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982Y1 -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982Y1
KR960006982Y1 KR2019930015565U KR930015565U KR960006982Y1 KR 960006982 Y1 KR960006982 Y1 KR 960006982Y1 KR 2019930015565 U KR2019930015565 U KR 2019930015565U KR 930015565 U KR930015565 U KR 930015565U KR 960006982 Y1 KR960006982 Y1 KR 960006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fitting
rim
decorative board
assemb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988U (ko
Inventor
김세현
Original Assignee
김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현 filed Critical 김세현
Priority to KR2019930015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982Y1/ko
Publication of KR950005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전체구성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두리 목2 : 장식판
2' : 꽃무늬3, 4 : 감합요홈
5 : 경사접면6, 7 : 감합돌기
본 고안은 천정테두리목에 연질 재질로된 장식판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게된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테두리목의 전면 요입부상에 무늬가 형성된 장식판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끼워 넣게 된 것이 있으나 이는 조립작업이 불편하고 단순하여 장식효과가 적으며 또한 한번 조립한 장식판을 교체하기가 어려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두리목의 용입부에 장식판을 조립할 수 있게된 것에 있어서 테두리목의 전면상하부에 감합요홈을 요설하고 그 상측면을 연설시켜 경사접면을 형성하여 꽃무늬가 돌출형성된 장식판의 배면부가 감합돌기를 상, 하부에 돌출형성하여 감합요홈에 끼워 압압시켜 조립하면 제2도에서와 같이 장식판의 꽃무늬가 경사접면상에 밀착되어 상측이 만곡형성되므로서 테두리목과 조화를 이루어 입체감을 주게되어 보기가 미려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용이하여 작업능률을 높일수 있게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정테두리목(1)의 전면에 요입부에 장식판(2)을 끼워 조립할 수 있게된 것에 있어서 테두리목(1)의 전면 상, 하면에 감합요홈(3)(4)을 요설하고 그 상측부를 연설시켜 경사접면(5) 형성하였으며 장식판(2)의 상측부에 일정간격으로 꽃무늬(2')를 돌출형성하고 배면상에는 감합돌기(6)(7)를 돌설하여 감합요홈(3)(4)에 끼워 압압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된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공간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상술하면 천정테두리목(1)을 벽과 천정이 맞닫는 모서리부에 시공한 후 본 고안의 장식판(2)의 감착돌기(6)(7)을 제3도에서와 같이 테두리목의 전면에 요설된 감합요홈(3)(4)에 끼워 화살표방향으로 압압시키면 감합돌기(6)(7)이 감합요홈(3)(4)에 삽입고정되어 조립되며 이때 돌출된 꽃무늬(2')가 테두리목의 상측 경사접면(5)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므로서 테두리목(1)과 조화를 이루어 이체감을 갖게되어 보기가 좋으며 본 고안은 특히 장식판(2)을 전면에서 압압시켜 조립가능하여 조립이 보다 간단하며 장식판이 파손되거나 계절에 따라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실용적인 효과를 가진 고안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천정테두리목(1)의 전면에 요입부에 장식판(2)을 끼워 조립할 수 있게된 것에 있어서 테두리목(1)의 전면 상, 하면에 감합요홈(3)(4)을 요설하고 그 상측부를 연설시켜 경사접면(5) 형성하였으며 장식판(2)의 상측부에 일정간격으로 꽃무늬(2')를 돌출형성하고 배면상에는 감합돌기(6)(7)를 돌설하여 감합요홈(3)(4)에 끼워 압압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된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KR2019930015565U 1993-08-13 1993-08-13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KR960006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565U KR960006982Y1 (ko) 1993-08-13 1993-08-13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565U KR960006982Y1 (ko) 1993-08-13 1993-08-13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988U KR950005988U (ko) 1995-03-20
KR960006982Y1 true KR960006982Y1 (ko) 1996-08-16

Family

ID=1936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565U KR960006982Y1 (ko) 1993-08-13 1993-08-13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9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988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10704S (en) Toy building element
USD355322S (en) Tri-zone mattress overlay
USD434978S (en) Novelty container
USD361846S (en) Corner piece particularly for frames
USD418554S (en) Plush toy
USD359996S (en) Toy construction element
USD361398S (en) Light housing for patio decks and the like
KR960006982Y1 (ko) 천정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USD470398S1 (en) Shelving bracket
USD409676S (en) Toy building element
CA98267S (en) Candle
USD337356S (en) Element for a toy building set decorated with a face
USD337355S (en) Element for a toy building set decorated with a face
USD410974S (en) Toy building element
USD397703S (en) Molding template for correctly positioning decorative molding
USD380785S (en) Bingo identifier
USD431416S (en) Oven cooking chamber
USD322810S (en) Envelope
USD407146S (en) Combined valve housing and cap
USD412947S (en) Toy building element
USD448860S1 (en) Decorative edging block
KR970000183Y1 (ko) 천정 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USD391365S (en) Massager
USD409260S (en) Toy building element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