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334B1 - Blockade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bonnet - Google Patents

Blockade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bon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334B1
KR960007334B1 KR1019920017657A KR920017657A KR960007334B1 KR 960007334 B1 KR960007334 B1 KR 960007334B1 KR 1019920017657 A KR1019920017657 A KR 1019920017657A KR 920017657 A KR920017657 A KR 920017657A KR 960007334 B1 KR960007334 B1 KR 96000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robot
stay
opening
bonnet st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5852A (en
Inventor
히데끼 후지와라
간지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76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584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03304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80733B2/en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3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보닛의 폐색방법 및 그 장치Obstruction method of bonnet and device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공물 탑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공물 탑재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system of a workpiece mount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workpiece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에 따른 화살표 방향의 도면.2 is a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II-II in FIG. 1;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설치브래킷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shown in FIG.

제 4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너트런너핸드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nut runner hand shown in FIG.

제 5 도는 제 4 도의 Ⅴ-Ⅴ선에 따른 화살표 방향의 도면.5 is a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V-V of FIG.

제 6 도는 제 1 도의 스테이조작핸드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stay operation hand of FIG.

제 7 도는 제 6 도의 Ⅶ-Ⅶ선에 따른 화살표 방향의 도면.7 is a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제 8 도는 제 6 도의 Ⅷ-Ⅷ선에 따른 화살표 방향의 도면.8 is a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제 9 도는 라디에이터 탑재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수순도.9 is a flowchart of work in mounting a radiator.

제 10 도는 반송라인상에 있는 차체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body on the conveying li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반송라인 2 : 설치테이블1: Return Line 2: Installation Table

3 : 제 1 로봇 4 : 제 2 로봇3: first robot 4: second robot

5 : 제 3 로봇 6 : 보닛스테이5: third robot 6: bonnet stay

11 : 기초통 12 : 미끄럼부재11: base cylinder 12: sliding member

13 : 팔 14 : 팔구동부재13: arm 14: arm drive member

15 : 랙 16 : 피니언기어15 rack 16: pinion gear

17 : 라디에이터 끼워갖는 부 18 : 라디에이터 매다는 부17: radiator fitting part 18: radiator hanging part

19 : 지지핀 20 : 로봇연결부19: support pin 20: robot connection

21 : 너트런너 연결부 24 : 체결기구21: nut runner connection part 24: fastening mechanism

25 : 지지선반 26 : 고정측 너트런너대25: support lathe 26: fixed side nut runner stand

27 : 이동측 너트런너대 28 : 너트런너27: Nut runner stand on moving side 28: Nut runner

30 : 실린더 31 : 너트런너헤드30: cylinder 31: nut runner head

34 : 보닛지지기구 35 : 기초부재34 bonnet support mechanism 35 base member

36 : 미끄럼부재 37 : 실린더36: sliding member 37: cylinder

38 : 요동팔 39 : 지지핀38: rocking arm 39: support pin

40 : 보닛받이 41,42 : 저지부40: bonnet receiver 41,42: stopper

43 : 제한스위치 44 : 용수철43: limit switch 44: spring

51 : 파지기구 50 : 안내기구51: holding mechanism 50: guide mechanism

53 : 파지돌기부재 54 : 돌기지지부53: holding projection member 54: projection support

55 : 기초부 57 : 보닛지지팔55: foundation 57: bonnet support arm

58 : 보닛받이 60 : 돌기지지부58: bonnet receiving 60: protrusion support

61 : 돌기부재 62 : 안내구멍61: projection member 62: guide hole

A : 설치브래킷 B : 너트런너핸드A: Mounting bracket B: Nut runner hand

C : 스테이조작핸드 P : 차체C: Stay operation hand P: Body

P1: 보닛 S1: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P 1 : Bonnet S 1 : Radiator Mounting Station

S2: 라디에이터 공급스테이션 S3: 설치스테이션S 2 : radiator supply station S 3 : installation station

W : 라디에이터W: Radiator

본 발명은 차체의 보닛스테이(bonnet stay)에 걸어맞추어져서 미리 개방된 상태로 자동차 조립라인상을 반송되어오는 차체의 보닛을 로봇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osing a bonnet of a vehicle body, which is conveyed on a vehicle assembly line in a pre-opened state by engaging a bonnet stay of a vehicle body, by a robot.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조립라인은 로봇의 도입에 의한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 조립라인에 따라 반송되어 오는 차체에는 각 조립스테이션마다에 부품이 순차로 로봇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립되어간다.As is well known, the assembly line of a vehicle is being automated by introduction of a robot, and parts are automatically assembled by the robot sequentially in each assembly station in the vehicle body conveyed by this assembly line.

이때 차체는 엔진실내등에의 부품의 조립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당초에는 보닛을 개방상태로 해서 반송하지만 엔질실내등에의 소정부품의 조립이 종료된 후의 조립라인에는 보닛을 폐색시키지 않으면 로봇의 동작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조립시스템이 있고, 이와 같이 보닛의 폐색을 요하는 조립시스템에서는 그 직전에서 사전에 작업원의 수작업에 의해 보닛을 폐색시키고 있다.At this time, the body is initially transported with the bonnet ope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ssembly of parts in the engine room, etc. There is an assembly system that cannot be secured, and in such an assembly system that requires the occlusion of the bonnet, the bonnet is occluded by manual labor by a worker in advanc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조립라인에는 많은 조립로봇이 배치되어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작업원이 들어가는 것은 안전한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many assembly robots are arranged and operated in the assembly line of the vehicle, it is not preferable to put a worker there in terms of safety.

여기서 종래로부터 보닛을 로봇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고려되어 왔고,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3-38938호 공보에는 보닛에 미리 부착지그(jig)를 부착시켜 두고, 이 부착지그를 로봇팔의 선단의 처크(chuck)로 파지하고, 로봇팔의 상하이동에 의해 보닛을 개폐시키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Heretofore, it has been considered to open and close the bonnet automatically by a robo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38938 has a mounting jig attached to the bonnet in advance. A technique for gripping with a chuck on the tip and opening and closing the bonnet by a shanghai-dong of the robot arm is proposed.

그러나 전기한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는 보닛에 미리 부착지그를 부착시켜 두지 않으면 안될 뿐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이 부착지그는 떼어내야만 하며 이것을 다른 로봇 혹은 작업원의 어느쪽이 행하더라도 작업공정이 증가되어 효율적이 아니라는 과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not only should the attachment jig be attached to the bonnet in advance, but also the attachment jig must be removed at the end and the work process is increased by either of the other robots or the worker.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efficient.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닛측에 지그등을 부착시키지 않고, 보닛과 보닛스테이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다시 또 보닛스테이를 엔진실의 개방구 주위가장자리에 형성한 수납부에 넘어뜨려 격납시켜서 보닛을 확실히 폐색시킬 수 있는 보닛의 폐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release the bonnet and the bonnet stay from the bonnet stay without attaching a jig or the like and to form the bonnet stay at the edge around the opening of the engine compartment again.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losing a bonnet and a device thereof, which can be secured by knocking over the housing and closing the bonne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차체의 엔진실 개방구 주위가장자리에 일단이 부착되어서 기립전도가 자유로운 보닛스테이의 선단의 갈고리부에 하면의 걸어맞춤홈이 걸어맞추어져서 개방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보닛을 로봇으로 폐색시킴에 있어서, 우선 제 1 로봇으로 전기한 보닛스테이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로봇을 전기한 보닛의 아래쪽으로부터 맞닿게 해서 소정량을 들어올리고, 다음에 그 제 1 로봇으로 유지한 보닛스테이를 전기한 걸어맞춤홈에 따라 그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 그후 그 제 2 로봇으로 그 보닛을 다시 또 들어올려서 그들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후 그 제 1 로봇으로 그 보닛스테이를 엔진실 개방구 주위가장자리에 형성된 수납위치로 넘어뜨려 안내해서 그 제 2 로봇으로 그 보닛을 하강시켜서 폐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attached to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opening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engaging groove of the lower surface is engaged and supported in the open state by the hook portion of the tip of the bonnet stay which is free of standing conduction. In closing the used bonnet with a robot, first, while maintaining the bonnet stay, which has been powered by the first robot, the second robo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bonnet, which is electrically powered, and then a predetermined amount is lifted. The retained bonnet stay is moved in the engagement direction along the electric engagement groove, and then the bonnet stay is lifted again by the second robot to release their engagement, and then the bonnet stay is engined by the first robot. Guide it down to the storage position formed at the edge around the seal opening and lower the bonnet with the second robot to block it.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또 상기한 제 1 로봇으로 상기한 보닛스테이를 수납위치로 안내하는데 있어서는 그 제 1 로봇의 팔에 설치한 안내기구에 의해 그 보닛스테이를 여유를 갖게 유지하고, 그 보닛스테이를 수납위치로 향해 넘어뜨릴 때에는, 전기한 안내기구를 그 보닛스테이의 근원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수납위치로 향해 회전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guide the bonnet stay to the storage position by the first robot described above, the bonnet stay is held by a guide mechanism provided on the arm of the first robot, and the bonnet stay is moved toward the storage position. When lowering,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said guide mechanism toward a storage position, shifting the said guide mechanism to the base direction of the bonnet stay.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차체의 엔진실 개방구 주위가장자리에 일단이 부착되어서 기립전도가 자유로운 보닛스테이 선단의 갈고리부에 하면의 걸어맞춤홈이 걸어맞추어져서 개방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보닛을 로봇으로 폐색시키는 보닛의 폐색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보닛스테이를 유지해서 그 유지중의 보닛스테이를 상기한 걸어맞춤홈에 따라서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 보닛스테이를 엔진실 개방구 주위가장자리의 수납위치로 넘어뜨려서 안내하는 제 1 로봇과 상기한 보닛 선단하면에 맞닿아서 그 보닛의 선단을 승강시키는 제 2 로봇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attached to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opening of the vehicle body, and the engaging groove at the bottom of the bonnet stay tip is engaged with the free standing conduction so that it is held in an open state. In the bonnet occlusion device for obstructing the bonnet with a robot, the bonnet stay is maintained, the retained bonnet stay is moved in the disengagement direction along the engaging groove, and the bonnet stay is moved to the engine compartment. And a first robot for overturning and guiding to a storage position of an edge around the opening and a second robot for abutting the tip of the bonnet in contact with the bottom face of the bonnet.

또 상기한 보닛스테이를 수납위치에 넘어뜨려서 안내하는 제 1 로봇에는 그 보닛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여유를 갖고 유지함과 동시에 그 보닛스테이를 수납위치로 향해서 넘어뜨릴 때에는 그 보닛스테이의 근원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수납위치로 향해 회전이동되는 안내기구를 팔의 선단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robot that guides the bonnet stay to the storage position by holding the bonnet stay with a margin at the same time, while shifting the bonnet stay toward the storage position, shifts the bonnet stay to the storage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t the tip of the arm a guide mechanism which is rotated toward the storage position.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기술하면, 제 1 로봇으로 보닛스테이를 유지하면서 제 2 로봇으로 보닛을 소정량 들어올리고 이 상태에서 제 1 로봇에 의해 보닛스테이를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고나서 그 제 2 로봇으로 보닛을 다시 또 들어올려서 그 보닛과 보닛스테이와의 걸어맞춤을 완전히 해제하고, 그후 제 1 로봇으로 보닛스테이를 넘어뜨려서 수납위치에 안내해서 보닛을 제 2 로봇에 의한 들어올림상태로 두고, 이 들어올림상태로부터 제 2 로봇에 의해 보닛을 강하시킨다고 하는 제 1 로봇과 제 2 로봇과의 협동작업에 의해 보닛을 자동적으로 확실히 폐색시킨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olding the bonnet stay with the first robo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onnet is lifted by the second robot, and in this state, the bonnet stay is moved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by the first robot, and then the second Lift the bonnet again with the robot again to completely disengage the bonnet from the bonnet stay, then overturn the bonnet stay with the first robot and guide it to the stowed position, leaving the bonnet lifted by the second robot. The bonnet is automatically and securely closed by the cooperative work between the first robot and the second robot, which lowers the bonnet from the lifted state by the second robot.

또 제 1 로봇으로 보닛스테이의 수납을 행함에 있어서는 보닛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여유를 갖게 유지하고 있는 안내기구를 보닛스테이의 근원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수납위치방향으로 향해서 회전이동시키므로서 제 1 로봇의 팔이 그리는 궤적을 가급적 단축시키고, 그 동작의 신속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제 1 로봇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한다.When storing the bonnet stay with the first robot, the arm of the first robo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position while shifting the guide mechanism holding the tip side of the bonnet stay in the direction of the bonnet stay with a margin. This drawing shortens the trajectory as much as possible, speeds up the operation thereof, and reduc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first robot.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차량의 가공물 탑재방법 및 그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workpiece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 vehicle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concretely based on the Example shown in an accompanying drawing.

제 1 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디에이터(radiator)의 탑재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조립라인의 일부가 나타나 있고, 동도면에서 부호(1)은 차체(P)를 순차로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라인이며, 반송라인(1)의 한쪽에는 후술하는 스테이 조작핸드(stay operation hand)(C)를 구비한 제 1 로봇(3)과 후술하는 너트런너핸드(Nut runner hand)(B)룰 구비한 제 2 로봇(4)가 또 다른쪽에는 후술하는 설치 브래킷(set bracket)(A)가 부착되는 제 3 로봇(5)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 3개의 로봇에 의해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S1)이 구성되어 있다.1 shows a part of an assembly lin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radiator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eference numeral 1 conveys the vehicle body P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first robot 3 having a stay operation hand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nut runner hand 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side of the provided second robot 4, a third robot 5 to which a mounting bracket A to be described later is attached is disposed, respectively, and the radiator mounting station S1 is provided by these three robots. This is composed.

또 상기한 제 3 로봇(5)의 측면쪽에는 차종마다에 종류가 다른 라디에이터(W)를 설치한 복수의 설치브래킷(A)(A)…가 저장된 라디에이터 공급스테이션(S2)와 그 라디에이터 공급스테이션(S2)로부터 꺼내진 라디에이터(W)에 대해 소요의 부품을 조립해서 이것을 차체에 탑재가능한 상태로 하는 설치작업을 행하는 설치테이블(2)를 구비한 설치스테이션(S3)이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A) (A)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robot (5)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radiators (W) for each vehicle type. A mounting table (2) for assembling required parts to the radiator supply station (S2) and the radiator (W) taken out from the radiator supply station (S2) in which the parts are stored and to mount them on the vehicle body. One installation station S3 is arranged.

한편 차체(P)는 상기한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S1)에는 제 2 도 및 제 1 도에 있어서 부호(P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P1)이 보닛스테이(6)에 의해 개방상태로 지지한 상태로 반송되어온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body P is a state in which the bonnet P1 is supported in the open state by the bonnet stay 6,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P1 in Figs. 2 and 1 in the radiator mounting station S1. It is returned to.

그리고 그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S1)에서 엔진실의 전단부에 라디에이터(W)가 탑재되고, 또한 차체측에 체결된 후 제 1 도에 부호(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P1)이 폐색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향해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radiator mounting station S1, the radiator W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engine compartment, and after being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e bonnet P1 is clos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P '' in FIG. It is to be conveyed toward the next process in the state.

이 라디에이터(W)의 탑재작업의 개략을 제 1 도, 제 2 도 및 제 9 도의 작업수순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보닛(P1)을 개방한 상태에서 차체(P)가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S1)으로 이동해오면, 우선 최초로 제 1 로봇(3)과 제 2 로봇(4)와의 공동작업에 의한 스테이 떼어내기 작업 및 보닛(P1)의 전체 개방조작(작업수순 ①-③)이 연속해서 행해진다. 즉 우선 제 1 로봇(3)이 작동해서 보닛스테이(6)을 파지함과 동시에 제 2 로봇(4)가 보닛(P1)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해서 이것을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그 보닛스테이(6)에 의한 보닛지지작용을 해제한다. 그후 제 1 로봇(3)은 보닛스테이(6)을 전도시켜서 상기한 보닛(P1)과 엔진실 상단과의 사이에 라디에이터 탑재공간 및 조립작업공간을 확보한다.The outline of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radiator 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procedures shown in FIGS. 1, 2 and 9, and the vehicle body P is the radiator mounting station S1 with the bonnet P1 open. In the first step, first of all, the work of detaching the stay by the cooperative work between the first robot 3 and the second robot 4 and the entire opening operation of the bonnet P1 (work procedure ①-③) are continuously performed. That is, the first robot 3 operates to grip the bonnet stay 6,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obot 4 supports the bonnet P1 from the bottom, lifts it upwards, and the bonnet stay 6 Release bonnet support. Thereafter, the first robot 3 inverts the bonnet stay 6 to secure a radiator mounting space and an assembly work space between the bonnet P1 and the engine room upper end.

이 시점에 있어서는 제 1 로봇(3)의 주요기능인 보닛스테이 조작이 완료되는 한편, 제 2 로봇(4)는 계속해서 행해지는 라디에이터 체결작업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 때문에 재차 제 1 로봇(3)이 작동해서 상기한 보닛(P1)을 상기한 제 2 로봇(4)측으로부터 받아서 이것을 전체 개방상태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한 제 2 로봇(4)를 반송라인(1)의 측면쪽으로 후퇴시켜서 대기시킨다.At this point in time, the bonnet stay operation,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first robot 3, is completed, while the second robot 4 needs to prepare for the radiator fastening operation performed continuously. It operates and receives the said bonnet P1 from the said 2nd robot 4 side, and supports it in the full open state, and retracts the said 2nd robot 4 to the side of the conveying line 1, and waits. .

이어서 라디에이터(W)의 탑재작업(작업수순 ④-⑥)이 개시된다. 즉 우선 제 3 로봇(5)가 작동해서 설치스테이션(S3)으로부터 설치가 완료된 소정의 라디에이터(W)를 설치브래킷(A)와 함께 꺼내어 이것을 상기한 보닛(P1)의 아래쪽의 엔진질 전단부에 반입하고, 또한 이것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하여 탑재시킨다. 또한 이 제 3 로봇(5)는 라디에이터(W)의 체결작업이 완료되기까지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다.Subsequently, the mounting work (work procedures ④-⑥) of the radiator W is started. That is, firstly, the third robot 5 is operated to take out the predetermined radiator W, which has been installed from the installation station S3, together with the mounting bracket A, and to the engine quality front end of the bonnet P1 described above. It carries in and arranges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unts it. In addition, the third robot 5 maintains the state as it is until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radiator W is completed.

라디에이터(W)가 탑재되면 상기한 제 2 로봇(4)가 작동하고, 그 라디에이터(W)를 차체측에 체결고정시킨다.When the radiator W is mounted, the above-mentioned second robot 4 is operated to fasten and fix the radiator W to the vehicle body side.

이 체결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한 제 3 로봇(5)는 초기위치로 후퇴하여 다음번의 탑재작업에 대비한다.At the time when this fastening work is completed, the said 3rd robot 5 retreats to an initial position and prepares for the next mounting work.

이상으로 라디에이터(W)의 탑재작업이 완료된다.The mounting work of the radiator W is completed above.

다음에 보닛(P1)의 폐색작업(작업수순 ⑦-⑨)가 개시된다. 즉 지금까지 제 1 로봇(3)에 의해 전체 개방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보닛(P1)을 제 2 로봇(4)측으로 받아서 이것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제 1 로봇(3)을 초기위치로 후퇴시켜서 다음번의 작업에 대비시킨다.Next, the closing operation (work procedure ⑦-⑨) of the bonnet P1 is started. That is, the bonnet P1, which has been supported by the first robot 3 in the totally open state so far, is received by the second robot 4 side and supported thereon, and the first robot 3 is retract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be next. Be prepared for your work.

한편 상기한 제 2 로봇(4)는 지지한 보닛(P1)을 차츰 내려서 이것을 폐색시킨다. 그리고 그 보닛(P1)에 소정의 폐색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그 보닛(P1)의 지지를 해제해서 초기위치로 후퇴한다. 보닛(P1)이 폐색된 차체(P)(제 1 도의 차체 P'')는 그대로 다음 공정으로 반송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bot 4 gradually lowers the supported bonnet P1 and closes it. When the bonnet P1 reaches the predetermined closed position, the bonnet P1 is released and retract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vehicle body P (the vehicle body P ″ in FIG. 1) in which the bonnet P1 is blocked is conveyed as it is to the next step.

이상으로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This completes all work.

또한 여기서 말하는 보닛(P1)의 폐색상태란 그 보닛(P1)이 잠금기구가 해제된 상태[즉 보닛(P1)과 차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확보된 상태]를 말한다.In addition, the closed state of the bonnet P1 here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bonnet P1 was unlocked (namely,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spacing between the bonnet P1 and the vehicle body).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로봇(4)에 의해 보닛(P1)을 폐색상태로 설치해도 차체측과의 간섭을 일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bonnet P1 is provided in the closed state by the second robot 4, the interference with the vehicle body side does not occur.

이어서 상기한 설치브래킷(A)와 너트런너핸드(B) 및 스테이조작핸드(C)의 구조 및 그 작용등에 대해 제 3 도 이하를 참조해서 각각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bracket A, the nut runner hand B and the stay operation hand C, the operation thereof,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설치브래킷(A)][Installation Bracket (A)]

설치브래킷(A)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라디에이터(W)를 소정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한 제 3 로봇(5)의 팔의 선단부(5a)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그 라디에이터(W)를 차체측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고, 탑재시키는 것으로서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초통(11)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bracket A is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ip 5a of the arm of the third robot 5 in the state where the radiator W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has the base cylinder 11 which extends to the left-right direction by positioning W)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vehicle body side, and mounting it.

또 이 기초통(11)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그 기초통(11)에 대해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된 미끄럼부재(12)(12)가 설치되고, 다시 또 각 미끄럼부재(12)(12)의 단말부에는 아래쪽으로 뻗어나온 팔(1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Moreover, sliding members 12 and 12 which are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cylinder 11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is base cylinder 11, and each sliding member 12 and 12 is again provided. The end portion of the arm 13 extending downwards is attached to each.

또 기초통(11)의 아래쪽 위치에는 좌우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팔 구동부재(14)(1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팔 구동부재(14)(14)는 그 외부 단말부에 상기한 팔(13)을 각각 연결시킴과 동시에 그 내부 단말부에는 피니언기어(16)에 맞물리는 랙(15)(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arm drive members 14 and 14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base cylinder 11. Each of the arm drive members 14 and 14 connects the arms 13 to the outer terminal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racks 15 and 15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6 at the inner terminal portions. Are formed respectively.

따라서 이 피니언기어(16)을 소정의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시키므로서 상기한 각 팔 구동부재(14)(14)가 축방향으로 진퇴 변위하고, 이에 수반해서 상기한 각 팔(13)(13)을 동기해서 폭 확대방향 또는 폭 축소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Accordingly, by rotating the pinion gear 16 by a predetermined drive mechanism (not shown), the above-described arm drive members 14 and 14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13) and 13 are synchronously moved in the width enlargement direction or the width reduction direction.

한편 상기한 각 팔(13)(13)은 그 하단부에, 상기한 라디에이터(W)를 그 폭방향으로부터 끼워갖기 위한 라디에이터 끼워갖는 부(17)(17)을 형성하는 한편 그 중간단계부에는 상기한 라디에이터(W)의 상단 양측부에 형성한 라디에이터 매다는 부(18)(18)의 끼워넣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춤가능한 지지핀(19)(19)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피니언기어(16)으로서 상기한 팔(13)(13)을 상호 접근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상기한 라디에이터(W)는 상기한 각 지지핀(19)(19)에 의해 설치브래킷(A)에 대한 위치결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한 라디에이터 끼워갖는 부(17)(17)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arms 13, 13 forms a lower por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with a radiator fitting portion 17, 17 for fitting the radiator W from the width direction thereof, The radiator hangers formed on both upper ends of one radiator W are provided with support pins 19 and 19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insertion holes (not shown) of the sections 18 and 18. Therefore, as the pinion gear 16 moves the arms 13 and 13 in the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 the radiator W is installed by the support pins 19 and 19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ing with respect to the < RTI ID = 0.0 >) is made and held by the radiator-fitting portions 17, 17 < / RTI >

그리고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W)를 설치상태로 유지한 설치브래킷(A)는 상기한 기초통(11)의 위쪽 위치에 형성한 로봇연결부(20)을 거쳐 상기한 제 3 로봇(5)의 팔의 선단부(5a)에 연결되고, 그 제 3 로봇(5)에 의해 차체측으로 반입되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는 것이다. 또한 제 3 도에 있어서, 부호(21)(21)은 후술하는 너트런너핸드(B)의 너트런너핸드(31)(31)에 연결되는 너트런너연결부이다.In this way, the mounting bracket A holding the radiator W in the installed state is connected to the arm of the third robot 5 through the robot connecting portion 20 form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base cylinder 11. It is connected to the front-end | tip part 5a, is carried in to the vehicle body side by the 3rd robot 5, and is moun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3, reference numerals 21 and 21 denote nut runner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nut runner hands 31 and 31 of the nut runner hand B described later.

[너트런너핸드(B)][Nut Runner Hand (B)]

너트런너핸드(B)는 상기한 제 3 로봇(5)에 의해 차체(P)측으로 위치결정 탑재된 라디에이터(W)를 보울트 체결에 의해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보닛(P1)을 개방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기구(24)와 보닛지지기구(34)와를 구비하고 있다.The nut runner hand (B) fixes the radiator (W), which is positioned and mounted on the vehicle body (P) side by the third robot (5) by bolting, and simultaneously supports the bonnet (P1) in an open state. 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fastening mechanism 24 and the bonnet support mechanism 34 are provided.

상기한 체결기구(24)는 상기한 제 2 로봇(4)의 팔 선단부(4a)에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지지선반(25)를 갖고 있다.The fastening mechanism 24 has a supporting shelf 25 of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the arm tip 4a of the second robot 4 described above.

이 지지선반(25)의 일단부(25a)에는 너트런너(28)을 구비한 고정측 너트런너대(26)이 고정배치되는 한편, 타단부(25b)에는 너트런너(28)을 구비한 이동측 너트런너대(27)이 그 지지선반(25)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동측 너트런너대(27)은 상기한 지지선반(25)측에 고정시킨 실린더(30)의 신축이동에 의해 제 4 도 및 제 5 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와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이동측 너트런너대(27)의 위치를 조정해서 상기한 각 너트런너대(28)(28)에 설치한 너트런너헤드(31)(31)의 간격치수를 증감조정하므로서 각 너트런너헤드(31)(31)을 적용차종의 다른 라디에이터 탑재시에 있어서도 상기한 설치브래킷(A)측의 각 너트런너연결부(21)(21)에 확실히 끼워 맞추어서 이것을 체결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A fixed side nut runner stand 26 having a nut runner 28 is fixedly arranged at one end 25a of the support shelf 25, while a nut runner 28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25b. The side nut runner stand 27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elf 25. And this moving side nut runner stand 27 is a position shown by the dashed line and the dashed line in FIG. 4 and FIG. 5 by the telescopic movement of the cylinder 30 fixed to the said support shelf 25 side. It is to be moved between and. Therefor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nut runner 27, the nut runner heads 31 and 31 provided in the nut runners 28 and 28 described above are increased or decreased. Also, when mounting (31) and (31) other radiators of the applied model, it is possible to reliably fit each of the nut runner connection portions 21 and 21 on th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A described above, and to fasten it.

한편 상기한 보닛지지기구(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2 로봇(4)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보닛(P1)을 개방상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그 지지상태인 채로 상기한 제 2 로봇(4)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므로서 상기한 보닛(P1)을 개방상태로부터 폐색상태로 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체결기구(24)의 지지선반(25)의 일단부(25a)측에 체결 고정된 기초부재(35)를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nnet support mechanism 34 supports the bonnet P1 in an open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obot 4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obot in its support state. (4) acts to move the bonnet P1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by being moved downward, and is fastened to the one end 25a side of the support shelf 25 of the fastening mechanism 24 described above. It has a fixed base member 35.

이 기초부재(35)에는, 상기한 지지선반(25)로부터 그 축방향 바깥쪽으로 뻗어나오는 미끄럼부재(36)이 실린더(3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A sliding member 36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bove-described support shelf 25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is attached to the base member 35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ylinder 37.

또 이 미끄럼부재(36)의 선단부에는 지지핀(39)을 거쳐서, 요동팔(38)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Moreover, the swinging arm 38 is supported by the front-end | tip part of this sliding member 36 so that a pivoting arm 38 is possible to oscillate.

이 요동팔(38)은 그 일단(38a)에 설치한 용수철(44)에 의해 그 일단(38a)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가해지는 한편, 다른쪽끝(38b)에는 고무제의 보닛받이(40)이 부착되어 있다.The swinging arm 38 is exerted by the spring 44 installed at one end 38a of the swing arm 38, and a rubber bonnet support is applied to the other end 38b. 40 is attached.

다시 또 이 요동팔(38)은 상기한 지지핀(39)을 끼워서 그 양측에 설치한 한쌍의 지지부재(41)(42)에 의해 그 최대 회전규제가 되도록 되어 있고, 보닛(P1)을 지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한 지지부재(41)이 아직 보닛(P1)을 지지한 상태에서는 상기한 지지부재(42)가 각각 작동한다.Again, the swinging arm 38 is controlled to the maximum rotation by a pair of support members 41 and 42 provided on both sides by sandwiching the support pin 39 described above, and supporting the bonnet P1. In the state of not doing so,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41 still supports the bonnet P1, the support members 42 operate respectively.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요동팔(38)이 지지부재(42)에 의해 회전규제되기 직전에 그 요동팔(38)의 지지부재(42)측에의 회전을 검지하는[즉 보닛(P1)의 지지개시를 검지한다] 제한스위치(43)을 설치하고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of the swinging arm 38 on the support member 42 side immediately before the swinging arm 38 is regulated by the support member 42 (that is, the bonnet ( Detecting the start of support of P1). A limit switch 43 is provided.

그리고 이 제한스위치(43)의 출력신호에 의해, 그 요동팔(38)과 후술하는 스테이 조작핸드(C)의 팔(57)(제 7 도 참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보닛(P1)의 주고받는 때에 있어서의 작동 타이밍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By the output signal of the limit switch 43, the bonnet P1 between the swinging arm 38 and the arm 57 (see Fig. 7) of the stay operation hand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upplie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timing at the time of reception is ensured.

이와 같이 구성된 너트런너핸드(B)는 작업의 진행상태에 대응해서 상기한 제 2 로봇(4)에 의해 체결기구(24)의 작동양태와 보닛지지기구(34)의 작동양태와가 선택되어 보닛(P1)의 지지작용과 라디에이터(W)의 체결작용과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The nut runner hand 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the second robot 4 and the operating mode of the bonnet support mechanism 34 by the second robot 4 as described above. It is to selectively perform the supporting action of (P1) and the fastening action of the radiator (W).

[스테이 조작핸드(C)][Stay operation hand (C)]

스테이 조작핸드(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로봇(3)의 팔 선단부(3a)에 연결된 그 제 1 로봇(3)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보닛스테이(6)의 전도작용과 보닛(P1)의 지지작용과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파지기구(51)과 안내기구(52)와 보닛지지팔(57)을 구비하고 있다.The stay operation hand C is the conduction action of the bonnet stay 6 and the bonnet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bot 3 connected to the arm tip 3a of the first robot 3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a holding mechanism 51, a guide mechanism 52, and a bonnet support arm 5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selectively provided to perform the supporting action of (P1).

파지기구(51)은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로봇(3)의 팔 선단부(3a)에 연결된 기초부(55)의 상부에 세워 설치해서 배치된 돌기지지부(54)와 그 돌기지지부(54)의 선단부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파지돌기부재(53)(53)을 갖고 있다. 이 파지돌기부재(53)(53)은 상기한 돌기지지부(54)에 내장된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개폐구동되고, 제 7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된 상태에서는 보닛스테이(6)의 상단부의 에스(S)자 형상 굴곡부(6a)를 그 측면쪽으로부터 파지할 수가 있고, 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 보닛스테이(6)에 대한 파지작용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holding | gripping tool 51 is the projection support part arrange | positioned and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55 connected to the arm tip part 3a of the said 1st robot 3 ( 54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gripping protrusions 53 and 53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54. The gripping protrusions 53 and 53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drive means (not shown) built in the protrusion support 54, and as shown in FIG. The S-shaped bent portion 6a of the upper end of 6) can be gripped from the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gripping action on the bonnet stay 6 is released in the open state as shown by the broken line. have.

그리고 특히 이 실시예와 같이 파지돌기부재(53)(53)에 의해 보닛스테이(6)의 굴곡부(6a)를 그 측면으로부터 파지하는 경우에는 제 1 로봇(3)의 보닛(P1)에 대한 자세가 소정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한 그 보닛스테이(6)의 굴곡부(6a)의 보닛(P1)의 스테이 부착구멍(P2)(제 6 도 참조)에 대한 상대위치가 적절히 유지된다고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bent portion 6a of the bonnet stay 6 is gripped from its side by the gripping protrusions 53 and 53 as in this embodiment, the attitude toward the bonnet P1 of the first robot 3 is maintained.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ay attachment hole P2 (refer FIG. 6) of the bonnet P1 of the bent part 6a of the bonnet stay 6 is hold | maintained suitably as long as is set to the predetermined state.

따라서 반송라인(1)에 반송되어서 차체(P)가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S1)에 도달한 시점에서 예를 들면 상기한 굴곡부(6a)와 스테이 부착구멍(P2)와의 상대위치가 어긋나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보닛스테이(6)을 상기한 파지기구(51)에 의해 파지한 시점에서 강제적으로 이것의 적정상태로 설치되게 되어 이때문에 상기한 제 2 로봇(4)에 의해 보닛(P1)을 들어올린 경우에 그 보닛스테이(6)의 굴곡부(6a)를 용이하게 보닛(P1)의 스테이 부착구멍(P2)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고, 작업의 완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bent portion 6a and the stay attaching hole P2 is shif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body P reaches the radiator mounting station S1 by being conveyed to the conveying line 1, the bonnet When the stay 6 is gripped by the gripping mechanism 51 described above, it is forcibly installed in its proper state. Therefore, when the bonnet P1 is lifted by the second robot 4 described above, The bent portion 6a of the bonnet stay 6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tay attaching hole P2 of the bonnet P1, thereby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work.

상기한 안내기구(52)는 상기한 보닛스테이(6)의 전도조작시에 그 중간단계부(6b)를 안내해서 이것을 소정의 위치에 전도격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기초부(55)에 돌출설치된 돌기지지부(60)과 그 돌기지지부(60)에 지지된 한쌍의 돌기부재(61)(61)을 갖고 있다.The guide mechanism 52 protrudes in the base portion 55 by guiding the intermediate step portion 6b and conducting and storing the intermediate step portion 6b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uring the conduction operation of the bonnet stay 6. The support part 60 and the pair of protrusion members 61 and 61 supported by the protrusion support part 60 are provided.

이 돌기부재(61)(61)을 상기한 돌기지지부(60)에 내장된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것으로서 그 폐색상태에서는 양자간에 소정의 크기의 안내구멍(62)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The protruding members 61 and 61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driving means (not shown) built in the protruding support 60. In the closed state, the protruding members 61 and 61 are formed so as to form guide holes 6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between. It is.

이와 같이 구성된 파지기구(51)과 안내기구(52)에 의한, 보닛스테이(6)의 전도작업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해진다.The conduction work of the bonnet stay 6 by the holding mechanism 51 and the guide mechanism 5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s follows.

즉 차체(P)가 라디에이터 탑재스테이션(S1)에 도달하면 파지기구(51)은 파지돌기부재(53)(53)을 개방한 상태로 또 안내기구(52)는 그 돌기부재(61)(61)을 개방한 상태로 각각 제 1 로봇(3)에 의해 보닛스테이(6)측으로 이동시켜진다. 그리고 상기한 파지기구(51)과 안내기구(52)와를 다같이 폐색동작시켜 그 파지기구(51)에 의해 보닛스테이(6)의 굴곡부(6a)를 파지해서 스테이 부착구멍(6a)에 대한 상대위치를 적절히 설정시키고, 또 안내기구(52)의 안내구멍(62)내에 보닛스테이(6)의 중간단계부(6b)를 삽입시킨다.That is, when the vehicle body P reaches the radiator mounting station S1, the holding mechanism 51 opens the holding protrusions 53, 53, and the guide mechanism 52 has the protrusions 61, 61. ) Is moved to the bonnet stay 6 side by the 1st robot 3, respectively. Then, the gripping mechanism 51 and the guide mechanism 52 are closed together, and the gripping mechanism 51 grips the bent portion 6a of the bonnet stay 6 by the gripping mechanism 51 so as to be relative to the stay attaching hole 6a. The position is properly set, and the intermediate step 6b of the bonnet stay 6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62 of the guide mechanism 52.

이 상태에서 상기한 제 2 로봇(4)에 의해 보닛(P1)이 들어올려지면 상기한 보닛스테이(6)의 굴곡부(6a)가 보닛(P1)의 스테이 부착구멍(P2)로부터 이탈하여, 그 보닛스테이(6)에 의한 보닛(P1)의 지지상태가 해제된다[또한 이 경우 제 6 도에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스테이(6)을 약간 차체 전방측으로 끌어당긴다].In this state, when the bonnet P1 is lifted by the second robot 4 described above, the bent portion 6a of the bonnet stay 6 is separated from the stay attaching hole P2 of the bonnet P1. The support state of the bonnet P1 by the bonnet stay 6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bonnet stay 6 is slightly pu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as indicated by arrow a in FIG. 6).

여기서 상기한 파지기구(51)을 개방동작시켜서, 파지작용을 해제한 후 안내기구(52)를 이동시켜서, 보닛스테이(6)을 소정의 위치에 전도격납시키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gripping mechanism 51 is opened to release the gripping action, and then the guide mechanism 52 is moved to conduct the conductive storage of the bonnet stay 6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때 상기한 안내기구(52)가 보닛스테이(6)의 중간단계부(6b)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한 안내구멍(62)가 보닛스테이(6)의 요동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것 때문에 예를 들면 보닛스테이(6)의 상단부를 갖고, 이것을 전도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제 1 로봇(3)은 보다 적은 이동거리로 소요의 전도작용을 행할 수가 있고, 작업의 신속화 또는 장치의 소형화라는 점에서 유효하다.At this time, the guide mechanism 52 guides the intermediate stage 6b of the bonnet stay 6,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hole 62 has a size that can sufficiently allow the swing of the bonnet stay 6. For example, since the upper end of the bonnet stay 6 is set and the upper end of the bonnet stay 6 is turned over, the first robot 3 can carry out a necessary conduction with a shorter moving distance, thereby speeding up the work or the device. It is effective in miniaturiz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한 보닛지지팔(57)은 상기한 기초부(55)로부터 상기한 파지기구(51) 및 안내기구(52)의 뻗어나온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어나온 판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에는 보닛받이(5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닛지지팔(57)은 상기한 제 3 로봇(3)의 작동에 의해 그 보닛받이(58) 부분에서 상기한 보닛(P1)을 지지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onnet support arm 57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55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at right angl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ping mechanism 51 and the guide mechanism 52. Consists of a member, a bonnet support 58 is provided at the tip end thereof. The bonnet support arm 57 supports the bonnet P1 at the bonnet receiver 58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obot 3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설치브래킷(A)와 너트런너핸드(B)와 스테이 조작핸드(C)를 각각 제 1 로봇(3)과 제 2 로봇(4)와 제 3 로봇(5)에 의해 상호 연관상태로 작동시키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보닛스테이(6)을 전도시켜서, 라디에이터(W)의 조립으로부터 보닛(P1)의 폐색까지의 일련의 작업이 작업자의 손을 거치는 일이 없이 자동적으로 또한 안전하고 확실하게 고능률로 행해지는 것이다.The mounting bracket A, the nut runner hand B, and the stay operation hand C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mutually connected by the first robot 3, the second robot 4, and the third robot 5, respectively. By inverting the bonnet stay 6 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system, a series of operations from assembling the radiator W to the occlusion of the bonnet P1 are automatically and safely and securely without passing the operator's hand. It is done with high efficiency.

본 실시예에서는 다시 또 제 1 로봇(3)의 제 1 고정기구(130)을 개방해서 보닛스테이(6)을 제 2 고정기구(131)에 의해 여유를 갖게 한 상태에서 유지하면서 엔진실 주위가장자리에 설치된 수납위치에 향해서 전도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is opened again while the first fixing mechanism 130 of the first robot 3 is opened to maintain the bonnet stay 6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xing mechanism 131 is provided with a margin. To the storage position installed in the

이때 제 2 고정기구(131)은 단순히 원호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것이 아니고,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스테이(6)의 근원방향으로도 이동시키면서, 회전시켜서, 보닛스테이(6)을 수납위치에 안내해서 격납시키도록 제 1 로봇(3)의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mechanism 131 does not rotate simply by drawing an arc trajectory.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fixing mechanism 131 is rotated while also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of the bonnet stay 6, thereby rotating the bonnet stay 6. The control program of the first robot 3 is configured to guide and store it in the storage position.

또 제 2 고정기구(131)은 안내의 최종단계에서 개방하고, 최종부분에서는 보닛스테이(6)을 자유낙하시키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mechanism 131 is opened at the final stage of the guide, and the bonnet stay 6 is freely dropped at the final portion.

또 제 1 로봇(3)으로 보닛스테이(6)의 수납을 행함에 있어, 보닛스테이(6)의 선단부측을 여유를 갖게 해서 유지하고 있는 안내기구를 보닛스테이(6)의 근원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수납위치 방향으로 향해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제 1 로봇(3)의 팔이 그리는 궤적을 가급적 단축할 수가 있고, 따라서 신속한 동작이 얻어질 뿐 아니라, 제 1 로봇(3)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된다.In storing the bonnet stay 6 with the first robot 3, the guide mechanism of the bonnet stay 6 is allowed to have a margin, while the guide mechanism is sh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of the bonnet stay 6 while keeping it there.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position, the trajectory of the arm of the first robot 3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not only a quick operation can be obtained but als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first robot 3 can be achieved.

Claims (6)

차체(P)의 엔진실 개방부 주위가장자리에 일단이 부착되어서 기립전도가 자유로운 보닛스테이(6)의 선단의 갈고리부에 하면의 걸어맞춤홈이 걸어맞추어져서 개방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보닛(P1)을 로봇으로 개폐시키는 때에 우선 제 1 로봇(3)으로 상기한 보닛스테이(6)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로봇(4)을 전기한 보닛(P1)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게 해서 소정량을 들어올리고, 다음에 제 1 로봇(3)으로 유지한 보닛스테이(6)을 상기한 걸어맞춤홈에 따라서 그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 그후 그 제 2 로봇(4)로 그 보닛(P1)을 다시 또 들어올려서 그들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후 그 제 1 로봇(3)으로 보닛스테이(6)을 엔진실 개방구 주위가장자리에 설치된 수납위치에 넘어뜨려서 안내해서 그 제 2 로봇(4)로 그 보닛(P1)을 하강시켜서 폐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의 폐색방법.Bonnet (P1), which is held in an open state by engaging the grooves at the bottom of the bonnet stay (6) with one end attached to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opening of the vehicle body (P) and engaging with the hook portion of the tip of the bonnet stay (6).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robot by a robot, first, while maintaining the above-mentioned bonnet stay 6 with the first robot 3, the second robot 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nnet P1 from the lower side, and a predetermined amount is lifted. Next, the bonnet stay 6 held by the first robot 3 is moved in the engagement relea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engagement groove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bonnet P1 is lifted again by the second robot 4 again. Lifting and releasing their engagement, the bonnet stay 6 is guided by the first robot 3 to the storage position installed at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opening and guided by the second robot 4 to the bonnet P1. Characterized by lowering the occlusion How to obstruction of the bonnet.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로봇(3)으로 상기한 보닛스테이(6)의 수납위치에의 안내를 행함에 있어서는 그 제 1 로봇(3)의 팔(13)에 설치한 안내기구(52)에 의해 그 보닛스테이(6)을 여유를 갖게 유지하고, 그 보닛스테이(6)을 수납위치에 향해 개방하는 때에는 상기한 안내기구(52)를 그 보닛스테이(6)의 근원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수납위치로 향해서 회전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의 폐색방법.The guide mechanism (5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mechanism (52) provided on the arm (13) of the first robot (3) is used to guide the bonnet stay (6)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nnet stay (6). By holding the bonnet stay 6 with a margin and opening the bonnet stay 6 toward the storage position, the guide mechanism 52 is stored while shifting the guide mechanism 52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of the bonnet stay 6. A method of closing a bonnet,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toward a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로봇(3)으로 보닛스테이(6)을 수납위치에 전도시킨 후 개폐부재의 지지를 상기한 제 2 로봇(4) 대신에 상기한 제 1 로봇(3)으로 행하게 하고, 다시 또 제 3 로봇(5)로서 상기한 가공물을 상기한 개폐부재의 아래쪽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제 2 로봇(4)에 의해 상기한 가공물을 차체측에 체결 고정시키고, 그후 상기한 제 1 로봇(3)측으로부터 제 2 로봇(4)측으로 상기한 개폐부재의 지지를 이어받음과 동시에 그 제 2 로봇(4)에 의해 그 개폐부재를 폐색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의 폐색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fter the bonnet stay 6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position by the first robot 3, the suppo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erformed by the first robot 3 instead of the second robot 4 described above. Further, as the third robot 5, the workpiece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the workpiece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side by the second robot 4. After that, the suppo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herited from the first robot 3 side to the second robot 4 sid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by the second robot 4 to the occlusion side. How to block the bonnet 차체(P)의 엔진실 개방부 주위가장자리에 일단이 부착되어서 기립전도가 자유로운 보닛스테이(6)의 선단의 갈고리부에 하면의 걸어맞춤홈이 걸어맞추어져서 개방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보닛(P1)을 로봇으로 폐색시키는 보닛(P1)의 폐색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보닛스테이(6)을 유지해서 그 유지중의 보닛스테이(6)을 상기한 걸어맞춤홈에 따라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 보닛스테이(6)을 엔진실 개방부 주위가장자리에 전도시켜서 안내하는 제 1 로봇(3)과 상기한 보닛(P1)의 선단하면에 맞닿아서 그 보닛(P1)의 선단을 승강시키는 제 2 로봇(4)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의 폐색장치.Bonnet (P1), which is held in an open state by engaging the grooves at the bottom of the bonnet stay (6) with one end attached to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opening of the vehicle body (P) and engaging with the hook portion of the tip of the bonnet stay (6). In the closing device of the bonnet (P1) for closing the robot with a robot, the bonnet stay (6) is held and the retained bonnet stay (6) is moved in the disengagement direction along the engaging groove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the first robot 3 which inverts and guides the bonnet stay 6 to the edge around the engine compartment opening and the lower end of the bonnet P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p surface of the bonnet P1. 2 robot (4) and the bonnet occlud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보닛스테이(6)을 수납위치에 전도시켜서 안내하는 제 1 로봇(3)에는 그 보닛스테이(6)의 선단부측을 여유를 갖게 유지함과 동시에 그 보닛스테이(6)을 수납위치로 향해 전도시키는 때에는 그 보닛스테이(6)의 근원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수납위치로 향해 회전이동되는 안내기구(52)가 팔(13)의 선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의 폐색장치.5. The first robot (3) which guides the bonnet stay (6) to the storage position by guid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bonnet stay (6) while allowing the bonnet stay (6) to be accommodated. And a guide mechanism (52)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13) for shifting toward the storage position while shifting toward the position of the bonnet stay (6). 제 4 항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아래쪽 위치에 가공물을 탑재시키고, 또한 가공물 탑재후에 그 개폐부재를 폐색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한 개폐부재의 아래쪽 위치에 상기한 가공물을 반입해서 이것을 소정의 조립위치에 탑재시키는 제 3 로봇(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의 폐색장치.5. The work pie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ork piece is mount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the work piece is brought into a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n order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a third robot (5) for mounting.
KR1019920017657A 1991-09-30 1992-09-28 Blockade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bonnet KR9600073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76459 1991-09-30
JP3276459A JP3045843B2 (en) 1991-09-30 1991-09-30 Bonnet closing method and device
JP03304914A JP3080733B2 (en) 1991-11-20 1991-11-20 Vehicle work mounting method and device
JP91-304914 1991-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52A KR930005852A (en) 1993-04-20
KR960007334B1 true KR960007334B1 (en) 1996-05-31

Family

ID=2655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657A KR960007334B1 (en) 1991-09-30 1992-09-28 Blockade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bon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33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52A (en)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990B1 (en) Assembly line constructu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automatic vehicle bodies
US5943768A (en) Automotive framing system
US4535927A (en) Workpiece preset jig arrangement in a welding apparatus
EP0284680B1 (en) 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ssembly line
US6450932B1 (en) Spare tool changing system for machining center
US5456002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instrument panel assemblies in automotive vehicle bodies
JP2016030597A (en) Device for assembling and/or disassembling tired wheel, tyre assembling-disassembling machine, method for disassembling tyre from rim of tired wheel
JPH09234504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ttaching/detaching drilled plug
KR960007334B1 (en) Blockade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bonnet
JP2007175781A (en) Workpiece positioning device
JP3080733B2 (en) Vehicle work mounting method and device
JPH0687476A (en) Device for loading dash module of automobile
JPH11254998A (en) Assembly device for instrument panel
EP1810780B1 (en) Part-handling device and industrial handler comprising said device
US5351384A (en) Method of installing instrument panel assemblies in automotive vehicle bodies
JP2000161490A (en) Assembling device and method for o-ring
CA1322840C (e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US5267385A (en)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JPH071152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a vehicle tailgate
JP4048991B2 (en)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for front body unit
JPS5949144B2 (en) automatic tool changer
JP2528015B2 (en) Bonnet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JPH0584620A (en) Supporting device for long work
CN219925010U (en) Welding fixing device for threshold beam
JPH1179671A (en) Housing and holding device for ji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