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341Y1 -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341Y1
KR960009341Y1 KR2019950054400U KR19950054400U KR960009341Y1 KR 960009341 Y1 KR960009341 Y1 KR 960009341Y1 KR 2019950054400 U KR2019950054400 U KR 2019950054400U KR 19950054400 U KR19950054400 U KR 19950054400U KR 960009341 Y1 KR960009341 Y1 KR 960009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astener
weaving
loom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기
Original Assignee
젯트기연 주식회사
정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기연 주식회사, 정원기 filed Critical 젯트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54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22Te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직물 제직시 직기의 제직측면 개략도.
제2도는 고밀도 직물제직시 직기의 제직 측면 개략도로서 (a)도는 고밀도 직물제직시 직구(織口) 위치가 후방위치에서 전방위치로 이동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직구(織口) 이동방지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직구(織口) 이동방지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템플 바(TEMPLE BAR) 2 : 턴넬(TENNEL)
20 : 턴넬(TENNEL) 개구부 21, 22 : 직물 파지부
3 : 직물파지로울러(ROLLER) 4 : 직물
5 : 바듸(REED) 6 : 직구(織口)
7 : 경사(經絲) 8 : 브레스트바(BREAST BAR)
9 : 권취로울러(TAKE UP ROLLER)
10 : 직물파지로울러베이스(ROLLER BASE)
11 : 경사선(經絲線)(WARP LINE)
본 고안은 직기상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넬(TENNEL)을 형성하여 직물 제직시 직구(織口)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물을 재직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위사(緯絲) 밀도를 많이 삽입해야 할 경우 직구(織口)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아(HEALD)의 상하운동에 의해 경사(經絲)의 개구(開口)가 이루어지면 개구(開口)내에 여러 종류의 위입운동에 의해 위사(緯絲)가 투입되고 바듸침(BEATING)에 의하여 직물이 형성되어 템플바(TEMPLE BAR)를 지나 권취로울러(TAKE UP ROLLER)에 권취된다.
일반적인 직물 제직시에는 직구(織口)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듸(REED(5)의 전후 어느 위치에 관계없이 직구(織口)(6)의 위치(P)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직기의 안정된 가동을 얻을 수가 있지만, 두꺼운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에는 경사(經絲)와 위사(緯絲)의 밀도를 적정치 이상으로 삽입시켜야 된다.
특히 위사(緯絲)의 밀도를 높게 설정하여 제직할 경우에는 바듸(REED(5)의 위치에 따라 직구(織口)(6)의 위치가 전방위치(P1)과 후방위치(P2)의 이동을 반복한다.
즉 바듸(REED(5)의 위치가 전진하였을 때는 직구(織口)(6)의 원래 위치가 전방위치(P1)이 되지만 고밀도 직물인 관계로 바듸(REED(5)가 후진하였을 시에는 직구(織口)(6)의 위치가 후방위치(P2)로 밀려 이동한다.
위사(緯絲) 밀도가 많으면 많을 수록 원래 위치인 전방위치(P1)의 직구(織口)(6)가 후방위치(P2)의 위치로 많이 이동된다.
즉 전방위치(P1)과 후방위치(P2)의 거리인 직구(織口)(6)의 이동거리(L)가 많아지게 되어 경사(經絲)(7)의 마찰증대, 경사(經絲)개구 크기의 감소등 여러 문제점이 파생되어 안정된 직기의 가동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2도 (a)도의 직구의 위치가 후방위치(P2)일 때에는 직물(4)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 (b)도의 경우처럼 바듸(REED(5)의 전진운동이 끝난 시점에서는 직구(織口)(6)의 위치가 후방위치(P2)에서 전방위치(P1)으로 밀려오기 때문에 제직과정의 직물(4)은 장력이 없이 늘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직기가 매회전 할때마다 직구(織口)(6)의 위치가 전·후로 반복이동됨으로써 경사(經絲)(7)와 직물(4)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제직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직구(織口)(6) 이동을 방지하는 종래의 장치(제6도, 제7도)가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직구(織口)(6)의 바로 직전에 턴넬(TENNEL)(2)의 베이스(ROLLER BAS)(10)를 설치하여 턴넬(TENNEL)(2)내에 턴넬을 넣고 제직과정의 직물을 턴넬(TENNEL)(2)내에 직물파지로울러(3)를 경유시킴으로써 직구(織口)(6)의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제직하고자 하는 직물의 폭이 변경될 때마다 그 직물 폭에 꼭 맞는 폭의 직구(織口)(6) 이동방지장치 자체를 교환해야 한다.
즉 직물폭 끝단에는 위사(緯絲) 감지기(12), 위사(緯絲) 절단기(13), 폐사처리기(14) 등 각종 보조장치가 직기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직구(織口)이동방지장치는 직물폭이 변경되면 필히 직구(織口)이동방지장치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장치를 경유하는 직물(제6도에 도시된 4)의 위치가 경사선(經絲線)(WARP LINE)(11)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종래의 장치가 위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직물파지로울러(3)의 직물파지로울러베이스(ROLLER BASE)(10)를 직기 본체에 완전고정시켜야 한다.
장치자체가 직기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일 경우에는 직구(織口)와 바듸(REED(5)의 타점(打点)(BEATING POINT)이 항상 일정위치가 되어 바듸(REED(5)가 조기에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바듸(REED(5)의 조기 마모방지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직구(織口)(6)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직기를 안정되게 가동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직기상의 일정한 위치에 조립설치되어 있는 템플바(TEMPLE BAR)(1)에 턴넬(TENNEL)(2)을 형성하고 턴넬(TENNEL)(2) 내부에 안치되는 직물파지(把持) 로울러(ROLLER)(3)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중 본 고안의 확대 단면도로서 직기에서 제직되는 과정의 직구(織口)(6)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안정시키는데 있어서, 템플바(TEMPLE BAR)(1)이 상부일부에 턴넬(TENNEL)(2)을 형성하고 상기 턴넬(TENNEL) 개구부(20)는 템플바(TEMPLE BAR)(1)에 직물파지로울러(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템플바(TEMPLE BAR)(1)의 길이 방향 전폭을 관통되게 형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사(經絲) 개구내에 위입(緯入)된 위사(緯絲)를 바듸(REED(5)의 전후왕복운동에 의해 직물(4)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장치를 경유시킴으로써 직구(織口)(6)의 위치가 안정된다.
즉 직물이 템플바(TEMPLE BAR)(1)의 턴넬(TENNEL)(2) 내부의 직물파지로울러(3)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턴넬(TENNEL)(2) 내면과 직물파지로울러(3)의 사이에 직물(4)이 통과한다.
이때 직물(4)의 장력에 의해 턴넬(TENNEL)(2) 내면과 직물파지로울러(3)의 사이에 직물의 파지부가 자연히 생긴다.
강제적으로 바듸(REED(5)의 전진이 이루어지면 직구(織口)(6)의 위치인 전방위치(P1)이 결정되며 바듸(REED(5)의 후진이 될 때 직물의 직구(織口)(6)의 위치는 직물파지로울러(3)와 턴넬(TENNEL)(2) 내의 직물 파지부(21, 22)의 파지력에 의해 앞으로 밀려나아가지 못한다.
따라서, 직구(6)의 위치를 안정화시킨다.
이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기상의 조립설치되어 있는 템플바(TEMPLE BAR)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장치에 문제점인 직물폭 변경시마다 장치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그대로 어떠한 직물폭 변화에도 직구(織口) 이동방지장치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선(經絲線)(WARP LINE)을 그대로 유지시키므로써 바듸(REED) 조기마모방지 장치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는 직물폭 변화에 그대로 대응하므로 부품의 교환에 인력낭비가 절감되는 대단히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직기에서 제직되는 과정의 직구(織口)(6)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안정시키는데 있어서 직물을 제직하는 직기상의 템플바(TEMPLE BAR)(1)에 턴넬(TENNEL)(2)을 형성하고 상기 턴넬(TENNEL)(2) 내부에 안치되는 직물 파지로울러(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시의 직구(織口) 이동 방지 장치.
KR2019950054400U 1995-12-30 1995-12-30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KR960009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400U KR960009341Y1 (ko) 1995-12-30 1995-12-30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400U KR960009341Y1 (ko) 1995-12-30 1995-12-30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341Y1 true KR960009341Y1 (ko) 1996-10-16

Family

ID=1944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400U KR960009341Y1 (ko) 1995-12-30 1995-12-30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3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603572A (en) Belting with tubular edge portions
EP0275479A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of weaving looms
US3885600A (en) Method and temple apparatus for guiding fabric lengths through textile weaving machines
US4977932A (en) Edge guide for weft gripper belt
KR950000473B1 (ko) 셔틀리스 직기의 셀베지 개량장치
KR960009341Y1 (ko) 직기의 템플바(temple bar)에 턴널(tunnel)을 형성하여 제직시 직구(織口)의 이동을 방지하는 직구(織口) 이동방지 장치
US4541461A (en) Ribbon loom
US4006758A (en) Narrow web loom
US3426807A (en) Loom
US2586638A (en) Filling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US3910317A (en) Weaving machine for terry cloth
US2928427A (en) Filling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EP0036920A3 (en) Process for weaving double-ply fabrics on smallware needle looms
US3667508A (en) Guide element for the weft picking means in a loom
KR200292890Y1 (ko) 세폭직기의 경사안내용 가이드봉
US3460584A (en) Weft feeding mechanism
US3620260A (en) Loom tension-frame holding the woven fabric over its entire width
US4103716A (en) Leno motion device
US3369572A (en) Selvage stabilizer for looms
US3034539A (en) Filling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US3776281A (en) Weft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US5954098A (en) Mechanical loom
US4441530A (en) Ribbon loom or the like
US3116761A (en) Filling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US3119416A (en) Filling carriers for shuttleless l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