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181B1 -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 Google Patents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181B1
KR960007181B1 KR1019920026320A KR920026320A KR960007181B1 KR 960007181 B1 KR960007181 B1 KR 960007181B1 KR 1019920026320 A KR1019920026320 A KR 1019920026320A KR 920026320 A KR920026320 A KR 920026320A KR 960007181 B1 KR960007181 B1 KR 960007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crylate
type epoxy
modified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14706A (en
Inventor
이병기
엄명용
김장욱
Original Assignee
고려화학주식회사
김충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학주식회사, 김충세 filed Critical 고려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6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181B1/en
Publication of KR94001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The plastic coating compound comprises reactive oligomer which is acid-modified novolac-type epoxy acrylate of formula (I) or acid-modified bisphenol A or F type epoxy acrylate of formula (II), reactive monomer, photo initiator, leveling agent, diluting agent and additives. The epoxy acrylate of formula (I) or (II) is prepared by the addition reaction with novolac-type, bisphenol A or F type epoxy resin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 1 : 0.5-1 equivalent ratio, and by the low temperature esterification reaction with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The obtd. plastic coating compd. improve the coherence between aluminium film and paint or plastic and paint in aluminium vacuum deposition.

Description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플라스틱 성형품Plastic coating composition and plastic molded article coat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 및 코팅한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 니트릴, 폴리에스터 또는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성형품에 코팅하여 성형품의 미관 및 내구성 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coating composition and a coated plastic molded art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y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polystyrene, styrene-acrylonitrile, polyester or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coating film composition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aesthetics and durability of a molded article by coating it on a plastic molded article and a plastic molded article coated with the same.

이러한 성형품들은 대부분 유리의 대체품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자체의 광택 및 내충격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가공이 쉽다는 이유등으로 그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형품들은 표면의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용제성 등이 약한 경향이 있다.Most of these moldings have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glass, and the amount of use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ease of processing in addition to excellent performance in its gloss and impact resistance. However, these molded articles tend to have a weak surface wea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and the like.

따라서 이러한 결함을 개량하기 위한 시도는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실리콘 수지와 멜라민 수지 등이 주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것들은 열경화형으로써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장시간 열에 노출시켜야 하는데, 이와같은 장시간의 가열로 인하여 생산량이 떨어지고, 높은 온도로 인한 성형된 고분자 물질의 물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열경화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4,273,802호, 제4,392,723호, 제 4,557,975호, 제 4,617,194호등에는 2개의 아크릴로일록시기를 함유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Thus, attempts to remedy these defects have long been in progress. Silicone resins and melamine resins have been mainly used for this purpose, and these are thermosetting resins, which need to be exposed to heat for a long time in order to form a coating film. This will adversely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thermosetting type, US Pat. Nos. 4,273,802, 4,392,723, 4,557,975, 4,617,194, and the like describe a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containing two acryloyloxy groups.

특히, 이중 최근의 것인 미합중국 특허 제4,617,197호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록시나 메타크릴로 일록시를 함유한 지방족 폴리올의 아크릴이나 메타크릴에스터 모노머와 적어도 4개 이상의 아크릴로일록시나 메타크릴로일록시를 함유한 비스페놀 에이-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의 아크릴이나 메타크릴 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여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으나 경화물의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황변)등의 물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US Pat. No. 4,617,197, which is the most recent, discloses acrylic or methacrylic ester monomers of aliphatic polyols containing at least three acryloyloxy or methacryloyl and at least four acryloyloxy or methacrylo. Although varnishes for plastics have been prepared using acrylic or methacrylic ester resins of polyglycidyl ethers of bisphenol A-formaldehyde condensates containing hydrox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yellowing) of the cured product are somewhat There was a downside.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특히 부착성이 아주 우수한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and to provide a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that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adhe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루미늄 진공증착시 알루미늄막과 도료와의 부착성과 도료와 플라스틱과의 부착성이 향상된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in which the adhesion between the aluminum film and the paint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paint and the plastic are improved during aluminum vacuum de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원하는 플라스틱에 코팅시켜 제조된 플라스틱 성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c molding prepared by coating the composition on a desired plastic.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식(Ⅰ)로 표현되는 산변성 노블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하기 식(Ⅱ)로 표현되는 산변성 비스페놀-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클레이트인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 레벨링제, 희석제 및 첨가제로 구성된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acid-modified noblock type epoxy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or an acid-modified bisphenol-A type or -F type epoxy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I). It consists of oligomers, reactive monomers, photoinitiators, leveling agents, diluents and additives.

여기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며, n은 0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Wherein R 1 is H or CH 3 , R 2 is ethylene, propylene or butylene, n is an integer from 0 to 10, and m is an integer from 0 to 10.

이하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반응성 올리고머로 사용되는 상기 식(Ⅰ)의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카르본산을 몰비 1 : 0.5~1로 부가 반응시켜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 다음,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저온 에스테르 반응으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다. 사용량은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1 : 0.1~1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이드록시기가 있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와 인산을 저온 에스테르 반응하여 얻는다.The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of the formula (I) used as the reactive oligo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olak-type epoxy acrylate by addition reaction of a novolak-type epoxy resin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 a molar ratio 1: 0.5 to 1 After the preparation, an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is prepared by a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with an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ar ratio of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to novolak-type epoxy acrylate is 1: 0.1-1.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is obtained by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between a 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phosphoric acid.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는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s having the hydroxy group include 2-hydroxy ethyl acrylate, 2-hydroxy ethyl methacrylate, hydroxy propyl acrylate, hydroxy propyl methacrylate, hydroxy butyl acrylate and hydroxy butyl meta.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s.

본 발명에서 다른 반응성 올리고머로 사용되는 상기 식(Ⅱ)의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카르본산을 몰비 1 : 0.5~1로 부가 반응 시켜 비스페놀 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 다음,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저온 에스테르 반응으로 산변성 비스페놀-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다. 사용량은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비스페놀-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1 : 0.1~1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이드록시기가 있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와 인산을 저온 에스테르 반응하여 얻는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는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The acid-modified bisphenol A or F epoxy acrylate of Formula (II) used as another reactive oligo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sphenol by addition reaction of bisphenol-A or F epoxy resin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 a molar ratio of 1: 0.5 to 1. A-type or f-type epoxy acrylate is prepared, and then acid-modified bisphenol-A or f-type epoxy acrylate is prepared by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with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The molar ratio of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to bisphenol-A or f-type epoxy acrylate is preferably 1: 0.1 to 1.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is obtained by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between a 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phosphoric acid. The 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s 2-hydroxy ethyl acrylate, 2-hydroxy ethyl methacrylate, hydroxy propyl acrylate, hydroxy propyl methacrylate, hydroxy butyl acrylate, hydroxy butyl meta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s.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응성 올리고머인 산 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산 변성 비스페놀-에이형 또는-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도막의 부착성 및 제반 물성을 고려하여 사용량은 19.4~89.4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19.4중량% 이하로 사용할 경우에는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막과의 부착이 불량하고 89.4중량% 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성 등이 불량하다.Acid-modified novolac-type epoxy acrylate or acid-modified bisphenol-A type or -F type epoxy acrylate, which is a reactive oligo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9.4 to 89.4% by weight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and gener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However, in the case of outside the above range, that is, when the adhesion is less than 19.4% by weight, the adhesion between the plastic and the aluminum film is poor, and when using more than 89.4% by weight is poor workability.

본 발명의 반응성 모노머는 올리고머와 함께 중합되어 도막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한 종류나 그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로써 이는 알코올과 불포화 카르본산을 에스테르 반응시켜 제조한 것으로,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 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 에리스리톨펜타 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는데, 도막의 물성 및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1,6-헥산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 메틸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펜타 에리스리톨 테트라 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은 바니쉬 조성물 전체의 10~80중량% 사용할 수 있는데 점도등을 고려하여 20~6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ctive mon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lymerized with the oligomer to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and one or more monomers may be used. The main monomer is an acrylic ester monomer, which is prepared by esterifying an alcohol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1,3-butanediol di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Latex, Defenta erythritol Methacrylate or pentaerythritol triacrylate. 1,6-hexane diol di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pentaerythritol in consideration of properties and economics of the coating film Tetra acrylate and the like are preferred. The amount used may be 10 to 80% by weight of the whole varnish composition, but in consideration of viscosity, it is preferable to use 20 to 60% by weight.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을 띠는 통상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데 벤조페논계, 벤질디메틸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산톤계 등의 화합물을 바니쉬 조성물 전체의 0.5~10중량%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광개시제로는 하이드록시-싸이크로 헥실 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 페논, 벤조페논 또는 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등이 바람직하다.The photoinitiator uses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initiator which is activated by ultraviolet rays, and uses 0.5 to 10% by weight of compounds such as benzophenone, benzyldimethyl ketal, acetophenone, anthraquinone and thioxanthone. do. In particular, such photoinitiators are preferably 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 2,2-dimethoxy-2-phenyl acetophenone, benzophenone or phenyl-2-hydroxy-2-propylketone.

레벨링제는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실리콘 폴리 아크릴레이트계의 화합물을 바니쉬 조성물 전체의 0.1~5중량% 사용한다.The leveling agent uses a silicone diacrylate-based or silicone polyacrylate-based compound in an amount of 0.1 to 5% by weight of the whole varnish composition.

또한, 휘발성 희석제는 도장 작업시 경화전에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에 화학적인 충격을 주어 도막 부착성을 증대시킨다. 사용 가능한 희석제는 케톤류,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및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고, 전체 조성물 대 희석제의 중량비를 4/1~1/3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atile diluent chemically impacts the surface of the plastic molded part before curing in the painting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ating film adhesion. Usable diluents can be used u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tones, alcohols, acetates and aromatic compounds, with a weight ratio of total composition to diluent of 4/1 to 1/3.

기타 첨가제는 공지의 화합물을 제반 요구에 의해 첨가량을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Other additives can use a well-known compound by changing the addition amount according to various requirements.

플라스틱 성형품에 대한 도장 작업은 스프레이, 디핑, 롤라 코팅등으로 하는데, 이것은 플라스틱의 재질, 성형품의 형상, 도막 두께등에 따라 유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도장방법에 따라 각각 다른 점도가 요구되고, 이는 휘발성 희석제를 첨가하여 적당한 점도로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ainting work for plastic molded products is spraying, dipping, roll coating, etc., which is an advantageous method depending on the plastic material, the shape of the molded produc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nd the like. According to such a coating method, different viscosities are required, and it can be used with an appropriate viscosity by adding a volatile diluent.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working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following exampl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16중량부와 인산 98중량부를 저온 에스테스 반응시켜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제조하였다.116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98 parts by weight of phosphoric acid were subjected to low-temperature esterification to prepare an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노볼락 에폭시 수지(Dow Chemical사의 DEN-431, 에폭시 당량 172~179) 175중량부에 아크릴산 72중량부를 부가 반응시켜 생성된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Novolak-type epoxy acrylate was produced by addition-reacting 72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to 175 parts by weight of a novolak epoxy resin (DEN-431, Dow Chemical Co., Ltd., 172 to 179 epoxy equivalent).

[제조예 3][Manufacture example 3]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247중량부와 제조예1에서 제제된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60중량부를 저온 에스테스 반응시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An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was prepared by low-temperature esterification of 247 parts by weight of the novolak-type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60 parts by weight of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247중량부와 제조예 1에서 제제된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120중량부를 저온 에스테스 반응시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An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was prepared by performing a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of 247 parts by weight of the novolak-type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120 parts by weight of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5]Production Example 5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고려화학사 코레폭시R8828, 에폭시당량 184~194) 188중량부와 아크릴산 72중량부를 부가반응시켜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188 parts by weight of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Korepoxy R8828, Epoxy Equivalent 184 to 194) and 72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were added to prepare a bisphenol A type epoxy acrylate.

[제조예 6][Manufacture example 6]

제조예 5에서 제조된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247중량부와 제조예 1에서 제제된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60중량부를 저온 에스테르 반응시켜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Acid-modified bisphenol A-type epoxy acrylate was prepared by low-temperature esterification of 247 parts by weight of bisphenol A-type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5 and 60 parts by weight of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7][Manufacture example 7]

제조예 6에서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120중량부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An acid-modified bisphenol A-type epoxy acry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was changed to 120 parts by weight in Preparation Example 6.

[실시예 1]Example 1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 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1,6-헥산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6,5중량부,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 페논 3중량부, 실리콘 폴리 아크릴레이트(선경 UCB사의 EB 360) 0.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30중량부 및 이소 프로필 알코올 20중량부를 25~30℃에서 교반하여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다.30 parts by weight of the acid-modified novolac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3, 10 parts by weight of trimethylol propanetri acrylate, 6,5 parts by weight of 1,6-hexanediol diacrylate, 2,2dimethoxy-2 A plastic varnish was prepared by stirring 3 parts by weight of phenyl acetophenone, 0.5 parts by weight of silicone polyacrylate (EB 360 manufactured by UCB), 30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and 20 parts by weight of isopropyl alcohol at 25 to 30 ° C.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에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과 함량으로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using the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instead of the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in Example 1 was prepared a varnish for plastics with the same composition and content as in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에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제조예 6에서 제조된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과 함량으로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using the acid-modified bisphenol A-type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6 instead of the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in Example 1 was prepared a varnish for plastics with the same composition and content as in 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서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제조예 7에서 제조된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과 함량으로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using the acid-modified bisphenol A-type epoxy acrylat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7 instead of the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in Example 1 was prepared for varnish for plastics with the same composition and content as in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노볼락 에폭시(Dow Chemical사의 DEN-431) 175중량부에 아크릴산 72중량부를 부가 반응시켜 생성된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반응성 오리고머로 30중량부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과 함량으로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using 30 parts by weight of a novolak-type epoxy acrylate produced by addition reaction of 72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to 175 parts by weight of novolak epoxy (DEN-431 of Dow Chemical Co., Ltd.) in the same composition and content as in Example 1 A varnish for plastics was prepar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1의 반응성 올리고머에서 노볼락 에폭시 수지 대신에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고려화학제 코레폭스 R8828, 에폭시 당량 : 184~194)를 188중량부 사용하는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과 함량으로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using 188 parts by weight of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Corfox R8828 manufactured by Korea Chemical Co., Ltd., epoxy equivalent: 184 to 194) in place of the novolak epoxy resin in the reactive oligomer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same composition and content as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A varnish was prepared.

상기 실시예 1~4의 플라스틱용 바니쉬와 비교예 1~2의 플라스틱용 바니쉬를 가직 하기 항목 및 방법으로 측정을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The plastic varnishes of Examples 1 to 4 and the plastic varnish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items and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Measurement Items and Methods]

알루미늄 부착성 : JIS D0202에 의해 측정(cross-cut)Aluminum adhesion: measured by JIS D0202 (cross-cut)

ABS 부착성 : JIS D0202에 의해 측정(cross-cut)ABS adhesion: Cross-cut according to JIS D0202

연필 경도 : JIS D0202에 의해 측정(UNI-PENCIL 사용)Pencil Hardness: Measured according to JIS D0202 (using UNI-PENCIL)

내후성 : 햇빛×7일 방치후 변색 관찰Weatherability: Observation of discoloration after leaving sunlight for 7 days

내스크래치성 : BYK사의 듀알-0-측정기 (DUR-0-TESTER)사용Scratch resistance: BYK's Dual-0-meter (DUR-0-TESTER)

내용제성 : 상온×24시간 침적후 도막상태Solvent resistance: Coating state after immersion at room temperature × 24 hours

내마모 성 : 듀알 마모도 측정기 사용(모델 505)Abrasion Resistance: Using Dual Abrasion Meter (Model 505)

내세제성 : 3% 하이타이 용액(45℃)에 침적후 1주일 방치후 도막상태 관찰Detergent resistance: 1 week after immersion in 3% high tie solution (45 ℃)

[표 1]TABLE 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의 물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 상기 표1에서와 같이 상기 식(Ⅰ) 또는 (Ⅱ)의 산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반응성 올리고머로 사용한 것이 알루미늄 막과 ABS와의 부착성에서 아주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pla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id-modified epoxy acrylate of Formula (I) or (II) was used as a reactive oligomer as shown in Table 1 above. It showed very good physical properties in adhesion with ABS.

Claims (15)

하기 식(Ⅰ)로 표현되는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하기 식(Ⅱ)로 표현되는 산변성 비스페놀-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 레이트인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 레벨링제, 희석제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A reactive oligomer, a reactive monomer, a photoinitiator, a leveling agent, a diluent, and an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or an acid-modified bisphenol-A type or a f-type epoxy 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I); A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plastics, comprising an additive. 여기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Wherein R 1 is H or CH 3 , R 2 is ethylene, propylene or butylene, n is an integer from 0 to 10 and m is an integer from 0 to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Ⅰ)의 산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 레이트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카르본산을 당량비 1 : 0.5~1의 비율로 부가 반응시켜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 다음,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저온 에스테르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막 조성물.The acid-modified novolak-type epoxy acrylate of the formula (I) is the addition of the novolak-type epoxy resin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 an equivalence ratio of 1: 0.5 to 1 to react the novolak-type epoxy acrylate After preparing, the plastic coating film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and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Ⅱ)의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카르본산을 당량비 1 : 0.5~1의 비율로 부가 반응시켜 비스페놀 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한 다음,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저온 에스테르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acid-modified bisphenol A type or F type epoxy acrylate of the formula (II) is a bisphenol A type by adding a bisphenol-A type or F type epoxy resin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 an equivalent ratio of 1: 0.5 to 1. Or after preparing the f-type epoxy acrylate, the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s are prepared by low-temperature ester react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하이드록시기가 있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와 인산을 저온 에스테르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is prepared by low temperature ester reaction of a 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with phosphoric aci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가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onofunctional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s 2-hydroxy ethyl acrylate, 2-hydroxy ethyl methacrylate, hydroxy propyl acrylate, hydroxy propyl methacrylate, hydroxy butyl acryl.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tex and hydroxy butyl methacry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가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노볼락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당량비를 1 대 0.1~1로 혼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plastic film composition of claim 2, wherein the acid-modified epoxy acrylate is prepared by mixing an equivalent ratio of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to the novolak-type epoxy acrylate in a ratio of 1 to 0.1 to 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가 산변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비스페놀 에이형 또는 에프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당량비를 1대 0.1~1로 혼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plastic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cid-modified bisphenol A-type or F-type epoxy acrylate is prepared by mixing an equivalent ratio of the acid-modified acrylate monomer to the bisphenol A-type or F-type epoxy acrylate in a ratio of 0.1 to 1. Coating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가 최종 전체 조성물에 대해 19.4~89.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plast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ve oligomer is 19.4 to 89.4 weight% based on the final total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모노머가 1,6-헥산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 메틸을 프로판트리 아크릴레이트 및 펜타 에리스리톨 테트라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최종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80중량%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final total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said reactive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6-hexane diol di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rimethyl propanetri 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 acrylate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characterized in that used in 10 to 8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가 하이드록시-싸이크로 헥실 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 페논, 벤조페논 또는 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최종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10중량%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photoinitiator of claim 1,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 2,2-dimethoxy-2phenyl acetophenone, benzophenone or phenyl-2-hydroxy-2-propylketone , 0.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plastic coating film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가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실리콘 폴리 아크릴레이트계의 화합물을 최종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5중량%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plast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ling agent uses a silicone diacrylate-based or silicone polyacrylate-based compound at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final total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가 케톤류,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및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2이상을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The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plast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lu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tones, alcohols, acetates and aromatic compounds. 제1항의 플라스틱용 도막 조성물이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 니트릴, 폴리에스터 또는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등의 플라스틱 제품에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품.A plastic molded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s is coated on a plastic product such as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polystyrene, styrene-acrylonitrile, polyester, or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이 스프레이, 디핑 도는 롤라 코팅으로 도장되고, 도장방법에 따라 휘발성 희석제를 사용하여 각기 다른 점도로 도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품.The plastic molded articl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oating is applied by spraying, dipping, or roll coating, and coated with different viscosities using a volatile diluent according to the coating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희석제가 케톤류,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및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고, 전체 조성물 대 희석제의 중량비가 4/1~1/3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품.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volatile diluent use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tones, alcohols, acetates and aromatic compounds, and the weight ratio of the total composition to the diluent is 4/1 to 1/3. Plastic molding made.
KR1019920026320A 1992-12-29 1992-12-29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KR960007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320A KR960007181B1 (en) 1992-12-29 1992-12-29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320A KR960007181B1 (en) 1992-12-29 1992-12-29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06A KR940014706A (en) 1994-07-19
KR960007181B1 true KR960007181B1 (en) 1996-05-29

Family

ID=1934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320A KR960007181B1 (en) 1992-12-29 1992-12-29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18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06A (en)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7413A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JP3419453B2 (en) UV curable formula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IE83277B1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US6110988A (en) UV-curable hard coat compositions and processes
KR0148852B1 (en) Uv hardening paint composition
EP0046386B1 (en) Vinyl ester resin compositions
US5977200A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KR960007181B1 (en)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plastic articles using them
GB1572679A (en)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oligomers
KR0154868B1 (en) The method of preparation for urethane acrylate digomer and ultraviolet rays -hardening coating composition
KR19980052986A (en) UV-curable resin composition to give high scratch resistance thin film coating on film
KR950013730B1 (en) Coating composition hardening by u.v.
JPS58187414A (en) Photosetting composition
KR970004600B1 (en) Coating composition and preparation process of epoxy acrylate oligomer for the use of it
KR0132260B1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s
KR950011505B1 (en) Paint composition to be harden by uv
Haddon et al. The chemistry and applications of UV-cured adhesives
US6316515B1 (en) UV curable hardcoat compositions and processes
KR940003193B1 (en) Coating composition
KR100202091B1 (en) Two functional reactive tertiary ammonium salt having good antiwearing property,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JP3606260B2 (en) Active energy ray-curable coating composition
KR20030078237A (en) UV curable oriental lacqu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oriental lacquer coating using the same
US5242955A (en)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er compound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 curable resin composition
JPH0366719A (en) Resin composition for gel coat and preparation of molded product having gel coat layer
CN115521452B (en) Photo-curing oligom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oto-curing coating containing photo-curing oligo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