단차를 보상하게 된다. 상기 간단차는 조립과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형상적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유량제어부재의 재료가 약간의 크리프 특성 또는 플로우 특성을 일으키기 때문에, 포트부분의 플라스틱재료는, 제4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916,918)속으로 들어가 차단점(970,972)을 형성한다. 각 포트의 주변부의 형상이 유량제어부재(920)의 표면부근에 전달되어, 포트의 주변부 형상이 주변으로부터 약간 볼록한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가열공정에서 유량제어부재(920)은 밸브챔버내에서 완전히 결합되거나 일치되고, 유량제어부재(920)는 유입포트(916)와 출구포트(918)에서 한쌍의 대향구조를 이루는 차단점(970,972)이 구성되며 상기 차단점들(970,972)은 연결상태를 이루는 각각의 포트들의 윤곽 및 형상과 정확히 일치된다. 상기 임프린팅(imprinting)가공은 특정 조립구성품의 개별적이고 독특한 특성이 된다.
일단 가열공정이 완료되면, 차단점들이 연결상태의 포트들과 결합되는 유동차단상태에서 포트내로 유체유입을 방지하도록, 유량제어밸브는 개별화된 씰링장치 또는 폐쇄벽을 가지게 된다. 제45도와 제4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점이 유량제어부재(920)의 미소한 회전을 통하여 포트와 부분적인 결합위치로 이동할 때, 유체는 포트들을 정확하고 예측가능한 속도로 통과가능하게 된다.
차단점의 소요위치성형과 가열과 압축에 의한 유량제어부재(920)의 재성형에 의해 양의 안착(positive seating)이 이루어지는 고정밀도의 밸브가 구성된다. 상기 방법으로 성형된 차단점(970, 972)은 밸브의 초저속 케이브이에이(KVA) 유량셋팅이 가능하게 한다. 유량제어부재(920)는 상대적으로 강성을 가지고, 유량제어부재(920)주변의 하우징(902)는 연성의 탄성중합체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중합체는 유동통로가 구성되어, 상기 유동통로가 하우징(902)과 접촉되는 구성되는 독특한 제조공정을 이용가능하다. 다시말하면, 플라스틱 구성부품과 정확한 끼워맞춤이 요구되는 모든 조립품은 상기 제조공정을 이용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제조비용이 낮고, 정밀한 작동과 기능반복성을 가진 기본적인 밸브가 제조가능하다. 부가하여, 밸브가 장치의 기능을 더 향상시키고 한손으로 가능하게 부가장치로서 백플레이트를 구비 가능하다. 또한 안전관리측면에서 부가적으로 커버판이 백플레이트에 부착가능하다. 간호사의 필요에 따라 특정 기구와 과정상 요구에 따라 백플레이트 또는 백플레이트 및 커버판 모두를 부착가능하다.
밸브 구성부품에 대한 단일한 설계와 구조는 복잡한 씰링구성을 피하고 제조경비가 적어서, 조립된 유니트는 케이브이에이(KVA) 유동에서 최대유동 범위까지 사용가능하며 저가격의 일회용 제품으로서 의료기관에 구비가능하다.
상기 유니트는 오조작방지기능을 가지고, 간호사가 정확하고 반복가능한 결고가 이루어지도록 간단하고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당해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이 상기의 설명된 발명에 대한 여러 가지 수정변형을 만들 수 있음이 명백하다. 상기 수정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한, 청구범위가 이 모든 것을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플라스틱제 하우징(902)이 일반적으로 원통형모양의 밸브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902)은 주사바늘과 연결된 가요성 튜브내로 연결가능한 유입포트(916)와 출구포트(918)로 구성되며 상기 가요성 튜브가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밸브챔버와 연결되고, (b) 플라스틱제 유량제어부재(920)의 연성이 상기 하우징(902)보다 더크고, 상기 유량제어부재(920)는 상기 밸브챔버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유량제어부재(92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표면을 가져서 상기 원통형의 표면은 유동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통로는 상기 원통형의 표면주위를 따라 확장구성되고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요홈(950)과 상기 제1요홈(950)과 축방향으로 이격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유동채널(960)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채널(960)은 균일한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유량제어부재(920)의 표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제1요홈(950)과 평행하게 확장구성되며, 상기 제1요홈(950)과 유동채널(960)은 교차부(955)에서 상호 연결되고 정맥주사 시스템이 가요성 튜브를 통해 주사바늘에 연결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동통로와 상기 유입포트(916)가 상기 교차부(955)에 연결되는 최대유동위치까지 회전가능한 상기 하우징(902)을 통해 상기 유입포트(916)에서부터 상기 출구포트(918)까지 유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입포트(916)는 제1요홈(950)과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고 상기 출구포트(918)는 상기 유동채널(960)과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며, 상기 교차부(955)의 단면적이 상기 제1요홈(950)의 단면적 또는 유동채널(960)의 단면적중의 하나보다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02)에 차단점(970, 972)을 수용하고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점(970, 972)에 의해 일체화되어 지지되고, 또한 상기 차단점(970, 972)과 연결된 다이알(9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02)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이알(910)이 접속가능한 위치에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백플레이트(510)가 구성된 밸브보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알(910)의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백플레이트(510)에 고정면이 구비되고 상기 백플레이트(510) 반대쪽의 오목부에서 종방향으로 확장구성되어 상기 다이알(910)의 수동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장치가 구성되는 위치에서 상기 백플레이트(51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밸브보호장치의 커버플레이트(552)가 개폐위치로 조절가능하여, 커버플레이트(552)가 개방되면 밸브조정이 가능하게 상기 다이알(910)이 외부로 노출되고, 커버플레이트(552)가 폐쇄되면 다이알(910)의 오동작이 방지가능하게 상기 유량제어밸브가 덮어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통로는 유량제어부재(920)의 표면주위로 확장구성되는 제1요홈(950)과 상기 제1요홈(950)으로 축방향으로 이격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유동채널(96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요홈(950)과 유동채널(960)가 교차부(955)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유입포트(916)로부터 상기 출구포트(918)까지 상기 유동통로를 통해 유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입포트(916)는 상기 제1요홈(950)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고, 상기 출구포트(918) 상기 유동채널(960)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6.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부재(920)의 표면이 랜드(954)를 형성하고, 상기 랜드(954)는 상기 제1요홈(950)을 따라 종방향으로 구성되며 또 상기 제1요홈(950)의 상기 유입포트(916)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린드(954)에 상기 차단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KR1019890700165A 1987-06-01 1988-06-01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KR960013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12987A 1987-06-01 1987-06-01
US051,129 1987-06-01
US118,438 1987-11-09
US07/118,438 US4789000A (en) 1984-07-13 1987-11-09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PCT/US1988/001903 WO1988009893A1 (en) 1987-06-01 1988-06-01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39A KR890701939A (ko) 1989-12-22
KR960013788B1 true KR960013788B1 (ko) 1996-10-10

Family

ID=2672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165A KR960013788B1 (ko) 1987-06-01 1988-06-01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939B1 (ko) * 2015-05-26 2016-08-25 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 수액 유량조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939B1 (ko) * 2015-05-26 2016-08-25 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 수액 유량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39A (ko) 198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506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US4789000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US5005604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US4807660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US5113904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EP0187827B1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US482234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rate
US4337791A (en) Flow regulator assembly
US4667927A (en) Liquid flow metering device
US4702397A (en) Pressurized fluid dispenser
US5234413A (en) Infusion rate regulator device
US5045068A (en) Flow rate regulator for liquid medicine or blood transfusion unit
US6916010B2 (en) Regulating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in an infusion or transfusion procedure
US491768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rate
JP2005515032A (ja) 圧力補償式iv流量制御調整装置
JP2744799B2 (ja) 静脈流体投与用流れ制御装置
KR960013788B1 (ko) 정맥주사용 유량제어밸브
AU2008255161B2 (en) Flow rate controller
AU619754B2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US4294246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KR930010959B1 (ko) 수액세트 또는 수혈세트에 사용되는 유량조정기
JPH03165778A (ja) 流量調節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輸液または輸血セット
JP2002119591A (ja) 流量調節器および輸液・輸血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