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592B1 -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 Google Patents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592B1
KR960013592B1 KR1019930006534A KR930006534A KR960013592B1 KR 960013592 B1 KR960013592 B1 KR 960013592B1 KR 1019930006534 A KR1019930006534 A KR 1019930006534A KR 930006534 A KR930006534 A KR 930006534A KR 960013592 B1 KR960013592 B1 KR 96001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layer
concrete
sand
top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규흠
Original Assignee
정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조정호 filed Critical 정경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5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92B1/en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The method increases an allowable load, drains water without a loss of earth and absorbs impact or vibration by forming fabric layers over and under a sand layer.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 flattening an earth surface(7); laying the fabric layer(6) on the earth surface(7), forming the sand layer(14) and laying the fabric layer on the sand layer(7); laying lower iron reinforcing rods(9) with an insertion hole(8) on the buoyancy layer; building an axle(4) of the top type concrete pile(1) and pouring crushed stones(10); fixing hooks(5) protruded over the pile(1) with upper reinforcing rods(11).

Description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 개량공법Soft ground reinforcement improvement method using concrete top pile

제1도는 본 발명 및 통상의 연약지반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top pile us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ntional soft ground reinforcement.

제2도는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에 작용되는 상재하중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loading loads acting on the concrete top pile.

제3도는 통상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이 설치상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ordinary concrete pile pile.

제4도는 통상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의 설치상태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concrete spinning pile pile.

제5도는 통상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삽치하는 하방연결철근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downwardly connected reinforcing bar inserting a conventional concrete top pile.

제6도는 본 발명 공법에 의해 시공되어 보강된 연약지반의 단면으로 모래층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nd layer remov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soft ground constructed and reinfor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 공법에 의해 시공되어 보강된 연약지반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ft ground constructed and reinfor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 공법의 응용사례를 보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존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개량 발전시킨 연약지반 보강 개량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ft ground reinforcement improvement method using the existing concrete spinning top pile is improved and developed.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란 수분의 함유가 많거나 기초가 불안한 지반으로 그위에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지지력이 부족하게 되어 부등침하가 예상된다. 따라서, 연약지반에 구조물을 건설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사용용도와 규모에 맞게 지반을 보강하여야 한다.In general, soft ground is a ground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or unstable foundation, and lack of support in building a structure thereon is expected to unequal settlement. Therefore, before constructing the structure on the soft ground, the ground should b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usage and scal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어온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을 개량 발전시킨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있어 팽이파일이 갖는 자체기능인 부력의 역할을 보강하는 또다른 부력보강층을 형성한 것인바, 본원의 부력보강층이란 일정두께의 모래층을 중심으로 하고서 그 양단에다 토목섬유를 부설. 형성시킨 층을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부력보강층은,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and develops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concrete top pile, which is used in the prior ar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role of buoyancy which is a self-function of the top pile in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concrete top pile. Another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is formed,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centered on a layer of sand of a certain thickness, geotechnical fibers are laid at both ends. Saying the formed layer, such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부력보강층으로부터 얻어지는 부력지지력이 팽이파일의 자체부력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로 인해 허용상제하중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게 하며,The buoyancy bearing force obtained from the buoyancy reinforcing layer serves to reinforce the buoyancy bearing force of the top pile, which can greatly increase the allowable phase load, thereby enabling economic construction.

지하수나 침출수 등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역할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고,It serves as a drainage to drain water such as groundwater or leachate, which can prevent inequality.

또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안정된 지반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role that absorbs shock or vibra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ensure a stable ground as a whole.

종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특허문헌은, 일본국 특허공고 평4-61936호 명칭 지반 안정화용 고마형 블록 및 부설공법과 일본국 특허공고 평4-1612호 명칭 팽이형 블록의 포설공법을 볼 수 있다.Patent document related to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concrete top pile pil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4-61936 No. Stable block and laying method for ground stabilization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4-1612 You can see the installation method.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으로는, 제5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삽입구(8)를 갖는 하방연결철근(9)을 대상지면(7)에 깔은 다음 상기 삽입구(8)에 팽이형상의 콘크리트파일(1)의 축(4)을 끼워 박은 후 콘크리트 팽이파일(1)의 상면에 돌출된 철근고리(5)의 서로 직교하는 상방연결철근(11)을 일체로 고정시켜 각각의 콘크리트 팽이파일(1)을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 팽이파일(1)과 콘크리트팽이파일(1) 사이에 쇄석(10)을 충전토록 하며, 그 위에 재차 일정두께의 콘크리트층(12)을 형성하므로써 모든 공정을 마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such a concrete top pile, the lower connection reinforcing bar (9) having an insertion hole (8) as shown in Figure 5 is laid on the target surface (7) and then the insertion hole ( 8) After the shaft 4 of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1) is sandwiched in place, the uppe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1)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f the reinforcing ring (5)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1) integrally fixed Each concrete top pile (1) is fixed, and the crushed stone (10) is filled between the concrete top pile (1) and the concrete top pile (1), and the concrete layer 1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laced thereon. This completes the process.

이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such a concrete top pile, there is the following problem.

즉, 1. 시공완료후 팽이파일 아래로 지하수 또는 침출수가 유입등으로 인하여 팽이파일 아래에 수로가 형성될시 물과 대상지면의 흙이 함께 유실되어 공극이 발생되며, 이로 인한 부등침하가 발생되고,That is, 1. When the waterway is formed under the top pile due to the inflow of groundwater or leachate under the top pile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 water and soil of the target ground are lost together and voids are generated. ,

2. 또한, 지진등과 같은 지각변동시 발생되는 공극으로 팽이파일 사이에 채워진 쇄석이 소실됨으로 말리암아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되며,2. In addition, erosion caused by crustal changes such as earthquakes causes loss of crushed stone filled between top piles, causing uneven settlement.

3. 또한, 지진등과 같은 지각변동시 그 충격파가 팽이파일을 통해 그 상방에 구축된 구조물에 충격을 가해 구조물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게되고,3. In addition, when the earthquake changes such as an earthquake, the shock wave may damage the structure by impacting the structure constructed above through the top pile.

4. 또한, 시공에 있어 관로공사나 지하에 공작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반 보강공사에 있어서는 시트파일 SK-파일등으로 흙막이 후에 팽이파일을 포설하게 되는데 공사완료후, 시트파일이나 SK-파일등 흙막이 파일을 제거할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지중에는 공극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공극으로 쇄석이 유입될 때 팽이파일 사이에 충진된 쇄석이 소실됨을 인하여 팽이파일의 지지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4.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pipeline construction or ground reinforcement work for installing work in the basement, the top pile will be laid after the clogging with a sheet pile SK pile, etc.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the pile pile pile sheet, SK pile etc.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removing the pores are generated in the ground, and when the crushed stone is introduced into the generated voids due to the loss of the crushed stone filled between the pile piles the problem of weaken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top pile.

이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시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 팽이파일 공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대상지면 위에 일정두께의 모래층을 가지며, 그위, 아래에 토목섬유를 포설하여서 된 부력보강층을 형성하므로 말미암아 상기 부력보강층은 팽이파일이 갖는 자체의 부력외에 부력보강층으로부터 팽이파일을 위로 떠받치는 힘 즉,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허용 상재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부력보강층은 동시에 쇄석이 놓인 위치 그대로 유지시킬 뿐 아니라 지하수 또는 침출수 등을 통과시키는 배수층 역할을 하여 팽이파일의 부등침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부력보강층은 충격 및 진동 등을 흡수 제거하는 충격흡수층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토록 하여 보다 강한 강성지반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using the conventional concrete spinning top p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nd laye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target surface prior to applying the existing top pile method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is formed by laying geotextiles above and below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so that the buoyancy force from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to the buoyancy reinforcement from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at the same time not only maintains the position in which the crushed stone, but also serves as a drainage layer for passing groundwater or leachat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even settlement of the top pile, and also,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Acts as a shock absorbing layer that absorbs and removes shock and vibration. That allows to get a stronger rigidity ground ever carried ou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follows.

본 발명은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시공하는 것과 같이 먼저 대상지면(7)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삽입구(8)가 구비된 통상의 하방연결철근(9)을 포설한 다음, 상기 삽입구(8)에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1)의 축(4)을 박아 세운 다음 팽이형 파일(1) 사이에 쇄석(10)을 다져넣으며, 팽이형 파일(1) 상면에 돌출된 철근고리(5)를 상방연결철근(11)으로 고정토록 하는 통상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보강공법에 있어서, 대상지면(7) 위에 토목섬유(6)를 먼저 포설하며, 그 위에 일정두께의 모래층(4)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재차 또다른 토목섬유(6)를 포설토록 하여 배수층 및 충격흡수층을 갖는 부력보강층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concrete spinning pile, first, the target surface 7 is flattened, and then a conventional downward connection reinforcing bar 9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8 thereon, and then the insertion hole ( 8) drive the shaft (4) of the concrete top pile (1), and then crushed the crushed stone (10) between the top pile (1), the reinforcing ring (5) protrud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ile (1) In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conventional concrete pile-type pile to fix the upper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1), the geotextile (6) is first laid on the target surface (7), and a layer of sand (4)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reon. ) And then another geotextile 6 is laid thereon to form a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having a drainage layer and an impact absorbing layer.

상기에 있어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래층(14) 및 그 위에 포설되는 또다른 토목섬유(6)를 생략하고, 단지 대상지면(7) 위에 토목섬유(6)를 깔고 그 위에 공지의 공정을 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이형 파일을 복층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In the above, as shown in FIG. 6, the sand layer 14 and another geotextile 6 laid thereon are omitted, and only the geotextile 6 is laid on the target surface 7 and a known process thereon. As shown in FIG. 8, the soft ground can be reinforced by laminating a top pile pile in multiple layers.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측벽이며,1'는 또다른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side wall, and 1 'is another concrete top pile.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구축되는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concrete top pile pile constructed through such a process as follows.

즉, 도면 제6도, 제7도, 제8도에 있어서는 팽이형 파일사이 좌, 우측에는 콘크리트 측벽(13)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콘크리트 측벽(13)을 세우는 경우는 대상지면이 좁고 긴 경우에나 한정된 부분만을 보강코자 할 경우에는 측벽(13)을 세운 다음 그 내측에 팽이형 파일을 포설하게 되며, 단지 넓은 면을 보강코자할 경우에는 측벽(13)의 가설이 불필요하게 된다.That is, in FIGS. 6, 7, and 8, the concrete sidewalls 13 are show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top piles. However, when the concrete sidewalls 13 are erected in this way, If the ground is narrow and long, or if only a limited part is to be reinforced, the side wall 13 is erected, and then a top pile is laid inside. If only the wide side is to be reinforced, the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 13 is unnecessary. do.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먼저 대상지면(7)을 평탄히 고른 후, 그 위에 토목섬유(Geotexile)(6)을 덮은 후, 그위에 재차 모래층(14)을 일정두께로 형성한 다음 다시 그 위에 또다른 토목섬유(6)을 덮은 다음 종래 공법에서 사용한 삽입구(8)를 갖는 하방연결철근(9)을 얹은 후, 콘크리드 팽이형 파일(1)의 축(4)을 삽입구(8)를 통해 또다른 토목섬유(6)를 관통시켜 모래층(14)에 박아 세운 후,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1) 사이에 직경 1-40㎜ 정도의 쇄석(10)을 충진한 후, 팽이형 파일의 상면의 철근고리(5)와 이를 직교하는 상방연결철근(11)을 서로 고정한 후, 그위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층(12)를 형성하므로 모든 공정을 마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surface 7 is evenly selected first, and then the geotextiles 6 are covered thereon, and then the sand layer 14 is formed thereon agai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again another layer thereon. After covering the geosynthetic fiber 6 and placing the lower connecting reinforcing bar 9 having the insertion hole 8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haft 4 of the concrete-coated pile 1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8. After penetrating through the geosynthetic fiber 6 and embedded in the sand layer 14, the crushed stone 10 having a diameter of about 1-40 mm is filled between the concrete top piles 1, and then the reinforcing bar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ile piles. (5) and the upper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1)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n to form a concrete layer 12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reon to complete all the process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상지면(7)을 평탄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토목섬유(6)를 포설하므로 말미암아 공사시 지하수 등의 유입 또는 우천시 빗물등이 공사현장에 유입될때 이를 신속히 배출해 낼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surface 7 is evenly laid and then the geotextiles 6 are laid thereon, so that when the groundwater or the like rainwater enters the construction site during construction,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

또한, 토목섬유(6) 위에 일정두께로 형성한 모래층(14)은 지하수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수로역확을 하게 되나, 모래층(14)의 아래위로 토목섬유(6)(6)가 적층되므로 인하여 지하수 또는 침출수만을 배수시킬뿐 모래층(14)의 유실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sand layer 14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geosynthetic fiber 6 is to reverse the channel through which groundwater or leachate flows from the outside, but the geotextiles 6 and 6 move up and down the sand layer 14. Due to the lamination, only the groundwater or the leachate is drained, so that the loss of the sand layer 14 is not generated.

또한, 모래층(14)위에 덮혀지는 또다른 토목섬유(6)위에는 삽입구(8) 갖는 하방연결철근(9)이 얹혀지며, 상기삽입구(8)를 통해 팽이형 파일(1)의 축(4)이 또다른 토목섬유(6)을 관통하여 모래층(14)에 박혀짐으로 인하여 각각의 팽이형 파일(1)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없게 된다.In addition, on another geosynthetic fiber 6 which is covered on the sand layer 14, a lower connecting reinforcing bar 9 having an insertion hole 8 is placed thereon, and the shaft 4 of the top-shaped pile 1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8. Due to being embedded in the sand layer 14 to penetrate another civil fiber 6, each top-shaped pile 1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horizontal maintenance.

또한, 팽이형 파일(1) 사이에 충진되는 쇄석(10)은 모래층(14)을 고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다지게 되므로 모래층(124)에 박혀진 파일(1)의 축(4)은 기울어짐이 없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모래층(14)에 박혀진 파일은 주변 마찰력이 커져서 상부의 재하하중을 더 크게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상재하중 즉, 구조물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rushed stone 10 filled between the top piles 1 is compacted by pressing the sand layer 14 at an even pressure, the shaft 4 of the pile 1 embedded in the sand layer 124 has no inclination.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 state, the pile embedded in the sand layer 14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load of the load, that is, the weight of the structure, since the peripheral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to receive a larger reload of the upper portion.

또한, 지진등과 같은 지각변동시 모래층(14)은 그 힘을 흡수 소멸시키게 되므로 상방의 구조물을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주변에 공사로 인한 진동 또한, 충격 발생시에는 모래층(14)은 그 진동을 흡수하여 소멸시키며, 이를 상방의 구조물로 전달시키지 않음으로 인하여 지상의 구조물에는 손상이 없게 되며, 지중에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한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earthquake, such as earthquake, the sand layer 14 is absorbed and extinguished the force, so that the upper structure can be protected, and the vibration due to construction around the sand layer 14 when the impact occurs. Absorption by vibration is eliminated, and because it does not transfer to the upper structure, there is no damage to the structure of the ground, and the groun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voids by vibration and impact to the maximum.

특히, 모래층(14)위에 덮혀지는 토목섬유(6)는 모래층(14)과 쇄석(10)을 분리하게 되며, 바이브레이타등으로 쇄석(10)을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1) 사이로 다져 넣을 때 쇄석(10)은 모래층(14)을 고른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며, 따라서, 모래층(14)을 가압하여 쇄석(10)의 가압력에 의해 모래층(14)에 박혀진 팽이형 파일(1)의 축(4)은 타이트하게 박혀지게 됨과 동시에 모래층(14)은 상방으로 작용하는 수직 반력이 동시에 발생되게 팽이형 파일(1)은 위로 들뜨는 부력이 작용하게 되어 부력 보강층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geosynthetic fiber 6 which is covered on the sand layer 14 separates the sand layer 14 and the crushed stone 10, and when the crushed stone 10 is chopped between the concrete top piles 1 by a vibrator or the like. The crushed stone 10 pressurizes the sand layer 14 at an even pressure, and thus, presses the sand layer 14 so that the shaft of the top-shaped pile 1 embedded in the sand layer 14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rushed stone 10 ( 4) is tightly embedded at the same time the sand layer 14 is a vertical reaction force acting upwards at the same time the top-type pile (1) is to act as a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is buoyant upward acting.

따라서, 모래층(14)과 토목섬유(6)로 형성된 본 발명의 부력보강층은 팽이파일이 갖는 자체의 부력에다 부력보강층으로부터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팽이파일을 위로 떠받이게 되므로 종래의 공법에 비해서 월등히 큰힘(상재하중)을 지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f the sand layer 14 and the geosynthetic fiber 6 holds the top pile up by the buoyancy generated from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in addition to its own buoyancy, which is much grea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bearing load).

종래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사후 대상지면으로 지하수 또는 침출수가 유입되어 대상지면의 흙을 유실시킬 경우에는 커다란 공극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공극으로 쇄석의 유실로 말미암아 팽이파일이 붕괴되거나 부등침하의 염려가 있게 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상지면에 먼저 토목섬유를 깔고 그 위에 일정두께의 모래층을 형성하므로 말미암아 토목섬유 아래의 대상지면이 지하수 또는 침출수 등에 의해 유실되어 공극이 발생되더라도 상,하 토목섬유 안에 적층된 모래층은 유실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When the groundwater or leachate is inflowed into the target ground after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work using the conventional top pile, and the soil of the target ground is lost, large voids are generated, and the voids collapse or disintegrate due to the loss of crushed stone. Although there is a fear of sett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geotextiles are first laid on the target ground, and a layer of sand is formed thereon, so that the target ground under the geosynthetic fibers is lost by groundwater or leachate, etc. The sand layer laminated in the geotextile will not be lost.

따라서, 모래층(14)에 축이 박혀진 팽이파일은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팽이파일 사이에 채워진 쇄석 또는 그 유실을 기대할 수 없게 되어 보강지면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top pile embedded in the sand layer 14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the crushed stone or the loss between the top pile can be expected to maintain the reinforcement surface as it is.

즉, 모래라함은 대개 그 직경이 0.2-2㎜이내의 균일한 크기를 갖는 작은 알갱이로 점도가 낮으므로 인하여 마찰계수가 크게 된다. 그러나, 대상지면의 흙은 모래, 점토, 자갈, 부식토 등 각종 종류의 흙이 함께 혼합된 것으로 말미암아 모래보다는 마찰계수가 낮은 수치를 갖게 된다.That is, sand is usually a small grain having a uniform size within 0.2-2 mm in diameter and low in viscosity, resulting in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However, the soil of the ground is mixed with various types of soil such as sand, clay, gravel, humus, etc., so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is lower than that of sand.

따라서, 대상지면에 포설된 토목섬유의 저면은 낮은 마찰력을 가지나, 토목섬유의 상면에 적층된 모래와는 높은 마찰력을 갖게 되며, 위에서 내리누르는 모래의 무게, 팽이파일 및 그 사이에 충진된 쇄석의 무게에 의해 토목섬유 하방 대상지면에 공극이 발생되더라도 모래층과 토목섬유 사이에서의 큰 마찰력이 토목섬유의 인장력으로 작용되므로 모래층을 중심으로 양단에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부력 보강층은 이완되거나 처지지않고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 팽이 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 공법에서와 같이 대상지면이 함몰될 때 발생되는 그러한 항몰의 발생소지는 없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ottom of the geotextile laid on the target surface has a low frictional force, but has a high frictional force with the sand lamin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geotextile, and the weight of the sand pressed down, the top pile and the crushed stone in between Even if voids occur in the ground under the geotextile by weight, the larg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and layer and the geotextile acts as the tensile force of the geotextile, so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composed of geotextiles on both ends of the sand layer does not relax or sag. Since it is maintained as it is, there is no occurrence of such anti-molding occurs when the target surface is depressed as in the conventional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top pi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서는 볼 수 없는 모래층과 그 상,하에 토목섬유층을 형성하여 이에 밝혀진 팽이파일을 위로 떠받히는 부력이 작용되어짐으로 말미 암아 그 만큼의 상재하중을 더 지탱할 수 있게 되어 허용 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갖게 되며, 상기 부력보강층은 지하수 또는 침출수 등의 수로가 되는 배수층 역할을 하게 되나, 상, 하, 토목섬유에 의해 모래 및 대상지면의 토사를 유실없이 배수되어 질 수 있게 하며, 지진이나 주변의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제거하는 충격 흡수층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지반을 보강시킬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and layer and a ground fiber layer above and below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concrete spinning pile, so that the buoyancy to hold up the spinning top is applied. It can be more supportive of the load of the load has the advantage to increase the allowable load, the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acts as a drainage layer to become a channel such as groundwater or leachate, but the sand and the object by the top, bottom, geotextile The earth and sand can be drained without loss, an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reinforce the ground more firmly by acting as a shock absorbing layer that absorbs and removes vibrations or shocks generated during earthquakes or surrounding civil works.

Claims (1)

대상지면(7)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삽입구(8)가 구비된 통상의 하방연결철근(9)을 포설한 다음, 상기 삽입구(8)에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1)의 축(4)을 박아 세운 다음 팽이형 파일(1)사이에는 쇄석(10)을 다져 넣으며, 팽이형 파일(1) 상면에 돌출된 철근고리(5)를 상방연결철근(11)으로 고정토록 하는 통상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있어서, 대상지면(7) 위에 토목섬유(6)를 먼저포설하고, 그 위에 일정두께의 모래층(14)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재차 또다른 토목섬유 (6)를 포설하여 배수층 및 충격흡수층을 갖는 부력보강층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 개량공법.After flattening the target surface (7), the ordinary down connecting reinforcing bar (9) with an insertion hole (8) is placed thereon, and then the shaft (4) of the concrete top pile (1) in the insertion hole (8). ), And then crushed stone (10) between the top pile (1), and the ordinary concrete to fix the reinforcing ring (5) protrud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ile (1) with the upper connecting bar (11) In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top pile, a geotextile 6 is first laid on the target surface 7, a sand layer 14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thereon, and then another geotextile ( 6) was installed to form a buoyancy reinforcement layer having a drainage layer and an impact absorbing layer,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improvement method using concrete top pile.
KR1019930006534A 1993-04-19 1993-04-19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KR960013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534A KR960013592B1 (en) 1993-04-19 1993-04-19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534A KR960013592B1 (en) 1993-04-19 1993-04-19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92B1 true KR960013592B1 (en) 1996-10-09

Family

ID=1935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534A KR960013592B1 (en) 1993-04-19 1993-04-19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5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096A (en) * 2013-04-24 2014-11-03 김갑부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solid column blocks
KR102158609B1 (en) 2020-06-03 2020-09-22 한산콘크리트(주) High strength top type concrete pile block for quick and self weight embeded fixing construction of poor grou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096A (en) * 2013-04-24 2014-11-03 김갑부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solid column blocks
KR102158609B1 (en) 2020-06-03 2020-09-22 한산콘크리트(주) High strength top type concrete pile block for quick and self weight embeded fixing construction of poor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3B1 (en) Reinforced structure of soft foundation for using cell frame-wor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554314B1 (en) Structure of Self-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0982951B1 (en) Reinforcement method of ground concrete being executed in advance
KR10060388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abutment in post tensioning system
KR960013592B1 (en) Working method of toy top type concrete pile framings foundation
KR100503871B1 (en) Device for strengthening retaining board
JP200214680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
JPH0552366B2 (en)
KR100733592B1 (en) Backfill system of integral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o minimize the backfill pressure and to prevent the approach slab from its settlement
KR100467282B1 (en) Drainage structure for basic improvement of soil of construction using vertical drainage member
JPH01146020A (en) Foundation structure by banking and its construction
JPH0144852B2 (en)
KR20030052871A (en)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panel
KR200406776Y1 (en) Cushion mat support structure for preventing settlement of soft ground water and sewage pipe
KR101677235B1 (en) Embankment structure for constructing using floating-type pile on soft ground,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H0617414A (en) Drainage reinforcement pile
JP3458174B2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JP2005200868A (en) Reinforcing method of weak ground
JP418907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in liquefied ground
KR20040070574A (en) Relief point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for treatment of up-lifting water pressure affecting underground structure
JPH0726569A (en)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 exposed to partial earth pressure
RU2188907C1 (en) Foundation of earthquakeproof building on colonnade located in basement
JPH02104812A (en) Ground reinforcing drain pipe
JPS6128624A (en) Slope-stabilizing construction
RU2091540C1 (en)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