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345Y1 - 권선기의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권선기의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345Y1
KR960008345Y1 KR2019930008405U KR930008405U KR960008345Y1 KR 960008345 Y1 KR960008345 Y1 KR 960008345Y1 KR 2019930008405 U KR2019930008405 U KR 2019930008405U KR 930008405 U KR930008405 U KR 930008405U KR 960008345 Y1 KR960008345 Y1 KR 960008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disc
bending guide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766U (ko
Inventor
윤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전자
우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전자, 우영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전자
Priority to KR2019930008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345Y1/ko
Publication of KR940026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권선기의 권선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권선기의 계통도
제2도의 (가)는 본고안 분리단면도이고,
(나)는 결합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측면도로서,
(가)는 코일권회전이고
(나)는 코일권회후를 나타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부발췌 평면도로서,
(가)는 코일권회전이고
(나)는 코일권회후를 나타냄
제6도는 완성된 권선코일의 사시도
제7도는 권선코일 로터와 스테이터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선장치100 : 회전원판
2 : 간격조절수단200 : 대향면
3 : 취출수단300 : 핀
4 : 덮개원판400 : 대향면
410 : 절곡안내면412 : 절곡안내홈
420 : 코일파지부5 : 구동장치
6 : 용융장치7 : 코일
본고안은 코일을 고리형상으로 수회 권회한 권선코일을 제작하는 것으로, 특히 권선장치에서 권선코일의 리이드를 권선코일 전방으로 수직 절곡함으로써 그 절곡상태를 일정하게 하고 작업능률을 향상한 권선기의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선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7)과, 코일의 표면에 코팅된 우레탄 바니쉬등의 접착제를 알콜등에 통과시켜 순간적으로 용융하는 용융장치(6)와, 용융장치(6)를 통과한 코일(7)을 권회하는 권선장치(1)와, 상기 권선장치(1)를 구동시켜 그 권회수를 조절하는 구동장치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권선기는 용융장치(6)를 거친 코일(7)을 권선장치(1)에 걸은 상태에서 구동장치(5)를 적정수로 회전시켜 코일(7)이 권선장치(1)에서 고리형상으로 수회 감겨지도록한 권선코일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권선코일은 제6도에서와 같이 권선코일(700)과 리이드(710)로 구성되고, 상기 리이드(710)는 권선코일(700)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제7도에서처럼 비디오 헤드용 로터리트랜스의 로터(8)와, 스테이터(9)등에 장착이 된다.
상기에서 리이드(710)를 수직 절곡하는 이유는 상기 로터(8)와 스테이터(9)간의 결합계수를 향상시켜 비디오등의 고해상도를 얻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리이드(710)를 수직 절곡할때 권선장치(1)에서 권선코일(700)을 권회한뒤 이를 권선장치(1)에서 분리한 다음 리이드(710)을 권선코일 전방으로 수직절곡하였다.
그러나 상기 리이드를 절곡할 때 별도의 도구없이 손으로 직접 절곡을 하기 때문에 각각의 권선코일(700)마다 그 절곡상태가 상이하며 이를 로터와 스테이터등에 장착했을때 그 신호전달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권선코일의 권회직업과 리이드의 절곡작업을 별도로 해야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권선코일의 리이드 절곡상태를 일정하게 하여 신호전달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하고 권선장치에서 코일 권회시 리이드의 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한 권선기의 권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간격조절수단과 취출수단을 갖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에 끼우고 떼지는 덮개원판으로 권선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원판의 상부에 절곡안내면을 형성하고, 이 절곡안내면 하단에 코일굵기의 폭으로 상기 회전원판 외주연과 그 저면에 일치하게 절곡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원판 전방에 코일파지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취출수단의 핀을 회전원판 외주연으로부터 코일굵기만큼 이격시키고 어느한 핀의 외주연을 상기 절곡안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절곡안내홈의 측면과 일치시켜서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가)(나)는 본고안의 분리 및 결합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고안의 요부분리사시도로서, 권선장치(1) 본체가 구동장치(5)의 회전축(50)에 물리는 축(110)을 갖는 회전원판(100)과, 회전원판(100)의 체결공(120)에 끼우고 떼지는 체결축(401)을 갖는 덮개원판(4)으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원판(100) 외주연에는 코일(7) 굵기에 따라 가변되는 간격조절수단(20)이 설치되고, 권회한 권선코일을 회전원판(100)에서 분리하는 핀(300)을 갖는 취출수단(3)이 구비된 상태에서, 본고안은 상기 덮개원판(4)의 중앙상부에 절곡안내면(410)을 수직으로 일정길이 형성하고 상기 절곡안내면(410) 하단으로부터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안내면(41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절곡안내면(410) 하단에 코일(7)굵기의 폭으로 그 저면이 회전원판(100)의 외주연과 일치하는 절곡안내홈(412)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원판(4)의 전방으로 상기 절곡안내홈(412) 하부에 코일파지부(420)를 형성한다.
상기 코일파지부(420)는 볼트(421)를 덮개원판(4)에 체결한 상태에서 볼트(421) 외주연에 스프링(422)을 압축시킨 상태로 개재하여 구성하고, 코일(7)이 상기 스프링(422)의 사이사이에 끼워져 그 압축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취출수단(3)의 핀(300)을 회전원판(100) 외주연으로부터 코일(7) 굵기만큼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상부쪽핀(300)의 절곡안내면(410)과 대향하는 외주연을 상기 절곡안내면(410)과 대향하는 절곡안내홈(412)의 측면에 일치시킨다.
미설명부호 320은 취출수단(3)의 손잡이 원판, 310은 핀(300)을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열한 지지원판, 330은 지지원판(310)과 손잡이원판(320)을 연결하는 연결봉, 340은 연결봉(330)을 이동안내하는 고정원판, 350은 손잡이 원판(320)과 고정원판(340) 사이에 개재한 탄성부재, 101, 402는 회전원판(100)과 덮개원판(4)의 결합위치를 맞춰주는 구멍 및 돌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고안의 코일권회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권선장치(1)의 축(110)을 구동장치(5)의 회전축(50)에 결합한 다음 회전원판(100)의 체결공(120)에 덮개원판(4)의 체결축(401)을 결합하여 제2도의 (나)와 같이 조절수단(2)의 대향면(200)과 덮개원판(4)의 대향면(400)이 코일(7) 굵기만큼의 폭을 유지하며 서로 대향하게 한다.
한편 제4도의 (가) 및 제5도의 (가)에서처럼 코일(7)을 각 대향면(200)(400)사이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원판(100) 외주연 상부에 권회한뒤 취출수단(3)의 손잡이원판(320)을 눌러 핀(300)이 덮개원판(4)의 대향면(400)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제일상부핀(300) 저부에는 회전원판(100)의 외주연 상부에 권회된 코일(7)이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코일을 제4도(가)의 도면상 반시계방향(제5도(가)의 도면상 하부)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일상부핀(300)에서 수직절곡되게한 다음 절곡안내면(410)을 따라 제4도(가)의 도면상 전방(제5도(가)의 도면상 우측)으로 절곡하여 절곡안내홈(412)에 코일(7)이 놓이게 한뒤 덮개원판(4) 전방에 있는 코일파지부(420)의 스프링(422)에 코일(7) 단부를 걸어주어 코일(7)이 절곡안내홈(412)에서 이탈하지 않게 한다.
상기에서 상부핀(300)에 의한 코일(7)의 절곡작업이 끝나면 누르고 있던 손잡이원판(320)을 놓아서 탄성부재(350)에 의해 원위치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한 상태에서 구동장치(5)를 적정수로 구동하여 코일(7)을 권회한 다음, 제4도(나) 및 제5도(나)에서처럼 절단가위등으로 코일(7)을 적정길이로 절단한다.
한편 상기 절단한 코일(7)을 제4도(나)의 도면상 시계방향(제5도(나)의 도면상 상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절곡안내면(410)을 따라 제4도 (나)의 도면상 전방(제5도(나)의 도면상 우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코일권회시 절곡안내홈(412)에 놓여진 코일과 나란하게 하여준다.
그런다음 절단가위등으로 절곡안내홈(412)에 놓인 코일과 그 코일과 나란한 코일 두가닥을 적정길이로 절단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두가닥의 절곡된 코일이 리이드(710)로 된다.
한편 코일권회 및 코일절단이 완료되면 덮개원판(4)을 분리하고 취출수단(3)의 손잡이원판(320)을 전진이동시킨다.
이때 방사상으로 배열된 핀(300)에 의해 권회된 코일이 회전원판(100)에서 이탈하여 제6도에서와 같은 권신코일(700)이 만들어진다.
상기에서 절곡안내홈(412)에 놓여진 코일 즉 리이드(710)는 덮개원판(4)이 축(110) 방향으로 이동하며 분리되기 때문에 축(110) 방향과 나란하게 절곡된 상기 리이드(710)는 아무런 간섭을 받지않고 그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각 대향면(200)(400)에는 코일 늘러붙음을 방지하는 방전가공이 되어 있어 코일권회시 눌러붙음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르면 권선코일(700)을 제작하기 위한 코일(7) 권회시 권선장치(1)에서 권선코일(700)과 리이드(710)를 동시에 형성하여 주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절곡된 리이드들이 권선코일마다 균일하여 제품신뢰도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간격조절수단과 취출수단을 갖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에 끼우고 떼지는 덮개원판으로 권선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원판의 상부에 형성한 절곡안내면과, 상기 절곡안내면 하단에 코일굵기의 폭으로 상기 회전원판 외주연과 그 저면이 일치하게 형성한 절곡안내홈과, 상기 덮개원판의 전방에 형성한 코일파지부와, 상기 회전원판 외주연으로부터 코일굵기만큼 이격하고 상기 절곡안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절곡안내홈의 측면에 상기 절곡안내면과 대향하는 외주연을 일치시킨 취출수단의 핀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의 권선장치.
KR2019930008405U 1993-05-19 1993-05-19 권선기의 권선장치 KR960008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405U KR960008345Y1 (ko) 1993-05-19 1993-05-19 권선기의 권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405U KR960008345Y1 (ko) 1993-05-19 1993-05-19 권선기의 권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766U KR940026766U (ko) 1994-12-09
KR960008345Y1 true KR960008345Y1 (ko) 1996-09-25

Family

ID=1935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405U KR960008345Y1 (ko) 1993-05-19 1993-05-19 권선기의 권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3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766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9057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inuously forming edgewise wound cores
EP0072538B1 (en) Armature coil winding apparatus for flat motor
US4914934A (en) Method of forming an edgewise wound core
KR930004056A (ko) 타이어 용 비드 조립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60008345Y1 (ko) 권선기의 권선장치
DE2227116A1 (de) Vorrichtung zum Liefern eines Stellungssignals
US2815905A (en) Apparatus for winding coils on spools
US3337145A (en) Coil winding apparatus
US3331403A (en) Stator coil winding and positioning machine
US3892366A (en) Armature winding machine forms
KR20170089517A (ko) 다기능 권선기
JP2760190B2 (ja) 巻線機
US426786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ils
WO2006063554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ickeln eines scheibenlaüfers für einen scheibenläufermotor
US4387504A (en) Machine for flats or conical windings in the form of a disc for electric motors
US2315904A (en) Arbor chucking device
US4236300A (en) Armature winding machine
SU9592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короткозамкнутых витков в пазы магнитопровода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CA3225392A1 (en) Coil spring production with rotary cutter
US2256580A (en) Guide support for winding spool
SU828324A1 (ru) Станок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секций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US4358099A (en) Stator core holding device for fabricating a stat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machine
US4669675A (en) Winding machine arbor with strain relief protection
JP2515859B2 (ja) 空心コイル巻き線成形装置
SU943879A1 (ru) Станок дл намотки провода на кольцевые сердечни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