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426Y1 - 천정판용 시설재 - Google Patents

천정판용 시설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426Y1
KR960009426Y1 KR2019930010954U KR930010954U KR960009426Y1 KR 960009426 Y1 KR960009426 Y1 KR 960009426Y1 KR 2019930010954 U KR2019930010954 U KR 2019930010954U KR 930010954 U KR930010954 U KR 930010954U KR 960009426 Y1 KR960009426 Y1 KR 960009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n
ceiling
plate
pedesta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93U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대한주택공사
박부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대한주택공사, 박부찬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2019930010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426Y1/ko
Publication of KR950001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정판용 시설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쓰임새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일실시예에 의한 경간용 받침대의 사시도.
제4도는 경간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5도는 앵커판 및 그 부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경간의 단면(端面)도.
제7도는 행거의 정면도.
제8도는 천정둘레연 고정부재의 단면도.
제9도는 천정둘레연의 단면도.
제10도는 경간의 걸침상태설명용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윗빠짐방지수단 10a,b : 경간 받침대
11 : 부착판 12 : 받침
13 : 장공 14 : 윗걸림돌기
15 : 끼움홈 16 : 윗걸림판
20 : 앵커판 21 : 앵커
22 : 너트 30 : 경간
31 : 레일 40 : 행거
41 : 슬라이드판 42 : 걸침판
60 : 천정둘레연 고정부재 61 : 삽입홈
62 : 클립 70 : 천정둘레연
71 : 삽입돌기
본 고안은 천정판용 시설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천정이 가설될 위치의 벽면에 부착되는 받침대의 경간에 대한 안전성확보와, 벽면에 붙인 타일이나 도배의 상한 높이에 재취 경간 받침대와 천정의 설치높이 및 수평조절작업의 자유로운 수행, 천정둘레연 고정부재 및 천정둘레연의 시공용이를 도모한 천정판용 시설재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곧 본인의 선출원고안 ①제92-20754호, ②제23492호, ③제26930호에 대한 개량고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선원고안중 ①은 경간 받침대와 행거에 관한 것이고, ②와 ③은 천정둘레연 고정부재 및 천정둘레연에 관한 것이다.
먼저, ①에 있어서의 경간 받침대는 벽에 부착되는 판면은 못으로 고정하게 되어 있을 뿐이라서 천정의 높낮이와 수평조절이 곤란하고, 경간의 단부를 얹어두는 받침은 위가 완전히 열려있고 윗쪽에서 거기에 얹힌 경간이 얹히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어떤 요소도 갖취져 있지 않기 때문에 천정을 설치한 후에 천정 아래쪽에서 위를 향해 치받는 압력이 작용할 경우 천정이 흔들릴 일말의 자세불안감을 지울 수 없다.
또, 천정둘레연 설치부재에 관련된 ②와 ③에 있어서는 천정둘레연과 그 고정부재는 이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상대측을 향해 돌출시킨 암, 수 클립은 각기 한쌍으로 이뤄지고 각각의 선단에 맞걸용 걸림턱을 형성하는 등 설치후 외압을 받을 까닭이 없는 천정둘레연에 대한 구조치고는 복잡하고 재료소모도 많을 뿐만 아니라 일단 설치했던 천정둘레연을 빼내려고 해도 걸림턱의 비교적 강력한 상호 걸림상태 때문에 여의치 않아 불편을 겪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이 가설될 위치의 벽면에 부착되는 경간받침대에 얹힌 경간에 대하여 윗빠짐을 방지하여 천정의 시공안정성을 높이고,또한 벽면에 붙인 타일이나 도배의 상한 높이에 맞춰 경간 받침대의 높낮이를 미조정하여 천정의 설치높이와 수평조절작업의 수행이 자유로운 경간 받침대를 가진 천정판용 시설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천정둘레연과 이것을 끼우는 것으로 설치작업이 마무리 되는 고정부재 상호간의 끼움 및 천정둘레연의 잡아빼기가 용이한 천정둘레연과 그 고정부재를 가진 천정판용 시설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두 가지 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본 고안의 천정판용 시설재는 경간지지용 받침대와 받침대용 앵거판, 그리고 천정둘레연 및 그 고정부재와의 조합체이다.
경간 받침대는 그 부착판 좌, 우측에 종방향으로 길게 뚫은 장공을 두고, 이 장공은 벽면에 미리 부착되는 앵거판의 앵거에 꽂아 너트로 조여서 고정하게 되며, 장공은 앵커판의 앵커를 축으로 하여 그 길이 한도내에서 부착높이를 변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경간 받침대의 높낮이는 경간 및 천정판의 높낮이와 직결되고 동시에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간과 천정판의 기울기와도 연관되는데, 이같은 경간 받침대의 높낮이조절로써 천정파의 설치높이의 조정과 수평조절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경간 받침대의 받침에 있어서도 그 양측벽상에는 여기에 얹힐 경간의 상면과 밑면이 일치하도록 형성한 빠짐방지수단을 갖는다. 이 빠짐방지수단을 갖는다. 이빠짐방지수단은 받침의 측벽 내면상에 안쪽으로 수평되게 돌출시킨 걸림돌기, 또는 그 높이에서 별도로 준비한 걸림판과 이것을 옆으로 끼워서 상기 걸림턱에 상응하는 기능을 발휘토록 하기위한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돌기를 가진 경간 받침대와 끼움홈을 가진 경간 받침대는 한조를 이루어 각기 반대편 벽면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삼는다.
한편, 천정둘레연과 그 고정부재와 끼움 고정수단도 고정부재측에는 걸림턱을 갖지 않은 클립으로 형성하고 천정둘레연에는 상기 클립에 단순히 끼우기만 하면 클립의 탄력에 의해 끼운채로 물리는 결합구조로 개조하고, 이로써 천정둘레연의 설치 및 분리(떼어내기)하기가 수월하게 된다.
이하,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판 시설재를 이용하여 천정을 시공할 때에 기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그림에서 (10a,b)는 경간 받침대이고 (20)은 앵커판...(30)은 경간, (40)은 행거, (50)은 천정판,(60)은 천정둘레연 고정부재,(70)은 천정둘레연을 각각 표시한다. 제1도에서 경간(30)의 양단부는 경간 받침대(10a,b)의 받침(12)내에 갇히듯 걸쳐 있고, 그 레일(31)상에는 행거(40)의 슬라이드판(41)이 헐겁게 끼워져 걸리며, 행거(40)의 걸침판(42)은 행거(40)자체에서 아래를 향해 늘어지게 형성된 가운데 천정판(50)의 접속홈(51)의 윗턱을 걸어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도에서는 천정둘레연 고정부재(60)는 그 상위의 천정판 삽입부(61)를 천정의 변방에 놓인 천정판(50)의 가장자리에 끼워진 가운데 하위의 클립(62)에 천정둘레연(70)의 끼움돌기(71)가 끼어들어가 물린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받침대(10a,b)는 제3,4도에서 보듯이, 수직형 부착판(11)의 양측에는 장공(13)이 뚫려있다. 이들장공(13)은 종형 앵커공이며, 앵커판(20)의 앵커(21)에 꽂힐 구멍이다. 또, 부착판(11)의 앞면에는 그 면에 대하여 직각되게 내뻗은 받침(12)도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12)은 여기에 얹히는 경간(30)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함부로 일탈하지 못하게 가둬둘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12)을 컵의 단면형상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그 양측 벽상에 윗빠짐방지수단(A)을 갖춘다.
여기서, 경간 받침대(10a,b)의 실시예에 관한 제3도와 제4도가 다른 점은 경간의 윗빠짐방지수단(A)의 구조적 차이이다. 즉, 제3도의 경간 받침대(10a)에서는 받침(12)의 내면 윗쪽에 형성된 내향 윗걸림돌기(14)를 경간의 윗빠짐방지수단(A)으로 하고, 제4도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4)가 형성될 자리의 전반부를 일정한 폭으로 따내서 끼움홈(15)을 형성하고 여기다 윗걸림판(16)을 끼워서 이 윗걸림판(16)이 상기 윗걸림돌기(14)의 기능을 맡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에 이어지는 본 고안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자를 고정형 경간 받침대, 후자를 가변형 경간 받침대로 명명한다.그 이유는 작용효과의 설명을 통해 분명해질 것이다.
제5도는 앵커판(20)의 부착예를 나타낸 것이다.판의 앞면 좌우측에는 판면에 직각방향으로 곧게 뻗은 보울트형 앵커(21)가 부착되어 있고, 그 리드에는 너트(22)가 끼워져 있다. 이 앵커판(20)은 별도의 못(23)으로 벽면에 설치하여 경간 받침대(10a,b)를 가설할 때 이용한다.
제6도에 나타난 경간(30) 상하면의 복판이 길이방향을 따라 터져 있고, 그 양측벽 하단에는 레일(31)이 형성된다. 이 레일(31)은 정확히 말해서 상판(32)의 밑면 양쪽에서 아래를 보고 뻗은 좌,우벽(33)의 하단부분이 ㄷ 자상으로 절곡된 형성으로 압출 또는 사출하여 얻으며, 천정판(50)의 폭방향으로 나열되는 것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가설된다.
제7도는 행거(40)를 나타낸 것으로, 행거(40)는 위로는 상기 레일(31)에 헐겁게 끼어들어서 레일상에서의 위치를 자유로이 변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판(41)을, 그리고 하단에는 서로 인접한 두 천정판의 삽입홈(52)과 여기에 끼인 끼움턱(51)과의 사이에 끼어서 물리는 걸침판(42)을 갖는다.그리고,걸침판(42)의 두께(t)는 천정판(50)의 끼움턱(51)을 상대측 천정판(50)의 삽입홈(52)에 끼워 물었을 때, 끼움턱(51)의 윗턱하면과 삽입홈(44) 상면과의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 천정판(50)을 매달아 지지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두께로 한다.
제8도는 천정판 둘레연 고정부재(60)에 관한 것으로서,단면은 F자형이며, 상위에는 천정판(50)의 폭방향에 놓인 가장자리를 끼워 물릴 삽입홈(6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하위에는 하향 및 클립(62)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가운데 이들 두 클립(62)의 선단간에는 공간(63)을 남겨서 둘레연(70)의 돌기(71)를 탄력적으로 끼워 물릴 수 있도록 한다.
또, 제9도는 천정둘레연(7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천정둘레연(70)을 바로 놓고 보면 뫼 산(山)자를 닮았다. 여기서, 상면의 중앙지점에 우뚝 솟은 것은 상기 천정둘레연 고정부재(60)의 공간(63)사이에 끼워물릴 삽입돌기(71)이고,양단에 삽입돌기(71)와 같은 방향으로 짧게 돌출된 것은 상기 클립(62)의 상,하 뿌리부분을 가려주기 위한 장식부(72a,b)로, 모두 그 길이방향의 전반에 걸쳐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와같은 요소들을 이용하여 천정판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먼저, 한조의 받침대(10a,b)를 천정에 가까운 대향측 벽면(W)에서 타일(T) 시공면의 상단 위쪽 벽면에 각각의 받침(12)이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다. 이때의 고정수단은 못(23)이다. 이 못(23)을 부착판(11)의 못구멍을 통해 박아 고정하면 된다.
그런 다음에 고정측 경간 받침대(10a)에 경간(30)의 일단을 걸치고 경간(30)의 타단은 가변측 경간 받침대(10b)에 걸친다. 이러한 경간(30)의 걸침에 있어서 유의할 점 한가지가 있다. 즉, 경간(30)의 일단을 고정측경간 받침대(10a)의 받침(12)에 먼저 끼워 걸치기는 수월하지만, 만약에 양쪽 모두 고정측 경간 받침대(10a)와 같이 윗걸림돌기(14)를 가진 것으로만 설치할 경우에는 나중에 끼울 경간단부의 걸침이 여의치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사례는, 경간(30)이 두 경간 받침대(10a,10a)의 받침(12,12)내면간 거리와 같은 길이를 가졌다든지 혹은 일측 경간 받침대(10a)측 받침(12)의 내벽면에서 상대측 경간 받침대(10a)의 윗걸림돌기(14)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경간(30)의경우에 나타난다. 왜냐하면,제10도에서 보듯이, 먼저 끼워 걸친 경간(30)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간(30)의 타단이 그리는 원호(R)가 상대측 윗걸림돌기(14)의 선단의 뒷쪽을 지나게 되어 윗걸림돌기(14)위에 걸려 끼어들 수 없기 때문이다.
또,일단 경간(30)을 걸친 후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말아야 시공한 천정이 안정된 자세를 견지하게된다. 따라서, 경간(30)은 앞에서 말한바와 같은 길이 즉, 대향측 받침대면간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하는게 상식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일측 경간 받침대만은 나중에 걸쳐 끼울 경간(30)의 타단에 대한 윗걸림구조를 달리해야만 한다.가변측 경간 받침대(10b)는 바로 이런 관점에 시도한 것인데, 이는 윗걸림돌기가 형성될 자리에 형성된 끼움홈(15)에 위 걸림판(16)을 끼우기 전에 먼저 경간(30)의 타단을 끼워서 받침(12)에 걸치고난 다음에 경간(30)의 상면 바로 위쪽으로 드러나는 끼움홈(15)에다가 윗걸림판(16)을 가로 끼우면 나중에 걸쳐지는 경간(30)의 타단을 가변측 경간 받침대(10b)의 받침(12)에 끼워 걸치기도 용이하고 또한 그 단부에 대한 윗빠짐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도와 같이, 한조의 경간 받침대(10a,b)를 벽에 부착하고 경간(30)을 걸쳤을 때에 경간(30)의 수평이 맞지 않았거나 천저의 높이가 설계치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너트(22)를 풀고 조정이 필요한 측의 경간 받침대(10a)또는 (10b)의 설치 높이를 조절한 다음에 다시 너트(22)를 조여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진행한다.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설되기 전에 경간(30)에다 여러 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정판(50)의 나열숫자 보다도 하나가 적은 행거(40)는 슬라이드판(41)을 레일(31)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미리 끼워둔다.
이렇게 해서 경간(30)의 가설작업이 이뤄진 후에 맨 먼저 시공할 천정판(50a)의 벽(W)쪽을 향한 가장자리 즉, 끼움턱(51)에 천정둘레연 고정부재(60)의 삽입부(61)를 끼워 가지고 경간(30)밑면에 상기 고정부재(60)의 수직면 이면에 벽(W)에 맞닿도록 천정판(50a)의 상면을 맞대놓고 맨 앞쪽의 행거(40a) 하나를 이동시켜 그 걸침판(42) 선단쪽을 천정판(50a)의 삽입홈(52)에 밀어넣어 걸쳐지게 한다. 그 후에 후속 천정판(50b)의 끼움턱(51)을 앞서 시공한 천정판(50a)의 삽입홈(52)에 갖다 끼운다. 그러면 행거(40)의 걸침판(42)은 앞쪽 천정판(50a)의 삽입홈(52)과 뒷쪽 천정판(50b)의 끼움턱(51) 사이에 꽉끼어 물리게 되고, 이로써 앞 뒤 천정판(50a,b)에 대한 지지력이 확고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천정판(50)의 폭방향과 나란한 벽면에도 천정둘레연 고정부재(60)을 설치하는데, 이것은 최초로 시공하는 천정판(50a)의 단부에 상기와 똑같은 구조의 고정부재(60)의 삽입부(61)를 끼워 가지고 시공하여, 후속 천정판(50b)부터는 그 단부를 상기 고정부재(60)의 삽입부(61)에 차례차례 끼우기만 하면 된다.
이런 식으로 천정판(50)을 설치해 나가다가 마지막 천정판(50n) 차례에서는 삽입홈(52)쪽에 또 다른 고정부재(60)의 삽입부(61)를 끼운 다음에 그 끼움턱(51)을 바로 앞 천정판(50n-1)의 삽입홈(52)에 맞춰 끼우고, 마지막으로 고벙부재(60)의 클립(62)에 천정둘레연(70)의 삽입돌기(71)를 끼워 물리면 천정설치작업이 마무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천정판용 시설재는 못질하지 않고 튼튼하게 천정판을 시공할 수 있고, 천정의 수평과 높낮이조절이 가능하며, 누구든지 신속 간편하게 펀정판을 설치할 수 있다.떼어내고 앞쪽 또는 뒷쪽으로 순서대로 천정판을 들어내어 해체할 수 있으므로 천정의 보수나 천정판의 개체작업도 한결 수월 용이하다.
또, 가설한 경관의 윗빠짐이 방지되므로 천정이 안정감을 갖게되며, 천정둘레연과 이것을 끼우는 것으로 설치작업이 마무리되는 고정부재 상호간의 끼움 및 천정둘레연의 잡아빼기가 용이하여 앞쪽 또는 뒷쪽으로 순서대로 천정판을 들어내어 해체할 수 있으므로 천정의 보수나 천정판의 개체작업도 수월하다.

Claims (3)

  1. 레일(31)이 형성된 경간(30)의 양단부를 걸쳐서 지지하는 U자형 받침(12)을 가진 경간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12)상에는 여기에 걸쳐지는 경간(30)의 단부를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윗빠짐방지수단(A)을 형성하고 또한 그 부착판(11)의 양측부에는 앵커에 꽂는 종형 장공(13)을 천공한 경간 받침대(10a,b)와, 상기 장공(13)을 꿰서 너트(22)로 조이고 풀 수 있게 하기위한 장공과 동수의 앵커(21)를 그 면에 대하여 직각되게 나란히 부착한 앵커판(20)과 행거용 레일(31)을 가진 경간(30)과, 상기 경간의 레일(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판(41) 및 천정판의 삽입홈(52)을 끼워 거는 걸침판(42)을 형성한 행거(40)와,천정판의 가장자리에 끼워지는 삽입부(61) 및 천정둘레연 설치용 무걸림턱형 클립(62)을 형성한 천정둘레연 고정부재(60)과 역시 하나의 무걸림턱형 삽입돌기(71)를 형성한 천정둘레연(70)으로 이뤄지는 천정판용 시설재.
  2. 제1항에 있어서, 경간용 윗빠짐방지수단(A)이 경간(30)의 높이와 같은 위치에서 내측으로 가로뻗은 윗걸림돌기(14)인 천정판용 시설재.
  3. 제1항에 있어서, 경간용 윗빠짐방지수단(A)이 경간(30)의 높이와 같은 위치에서 받침(12)을 수평으로 째낸 끼움홈(15)과 여기에 끼우는 윗걸림판(16)으로 되는 천정판용 시설재.
KR2019930010954U 1993-06-21 1993-06-21 천정판용 시설재 KR960009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954U KR960009426Y1 (ko) 1993-06-21 1993-06-21 천정판용 시설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954U KR960009426Y1 (ko) 1993-06-21 1993-06-21 천정판용 시설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93U KR950001393U (ko) 1995-01-04
KR960009426Y1 true KR960009426Y1 (ko) 1996-10-21

Family

ID=1935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954U KR960009426Y1 (ko) 1993-06-21 1993-06-21 천정판용 시설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4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414B1 (ko) * 1996-08-29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튜닝시자동주파수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414B1 (ko) * 1996-08-29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튜닝시자동주파수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93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835A (en) Device intended for the hooking of panels on a wall in order to constitute a covering on this wall
US4926606A (en) Ornamental ceiling system
US4790112A (en) Assembly of two interconnected similar plastic planks and a framework
US3261625A (en) Joint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in a partition construction
US7621084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CA2784885C (en) Seismic clip
US4712761A (en) Picture wall hanging assembly
US4728068A (en) Removable anchors for perforated panel hangers
US7866120B2 (en) Post wrap device
CA1299492C (en) Venetian blind installation bracket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US6860455B1 (en) Connecting device
KR960009426Y1 (ko) 천정판용 시설재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0134744B1 (ko) 조립식 천정시설재
KR20170003197U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JPS63934Y2 (ko)
KR200205403Y1 (ko) 설치가 용이한 액자
KR100260953B1 (ko) 건축물의 천정판 고정용 찬넬의 고정방법
JPH0322413Y2 (ko)
KR970003370Y1 (ko) 조립식 돌출난간용 창틀
JPS6118158Y2 (ko)
KR19980702803A (ko) 측면 가장자리 상에 연결 수단을 갖는 패널
JPH0754540Y2 (ja) 目隠し用部材
KR950008945Y1 (ko) 천정판 부착부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