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423Y1 - 천정판용 시설재 - Google Patents

천정판용 시설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423Y1
KR960009423Y1 KR2019930011144U KR930011144U KR960009423Y1 KR 960009423 Y1 KR960009423 Y1 KR 960009423Y1 KR 2019930011144 U KR2019930011144 U KR 2019930011144U KR 930011144 U KR930011144 U KR 930011144U KR 960009423 Y1 KR960009423 Y1 KR 960009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span
ceiling
clip
carry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91U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2019930011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423Y1/ko
Publication of KR950001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정판용 시설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쓰임새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매달대에 캐링바를 걸쳐 클립으로 요동하지 못하게 한 상태를 가상한 매달대의 단면도.
제4도는 핀클립의 정면도.
제5도는 캐링바용 클립의 사시도.
제6도는 천정판 고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달대 12,13 : 클립공
2 : 캐링바 클립 21 : 윗걸침부
22 : 아래걸침부 3 : 천정판고리
31 : 삽입편 32 : 끼움홈
5 : 핀클립 7 : 경간
71 : 상부 레일 72 : 하부 레일
본 고안은 천정판용 시설재의 개량에 관한것이며, 특히 천정판을 시설하기 전에 미리 설치하는 캐링바와 경간을 매달아 설치하기 쉽고, 처음과 마지막에 설치되는 천정판의 외측 가장자리를 고정하기도 용이하여, 캐링바 상에서의 경간의 위치변경이 자유롭고 경간의 요동도 효과좋게 방지할 수 있는 천정판용 시설재에 관한 것이다.
빌딩같은 건축물의 슬라브에 천정판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통상 캐링바를 먼저 매달고 그 밑에 경간을 가설한 다음에 경간에다 천정판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캐링바를 매달대에 걸친 후에 피스보울트로 조여서 캐링바의 요동을 방지하고 경간도 피스 보울트를 사용하여 캐링부에 고정시켰는데, 이런식의 천정판 시설재는 천정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전에 캐링바와 경간을 가설할 때 작업성이 낮고 노력도 많이 들기때문에 비합리적이며, 특히 첫번째와 맨 마지막에 시공되는 천정판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한 지지수단이 마땅치 않아 하는 수 없이 천정과 맞닿은 벽면에 앵글 또는 밑걸침 막대를 받쳐주거나 나사로 조여 붙일 수 밖에 없는 에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판을 시설하기 전에 미리 설치하는 캐링바와 경간을 매달아 설치하기도 쉽고, 처음과 마지막에 설치되는 천정판의 이측 가장자리를 고정하기도 용이한 천정판용 시설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캐링바상에서의 경간의 위치변경이 자유롭고 경간의 요동도 효과좋게 방지할 수 있는 천정판용 시설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본 고안의 천정판용 시설재는 매달대와 핀클립,캐링바 클립, 천정판고리 및 경간으로 이뤄진다.
여기서, 매달대는 J자형으로, 슬라브 밑면에 상단을 고정시켜 매달며, 그 수직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상하 한쌍의 클립공이 뚫려있어 여기에 핀클을 꽂아 걸쳐진 경간을 윗빠짐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캐링바 클립은 상단을 캐일바의 상면에 걸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 하단에 경간을 레일끼움하여 가설하는 것으로서 천정판 고리는 처음과 마지막에 설치되는 천정판의 각외측 가장자리를 걸어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 경간은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난레일을 가진것으로, 상부 레일은 캐링바 클립용이고 하부 레일은 천정판을 매다는 행거용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판 시설재를 이용하여 천정을 시공할 때의 기본형을 예시한 것이다. 이들 그림에서, 매달대(1)와 캐링바 클립(2), 천정판 고리(3)와 핀클립(6) 및 경간(7)이 본 고안의 근간을 이룬다.
매달대(1)는 J자형 단면으로서 띠강판을 소재로 하며, 상단 플랜지에 뚫린 부착공(11)은 앵커(9)로 천정 슬라브에 고정할 때 이용하고,수직부와 후크상에 뚫린 클립공(12,13)은 후술하는 핀클립을 꽂아서 후크에 걸친 캐링바를 안정시킬때 이용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클립공(12,13)의 천공위치는 스직부의 경우 캐링바의 상면과의 경계선상이고 후크에 있어서는 캐링바의 상부 플랜지 아래쪽에 해당하는 곳이면 아무데나 무방하다. 다만, 핀클립의 소재절약적 측면에서 본다면 상하 클립공(12,13)간의 거리를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3도는 그 실례를 든 것이다.
캐링바 클립(2)은 철판을 타발하여 만든 것으로서 상단은 직각으로 꼬부려 윗걸침부(21)로 하고, 하단의 양측은 미늘모양으로 따내서 아래걸침부(22)를 이룬다. 윗걸침부(21)는 캐링바(6)위에 걸쳐서 고정하는 요소이고 아래걸침부(22)는 경간(7)의 상부 레일(71)을 레일끼움하여 매달 때 이용하는 것이다.
또, 천정판 고리(3)는 ㄷ자형이며, 상판은 하판보다도 길다. 여기서, 상판은 경간(7)의 하부 레일(72)에 긴밀히 끼울 삽입편(31)으로, 끼움상태를 김밀하게 하기 위하여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33)를 부여한다. 그리고 삽입편(31)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은 끼움홈(32)이며, 치움 또는 마지막 천정판(8)의 위측 가장자리를 끼워 지지할 곳이다.
행거(4)은 위로는 경간(3)의 하부 레일(32)에 헐겁게 끼워서 레일상에서의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판(42)을 그 아래쪽단에는 서로 인접한 두 천정판의 삽입홈과 여기에 끼인 다른 천정판측 끼움턱과의 사이에 끼어 물리는 걸침판(41)을 갖는다.
그리고, 걸침판(41)의 두께는 천정판의 끼움턱을 상대측 천정판의 삽입홈에 끼워 물렸을 때, 삽입홈의 윗턱과 끼움턱의 상면 사이에 걸려들어 천정판을 매달아 지지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핀클립(5)은 긴 윗가지(51)와 짧은 아래가지(52)를 갖는다. 윗가지(51)는 상부 클립공(12)을 관통하고 아래가지(52)는 하부 클립공(13)에 각각 끼워져 캐링바(6)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경간(7)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상부 레일(71)과 하부 레일(72)을 갖는다. 상부 레일(71)은 캐링바 클립(2)의 아래걸침부(22)에 걸려 매달리는 요소이고 하부 레일(72)은 행거(4)의 슬라이드형(42)을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워 매달리게 할 부분이다.
이와같은 요소들로 이뤄지는 본 고안은, 천정 슬라브(S)에 박힌 앵커(9)에 매달대(1)의 상단 플랜지에 뚫린부착공(11)을 끼우고 밑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그 후크에는 캐링바(6)를 걸쳐 놓는다. 여기서,경간(7)의 상부 레일(71)에 캐링바 클립(2)을 소요수 만큼 끼워 걸쳐둔다. 이때, 캐링바 클립(2)은 그 아래걸침부(22)가 상부 레일(71)에 가로끼움돼 걸리게 한다.
다음으로, 경간(7)에 매달릴 천정판(8)의 수를 고려하여 적정 수의 행거(4)를 하부 레일(72)에 끼우고, 하부 레일(72)의 말단에는 천정판 고리(3)의 삽입편(31)을 끼운다. 행거(4)는 천정판(8)의 설치수보다도 하나 적게한다.
가장 먼저 시공할 천정만(8a)의 외측 가장자리를 천정판 고리(3)의 끼움홈(32)에 끼운다. 이 경우, 천정판(8a)의 삽입홈(82)이 내측을 향하게 하고 천정판 고리(3)가 벽면에 닿도록 하여 경간(7)밑에 대고 맨앞에 있던 행거(4)를 옮겨서 그 걸침판(42)이 천정판(8a)의 삽입홈(82) 윗턱을 걸어서 지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1천정판(8a)를 설치한 다음에는 제2천정판의 끼움턱(81)을 앞서 시공한 천정판(8a)의 삽입홈(82)에 끼워 물리고 그 삽입홈 (82)에는 두번째 행거를 이동시켜 건다. 이러기를 마지막 천정판 직전의 천정판까지 반복한다.
마지막 천정판(8n)의 외측 가장자리에 천정둘레연 고정부재(10)를 끼워가지고거 그 끼움턱(81)을 바로 전에 시공한 천정판의 삽입홈(82)에 끼우는 것으로 천정시공은 마무리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천정판용 시설재는 못질없이 튼튼하게 천정판을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천정판을 시설하기 전에 미리 가설하는 캐링바와 경간을 매달아 설치하기쉽고, 처음과 마지막에 설치되는천정판의 외측 가장자리를 고정하기도 용이하며, 캐링바상에서의 경간의 위치변경도 자유롭고 경간의 요동마저 효과 좋게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천정 슬라브에 부착고정되는 매달대(1)상에 클립공(12,13)을 천공하고 여기에 ㄷ자형 핀클립(5)를 끼워서 후크에 걸친 캐링바의 요동 및 위빠짐을 방지토록 하며, 캐링바 클립(2)의 상단에는 캐링바위에 얹혀 지지되는 윗걸침부(21)가 그리고 하단 양측에는 경간(7)의 상부 레일(71)을 걸어 지지하는 아래걸침부(22)를 형성하고, 경간(7)의 위 아래에는 캐링바 클립(2)의 아래걸침부(22)에 걸려지지되는 상부 레일(71)과 행거(4)를 레일끼움할 하부 레일(72)을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판용 시설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간(7)의 일단에는 천정판의 가장자리를 끼워 지지할 끼움홈(32)이 형성된 천정판 고리(3)를 끼운 천정판 시설재.
KR2019930011144U 1993-06-23 1993-06-23 천정판용 시설재 KR960009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44U KR960009423Y1 (ko) 1993-06-23 1993-06-23 천정판용 시설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44U KR960009423Y1 (ko) 1993-06-23 1993-06-23 천정판용 시설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91U KR950001391U (ko) 1995-01-04
KR960009423Y1 true KR960009423Y1 (ko) 1996-10-21

Family

ID=1935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144U KR960009423Y1 (ko) 1993-06-23 1993-06-23 천정판용 시설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4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91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919C2 (ru) Зажим парного основного таврового профиля
KR100730774B1 (ko)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구조
EP0801181B1 (en) Deck hanger
KR20120095763A (ko) 천장틀의 설치구조
US1652695A (en) Attachment clamp for beams
KR960009423Y1 (ko) 천정판용 시설재
US3022030A (en) Multi-hanger bracket for conduit support
GB2259242A (en) Mounting bracket
KR20120074097A (ko) 결합위치 가변 행어 및 이 행어가 적용된 천장틀 시스템.
KR100741312B1 (ko) 천정판 부착용 엠-바의 체결장치
US5573210A (en) Pipe hanger and method
KR19990073623A (ko) 천정판 시공장치
KR0178093B1 (ko) 천정판넬의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101681535B1 (ko) 천장 경량틀 조립체의 엠바 시공용 보조장치
KR950006789Y1 (ko) 천청판용 시설재
KR960001369A (ko) 조립식 천정시설재
RU210019U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мебельный крючок
CN213390829U (zh) 一种建筑作业内嵌式吊顶板
KR19990024247U (ko) 천정 지지용 행거
USRE25350E (en) Multi-hanger bracket for conduit support
JPH1061090A (ja) 建造物における天井部材の構築機構
KR200168698Y1 (ko) 벽고정용 옷걸이장치
US2969217A (en) Fixture hangers
KR960000706Y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KR200152672Y1 (ko) 강재 천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