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606Y1 - 수도용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수도용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606Y1
KR960006606Y1 KR2019930020522U KR930020522U KR960006606Y1 KR 960006606 Y1 KR960006606 Y1 KR 960006606Y1 KR 2019930020522 U KR2019930020522 U KR 2019930020522U KR 930020522 U KR930020522 U KR 930020522U KR 960006606 Y1 KR960006606 Y1 KR 960006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perating
knob
work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992U (ko
Inventor
김윤규
Original Assignee
김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규 filed Critical 김윤규
Priority to KR2019930020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606Y1/ko
Publication of KR950011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606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도용 급수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유통로가 개방된 상태이며,
제2도는 유통로가 차단된 상태이다.
제3도는 유통로를 개폐시키는 작동몸체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의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몸체 1', 1 : 단턱
1A : 유통로 2, 22, 32 : 작동축
4, 24 : 노브 5, 11 : 패킹
6, 13, 15 : 너트 7 : 자석
8 : 소켓 9 : 수실
9A : 암나사부 10 : 작동몸체
10' : 돌출봉 10 : 경사면
10' : 축 12 : 스프링
14 : 걸름망 21A : 안내요홈
22A : 스크류 32a, 32b, 32c : 걸림요홈
32', 32 : 경사면 33 : 슬리브
33a, 33b : 통공 34 : 볼
35 : 스프링 36 : 보울트
본 고안은 수도용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의 개폐동작을 회전식이 아닌 누르고 당기는 푸쉬보턴식으로 할 수 있도록 몸체내부의 선단에 자석을 내설하여서 노브를 당겼을때 자석의 힘으로 작둥축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작동축과 나사맞춤된 작동몸체를 몸체후방의 수실에 위치토록 하여 수실내에 위치한 스프링에 의하여 탄발되면서 유통로를 개폐토록 하되 작동몸체의 선단을 경사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작동몸체의 이동범위에 따라서 유통로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누름식으로 된 급수밸브가 다수 출현된바 있으나, 이들은 노브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물이 공급되는 것이어서 힘이 없는 노약자들은 쉽게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가 못하며, 물을 계속 사용하기 위하여 노브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노브가 레바식으로 되어 레바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사용하는 것도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지직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일반수도전과 같이 대중적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급수밸브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축(2)에 노브(4)가 결합되며, 작동속(2)과 연결된 작동몸체(10)로 유통로(1A)를 개폐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선단 내측에 정성된 단턱(1')에 패킹(5)을 너트(6)로 지지토록 하며, 원통형의 자석(7)을 단턱(1)에 걸려지도록 개재시켜 몸체(1) 선단의 숫나사부에 암나사부를 갖는 소켓(8)으로 자석(7)을 고정시키며, 수실(9)내에는 돌출봉(10')이 형성되고 경사면(10)을 갖는 작동몸체(10)의 축(10' )을 작동축(2)과 결합시키며, 작동몸체(10) 전면부에 유통로(1A) 보다 크게 형성시킨 요홈에 패킹(11)을 감착시키며, 수실(9)의 작동몸체(10) 후방에 스프링(12)을 게재시켜 숫나사부가 형성된 너트(13)와 자석도금이 입혀진 걸름망(14) 및 너트(15)를 암나사부(9A)에 나사맞춤 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제4도에서와 같이 작동축(22)의 주연부에 스크류(22A)를 형성시키고, 몸체(21)내에는 안내요홈(21A)을 형성하여 작동축(22)과 유실된 노브(24)를 누르거나 당겼을때 스크류(22A)가 안내요홈(21A)을 타고 회전하여 작동축(22)과 결합된 작동몸체(10)를 이동시켜 유통로(1A)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5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몸체(1) 선단에 위치하는 고가품의 자석대신 금속재로 슬리브(33)를 형성하되, 슬리브(33)에 통공(33a)(33b)을 형성시켜 이에 볼(34)과 스프링(35)을 게재시키고 보울트(36)를 나사맞춤하며, 작동축(32)에는 걸림요홈(32a)(32b)(32c)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작동축(32)이 이동될때 볼(34)이 걸림요홈(32a)(32b)(32c)에 걸려지도록 하되, 걸림요홈(32a)(32c)에는 경사면(32')(32)을 반대방향으로 형성시켜 작동축(32)의 이동을 이동방향쪽으로 용이하도록 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수도파이프, 17은 배출구, 18은 야광판, 19는 소켓용 패킹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노브(4)를 최대한 누른 상태로서 작동몸체(10)가 전진하여 유통로(1A)가 최대한 개방된 상태이다. 이때, 작동축(2) 외주연부에 위치한 원통형 자석(7)은 작동축(2)과 맞붙을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며, 작동축(2)을 붙잡고 있을려는 자력으로 작동축(2)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자석(7)의 힘은 스프링(12)과 수압을 이겨낼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 수압과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밀려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노브(4)를 밀거나 당겼을때 자석(7)의 힘으로 작동축(2)을 지지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단턱(1')에 걸려진 패킹(5)은 작동축(2) 외주연부와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너트(6)를 나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누수되지 않도록 하였다.
단턱(1)에 걸려진 자석(7)은 이동할 수 없도록 암나사를 갖는 소켓(8)을 몸체(1)의 숫나사부에 결합시켜 자석(7)을 고정시켰다.
그리고 작동축(2)에 결합된 작동몸체(10)는 수실(9)내에 위치하는데 3개의 돌출봉(10')에 의하여 중심을 유지토록 하며, 돌출봉(10') 사이로 물이 통과되도록 한 것이다.
수실(9)의 암나사부(9A)에는 스프링(12)이 작동몸체(10)에 탄발 지지될 수 있도록 숫나사부가 형성된 너트(13)를 나착하여 스프링(12)이 지지되도륵 하며, 자석이 코팅된 걸름망(14) 및 너트(15)를 나착시켜 불순물(쇳가루, 찌끄러기)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배출관(17)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노브(4)를 약간 당겨 주므로서 작동축(2)이 자석(7)과 슬라이딩 되며, 약간의 스프링 반발력과 수압에 의하여 당겨진 위치에서 자석(7)이 작동축(2)을 지지한다.
이때는 작동몸체(l0)의 경사면(10)이 유통로(1A)를 어느정도 막고 있는 상태(제1도 가상선 표시)가 되어 유통로(1A)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제2도는 노브(4)를 당겨 유통로(1A)를 완전히 차단시킨 상태로서, 경사면(10) 모두가 유통로(1A)에 끼워져 있으며 작동몸체(10) 전면에 삽착된 패킹(11)이 유통로 외주 면벽에 닿게 되어 수실(9)에 있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한편, 제4도는 작동축(22)에 스크류(22A)를 형성시켜서, 몸체(21) 내부에 형성된 안내요홈(21A)을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노브(24)를 누르거나 당겼을때 스크류(22A)가 안내요홈(21A)을 따라 전, 후진이 용이하도록 경사각을 많이 주어 노브(24)를 누르는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는 회전이 빠르고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작동축(22)과 노브(24)는 서로 유설시켜서 노브(24)를 눌렀을때 노브는 가만이 있고 작동축(22)만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노브를 누르게 되면 작동축(22)의 스크류(22A)가 안내요홈(21A)을 타고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작동몸체(10)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5도 내지 제6도에서와 같이 소켓(8)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슬리브(33)를 자석이 아닌 금속재로하되, 슬리브(33)의 상하에 통공(33a)(33b)을 형성하여 볼(34)과 스프링(35)을 게재시키고, 보울트(36)를 통공(33a)(33b)에 나사맞춤 하여 볼(34)이 스프링(35)에 의하여 탄발될 수 있도록 하며, 작동축(32)에는 걸림요홈(32a)(32b)(32c)을 형성하여 볼(34)이 걸림요홈(32a)(32b)(32c)에 걸려 고정되도록하되, 맨앞쪽 걸림홈(32a)과 맨뒷쪽 걸림홈(32c)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32')(32)을 주어 작동축(32)이 이동될때 스프링(35)에 의해 탄발되는 볼(34)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벗어나도록 한 것이다.
즉, 제6도는 노브(4)가 당겨지고 작동몸체(10)가 유통로(1A)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로서 볼(34)이 최선단의 걸림요홈(32a)에 걸려져 있다.
따라서 노브(4)를 누르면 작동축(32)이 전진하고 걸림요홈(32a)에 걸려 있던 볼(34)이 경사면(32')을 타고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볼(34)이 걸림요홈(32b)에 안착되면 작동몸체(10)가 전진하여 유통로(1A)를 어느정도 개방시켜주어 배출구(17)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 노브(4)를 한번 더 누르면 걸림요홈(32c)에 볼(34)이 안착되고 작동몸체(10)가 전진한 만큼 유통로(1A)가 더욱 많이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반대로 유통로(1A)를 차단시킬 때에는 노브(4)를 당기게 되는데, 볼(34)은 걸림요홈(32c)의 경사면(32)을 타고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브(4)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을 약간의 힘으로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급수밸브의 노브를 누르거나 당기는 직선운동으로 하되, 유통로를 개폐시키는 동작을 자석 내지는 스크류 및 걸림식으로 작동축을 제어토록 하므로서 노브를 회전시키 않고 누르고 당기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물을 공급,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지닌 고안이다.

Claims (3)

  1. 작동축(2)에 노브(4)가 결합되며, 작동축(2)과 연결되는 작동몸체(10)로 유통로(1A)를 개패하도록 하는것에 있어서, 몸체(1)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단턱(1')에 패킹(5)을 너트(6)로 지지토록 하며, 원통형의 자석(7)을 단턱(1)에 걸려지도록 개재시켜 몸체(1)의 선단의 숫나사부에 안나사를 갖는 소켓(8)으로 자석(7)을 고정시키며, 수실(9)내에는 돌출봉(10')이 형성되고 경사면(10)을 갖는 작동몸체(10)의 축(10' )을 작동축(2)과 결합시키며, 작동몸체(10)의 전면부에 유통로(1A) 보다 크게 형성시킨 요홈에 패킹(11)을 감착시키며, 수실(9)의 작동몸체(10) 후방에 스프링(12)을 탄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급수밸브
  2. 작동축(22)에 노브(24)가 결하되며, 작동축(22)과 연결되는 작동몸체(10)로 유통로(1A)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작동축(22)의 주연부에 스크류(22A)를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몸체(21)내에는 안내요홈(21A)을 형성시키며, 수실(9)내에는 돌출봉(10')이 형성되고 경사면(10)을 갖는 작동몸체(10)의 축(l0' )을 작동축(22)과 결합시키며, 작동몸체(10)의 전면부에 유통로(1A) 보다 크게 형성시킨 요홈에 패킹(11)을 감착시키며, 수실(9)의 작동몸체(10) 후방에 스프링(12)을 탄설하여 이루어지며, 작동축(22)에 결합된 노브(44)를 누르거나 당겼을 때, 스크류(22A)가 안내요홈(21A)을 따라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급수밸브
  3. 작동축(32)에 노브(4)가 결합되며, 작동축(32)과 연결되는 작동몸체(10)로 유통로(1A)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패킹(5)을 너트(6)로 지지토록 하며, 너트(6)에 인접하여 슬리브(33)를 몸체(1)에 끼우고, 슬리브(33)에는 통공(33a, 33b)을 형성하여 이에 볼(34)과 스프링(35)에 개재시켜 보울트(36)로 나사 맞춤하며, 작동축(32)에 형성된 걸림요홈(32a, 32b, 32c)에 스프링(35)에 의해 탄발지지된 볼(34)이 걸림요홈(32a, 32c)에 안찰될 수 있도록 하며, 걸림요홈(32a, 32b)에 경사면(32', 32)을 형성시키고 수실(9)의 작동몸체(10) 후방에 스프링(12)을 탄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급수밸브
KR2019930020522U 1993-10-07 1993-10-07 수도용 급수밸브 KR960006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522U KR960006606Y1 (ko) 1993-10-07 1993-10-07 수도용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522U KR960006606Y1 (ko) 1993-10-07 1993-10-07 수도용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992U KR950011992U (ko) 1995-05-16
KR960006606Y1 true KR960006606Y1 (ko) 1996-08-03

Family

ID=1936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522U KR960006606Y1 (ko) 1993-10-07 1993-10-07 수도용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6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992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117A (en) Low power type, motor-controlled magnetic valve
US10730060B2 (en) Convenient switching valve
KR960006606Y1 (ko) 수도용 급수밸브
EP0902856B1 (en) Liquid flow control tap with inexhaustible energy-operated valve
US20120145934A1 (en) Switch device for water conduit valve
CN116892621A (zh) 切换阀及卫浴设备
CN111503309A (zh) 一种高压金属密封球阀
EP0022672B1 (en) Improved valve assembly, valve seat insert therefor and method of mounting said valve seat in a tap
US4461453A (en) Valve for fluid systems
CN208519261U (zh) 排水器
CN113152610A (zh) 一种手控磁吸开闭式控制器
US4076209A (en) Improved tap
CN218913926U (zh) 一种关闭锁紧和开度可调的手动挡板阀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CN219954327U (zh) 一种真空系统阀门
CN219139921U (zh) 一种多通阀门
CN220396693U (zh) 一种水龙头手轮安装结构
KR200237088Y1 (ko) 절수 장치
CN212804536U (zh) 一种便于更换或维修的龙头装置
CN212056008U (zh) 封闭式水龙头
CN210344317U (zh) 一种带下限位装置的蝶阀
KR200291396Y1 (ko)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CN212251142U (zh) 一种活动阀芯流量调节装置
GB2289933A (en) Tap adaptors
KR19990075663A (ko) 자동정수 및 절수용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